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954B1 -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954B1
KR101201954B1 KR1020120071590A KR20120071590A KR101201954B1 KR 101201954 B1 KR101201954 B1 KR 101201954B1 KR 1020120071590 A KR1020120071590 A KR 1020120071590A KR 20120071590 A KR20120071590 A KR 20120071590A KR 101201954 B1 KR101201954 B1 KR 101201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terminal
box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삼식
Original Assignee
(주) 일신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신이앤씨 filed Critical (주) 일신이앤씨
Priority to KR102012007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re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의 저면에 수직누름체를 설치하고, 교량상판에 변형이 발생하면 교각 상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측정선을 순차적으로 눌러 측정선이 파단되도록 구성하되 각각 파단된 측정선이 위치한 높이를 감지하여 간편하게 교량 상판의 변형을 알 수 있도록 구성한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며, 사각의 판체(11)의 상면에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일측 가이드레일(12)의 수직부에 사각홀(12-1)이 형성되며, 사각홀(12-1)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톱니바퀴(13)가 판체(11)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톱니바퀴(13)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스톱퍼(14)가 판체(11) 상면에 고정되며, 판체(11)가 교각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10); 박스부(21)의 하단 양측에 가이드(22)가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22)는 고정판(10)의 가이드레일(12)에 삽입되어 전후이동되며, 일측 가이드(22)에 톱니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톱니바퀴(13)와 맞물리고, 박스부(21)에 상부가 개방된 홈부(23)가 형성되며, 박스부(21)의 전단에 홈부(23)와 통하도록 개방구(25)가 형성되는 지지체(20); 박스체 내부에 제어부가 형성되고, 제어부는 내부의 제어회로에 저항측정부, 전원부, 통신모듈이 형성되어 통신모듈로 관리부서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측정선(53)의 저항을 저항측정부에서 측정하여 측정선이 인장될 경우 그 값을 제어회로에 저장하여 통신모듈로 관리부서에 송신하고, 측정선이 파단되어 저항 측정이 안될 경우 파단된 측정선의 갯수를 관리부서에서 감지하여 위험정도가 경보되며, 박스체가 지지체(20)의 홈부(23) 후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어박스(26); 교각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부(31) 상면에 박스부(32)가 고정되고, 박스부(32)에 상부가 개방된 홈부(33)가 형성되며, 박스부(32)의 전단에 홈부(33)와 통하도록 개방구(35)가 형성되고, 지지체(20)와 한쌍을 이루어 측정어셈블리(50)가 지지되는 제2지지체(30); 고정판(41)의 저면에 1단수직부(42)가 아래를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1단수직부(42)의 내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2단수직부(43)가 형성되며, 2단수직부(43)는 하단이 측정선(53)에 닿게 되고, 2단수직부(43)의 하단에 홈부(43-1)가 형성되어 측정선(20)이 삽입되어 파단이 용이하게 형성되며, 2단수직부(43)는 나비볼트(44)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측정선(20)과 2단수직부(43)의 홈부(43-1)가 닿은 상태에서 위치가 조절되고, 교량상판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판(41)이 고정되는 수직누름체(40); 측정선(53) 다수개의 양단이 수평으로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에 고정되되 하방을 향하여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고, 가장 아래쪽 측정선(53)의 밑에 전원선(54)이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 사이에 고정되며,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의 외측면에 측정선(53)들에 연결된 단자(55)와 전원선(54)과 연결된 전원단자(56)가 형성되고, 제1고정체(51)는 지지체(20)의 홈부(23)에 삽입되되 측정선(53)이 개방구(25)를 통해 인출되며, 제2고정체(52)는 제2지지체(30)의 홈부(33)에 삽입되되 측정선(53)이 개방구(35)를 통해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측정어셈블리(50); 장방형 판체(61)에 다수개의 단자(6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지지체(20)의 홈부(23) 내에서 판체(61)의 배면과 제어박스(26) 사이에 스프링(27)이 설치되어 탄력지지되며, 판체(61)의 단자(62)와 제1고정체(51)의 단자(55)가 접촉하여 통전되고, 판체(61)의 단자(62)는 각각 연결선(63)으로 제어박스(26)의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단자판(60); 장방형 판체(71)에 다수개의 단자(72)가 형성되고, 판체(71)의 가장 하단에 전원단자(73)가 형성되며, 제2지지체(30)의 홈부(33) 내에서 판체(71)의 배면과 홈부(33) 후단 사이에 스프링(27)이 설치되어 탄력지지되며, 판체(71)의 단자(72) 및 전원단자(73)가 제2고정체(52)의 단자(55) 및 전원단자(56)와 각각 접촉하여 통전되고, 전원단자(73)와 각각의 단자(7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단자(72)는 전원단자(73)에 의해 항상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제2단자판(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 A safety inspecting device of an upboard in bridges }
본 발명은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의 저면에 수직누름체를 설치하고, 교량상판에 변형이 발생하면 교각 상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측정선을 순차적으로 눌러 측정선이 파단되도록 구성하되 각각 파단된 측정선이 위치한 높이를 감지하여 간편하게 교량 상판의 변형을 알 수 있도록 구성한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교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상판을 거치하는 방식으로 교량을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량은 교량상판의 처짐으로 인한 변형을 미연에 파악하는 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교량상판의 이상유무를 파악할 수 없어 교량상판의 심한 처짐이나 교좌장치의 변형이 발생되었을 경우 교량 안전에 심각한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 지금의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다수의 교량상판의 연결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교량상판의 하부는 교각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교각과 교량상판 사이에는 교량상판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유연성 부여를 위해 교량받침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교량받침은 탄성받침(Elastomeric Bearing)인 것을 알 수 있다.
탄성받침은 교량상판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하여 유연성으로 교량상판의 고유주기를 길게 하는 것에 의해 교량상판을 부드럽게 하는 면진설계용 교량받침으로서, 이는 일측면 상에 다수의 쐐기가 구비된 상.하부판 사이에 탄성의 지지체가 개재된 것으로서, 상기 지지체는 고무와 고무 사이에 보강용 강판이 층상으로 구비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교량 상판의 안전을 진단하는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교량의 안전진단 방법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교량에 직접 부착하는 방법과, 광센서를 이용하여 진단하는 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교량에 직접 부착하는 방법 및 광센서를 이용하여 진단하는 방법은 사람이 직접 교량의 전장에 걸쳐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광센서를 직접 부착시켜야 되는 바, 이의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인원 투입에 따른 경제성 및 효율성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부착이 용이하지 않고 유지 및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교량상판의 경우 교통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교량상판이 노후화 되어 처짐현상이 발생할 때 임계치 이상으로 변형되면 위험하므로 상시적인 처짐현상 측정과 그 변형 정도의 추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교량의 변형정도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없었고, 더욱이 측정장치를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교량 상판의 처짐이나 변형을 용이하게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는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측정선을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전기를 통하게 하여 간단하게 전기 저항을 측정하여 그 변형 정도를 쉽게 알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파단되는 측정선의 순서에 따라 변형정도를 쉽게 알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한다.
그리고 측정어셈블리만 교체하면 쉽게 다시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각의 판체(11)의 상면에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일측 가이드레일(12)의 수직부에 사각홀(12-1)이 형성되며, 사각홀(12-1)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톱니바퀴(13)가 판체(11)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톱니바퀴(13)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스톱퍼(14)가 판체(11) 상면에 고정되며, 판체(11)가 교각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10); 박스부(21)의 하단 양측에 가이드(22)가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22)는 고정판(10)의 가이드레일(12)에 삽입되어 전후이동되며, 일측 가이드(22)에 톱니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톱니바퀴(13)와 맞물리고, 박스부(21)에 상부가 개방된 홈부(23)가 형성되며, 박스부(21)의 전단에 홈부(23)와 통하도록 개방구(25)가 형성되는 지지체(20); 박스체 내부에 제어부가 형성되고, 제어부는 내부의 제어회로에 저항측정부, 전원부, 통신모듈이 형성되어 통신모듈로 관리부서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측정선(53)의 저항을 저항측정부에서 측정하여 측정선이 인장될 경우 그 값을 제어회로에 저장하여 통신모듈로 관리부서에 송신하고, 측정선이 파단되어 저항 측정이 안될 경우 파단된 측정선의 갯수를 관리부서에서 감지하여 위험정도가 경보되며, 박스체가 지지체(20)의 홈부(23) 후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어박스(26); 교각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부(31) 상면에 박스부(32)가 고정되고, 박스부(32)에 상부가 개방된 홈부(33)가 형성되며, 박스부(32)의 전단에 홈부(33)와 통하도록 개방구(35)가 형성되고, 지지체(20)와 한쌍을 이루어 측정어셈블리(50)가 지지되는 제2지지체(30); 고정판(41)의 저면에 1단수직부(42)가 아래를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1단수직부(42)의 내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2단수직부(43)가 형성되며, 2단수직부(43)는 하단이 측정선(53)에 닿게 되고, 2단수직부(43)의 하단에 홈부(43-1)가 형성되어 측정선(20)이 삽입되어 파단이 용이하게 형성되며, 2단수직부(43)는 나비볼트(44)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측정선(20)과 2단수직부(43)의 홈부(43-1)가 닿은 상태에서 위치가 조절되고, 교량상판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판(41)이 고정되는 수직누름체(40); 측정선(53) 다수개의 양단이 수평으로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에 고정되되 하방을 향하여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고, 가장 아래쪽 측정선(53)의 밑에 전원선(54)이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 사이에 고정되며,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의 외측면에 측정선(53)들에 연결된 단자(55)와 전원선(54)과 연결된 전원단자(56)가 형성되고, 제1고정체(51)는 지지체(20)의 홈부(23)에 삽입되되 측정선(53)이 개방구(25)를 통해 인출되며, 제2고정체(52)는 제2지지체(30)의 홈부(33)에 삽입되되 측정선(53)이 개방구(35)를 통해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측정어셈블리(50); 장방형 판체(61)에 다수개의 단자(6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지지체(20)의 홈부(23) 내에서 판체(61)의 배면과 제어박스(26) 사이에 스프링(27)이 설치되어 탄력지지되며, 판체(61)의 단자(62)와 제1고정체(51)의 단자(55)가 접촉하여 통전되고, 판체(61)의 단자(62)는 각각 연결선(63)으로 제어박스(26)의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단자판(60); 장방형 판체(71)에 다수개의 단자(72)가 형성되고, 판체(71)의 가장 하단에 전원단자(73)가 형성되며, 제2지지체(30)의 홈부(33) 내에서 판체(71)의 배면과 홈부(33) 후단 사이에 스프링(27)이 설치되어 탄력지지되며, 판체(71)의 단자(72) 및 전원단자(73)가 제2고정체(52)의 단자(55) 및 전원단자(56)와 각각 접촉하여 통전되고, 전원단자(73)와 각각의 단자(7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단자(72)는 전원단자(73)에 의해 항상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제2단자판(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이 차량 이동에 의한 하중 등으로 처지거나 변형될 때 측정선 위를 수직누름체가 눌러 측정선이 파단되면서 그 파단된 상황을 관리부서에서 감지하여 교량 상판의 변형 상태를 알 수 있게 되므로 간단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측정선 여러개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제3,.. 측정선이 변형 상태의 심각한 정도에 따라 제1, 제2, 제3...의 측정선이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파단된 측정선의 갯수에 따라 그 변형정도를 알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정선의 저항을 측정하여 측정선이 파단되기 전까지 이 인장되어 그 저항값이 변하므로 그 값을 측정하여 측정선이 파단되기 전까지 정량적인 변화를 쉽게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으며, 와이어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할 경우 와이어가 파단되므로 파단되는 측정선의 순서에 따라 그때 그때 위험상황을 경보할 수 있으므로 수시 경보체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와이어의 인장상태를 간단하게 전기 저항의 변화에 의해 측정 가능하므로 그 변화치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의 파단시 관리부서에서 경보음을 듣고 보수하게 되고, 보수후에는 측정선만 교체하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반복적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최초 설치시 수직누름체의 2단수직부가 상하 이동가능하므로 측정선과 수직누름체의 접촉상태 조절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의 지지체, 제2지지체와 측정어셈블리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의 지지체, 제2지지체와 측정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의 지지체와 톱니바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의 지지체 및 제1단자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의 제2지지체와 제2단자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의 전기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의 측정선이 파단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의 제2단자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의 제1단자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의 수직누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의 가이드레일과 톱니바퀴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교량에서 인접한 교각의 상단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지지체(20)와 제2지지체(30)를 설치하고, 지지체(20)와 제2지지체(30) 사이에 측정어셈블리(50)를 설치하며, 측정어셈블리(50)의 측정선(53)을 교량 상판에 고정된 수직누름체(40)가 교량변형 정도에 따라 눌러 파단되면서 제어부가 그 변형정도를 관리부서에 알리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지지체(20)와 제2지지체(30)는 하나의 단위를 이루어 인접한 교각의 서로 마주보는 곳에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고, 지지체(20)에는 제어박스(26)가 설치되어 그 내부에 제어부가 형성된다.
제어부는 내부의 제어회로에 저항측정부, 전원부, 통신모듈이 연결되어 제어박스(26)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통신모듈로 관리부서에 연결되고, 수직누름체(40)가 측정선(53)을 누르는 정도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를 저항측정부에서 측정하여 제어회로에서 저장하고, 그 값을 통신모듈로 관리부서에 송신한다. 관리부서에서는 이러한 측정값을 저장하여 교량상판의 변형 추이를 파악한다.
또한 수직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측정선(53)이 순차적으로 파단되면 관리부서로 파단 사실이 각각 송신되어 알 수 있게 된다. 즉 측정선(53)이 파단되어 저항 측정이 안될 경우 관리부서에 바로 경고신호를 보내고, 관리부서에서는 정밀진단을 하여 보수를 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구성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마주보는 두개의 교각 중 일측 교각 상단에 고정판(10)이 고정되는데, 고정판(10)은 사각의 판체(11)의 상면에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일측 가이드레일(12)의 수직부에 사각홀(12-1)이 형성된다.
사각홀(12-1)에 톱니바퀴(13)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톱니바퀴(13)가 판체(11)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톱니바퀴(13)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스톱퍼(14)가 판체(11) 상면에 고정된다. 스톱퍼(14)에는 톱니바퀴(13)를 향하여 탄력지지되도록 회전축에 스프링이 설치되고, 항상 스톱퍼(14)의 단부가 톱니바퀴(13)에 닿게 된다. 스톱퍼(14)는 스프링에 의해 톱니바퀴(13)에 걸려 톱니바퀴(13)의 회전을 막으나, 반대편 방향으로는 톱니바퀴(13)의 톱니 홈에서 벗어나면서 회전할 수 있게 일방향 톱니로 구성하거나,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스톱퍼(14)와 톱니바퀴(13)의 위치를 정하여 고정한다.
하지만 임의의 힘을 가하여 스톱퍼(14)를 스프링의 힘 반대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톱니바퀴(13)는 역회전할 수 있다.
고정판(10)의 상면에 지지체(20)가 설치되는데, 지지체(20)는 박스부(21)의 하단 양측에 가이드(22)가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22)는 고정판(10)의 가이드레일(12)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일측 가이드(22)에 톱니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톱니바퀴(13)와 맞물리고,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톱니바퀴(13)에 의해 지지체(20)가 후술할 측정선(53)을 당겨 팽팽하게 만드는 쪽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지지체(20)의 박스부(21)에 상부가 개방된 홈부(23)가 형성되고, 박스부(21)의 전단에 홈부(23)와 통하도록 개방구(25)가 형성된다.
홈부(23)의 내부로 제어박스(2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제어박스(26)는 홈부 후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어박스(26)의 박스체 내부에 제어부가 형성되고, 제어부는 내부의 제어회로에 저항측정부, 전원부, 통신모듈이 형성되어 통신모듈로 관리부서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후술할 측정선(53)의 저항을 저항측정부에서 측정하여 측정선이 인장될 경우 그 값을 제어회로에 저장하여 통신모듈로 관리부서에 송신하고, 측정선이 파단되어 저항 측정이 안될 경우 파단된 측정선의 갯수를 관리부서에서 감지하여 위험정도가 경보되도록 구성한다.
제2지지체(30)는 지지체(20)와 한쌍을 이루면서 측정어셈블리(50)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다른쪽 교각의 상단에 고정된다.
제2지지체(30)는 교각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부(31) 상면에 박스부(32)가 고정되고, 박스부(32)에 상부가 개방된 홈부(33)가 형성되며, 박스부(32)의 전단에 홈부(33)와 통하도록 개방구(35)가 형성된다. 따라서 개방구(35)를 통해 측정어셈블리(50)의 측정선(53)과 전원선(54)의 인출된다.
측정어셈블리(50)는 다수개의 측정선(53) 양단이 수평으로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에 고정되되 하방을 향하여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고, 가장 아래쪽 측정선(53)의 밑에 전원선(54)이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 사이에 고정된다.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의 외측면에 다수의 단자(55)와 가장 하단에 전원단자(56)가 형성되고, 단자(55)에는 다수의 측정선(53)이 각각 연결되며, 전원단자(56)에는 전원선(54)이 연결된다.
제1고정체(51)는 지지체(20)의 홈부(23)에 삽입되되 측정선(53)이 개방구(25)를 통해 인출되며, 제2고정체(52)는 제2지지체(30)의 홈부(33)에 삽입되되 측정선(53)이 개방구(35)를 통해 인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고정체(51)가 지지체(20)에 삽입될 때, 같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1단자판(60)과 밀착되어 서로의 단자끼리 접촉하게 된다.
제1단자판(60)은 제어박스(26)에 연결선(63)과 스프링(27)으로 탄력지지되도록 고정되고, 지지체(20)의 홈부(23)에 삽입된다.
제1단자판(60)은 장방형 판체(61)에 다수개의 단자(6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그 형성 방향은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단자판(60)은 지지체(20)의 홈부(23) 내에서 판체(61)의 배면과 제어박스(26) 사이에 스프링(27)이 설치되어 탄력지지된다.
판체(61)의 단자(62)와 제1고정체(51)의 단자(55)가 접촉하여 통전되고, 판체(61)의 단자(62)는 각각 연결선(63)으로 제어박스(26)의 제어부에 연결된다.
제2단자판(70)은 장방형 판체(71)에 다수개의 단자(72)가 형성되고, 판체(71)의 가장 하단에 전원단자(73)가 형성된다. 제2지지체(30)의 홈부(33) 내에서 판체(71)의 배면과 홈부(33) 후단 사이에 스프링(27)이 설치되어 탄력 지지되고, 판체(71)의 단자(72) 및 전원단자(73)가 제2고정체(52)의 단자(55) 및 전원단자(56)와 각각 접촉하여 통전된다.
가장 하단의 전원단자(73)와 각각의 단자(7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단자(72)는 전원단자(73)에 의해 항상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제2, 제3, ... 단자들이 각각 전원단자(73)와 서로 독립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되므로, 가장 위의 측정선(53)이 파단되더라도 나머지 측정선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끊어진 측정선(53)은 전기적 연결이 끊어져 더 이상 저항 측정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를 감지하여 교량상판의 변화 정도를 감시부서에 알려주게 된다.
측정선(53)을 파단시키는 구성으로 수직누름체(40)가 교량 상판의 저면에 고정되는데, 수직누름체(40)는 교량상판의 저면 정중앙에 위치하여 1단수직부(42)와 2단수직부(43)가 아래를 향하도록 고정된다.
수직누름체(40)의 고정판(41)의 저면에 1단수직부(42)가 아래를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1단수직부(42)의 내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2단수직부(43)가 형성된다. 1단수직부(42)에는 2단수직부(43)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내에서 2단수직부(43)가 이동되도록 삽입되어 나비볼트(44)로 고정된다. 나비볼트(44)는 공구가 필요없이 간단하게 설치자가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때 2단수직부(43)가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 같은 구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기술을 생략한다.
2단수직부(43)는 하단이 측정선(53)에 닿게 되고, 2단수직부(43)의 하단에 홈부(43-1)가 형성되어 측정선(20)이 삽입되어 파단이 용이하게 형성한다. 2단수직부(43)는 나비볼트(44)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측정선(20)과 2단수직부(43)의 홈부(43-1)가 닿은 상태에서 위치가 조절된다.
10 : 고정판 11 : 판체
12 : 가이드레일 12-1 : 사각홀
13 : 톱니바퀴 14 : 스톱퍼
15 : 작동홀 15-1 : 작동공구
20 : 측정선 21 : 박스부
22 : 가이드 22-1 : 톱니부
23 : 홈부 24 : 걸림단
25 : 개방구 26 : 제어박스
27 : 스프링 30 : 제2지지체
31 : 고정판부 32 : 박스부
33 : 홈부 34 : 걸림단
35 : 개방구 40 : 수직누름체
41 : 고정판 42 : 1단수직부
43 : 2단수직부 43-1 : 홈부
44 : 나비볼트 50 : 측정어셈블리
51 : 제1고정체 52 : 제2고정체
53 : 측정선 54 : 전원선
55 : 단자 56 : 전원단자
60 : 제1단자판 61 : 판체
62 : 단자 63 : 연결선
70 : 제2단자판 71 : 판체
72 : 단자 73 : 전원단자

Claims (1)

  1. 사각의 판체(11)의 상면에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일측 가이드레일(12)의 수직부에 사각홀(12-1)이 형성되며, 사각홀(12-1)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톱니바퀴(13)가 판체(11)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톱니바퀴(13)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스톱퍼(14)가 판체(11) 상면에 고정되며, 판체(11)가 교각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10);
    박스부(21)의 하단 양측에 가이드(22)가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22)는 고정판(10)의 가이드레일(12)에 삽입되어 전후이동되며, 일측 가이드(22)에 톱니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톱니바퀴(13)와 맞물리고, 박스부(21)에 상부가 개방된 홈부(23)가 형성되며, 박스부(21)의 전단에 홈부(23)와 통하도록 개방구(25)가 형성되는 지지체(20);
    박스체 내부에 제어부가 형성되고, 제어부는 내부의 제어회로에 저항측정부, 전원부, 통신모듈이 형성되어 통신모듈로 관리부서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측정선(53)의 저항을 저항측정부에서 측정하여 측정선이 인장될 경우 그 값을 제어회로에 저장하여 통신모듈로 관리부서에 송신하고, 측정선이 파단되어 저항 측정이 안될 경우 파단된 측정선의 갯수를 관리부서에서 감지하여 위험정도가 경보되며, 박스체가 지지체(20)의 홈부(23) 후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어박스(26);
    교각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부(31) 상면에 박스부(32)가 고정되고, 박스부(32)에 상부가 개방된 홈부(33)가 형성되며, 박스부(32)의 전단에 홈부(33)와 통하도록 개방구(35)가 형성되고, 지지체(20)와 한쌍을 이루어 측정어셈블리(50)가 지지되는 제2지지체(30);
    고정판(41)의 저면에 1단수직부(42)가 아래를 향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1단수직부(42)의 내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2단수직부(43)가 형성되며, 2단수직부(43)는 하단이 측정선(53)에 닿게 되고, 2단수직부(43)의 하단에 홈부(43-1)가 형성되어 측정선(20)이 삽입되어 파단이 용이하게 형성되며, 2단수직부(43)는 나비볼트(44)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측정선(20)과 2단수직부(43)의 홈부(43-1)가 닿은 상태에서 위치가 조절되고, 교량상판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판(41)이 고정되는 수직누름체(40);
    다수개의 측정선(53) 양단이 수평으로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에 고정되되 하방을 향하여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고, 가장 아래쪽 측정선(53)의 밑에 전원선(54)이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 사이에 고정되며, 제1고정체(51)와 제2고정체(52)의 외측면에 측정선(53)들에 연결된 단자(55)와 전원선(54)과 연결된 전원단자(56)가 형성되고, 제1고정체(51)는 지지체(20)의 홈부(23)에 삽입되되 측정선(53)이 개방구(25)를 통해 인출되며, 제2고정체(52)는 제2지지체(30)의 홈부(33)에 삽입되되 측정선(53)이 개방구(35)를 통해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측정어셈블리(50);
    장방형 판체(61)에 다수개의 단자(6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지지체(20)의 홈부(23) 내에서 판체(61)의 배면과 제어박스(26) 사이에 스프링(27)이 설치되어 탄력지지되며, 판체(61)의 단자(62)와 제1고정체(51)의 단자(55)가 접촉하여 통전되고, 판체(61)의 단자(62)는 각각 연결선(63)으로 제어박스(26)의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단자판(60);
    장방형 판체(71)에 다수개의 단자(72)가 형성되고, 판체(71)의 가장 하단에 전원단자(73)가 형성되며, 제2지지체(30)의 홈부(33) 내에서 판체(71)의 배면과 홈부(33) 후단 사이에 스프링(27)이 설치되어 탄력지지되며, 판체(71)의 단자(72) 및 전원단자(73)가 제2고정체(52)의 단자(55) 및 전원단자(56)와 각각 접촉하여 통전되고, 전원단자(73)와 각각의 단자(7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단자(72)는 전원단자(73)에 의해 항상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제2단자판(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KR1020120071590A 2012-07-02 2012-07-02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KR101201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590A KR101201954B1 (ko) 2012-07-02 2012-07-02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590A KR101201954B1 (ko) 2012-07-02 2012-07-02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954B1 true KR101201954B1 (ko) 2012-11-19

Family

ID=4756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590A KR101201954B1 (ko) 2012-07-02 2012-07-02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9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9662A (zh) * 2017-05-09 2017-07-28 天津理工大学 一种大量程电容型波高传感器
US10564054B2 (en) 2017-07-12 2020-02-18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indicating replacement time of composite leaf spring
CN116678382A (zh) * 2023-08-03 2023-09-01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人工智能的桥梁安全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456B1 (ko) 2006-01-25 2006-08-02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교량상부시설의 처짐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100762180B1 (ko) 2007-04-04 2007-10-01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교량의 거더 처짐 진단 구조
KR200444325Y1 (ko) 2009-01-14 2009-05-07 (주)한국해외기술공사 교량 강교 상부 캔틸레버 구간의 철재빔 처짐 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456B1 (ko) 2006-01-25 2006-08-02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교량상부시설의 처짐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100762180B1 (ko) 2007-04-04 2007-10-01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교량의 거더 처짐 진단 구조
KR200444325Y1 (ko) 2009-01-14 2009-05-07 (주)한국해외기술공사 교량 강교 상부 캔틸레버 구간의 철재빔 처짐 진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9662A (zh) * 2017-05-09 2017-07-28 天津理工大学 一种大量程电容型波高传感器
US10564054B2 (en) 2017-07-12 2020-02-18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for indicating replacement time of composite leaf spring
CN116678382A (zh) * 2023-08-03 2023-09-01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人工智能的桥梁安全检测装置
CN116678382B (zh) * 2023-08-03 2023-10-03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人工智能的桥梁安全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419075B2 (en) Elevator traction steel belt rope breakage detection device,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JP4597190B2 (ja) エレベータ荷重支持部材の摩耗および破損検出
US7926622B2 (en) Lift cable slack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CN103068711B (zh) 基于电阻的监测系统和方法
CN102085989B (zh) 电梯
KR101201954B1 (ko) 다수의 측정선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US9475676B2 (e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having a security device
CN102923544B (zh) 曳引钢丝绳断股检测装置及方法
EP2911970B1 (en) People mover
CN105217394A (zh) 基于电流变化处理的电梯松断绳实时监测装置和方法
CN209383216U (zh) 电梯曳引钢带断绳检测装置及检测系统
KR102166859B1 (ko) 지중 송전선로의 고장구간 모니터링 장치
KR20170005297A (ko) 전차선 자동장력조정장치 장력추 상하부 위치감지시스템
EP3628625B1 (en) Time domain reflectometry for electrical safety chain condition based maintenance
CN106052630A (zh) 一种桥梁橡胶支座变形监测装置
CN205825946U (zh) 一种桥梁橡胶支座变形监测装置
CN205294524U (zh) 基于电流变化处理的电梯松断绳实时监测装置
US20180237270A1 (en) Human transport device having a monitoring apparatus
CN201793293U (zh) 曳引钢丝绳断绳检测装置
CN105984801A (zh) 乘客输送机
CN103879852A (zh) 基于形变原理的电梯钢丝绳断绳监测装置
CN101407307B (zh) 升降链条防松方法、装置及使用该装置的堆高机
KR101164892B1 (ko)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JP6067813B1 (ja) エレベーター脱レール検出装置
CN212409755U (zh) 一种绞线机新型断线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