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275B1 -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275B1
KR101202275B1 KR1020100049810A KR20100049810A KR101202275B1 KR 101202275 B1 KR101202275 B1 KR 101202275B1 KR 1020100049810 A KR1020100049810 A KR 1020100049810A KR 20100049810 A KR20100049810 A KR 20100049810A KR 101202275 B1 KR101202275 B1 KR 101202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hydrogen ion
ion concentration
treatment tank
aci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254A (ko
Inventor
박대철
조성주
이건재
Original Assignee
신강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강하이텍(주) filed Critical 신강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0004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27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pH)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평형수 탱크로부터 선박평형수 처리탱크로 선박평형수를 이송한 다음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높여 해양미생물을 사멸시키는 시스템에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변환시키는 새로운 장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선박엔진의 배출가스 배출관이나 이산화탄소 발생장치 등의 기체 상태 산성 화합물과/또는 염산, 질산, 식초산 등의 액체 상태 산성 화합물을 투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Regulating system for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 ballast wat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pH)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와 조절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을 전제로 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조절하는 새로운 장치를 제시하여 효율적으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조절하는 새로운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간 교역량의 증가에 따라 선박운항에 반드시 필요한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해양미생물 개체의 지리적 이동을 초래하게 되었고 이러한 해양미생물 개체의 이동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는 것은 널리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선박평형수에 포함되어 있는 해양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방법은 이미 여러 부분에서 연구 개발하게 되었다.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해양미생물을 사멸ㆍ처리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오존법, 전기분해법, 차아염소산법, 자외광법, 산소억제법 등의 방법보다도 뒤늦게 이용하기 시작한 방법이다. 이 수소이온농도의 변환방법에서 중요한 관건은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얼마나 빠르게 또 적절하게 변환시킬 수 있는가이다. 즉, 해양미생물의 사멸ㆍ처리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완벽하게 부합되는 수소이온농도를 아주 빠르게 얻는 것이다. 지금까지 공개된 해양미생물 등의 사멸방법은 위험한 요소와 복잡한 접근방식과 막대한 설치비용이 요구되고 있는 현실과 함께 수소이온농도를 변환하는 방법도 위험요소가 없는 안전한 방식과 용이하게 접근하는 운영 방법과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설비로서 해양미생물의 사멸ㆍ처리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이 실제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변화시켜서 선박평형수 내의 해양미생물을 사멸ㆍ처리하는 선박평형수의 해양미생물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용이하고 빠르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에서 처리, 변환시키기 위하여,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에 주입하기 전에 이미 여과된 선박평형수(해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에서 조절하는 장치와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선박엔진 배기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장치의 배출가스 등을 포함하는 기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을 일정하게 주입하여 수소이온농도를 상승시키는 주입밸브(Injection valve)와 염산, 질산, 식초산 등을 포함하는 휘발성 산성 화합물을 균일하게 주입하여 수소이온농도를 상승시키는 주입밸브와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의 내압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압력조절밸브와 각각의 기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과 액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이 각각의 선박평형수와 관 내부에서 서로 만나 각각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관과 이들 혼합되고 산성화된 선박평형수(해수) 각각을 선박평형수 처리탱크 내에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특별히 중요한 부분은 Ni, Cu, Zn, Sn 등의 양이온이 포함된 화합물 또는 각각이 혼합된 혼합물로 관 내부가 코팅(피복)되어 있는 다종의 물질을 서로 혼합하는 새로운 개념의 혼합관을 이용하여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에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빠른 속도로 균일하게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혼합관의 내부 코팅은 부식을 방지하고 선박평형수(해수)의 탄산화와 (또는) 산성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2개 이상의 혼합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산성화된 선박평형수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 내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배기도 Ni, Cu, Zn, Sn 등의 양이온이 포함된 화합물 또는 각각이 혼합된 혼합물로 코팅(피복)되어 있어 분배기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부차적으로 선박평형수(해수)의 탄산화 또는 산성화를 촉진하는데 기여하며, 다수의 세공이 존재하는 2개 이상의 분배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용이하고 적절히 조절해 주는 기술적 발전과 함께 이미 알려진 오존법, 전기분해법, 차아염소산법, 자외광법, 산소억제법 등의 해양미생물 사멸방법과 차별화되며 2차적인 환경오염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선박평형수 처리탱크 내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변환시키는 장치도,
도 2는 분배기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분배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와; 상기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혼합관(21)(22)과; 상기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혼합관(21)(22)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분배기(31)(32)와; 상기 제 1 및 제 2 혼합관(21)(22)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선박평형수 투입관(41)(42)과, 상기 제 1 선박평형수 투입관(41)의 도중에 연결되는 기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 주입관(51)과; 상기 제 2 선박평형수 투입관(42)의 도중에 연결되는 액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 주입관(52); 및 상기 선박평형수 투입관(41)과 기체 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관(51)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기체 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61)와, 상기 선박평형수 투입관(42)과 액체 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관(52)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액체 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62)를 포함한다.
상기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는 선박평형수 탱크(미도시)에 연결되어 있으며, 처리된 선박평형수를 선박평형수 탱크로 이송하거나 또는 바다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71)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혼합관(21)(22)은 도시 예와 같이 파형(波形)으로 또는 나선형(螺旋形)이나 지그재그형으로 혹은 직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배기(31)(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가지는 분배기 본체(31a)(32a)와, 상기 분배기 본체(31a)(32a)에 천공된 복수개의 분출공(31b)(32b)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선박평형수 투입관(41)(42)은 각각 선박평형수 탱크(미도시)와 상기 제 1 및 제 2 혼합관(21)(22)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기체 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관(51)은 선박엔진의 배출가스 배출관이나 이산화탄소 발생장치 등의 기체 상태 산성 화합물 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되며, 상기 액체 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관(52)은 염산, 질산, 식초산 등의 산성 화합물 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기체 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61)와 액체 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62)는 삼방향 밸브가 사용된다.
도 1에서 (71)은 해양미생물이 사멸ㆍ처리된 선박평형수 배출관이고, (72)는 자동압력조절밸브이다.
그리고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변환시키기 위해서, 선박평형수 탱크(미도시)로부터 이송되는 이미 여과된 선박평형수(해수)는 선박평형수 탱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던 선박평형수이며, 선박평형수 투입관(41)(42)과 선박평형수처리 탱크 내의 혼합관(21)(22)을 각각 거처서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에 투입된다.
또한 선박평형수(해수)의 수소이온농도 변환작업은 선박평형수로서 활용되는 도중인 항해 중이거나 선박평형수로서 활용이 끝난 다음에 추진하게 되는데, 이 변환작업은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에서 실시하는 것이며 실제적으로 수소이온농도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수소이온농도 변환작업은 기체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Injection valve)(61)를 통하여 선박엔진 배기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장치의 배출가스 등을 포함하는 기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을 선박평형수와 함께 일정하게 혼합관(21)에 일차적으로 주입하고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에서 측정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에 따라 또 다른 주입밸브, 즉 액체 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62)를 통하여 이차적으로 염산, 질산, 식초산 등과 같은 휘발성 산성 화합물을 선박평형수와 함께 일정하게 혼합관(22)에 주입하는 것이다. 이 때에도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의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해야 한다. 그리고 산성화되는 과정에서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의 내압은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와 관련하여 자동적으로 조정되며, 이 때 자동화된 내압자동조정밸브(72)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의 내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의 압력조정용 밸브(미도시)도 설치하여 만약을 대비한다. 한편 각각의 기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과 액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이 각각의 선박평형수와 혼합관(21)(22) 내부에서 서로 만나 각각 균일하게 혼합되는데, 이 혼합관(21)(22)은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에서 선박평형수의 균일한 수소이온농도의 유지를 위하여 존재하며, Ni, Cu, Zn, Sn 등의 양이온이 포함된 화합물 또는 각각이 혼합된 혼합물로 코팅(피복)되어 있다. 이 혼합관(21)(22)은 일반적인 부식을 방지하고 선박평형수의 탄산화와 (또는) 산성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에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혼합관(21)(22)을 통과한 산성화된 선박평형수 각각을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에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하는 분배기(31)(32)가 혼합관(21)(22)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어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에 도움이 되게 하였다. 그리고 이 산성화된 선박평형수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 내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배기(31)(32)는 Ni, Cu, Zn, Sn 등의 양이온이 포함된 화합물 또는 각각이 혼합된 혼합물로 코팅(피복)되어 있어 혼합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배기의 부식을 방지하며 동시에 산성 화합물과 만나는 선박평형수(해수)의 탄산화 또는 산성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다수의 세공(31b)(32b)이 분배기 본체(31a)(32a) 양 측면에 존재한다.
한편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에서 선박평형수(해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상승시킬 때에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의 내압은 5기압 이하로 유지하되 바람직하게는 2 ~ 4기압의 범위에서 항시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산성 화합물의 주입 방법은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의 현장 결과에 따라서 선택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선박평형수(해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에서 상승시키는 경우에, 선박엔진 배기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장치의 배출가스 등을 포함하는 기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을 일정하게 주입하고자 하는 제1단계와, 염산, 질산, 식초산 등을 포함하는 휘발성 산성 화합물을 일정하게 주입하게 되는 제2단계로 각각 구분하여 단계별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의 변환을 도모하는 것이 대단히 바람직한 것이다.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안에 설치된 혼합관(21)(22)은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균일하게 만드는데 필요하며, 혼합관(21)(22)의 길이는 9m 이하로 하되, 바람직하게는 6 ~ 8m의 크기이다. 그리고 혼합관(21)(22) 직경은 혼합관(21)(22) 길이의 10% 이하로 하며 실제적으로는 혼합관(21)(22) 길이의 4 ~ 6% 범위로 구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리고 혼합관(21)(22)과 같이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안에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균일하게 만들어 주는 분배기(31)(32)의 길이는 혼합관(21)(22) 길이의 60%의 크기로 하는 것이 좋겠으나, 40%~50%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배기(31)(32) 두께는 혼합관 직경의 60% 이하로 하고 실제적으로는 40 ~ 50%의 크기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분배기(31)(32)를 원판형으로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타원형이나 기타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수소이온농도의 변환작업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한다.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에서 처리, 변환시키기 위해서, 이미 여과되어 선박평형수 탱크에 저장되어 있던 선박평형수(해수)를 선박평형수 투입관(41)(42)과 선박평형수처리 탱크 내의 혼합관(21)(22)을 각각 거처서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에 주입한다. 그리고 선박평형수를 배출해야 하는 때가 되면, 선박평형수(해수)의 수소이온농도를 변환시키는 작업을 시작한다.
수소이온농도 변환작업은 기체 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Injection valve)(61)를 통하여 선박엔진 배기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장치의 배출가스 등을 포함하는 기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을 선박평형수와 함께 일정한 속도로 혼합관(21)에 일차적으로 주입하고(S10),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의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지난 다음, pH meter 등의 장비로 측정하는데 자동적인 계측의 방법을 선택하여 처리한다(S20). 그리고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에서 측정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가 pH 값으로 5 이하가 되지 않으면(S30), 이 결과에 따라서 또 다른 주입밸브, 즉 액체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62)를 통하여 이차적으로 염산, 질산, 식초산 등과 같은 휘발성 산성 화합물의 주입 여부를 결정하고 이들 액상의 산성 화합물을 선박평형수와 함께 일정한 속도로 혼합관(22)에 주입하는 것이다(S40). 이 때에도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에서의 수소이온농도는 측정되어야 한다(S50).
그리고 선박평형수가 산성화되는 과정에서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의 내압은 해당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와 관련하여 자동적으로 조정(pH 5 이하)되며, 이 때 자동화된 내압자동조정밸브(72)를 수소이온농도 측정값과 연계하여 작동하게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의 내부압력을 조정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의 압력조정용 밸브(미도시)도 별도로 설치하여 만약을 대비하였다. 한편 각각의 기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과 액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이 각각의 선박평형수와 각각 2개의 혼합관(21)(22) 내부에서 서로 만나 각각 서로 잘 혼합된다. 또한 Ni, Cu, Zn, Sn 등의 양이온이 포함된 화합물 또는 각각이 혼합된 혼합물로 코팅(피복)하여 일반적인 부식을 방지하며, 선박평형수의 탄산화와 (또는) 산성화가 촉진하도록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에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혼합관(21)(22)을 통과한 산성화된 선박평형수 각각을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에 균일하게 배분해야 하는데, 이 목적으로 분배기(31)(32)를 혼합관(21)(22)의 끝부분에 설치하여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다수의 세공(31b)(32b)이 양 측면에 있는 분배기(31)(32) 또한 Ni, Cu, Zn, Sn 등의 양이온이 포함된 화합물 또는 각각이 혼합된 혼합물로 코팅(피복)하였으며 혼합관(21)(2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배기(31)(32)의 부식을 방지하고, 동시에 산성 화합물과 만나는 선박평형수(해수)의 탄산화 또는 산성화를 촉진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에서 선박평형수(해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상승시킬 때,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의 내압은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에 따라 2 ~ 4 기압의 범위에서 자동으로 조정하였다. 그러나 5 기압은 넘지 않았다.
그리고 산성 화합물의 주입과 선택 또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의 현재 결과에 따랐다. 선박평형수(해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에서 상승시킬 때에, 선박엔진 배기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장치의 배출가스 등을 포함하는 기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을 주입하고(제1단계)(S10 참조), 기체 상태의 산성 화합물이 부족하거나 여타의 이유로 사용에 문제가 야기되면 염산, 질산, 식초산 등을 포함하는 휘발성 산성 화합물을 주입하여(제2단계)(S40 참조)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의 변환을 단계별로 처리하였다.
한편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안에 설치된 혼합관(21)(22)의 길이는 6 ~ 8m의 크기로 하였는데, 9m는 넘지 않았다. 그리고 혼합관(21)(22)의 직경은 혼합관(21)(22) 길이의 10% 이하로 정하였으나 실제적으로는 혼합관(21)(22) 길이의 4 ~ 6% 범위를 유지하였다. 그리고 혼합관(21)(22)과 같이 선박평형수 처리탱크 안에서 작동하는 분배기(31)(32)의 길이는 혼합관(21)(22) 길이의 40 ~ 50% 크기로 하였으며, 60%를 넘지 않았다. 그리고 분배기(31)(32) 두께를 처음에는 혼합관(21)(22) 직경의 60% 정도로 하였으나, 실제적으로는 40 ~ 50%의 크기를 선택하였다.
이렇게 하여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 내의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가 설정 농도에 도달되면 산성 화합물의 투입을 중지하며(S70). 잠시 후 수소이온농도가 조정된 선박평형수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10)로부터 선박평형수 배출탱크로 이송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다시 수소이온 농도를 낮추는 작업을 하였다. 그리고 수소이온농도를 재차 확인한 다음 이 선박평형수는 해상으로 방출할 수 있었다. 한편 수소이온농도가 조절된 선박평형수는 선박평형수 탱크로 재공급되어 선박평형수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
10. 선박평형수 처리탱크 21, 22. 혼합관
31, 32. 분배기 41, 42. 선박평형수 투입관
61. 기체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 62. 액체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
71. 선박평형수 배출관 72. 자동압력조정 밸브

Claims (11)

  1. 선박평형수 저장탱크와;
    선박평형수 탱크에 저장된 선박평형수를 상기 선박평형수 저장탱크에 투입하기 위한 선박평형수 투입관과;
    선박엔진 배기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장치의 배출가스 등을 포함하는 기체상태의 산성 화합물을 상기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에 일정하게 주입하는 기체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와;
    염산, 질산, 식초산 등을 포함하는 휘발성 산성 화합물을 상기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에 균일하게 주입하는 액체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와;
    상기 기체상태의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와 액체상태 산성 화합물 주입밸브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상태의 산성 화합물과 액체상태의 산성 화합물이 상기 선박평형수 투입관을 통해 투입되는 선박평형수와 관 내부에서 서로 만나 각각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에서 산성 화합물과 혼합되어 산성화된 선박평형수 각각을 상기 선박평형수 처리탱크 내에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하는 분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에서 선박평형수의 균일한 수소이온농도 유지를 도모하는 혼합관은 Ni, Cu, Zn, Sn 등의 양이온이 포함된 화합물 또는 각각이 혼합된 혼합물로 코팅되어 혼합관의 부식을 방지하고 선박평형수의 탄산화와/또는 산성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하며 2개 이상의 혼합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혼합관에 연결되는 분배기 본체와, 상기 분배기 본체에 천공된 다수의 세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화된 선박평형수를 선박평형수 처리탱크 내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배기의 본체는 부식 방지를 위해 Ni, Cu, Zn, Sn 등의 양이온이 포함된 화합물 또는 각각이 혼합된 혼합물로 코팅되며, 선박평형수의 탄산화와/또는 산성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에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상승시킬 때에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의 내압은 2 ~ 4기압의 범위로 항시 자동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내압자동조정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선박평형수 처리탱크 안에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균일하게 만들어 주는데 기여하는 혼합관의 길이는 6 ~ 8m의 크기이며, 혼합관 직경은 혼합관 길이의 4 ~ 6% 범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선박평형수 처리탱크 안에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균일하게 만들어 주는데 기여하는 분배기의 길이는 혼합관 길이의 40 ~ 50%의 크기이며, 분배기 두께는 혼합관 직경의 40 ~ 50%의 범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8. 선박평형수와 기체상태 산성 화합물을 투입하는 단계(S10);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는 단계(S20);
    측정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설정 농도와 비교하는 단계(S30);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가 설정 농도보다 낮을 경우 액체상태 산성 화합물을 투입하는 단계(S40);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는 단계(S50);
    측정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가 설정 농도에 도달되는 경우 산성 화합물 투입을 중지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상태의 산성 화합물 투입 단계에서는 선박엔진 배기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장치의 배출가스 등을 포함하는 기체상태의 산성 화합물을 일정하게 주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상태의 산성 화합물 투입 단계에서는 염산, 질산, 식초산 등을 포함하는 휘발성 산성 화합물을 일정하게 주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에서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상승시킬 때에 선박평형수 처리탱크의 내압은 2 ~ 4기압의 범위로 항시 자동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방법.
KR1020100049810A 2010-05-27 2010-05-27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1202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10A KR101202275B1 (ko) 2010-05-27 2010-05-27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10A KR101202275B1 (ko) 2010-05-27 2010-05-27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54A KR20110130254A (ko) 2011-12-05
KR101202275B1 true KR101202275B1 (ko) 2012-11-16

Family

ID=4549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810A KR101202275B1 (ko) 2010-05-27 2010-05-27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138B1 (ko) * 2014-01-07 2015-04-24 엠에스(주) 연소가스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생물 사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7993A1 (en) 2001-05-25 2003-09-11 Mo Husain Infusion of combustion gases into ballast water preferably under less than atmospheric pressure to synergistically kill harmful aquatic nuisance species by simultaneous hypercapnia, hypoxia and acidic pH level
KR100967910B1 (ko) 2009-11-18 2010-07-06 신강하이텍(주) 선박 엔진의 배출가스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JP2011092899A (ja) 2009-10-30 2011-05-12 Jfe Engineering Corp バラスト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7993A1 (en) 2001-05-25 2003-09-11 Mo Husain Infusion of combustion gases into ballast water preferably under less than atmospheric pressure to synergistically kill harmful aquatic nuisance species by simultaneous hypercapnia, hypoxia and acidic pH level
JP2011092899A (ja) 2009-10-30 2011-05-12 Jfe Engineering Corp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0967910B1 (ko) 2009-11-18 2010-07-06 신강하이텍(주) 선박 엔진의 배출가스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54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27798A5 (ko)
CN105585104B (zh) 一种循环冷却水臭氧旁流处理系统及方法
KR20110041261A (ko) 산소농법시스템
CN101715431A (zh) 压载水舱循环管理系统
KR20130034080A (ko) 평형수 순환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202275B1 (ko) 선박평형수의 수소이온농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1335264B1 (ko) 전기분해방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Christensson et al. ANITA™ Mox–A BioFarm Solution for Fast Start-up of Deammonifying MBBRs
KR100773103B1 (ko) 수처리용 이산화탄소 용해장치
JP2005305328A (ja) 水処理制御システム
CA2958569C (en) Diffused ae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fouled diffusers in aeration systems
JP2008207090A5 (ko)
CN205856256U (zh) 污水处理厂关键工艺参数的智能控制系统
WO2020116655A1 (ja) 水処理制御装置、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装置
CN113060866B (zh) 一种加药水处理方法及系统
JP4683977B2 (ja) 促進酸化水処理方法における過酸化水素注入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1602070B1 (ko) 브롬염 및 오존주입장치를 구비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KR101853928B1 (ko) 바이오가스 혼합시스템
CN205556365U (zh) 一种涂装污水处理系统
WO2018107651A1 (zh) 一种利用改性粘土治理赤潮的装置及其方法
KR102122351B1 (ko) 평형수 처리장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CN104163485B (zh) 一种基于潜水泵的喷泉用水净化管路设置方法
CN210021965U (zh) 船舶淡化水水质调节混合装置
KR102122354B1 (ko) 평형수 처리장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KR102384072B1 (ko) 고효율 액상 염소 기화장치를 갖는 차염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