KR101202737B1 -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737B1
KR101202737B1 KR1020100042593A KR20100042593A KR101202737B1 KR 101202737 B1 KR101202737 B1 KR 101202737B1 KR 1020100042593 A KR1020100042593 A KR 1020100042593A KR 20100042593 A KR20100042593 A KR 20100042593A KR 101202737 B1 KR101202737 B1 KR 101202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erol
ethanol
gene encoding
recombinant
hansenula polymorp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122A (ko
Inventor
서정우
김철호
홍원경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4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73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fungi
    • C12N15/81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fungi for yeasts
    • C12N15/81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fungi for yeasts for yeasts other than Saccharomy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06Oxidoreductases (1.) acting on CH-OH groups as donors (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88Lyases (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06Ethanol, i.e. non-bever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1/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 C12Y101/01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1.1)
    • C12Y101/01001Alcohol dehydrogenase (1.1.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401/00Carbon-carbon lyases (4.1)
    • C12Y401/01Carboxy-lyases (4.1.1)
    • C12Y401/01001Pyruvate decarboxylase (4.1.1.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Zymomonas mobilis) 유래의 pdc와 adhB 유전자를 메탄올 이용효모인 한세눌라 폴리모르파에 도입하고 또한 보다 효과적인 글리세롤 이용을 위해 크렙시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ae ) 유래의 dhaD 및 dhaKLM 유전자를 추가로 도입하여, 상기 유전자가 과발현된 재조합 효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균주를 이용한 에탄올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발효를 통하여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oducing Ethanol from Glycerol by Using Recombinant Yeast}
본 발명은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Zymomonas mobilis) 유래의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pdc; pyruvate decarboxylase)와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adhB; alcohol dehydrogenase Ⅱ)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메탄올 이용효모인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에 도입하고 또한 보다 효과적인 글리세롤 이용을 위해 크렙시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ae) 유래의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dhaD; glycerol dehydrogenase) 및 디하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dhaKLM; dihydroxyacetone ki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추가로 도입하여, 상기 유전자가 과발현된 재조합 효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바이오 디젤 전체생산의 약 10%(w/w)는 제조 공정의 주된 부산물로서 만들어지는 폐 글리세롤로부터 만들어진다(Johnson and Taconi, 2007). 이러한 폐 글리세롤은 기존의 전통적인 글리세롤시장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직접 환경에 방출될 수 없기 때문에 처리비용 등, 중요한 환경 문제도 포함하고 있다(da Silva et al. 2009). 따라서 저비용의 폐 글리세롤을 이용하여 연료 및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한 산업적으로 가치 있는 물질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개발이 한창 진행중이다.
글리세롤은 락토바실러스 속(genus Lactobacillus), 클로스트리듐 속(genus Clostridium), 엔테로박터 속(genus Enterobacter), 크렙시엘라 속(genus Klebsiella)을 포함한 박테리아 이외의 대부분의 미생물에서는 비 발효성 물질이다. 최근 곤잘레스 연구그룹은 대장균으로부터 혐기성 발효에 의해 글리세롤로부터 새로운 대사 물질인 연료와 화학제품을 생산했다(Dharmadi et al. 2006; Gonzalez et al. 2008; Murarka et al. 2008). 게다가 글리세롤로부터의 에탄올 생산 비용은 옥수수 유래의 설탕으로부터 생산한 가격과 비교해 40%보다 낮은 수준이다(Yazdani and Gonzalez, 2007). 따라서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및 부산물의 효과적인 발효전환을 위한 대장균의 유전공학적 기법개발이 탄력을 받고 있다 (Yazdani and Gonzalez 2008; Durnin et al. 2009).
메탄올 이용효모(methylotrophic yeast)인 한세눌라 폴리모르파는 이종 단백질 생산(Gellissen, 2002) 등에 이용되는 가장 중요한 효모 (yeast) 중 하나이다. 더욱이 한세눌라 폴리모르파는 바이오메스 구성물질인 헤미셀룰로즈로부터 유래된 오탄당인 자일로즈를 발효시킬 수 있으므로 에탄올 생산에 유용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Ryabova et al. 2003; Guerra et al. 2005).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생산을 개발하고 개량하기 위해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Zymomonas mobilis) 유래의 pdc 및 adhB 유전자를 메탄올 이용효모인 한세눌라 폴리모르파에 도입하고 또한 보다 효과적인 글리세롤 이용을 위해 크렙시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ae ) 유래의 dhaD 및 dhaKLM 유전자를 추가로 도입한 상기 유전자가 과발현된 재조합 효모를 제작하여 에탄올의 제조방법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탄올 생산관련 외래유전자 및 글리세롤 이용관련 외래유전자를 한세눌라 폴리모르파에 도입하여, 에탄올 생산관련 외래유전자 및 글리세롤 이용관련 외래유전자가 과발현된 재조합 효모를 이용하여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셀루나 폴리모르파에 pdc 및 adhB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효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한셀루나 폴리모르파에 pdc 및 adhB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고, dhaD 및 dhaKLM 유전자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효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한셀루나 폴리모르파에 pdc 및 adhB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는 재조합 효모를 배양하여 에탄올을 생성시킨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한셀루나 폴리모르파에 pdc 및 adhB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고, dhaD 및 dhaKLM 유전자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효모를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에탄올을 생성시킨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pdc 및 adhB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효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pdc 및 adhB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고, dhaD 및 dhaKLM 유전자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효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세눌라 폴리모르파에 에탄올 생산관련 유전자 및 글리세롤 이용관련 유전자를 도입한 재조합 효모를 제공하여, 발효를 통하여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dc 유전자, adhB 유전자 및 dhaDKLM유전자를 함유하는 에탄올 생산을 위한 재조합벡터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균주에서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의 생산 대사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균주의 에탄올 생산량 및 성장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진 재조합 효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탁번호 KCTC 11687BP인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효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고,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효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탁번호 KCTC 11688BP 인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효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Zymomonas mobilis) 속 유래 pdc이고, 상기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Zymomonas mobilis) 속 유래 adh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진 재조합 효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크렙시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ae ) 속 유래의 dhaD이고, 상기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크렙시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ae) 속 유래의 dhaKL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진 재조합 효모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는 재조합 효모를 배양하여 에탄올을 생성시킨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고,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도입되어 있는 재조합 효모를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에탄올을 생성시킨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효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고,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효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한세눌라 폴리모르파인 것이 바람직하나, 에탄올 생산에 활용될 수 있는 효모이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에탄올 생산에 활용될 수 있는 효모인 사카로미세스(Saccharomyces), 피치아 (Pichia), 클루이베로마이세스(Kluyveromyces)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 및 상기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크렙시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ae ) 속 유래의 dahD 및 dahKLM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글리세롤 발효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속(genus Lactobacillus), 클로스트리듐 속(genus Clostridium), 엔테로박터 속(genus Enterobacter) 유래의 dhaD 및 dahKL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열번호 1 및 2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수행하여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증폭하고, 서열번호 3 및 4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수행하여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또한, 서열번호 5 및 6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수행하여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증폭하고, 서열번호 7 및 8, 서열번호 9 및 10, 서열번호 11 및 12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수행하여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이러한 에탄올 관련 외래 유전자 및 글리세롤 이용관련 외래 유전자들의 과발현을 유도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13 및 14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수행하여 GAPDH 프로모터를 증폭하고, 서열번호 15 및 16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수행하여 AXO 터미네이터를 증폭한 후, Leucine을 선별마커로 사용할 수 있는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발현벡터 pYHSA161에 클로닝하여 pYH-pdc-adhB, pYH-dhaDKLM 및 pYH-pdc-adhB-dhaDKLM 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제조한 플라스미드를 한셀루나 폴리모르파 효모에 형질전환시키고, Leucine를 선별마커로 활용하여 형질전환된 균주를 Leucine을 포함하지 않는 최소배지에 도말한 다음, 3~4일 후에 얻어진 형질전환된 균주들을 YPD 액체배지에서 24시간마다 4~5일간 계대배양하여 에탄올 발현벡터를 안정화한 후, YPD plate에서 3계대배양한 후 에탄올 생산주를 획득하였다.
본 발명에서 GAPDH 프로모터는 매우 강력하면서도 탄소원에 따른 별도의 발현 유도 과정이 필요없는 프로모터로써, 본 발명의 각각의 유전자의 상류에 GAPDH 프로모터를 연결하여 유전자의 과발현을 유도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재조합 균주를 2%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하여 생산된 에탄올 생산량을 분석한 결과, pdc 및 adhB 유전자를 도입한 재조합 균주의 경우에 에탄올 생산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dhaD 및 dhaKLM 유전자를 추가로 도입한 재조합 균주의 경우에는 에탄올 생산량이 더욱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효모를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에탄올이 생성되는 것은 글리세롤이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에 의해 디하이드록시아세톤으로 전환되고,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이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에 의해 인산기를 전달받은 후 파이루베이트로 전환된 다음,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되고,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에 의해 에탄올로 전환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도 2).
본 발명에서, '선별마커'란 특정 유전자의 산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 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은 포함되지 않은 미생물에는 나타나지 않는 특별한 형질을 나타내어 쉽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최소배지'란 통상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를 선택하기 위한 배지로, 야생형 균이 자라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성분만을 함유한 배지를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pdc , adhB dhaDKLM 유전자 과발현 균주의 제조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와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 및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수득하기 위하여, 각각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Zymomonas mobilis) 균주 및 크렙시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ae)를 배양하여, 염색체 DNA를 수득하였다.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Zymomonas mobilis) 균주의 염색체 DNA를 각각 주형으로 하여 PCR 방법으로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와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이에 사용된 프라이머쌍들의 염기서열은 아래와 같다.
<pdc 유전자 단편 증폭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 : 5-CCTCTAGA ATGAGTTATACTGTCGGTACCTATTTAGC-3 (pdc - XbaI-F)
서열번호 2 : 5-CCCTCGAG CTGCAG CTAGAGGAGCTTGTTAACAGGCTTAC-3
(pdc - XhoI - PstI-R)
<adhB 유전자 단편 증폭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 5-CCAGATCT ATGGCTTCTTCAACTTTTTATATTCC-3 (adhB - BglII-F)
서열번호 4 : 5-CCCTCGAG TCTAGA TTAGAAAGCGCTCAGGAAGAGTT-3
(adhB - XhoI - XbaI-R)
크렙시엘라 (Klebsiella pneumoniae ) MGH78578 균주의 염색체 DNA를 각각 주형으로 하여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 및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PCR 방법으로 증폭하였으며, 이에 사용된 프라이머쌍들의 염기서열은 아래와 같다.
<dhaD 유전자 단편 증폭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 : 5-CCCGGG ATGCTAAAAGTTATTCAA-3 (dhaD - SmaI-F)
서열번호 6 : 5-CTCGAG TTAACGCGCCAGCCACTG-3 (dhaD - XhoI-R)
<dhaK 유전자 단편 증폭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 : 5-CCCGGG ATGAAAAAGCTGATTAAC-3 (dhaK - SmaI-F)
서열번호 8 : 5-CTCGAG TTAGTTTCCCCAGTTCAG-3 (dhaK - XhoI-R)
<dhaL 유전자 단편 증폭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 5-CCCGGG ATGTCACTGAACAGAACG-3 (dhaL - SmaI-F)
서열번호 10 : 5-CTCGAG TTACTCTTTGGCGGCGGC-3 (dhaL - XhoI-R)
<dhaM 유전자 단편 증폭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1 : 5-CCCGGGATGGTAAACCTGGTTATT-3 (dhaM - SmaI-F)
서열번호 12 : 5-CTCGAGTTAGTCACGGATAAGGCG-3 (dhaM - XhoI-R)
상기 증폭된 pdc , adhB dhaDKLM 유전자 DNA 단편을 pGEM T Easy 벡터(Promega, 미국)를 이용하여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유전자들의 과발현을 유도하기 위하여, 하기의 프라이머쌍을 사용하여, 각 유전자의 상류에 강력한 프로모터인 GAPDH 프로모터 (pGAP)을 삽입하고 하류에는 AXO 터미네이터(tT)를 각각의 유전자에 연결하였다 (도 1).
<GAPDH 프로모터 증폭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3 : 5-GCGGCCGC GCTAGCCCTTTGCTCAATGCCGTTTT-3 (pGAP- NotI - NheI-F)
서열번호 14 : 5-GCGGCCGC ACTAGT GGATCC CCCGGG ATTGTTTCTATATTATCTTT-3
(pGAP- NotI - SpeI - BamHI - SmaI -R)
<AXO 터미네이터 증폭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5 : 5-GGATCC CTCGAGCCTTAGACATGACTGTTCCT-3 (tT- BamHI - XhoI-F)
서열번호 16 : 5-ACTAGTAAGCTTGCACAAACGAACTT-3 (tT- SpeI -R)
GAPDH 프로모터에 연결된 pdc , adhB dhaDKLM 유전자들을 아미노산 Leucine을 선별마커로 사용가능한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발현벡터 pYHSA161벡터(Heo et al., FEMS Yeast Research 4: 175-184, 2003)에 재클로닝하여 각각 pYH-pdc-adhB 및 pYH-dhaDKLM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였으며, 또한, pdc , adhB dhaDKLM 유전자를 동시에 발현하기 위한 pYH-pdc-adhB-dhaDKLM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였다. pYHSA161벡터는 pKS 벡터를 backbone으로 하여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균주에서 선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아미노산 Leucine을 선별 마커로 사용하기 위하여 Leucine gene을 도입하여 클로닝하였고 또한 target gene을 다수 도입하기 위하여 일종의 항생제 유전자인 G418 gene을 도입하여 제작되었다. 또한, pYHSA161벡터는 플라스미드의 자체 복제(replication)가 가능할 수 있도록 ARS(Auto replication sequence)를 포함하는 특징을 가진 플라스미드이다. 제작된 상기 pYH-pdc-adhB, pYH-dhaDKLM 및 pYH-pdc-adhB-dhaDKLM 플라스미드를 각각 전통적인 효모 형질전환법인 DMSO 및 Lithium acetate 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H. polymorpha DL1-L 게놈 유전자에 도입하여 재조합 균주를 제조하였으며, 숙주세포 H. polymorpha DL1-L을 대조군 균주로 사용하였다. H. polymorpha DL1-L은 Leucine을 선별 마커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형질전환된 균주를 Leucine를 포함하지 않는 최소배지에 도말한 다음, 3-4일 후에 얻어진 형질전환 균주들을 모두 pooling 하여 YPD 액체배지(1% 효모 추출물, 2% 펩톤, 2% 글루코즈)에서 매 24시간 마다 4-5일간 계대배양하여 게놈 DNA에 에탄올 발현벡터를 안정화하였다. 이후 G418(Geneticin) 농도를 각각 0 mg/mL, 2 mg/mL, 4 mg/mL로 달리하여 발현벡터의 다중카피수 도입을 유도하여 최종적으로 형질전환된 균주들을 YPD plate에서 3 계대배양후 에탄올 생산주를 획득하였고, pYH-pdc-adhB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균주, pYH-pdc-adhB-dhaDKLM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각각 KCTC 11687BP, KCTC 11688BP의 수탁번호로 기탁하였다.
재조합 균주의 에탄올 생산성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작된 pYH-pdc-adhB 및 pYH-pdc-adhB-dhaDKLM 플라스미드가 형질전환된 재조합 균주의 에탄올 생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재조합 균주들을 2%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하여 생산된 에탄올 생산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하여 정량하였다. 배양 조건은 배양볼륨 100 ml/250 ml, 배양온도 30°C, 현탁속도 100 rpm에서 8일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질전환된 재조합균주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증식은 약간 감소하는 반면 에탄올 생산량은 대조군(0.83g/L)에 비하여 HpDL1-L/pYH-pdc-adhB균주는 약 3.3배 증가한 2.74g/L의 에탄올 생산을, HpDL1-L/pYH-pdc-adhB-dhaDKLM균주는 조금 더 증가한 약 3.8 배 증가한 3.08g/L의 높은 에탄올 생산량(고생성능)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균주들의 효소활성 검증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재조합 균주들의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에탄올 생산주를 적정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5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5)로 세척한 후 다시 녹여 sonication법으로 분쇄하였다.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의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효소 활성분석 혼합액은 배양 균주 분쇄액에 imidazole hydrochloride buffer (pH 6.5) (40 mM), MgCl2 (5 mM), thiamine pyrophosphate (0.2 mM) 및 NADH(0.15 mM)을 첨가하고, alcohol dehydrogenase (Boehringer)가 88 U가 되도록 첨가하여 제조되었다. 그 다음, 50 mM 파이루베이트를 첨가하여 반응을 시작하였다. 반응은 30℃에서 30분간 반응한 뒤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알콜 디하이드로지네이즈의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효소 활성분석 혼합액은 배양 균주 분쇄액에 glycine-KOH buffer (pH 9.0) (50 mM) 및 NAD+ (1 mM)를 첨가하여 제조되었고, 제조된 혼합액에 100 mM ethanol을 첨가하여 반응을 시작하였다. 반응은 30℃에서 30분간 반응한 뒤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ostma E. et al, Appl Environ Microbiol ., 55: 468-477, 1989).
그 결과, 재조합 균주들의 효소활성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pDL1-L/pYH-pdc-adhB균주와 HpDL1-L/pYH-pdc-adhB-dhaDKLM균주는 대조군인 HpDL1-L균주에 비하여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 및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의 효소활성은 각각 약 21%, 28%와 70%, 63% 증가하였고,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효소활성은 10% 와 54% 증가하였다.
에탄올 생산 재조합 균주의 효소활성(enzyme units)
Strain Pdc adhⅡ DhaD
H. polymerpha HpDL1-L 0.87
(100)
0.80
(100)
1.26
(100)
HpDL1-L/pYH-pdc-adhB 1.05
(121)
1.36
(170)
1.38
(110)
HpDL1-L/pYH-pdc-adhB-dhaDKLM 1.11
(128)
1.30
(163)
1.94
(154)
효소활성 단위는 unit/g 단백질로 나타내었고, 대조군과 재조합 균주의 효소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율을 괄호 안에 표시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687 201004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688 20100422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4)

  1.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pyruvat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alcohol dehydrogenase Ⅱ)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기탁번호 KCTC 11687BP인 재조합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
  4.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pyruvat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alcohol dehydrogenase Ⅱ)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되어 있고,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glycerol dehydroge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dihydroxyacetone ki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기탁번호 KCTC 11688BP인 재조합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pyruvat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Zymomonas mobilis) 속 유래 pdc이고, 상기 알코올 디하이드로지네이즈(alcohol dehydrogenase Ⅱ)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Zymomonas mobilis) 속 유래 adh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롤 디하이드로게나아제(glycerol dehydroge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크렙시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ae ) 속 유래의 dhaD이고, 상기 디하이드록시아세톤 키나아제(dihydroxyacetone kinase)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크렙시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ae ) 속 유래의 dhaKL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재조합 효모.
  9. 제1항의 재조합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를 배양하여 에탄올을 생성시킨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의 제조방법.
  10. 제4항의 재조합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를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에탄올을 생성시킨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재조합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는 기탁번호 KCTC 11687BP의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재조합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는 기탁번호 KCTC 11688BP의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00042593A 2010-05-06 2010-05-06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의 제조방법 KR101202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593A KR101202737B1 (ko) 2010-05-06 2010-05-06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593A KR101202737B1 (ko) 2010-05-06 2010-05-06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122A KR20110123122A (ko) 2011-11-14
KR101202737B1 true KR101202737B1 (ko) 2012-11-19

Family

ID=4539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593A KR101202737B1 (ko) 2010-05-06 2010-05-06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4662B1 (en) * 2011-04-05 2020-01-08 Lallemand Hungary Liquidity Management LLC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product yield and production in a microorganism through the addition of alternate electron acceptors
KR101411828B1 (ko) * 2012-07-16 2014-06-25 한국과학기술원 에탄올 생산용 재조합 방선균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
KR101601637B1 (ko) * 2014-08-05 2016-03-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틸라코이드막을 이용한 에탄올 생산 증진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techonol. Lett.(제30권, 제67-663면, 2008년).*
FEMS Yeast Res.(제8권, 제1164-1174면, 2008년).*
Metabolic Engineering(제10권, 제340-351면, 2008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122A (ko) 201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54433A1 (en) Acetyl-coa producing enzymes in yeast
US8334119B2 (en) Anaerobic fermentation of glycerol
Rogers et al. Zymomonas mobilis for fuel ethanol and higher value products
CN105121637B (zh) 酿酒酵母中替代甘油形成的消耗电子的乙醇生产途径
Romero et al. Metabolic engineering of Bacillus subtilis for ethanol production: lactate dehydrogenase plays a key role in fermentative metabolism
Suo et al. Metabolic engineering of Clostridium tyrobutyricum for enhanced butyric acid production with high butyrate/acetate ratio
US20100248319A1 (en) Ethanol Production
Tamakawa et al. Metabolic engineering of Candida utilis for isopropanol production
Yang et al. Effects of corn steep liquor on production of 2, 3-butanediol and acetoin by Bacillus subtilis
Tian et al. High-efficiency conversion of glycerol to D-lactic acid with metabolically engineered Escherichia coli
JP5496356B2 (ja) アラビノース代謝経路が導入されたキシリトール生産菌株及びそれを用いたキシリトール生産方法
Zong et al. Construction of glycerol synthesis pathway in Klebsiella pneumoniae for bioconversion of glucose into 1, 3-propanediol
KR101202737B1 (ko) 재조합 효모를 이용한 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의 제조방법
JP5796138B2 (ja) キシロースからエタノールを生産する酵母
CN106434402B (zh) 一株表达木糖异构酶的酿酒酵母菌株及其构建方法
RU2375451C1 (ru) РЕКОМБИНАНТНАЯ ПЛАЗМИДНАЯ ДНК, СОДЕРЖАЩАЯ ГЕНЫ СИНТЕЗА БУТАНОЛА ИЗ Clostridium acetobutylicum (ВАРИАНТЫ), РЕКОМБИНАНТНЫЙ ШТАММ Lactobacillus brevis - ПРОДУЦЕНТ Н-БУТАНОЛ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МИКРОБИОЛОГИЧЕСКОГО СИНТЕЗА Н-БУТАНОЛА
CN115058443B (zh) 转录抑制质粒pCRISPR-nadG及其在提高产溶剂梭菌胞内还原力中的应用
JP4528972B2 (ja) 染色体組み込みマンノース発酵性ザイモモナス属細菌
Chen et al. Systematic metabolic engineering of Klebsiella oxytoca for production of 1, 3-propanediol from glucose
KR20130025701A (ko) 글리세롤 또는 폐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개량된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의 제조방법
이예지 Metabolic engineering of polyploid Saccharomyces cerevisiae for production of ethanol and 2, 3-butanediol
DK2173881T3 (en) YET ACETYL-COA-PRODUCING ENZYMS
WO2012030195A9 (ko) 글리세롤 또는 폐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의 제조방법
Gallardo et al. Butanol production by Clostridium pasteurianum using biodiesel-derived crude glycerol
BR112015007234B1 (pt) Levedura transformada e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etan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