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813B1 -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813B1
KR101200813B1 KR1020090003811A KR20090003811A KR101200813B1 KR 101200813 B1 KR101200813 B1 KR 101200813B1 KR 1020090003811 A KR1020090003811 A KR 1020090003811A KR 20090003811 A KR20090003811 A KR 20090003811A KR 101200813 B1 KR101200813 B1 KR 101200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ilicon oxide
metal
oxide thin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281A (ko
Inventor
김태환
정재훈
신재원
이정용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8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2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69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drying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Abstract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플래시 기억 소자는 제1 도전성 영역 및 제2 도전성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및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부에,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은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금속 산화물 박막을 증착하고 열처리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는 전자빔 조사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 사이에는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전자빔의 크기, 조사 시간, 조사 위치 등을 조절함으로써 금속 나노 입자의 크기, 밀도, 위치 등이 제어될 수 있고, 금속 나노 입자의 표면에는 절연층이 둘러 싸고 있어 우수한 전하 포획 능력을 가진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나노, 절연층, 전자빔, 증착

Description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Flash memory device comprising metal nano particl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에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부에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기억 소자의 아키텍처는 크게 비트선과 접지선 사이에 셀이 병렬로 배치된 NOR형 구조와 직렬로 배치된 NAND형 구조로 나눌 수 있고, 다시 NOR형은 변형 구조인 AND형, DINOR형, VGA(Virtual Ground Array)형으로 나눌 수 있다. NOR형은 88년 인텔이 발표한 EP롬 셀 구조를 이용한 ETOX(EPROM tunnel oxide) 방식에 기초한 구조이다.
종래, 절연체 안에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방법, 특히 단전자 소자 및 나노 입자 플래시 기억 소자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위해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보다 향상된 방법으로 나노 입자의 크기와 밀도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레이저를 금속 박막 위에 직접 조사하여 열처리를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레이저를 사용하여 금속이 도핑되어 있는 실리콘(Si) 기판으로부터 금속이 도핑된 실리콘(Si) 나노 입자를 형성하고 이를 박막 위에 증착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 중의 한 가지로서, 절연층, 금속 박막,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킨 후에 열처리를 가해 박막 형태의 금속이 서로 응집하여 나노 입자를 형성하거나, 금속과 절연층이 서로 반응하여 금속 화합물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빠르게 나노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나노 입자를 정확한 위치에 원하는 밀도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보다 향상된 방법으로서, 레이저를 금속 박막 위에 직접 조사하여 열처리를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또한, 금속이 도핑되어 있는 실리콘(Si) 기판에 레이저를 사용하여 금속이 도핑된 실리콘(Si) 나노 입자를 형성하고, 이를 박막 위에 증착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연구되었었다. 이렇게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은 레이저의 출력, 초점의 크기 및 조사 시간을 조절하여 형성되는 나노 입자의 크기와 밀도를 어느 정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비교적 다양한 금속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아연(Zn)과 같이 쉽게 산화되는 일부 금속을 사용할 경우에는 금속 박막 내에 결정화된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할 수 없다는 것과, 빛의 회절 특성으로 인해 하나의 나노 입자를 정확한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절연체 안에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그 밖의 방법으로서, 금속과 절연 물질을 동시에 증착하여 절연층 안에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절연층 안에 금속 나노 입자가 분산되어 분포하기 때문에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나노 입자층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나노 입자의 크기와 밀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다른 방법으로, 금속 화합물을 졸-겔 상태의 SiO2에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기판 상에 도포한 후에 양단에 전류를 공급하여, 혼합물로부터 SiO2 절연층과 금속 나노 입자를 얻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류량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금속 나노 입자의 형성되는 양이 결정되며, 금속 나노 입자의 결정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금속 나노 입자가 형성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나노 입자의 크기를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고, 우수한 전하 포획 능력을 가짐으로써 보다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정보 저장 능력을 갖는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빔을 조사에 의해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부에 형성된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부에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함에 있어서 전자빔의 크기, 조사 시간, 조사 위치 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금속 나노 입자의 크기, 밀도, 위치 등을 제어할 수 있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나노 입자의 표면을 절연층이 둘러 싸고 있어 우수한 전하 포획 능력을 가진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형 저장 장치는 물론 휴대폰, PMP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용량, 고용량의 저장 장치로서도 활용이 가능한 플래시 기억 소자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도전성 영역 및 제2 도전성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및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부에,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은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금속 산화물 박막을 증착하고 열처리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는 전자빔 조사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 사이에는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도전성 영역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2 도전성 영역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및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는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의 금속 입자와 실리콘 산화물이 분리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입자는 아연(Zn), 구리(Cu), 인듐(In), 은(Ag), 주석(Sn), 안티몬(Sb), 니켈(Ni) 및 철(F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의 크기, 밀도 및 위치는 상기 전자빔의 초점 크기, 조사 시간 및 조사 위치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의 두께는 상기 열처리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은 Zn2XSi1-YO2, Cu2XSi1-YO2, In2XSi1-YO2, Ag2XSi1-YO2, Sn2XSi1-YO2, Sb2XSi1-YO2, Ni2XSi1-YO2 및 Fe2XSi1-YO2 박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상에 금속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산화물 박막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열처리하여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부에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양 측부에 제1 도전성 영역 및 제2 도전성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 사이에는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이 형성된 후에 상기 금속 산화물 박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상기 제1 도전성 영역 및 상기 제2 도전성 영역 상에 각각 게이트 전극,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는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의 금속 입자와 실리콘 산화물이 분리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입자는 아연(Zn), 구리(Cu), 인듐(In), 은(Ag), 주석(Sn), 안티몬(Sb), 니켈(Ni) 및 철(F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부의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의 크기, 밀도 및 위치는 상기 전자빔의 초점 크기, 조사 시간 및 조사 위치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의 두께는 상기 열처리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은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금속 산화물 박막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은 Zn2XSi1-YO2, Cu2XSi1-YO2, In2XSi1-YO2, Ag2XSi1-YO2, Sn2XSi1-YO2, Sb2XSi1-YO2, Ni2XSi1-YO2, 및 Fe2XSi1-YO2 박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빔을 조사에 의해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부에 형성된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 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시 기억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전자빔의 크기, 조사 시간, 조사 위치 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금속 나노 입자의 크기, 밀도, 위치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나노 입자의 표면을 절연층이 둘러 싸고 있어 우수한 전하 포획 능력을 가진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는 디스크형 저장 장치는 물론 휴대폰, PMP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용량, 고용량의 저장 장치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도전성 영역은 소스 영역이고 제2 도전성 영역은 드레인 영역일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도전성 영역은 드레인 영역이고 제2 도전성 영역은 소스 영역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제1 도전성 영역은 소스 영역으로, 제2 도전성 영역은 드레인 영역으로 특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제1 도전성 영역이 드레인 영역이고 제2 도전성 영역이 소스 영역인 경우는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제1 전극은 소스 전극, 제2 전극은 드레인 전극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는 소스 영 역(112) 및 드레인 영역(114)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10), 내부에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130)가 분포되어 있는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 절연막(150), 절연막(150)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60), 소스 영역(112) 상에 형성된 소스 전극(170) 및 드레인 영역(114) 상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17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전극(160)과 반도체 기판(110) 간은 제1 전압원(18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소스 전극(170)과 드레인 전극(175) 간은 제2 전압원(19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60), 소스 전극(170) 및 드레인 전극(175)은 플래시 기억 소자에 있어 일반적인 구성 요소인바, 이하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도체 기판(110)은 실리콘(Si) 등의 일반적인 반도체 소자용 기판이 이용될 수 있으며, 소스 영역(112)과 드레인 영역(114)은 반도체 기판(110)의 소정 부분을 도핑 처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판(110)으로서 P형 실리콘 기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반도체 기판(110)의 양측의 각각의 일 영역을 5족 원소(예를 들어, 인(P) 등)를 이용하여 도핑 처리함으로써 N형의 소스 영역(112) 및 드레인 영역(114)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전성 영역에 해당하는 소스 영역(112)은 전자(electron)나 홀(hole)을 공급할 수 있는데, 그 전자나 홀은 채널(기판 상에 전자나 홀이 지나가는 통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영역을 지나 제2 도전성 영역에 해당하는 드레인 영역(114)에서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을 통해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130)로 빠져나갈 수 있다.
플로팅 게이트는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 내부에 분포되어 있는 금속 나노 입자(130)일 수 있고,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 쓰기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금속 나노 입자(130)에 포획된 전자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은 반도체 기판(110) 중 소스 영역(112)과 드레인 영역(114)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을 제외한 그 사이 영역(이하, 이를 "중간 영역"이라 함)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을 중간 영역 상에 형성시키는 이유는 플래시 기억 소자에 인가하는 인가 전압에 따라 이러한 중간 영역을 통하여 전자의 흐름에 의한 채널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후술할 도 9 또는 도 11에 대한 설명 참조). 따라서,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이 형성될 수 있는 위치는 반도체 기판(110)에 있어서 인가 전압에 따라 채널이 형성될 수 있는 소정의 위치에 상응하여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은 예를 들어, 아연(Zn), 실리콘(Si), 산소(O)를 구성 원소로 하여 이루어진 금속 실리콘 산화물의 비정질 박막(Zn2XSi1-YO2 박막 등; 여기서 X, Y는 0과 1 사이의 소수)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은 열처리에 공정에 의한 물질간 상호 확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판(110) 상에 금속 산화물 박막(예컨대, ZnO 박막 등)을 형성시킨 이후 소정의 열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물질간 상호 확산에 의하여 반도체 기판(110)과 금속 산화물 박막 간의 계면에는 그 내부에 아연(Zn) 나노 입자가 분포된 비정질의 Zn2XSi1-YO2 박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도 2의 제조 공정도를 통해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금속 나노 입자(130)는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의 내부에 분포되어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 인가되는 쓰기 전압에 따라 반도체 기판(110)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는 채널을 통해 이동하는 전자들 중의 일부를 포획하는 전자 포획의 중심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입자는 아연(Zn), 구리(Cu), 인듐(In), 은(Ag), 주석(Sn), 안티몬(Sb), 니켈(Ni), 철(Fe) 일 수 있다.
또한, 금속 나노 입자(130)의 크기는 최소 1 nm에서 최대 20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5 nm에서 10 nm 사이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 7 nm가 제작 과정에서 가장 최적화된 크기일 수 있는데, 이는 전자빔의 초점 크기, 조사 시간 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금속 나노 입자(130)의 크기, 밀도 등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금속 나노 입자(130)는 절연층인 실리콘 산화물(140)에 둘러 싸일 수 있는데, 실리콘 산화물(140)은 금속 나노 입자(130)에 포획된 전자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금속 나노 입자(130)의 결정 형태 및 금속 나노 입자(130)의 전자 포획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 상에 절연막(150)에 해당하는 실리콘 산화물 박막을 더 적층할 수 있다. 절연막(150)을 적층함으로써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 내부에 분포되어 있는 금속 나노 입자(130)에 포획된 전자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먼저 반도체 기판(110)을 불순물로 도핑하고,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의 먼지, 기름기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후 기판을 세척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붕소(B)가 1 x 1015cm-3의 농도로 도핑된 P형 실리콘(Si) 기판의 표면에서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TCM) 용액으로 불순물을 제거한 후, 탈이온수(de-ionized water) 등을 사용하여 기판을 세척할 수 있다.
이후 도 2의 단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 위에 금속 산화물 박막(210)을 증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 x 10-7 torr의 진공도와 99.9999% 순도의 아르곤(Ar) 가스가 채워진 진공 챔버 안에 실리콘(Si) 기판을 장착한 후, 실리콘(Si) 기판 상부에 금속 산화물 박막(210)(예컨대, ZnO 박막)을 증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산화물 박막(210)은 물리적인 증착 방법, 즉 스퍼터링(sputtering), 증기 증착법(evaporation method), MBE(molecular beam epitaxy), ICP(ionized cluster beam deposition), 또는 레이저를 활용한 물리 증착법 등으로 증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스퍼터링 (RF sput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ZnO 박막을 성장시키는 경우, 스퍼터 장비의 주파수는 13.26 MHz, 출력은 100 W로 설정될 수 있다.
성장되는 금속 산화물 박막(210)의 두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추후 단계에서 형성될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예를 들어, Zn2XSi1-YO2 박막)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 최소 30 nm 이상이 되야 하며 최대 두께의 제한은 없다. 다만 공정 기간의 단축과 공정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두께가 약 5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형성되는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의 두께는 최소 15 nm에서 최대 20 nm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가 약 15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실리콘(Si) 기판에 대하여 온도 250℃ 및 1.2 x 10-2 torr의 압력을 가한 경우 ZnO 박막은 분당 13 nm로 성장될 수 있다.
한편, 반도체 기판(110) 위에 금속 산화물 박막(210)을 증착하는 중에 실리콘 산화물 박막이 자연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퍼터링 공정을 사용하여 실리콘(Si) 기판 위에 ZnO 박막을 형성할 때, 2 nm 두께의 SiOX 박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퍼터링 공정 중에 기판의 Si와 산소 이온이 서로 상호 결합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2의 단계 (b)를 참조하면, 금속 산화물 박막(210)이 증착된 반도체 기판(110)의 실리콘을 열처리하여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단계의 열처리 공정은 예를 들어, O2 환경에서 텅스텐-할로겐 램프 등의 열원을 사용하여 900℃에서 20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열처리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반도체 기판(110)과 금속 산화물 박막(210)의 계면에서는 물질간의 상호 확산이 일어날 수 있다. 열처리 공정을 위해 제시된 설정 조건(예를 들어, 온도 조건 및 시간 조건 등)은 상술한 예시 조건으로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제시되는 각각의 예시들은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ZnO 박막이 성장되어 있는 실리콘(Si) 기판을 상술한 방법에 의해 열처리하게 되면, 물질(즉, 실리콘(Si), 아연(Zn) 및 산소(O))간의 상호 확산에 의해 실리콘 기판과 가까운 쪽의 계면에는 실리콘 산화막(SiO2막 등)이 성장되고, ZnO 박막과 가까운 쪽의 계면에는 내부에 Zn 나노 입자가 분포하는 비정질의 Zn2XSi1-YO2 (즉, a- Zn2XSi1-YO2) 박막인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이 위치에 따라 성장될 수 있다.
이때, 실리콘 기판과 가까운 쪽의 계면에 성장되는 실리콘 산화막은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110)과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 막 (120) 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터널 절연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열처리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형성되는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의 두께를 달리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정 초기의 2 nm 두께의 SiOX 박막은 열처리를 마친 후에는 약 15 ~ 20 nm의 두께의 비정질 Zn2XSi1-YO2 박막일 수 있다.
도 2의 단계 (c)를 참조하면, 목적하는 두께의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을 형성한 후, 그 위에 형성되어 있는 금속 산화물 박막(210)은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도 2의 단계 (d)를 참조하면,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에 전자빔을 일정 시간 조사하여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13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빔의 초점을 7 nm로 조절하여 300 keV의 에너지로 Zn2XSi1-YO2 박막 위에 5초 동안 조사하면, 전자빔이 조사된 지점 바로 아래의 크기가 7 nm의 Zn 나노 입자가 최종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자빔의 초점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면 형성되는 금속 나노 입자(130)의 크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나노 입자(130) 주위에는 형성된 실리콘 산화물(140)(SiO2)이 막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금속 나노 입자(130)를 둘러 싸는 실리콘 산화물(140)이 형성되는 원리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의 단계 (e)를 참조하면, 금속 나노 입자(130)가 그 내부에 형성된 비정 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 위에 절연막(150)을 형성할 수 있다. 절연막(15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SiO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절연막(150)은 금속 나노 입자(130)의 포획된 전자가 게이트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의 단계 (f)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0) 상에 형성된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 및 절연막(150)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단계의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 및 절연막(150)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은 다음 단계(도 2의 단계 (g)의 소스 영역(112) 및 드레인 영역(114)의 형성 단계)의 전제 단계로서 진행되는 것이므로, 본 단계를 통해 일부 제거되는 부분은 반도체 기판(110) 중 소스 영역(112) 및 드레인 영역(114)이 형성될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위하여 소정의 마스킹(masking) 과정이 선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일부 제거 공정에는 건식 식각법(dry etching) 등을 포함하여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식각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의 단계 (g)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0)의 각각의 소정 부분에 소스 영역(112) 및 드레인 영역(114)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판(110)으로서 P형 기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반도체 기판(110)의 양 측부 각각에 5족 원소(인(P) 등) 등의 이온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도핑 처리함으로써 N형의 소스 영역(112) 및 드레인 영역(11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온의 도핑 공정은 이온화된 원자를 가속해서 실리콘 내에 강제적으로 주입하는 이온 주입법(implant)과, 고상이나 기상의 원자를 열 확산 방식으로 주입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온 주입법은 고에너지 이온 주입법, 저에너지 이온 주입법, 무거운 원자를 이용하여 불순물 주입 깊이를 제어하는 이온 주입법, 그리고 소규모 실험실에서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플라즈마 이온 주입법 등일 수 있다.
도 2의 단계 (h)를 참조하면, 소스 영역(112), 드레인 영역(114) 및 금속 산화물 박막(210) 상에 각각 소스 전극(170), 드레인 전극(175) 및 게이트 전극(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스 전극(170), 드레인 전극(175) 및 게이트 전극(160)으로는 전극 재료로 기능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으며, 공정 상의 편의(예를 들어, 제조 공정의 단순화, 시간 단축 등)를 고려하여 모두 동일한 전극 재료(예를 들어, 모두 알루미늄(Al)으로 형성)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산화물 박막(210) 상에 별도의 게이트 전극(160)을 구비시키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산화물 박막(210)(예를 들어, ZnO 박막 등)도 그 자체로서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산화물 박막(210) 자체를 게이트 전극(160)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160)에 대한 별도 형성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만일 금속 산화물 박막(210)을 직접 게이트 전극(160)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에는 금속 산화물 박막(210) 자체 내의 저항을 낮춰 전극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금속 산화물 박막(210)에도 인(P) 등의 이온을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인(P) 등의 주입 공정은 그 제조 공정의 편의상 본 단계의 전단계인 도 2의 단계 (g)를 통해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반대로 금속 산화물 박막(210) 자체를 게이트 전극(160)으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잔존한 금속 산화물 박막(210)을 제거한 후에 별도의 게이트 전극(160)을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 상에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단계에서와 같이 금속 산화물 박막(210)을 남겨둔 채로 그 위에 게이트 전극(160)을 별도로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 2의 단계 (c)를 통한 식각 공정의 수행 시 금속 산화물 박막(210)도 함께 제거한 후 게이트 전극(160)을 별도로 형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금속 산화물 박막(210)의 식각 공정은 그 공정의 편의상 상술한 도 2의 단계 (c)에서 함께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2의 단계 (c)를 포함한 그 이후 단계의 어느 중간에 진행되어도 상관없음은 자명하다. 다만, 이하의 모든 설명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금속 산화물 박막(210)을 전극으로서 활용하지 않고 남겨둔 채 별도의 게이트 전극(160)을 형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으로부터 산소 원자가 분리되어 금속 나노 입자와 실리콘 산화물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나노 입자 주위에 실리콘 산 화물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에 전자빔을 조사하면, 전자빔을 통해 높은 에너지를 받은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예컨대, Zn2XSi1-YO2) 박막(120)은 실리콘 산화물(예컨대, SiO2)과 금속 산화물(예컨대, ZnO)로 서로 분리되려고 한다. 여기서, 전자빔이란 전자총에서 나오는 속도가 거의 균일한 전자의 연속적 흐름을 말하며 전자선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열역학적으로 실리콘 산화물(SiO2)이 금속 산화물(예컨대, ZnO)보다 안정적인 특성을 나타내므로, 실리콘 산화물은 그대로 형성되나 금속 산화물은 외부로 산소 원자(O2-)를 방출하면서 환원되어 금속 원자(예컨대, Zn2+)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금속 원자(예컨대, Zn2+)는 전자빔이 조사된 지역에 국부적으로 형성되는데, 서로 모여 결정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130)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 나노 입자(130) 주위에는 실리콘 산화물(140)(SiO2)이 막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즉, 전자빔에 의하여 형성된 금속 나노 입자(130)는 최종적으로 절연층에 둘러 싸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으로 둘러 싸인 금속 나노 입자(130)는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금속 나노 입자(130) 내에 포획된 전자가 덜 방출되므로 우수한 전자 포획 능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절연층으로 둘러 싸인 금속 나노 입자(130)를 플로팅 게이트로 사용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 제작 시 보다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정보 저장 능력이 확보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부에 형성된 금속 나노 입자의 투과 전자 현미경 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 나노 입자(130)는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안에서 일정한 결정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금속 나노 입자(130) 주변을 구획한 사각형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서, 약 0.2307 nm의 아연 입자가 모여서 약 7 nm의 결정성 금속 나노 입자(130)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5에서 전자빔의 초점 크기를 7nm을 가정하였으므로, 이에 상응하게 금속 나노 입자(130) 결정의 크기가 형성(도 8 참조)되었다는 점은, 목적하는 크기의 금속 나노 입자(130)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종래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우에 빛의 회절 특성으로 인하여 하나의 나노 입자를 정확한 크기로 제작하는 것은 어려웠던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에 규칙적인 분포를 가지는 금속 나노 입자(130)가 다수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전자빔을 조사하는 회수 및 위치에 따라 금속 나노 입자(130)가 생성되는 회수 및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복수의 금속 나노 입자들(130)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하게 되면 금속 나노 입자들(130)에 포획되는 전자의 수 또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소자를 설계하는 경우 설계자가 목적하는 전기적 특성 또는 동일한 기억 특성을 갖는 소자를 제작할 수 있어서 소자의 재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나노 입자의 물질 성분 분포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금속 나노 입자들에 대해 에너지 분산형 X선 측정기 등을 이용하여 X선 측정을 수행한 결과, 각각의 금속(도 10에서는 Zn) 나노 입자들이 각 물질들에 대해 거의 동일한 성분 비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형성된 금속 나노 입자가 위치와는 관계없이 금속 나노 입자가 주변 물질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고 순수 금속 형태의 나노 입자로 형성되었음 보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 인가된 게이트 전압에 따른 금속 나노 입자의 정전 용량 및 채널의 문턱 전압의 변화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게이트 전압(VG)은 제1 전압원(도 1의 180 참조)에 따라 게이트 전극(도 1의 160 참조)과 반도체 기판(도 1의 110 참조) 간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8의 그래프를 통해 표시된 각각의 게이트 전압(VG) 및 정전 용량의 비(C0/C; 여기서, C0는 최대 정전 용량 값이고, C는 인가된 전압에 따른 정전 용량을 의미한다)가 각각의 값들의 대소 관계를 중심으로 도시된 것이며, 각 값들 간의 간격과 각 값들의 크기는 반드시 비례되는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금속 나노 입자(도 1의 130 참조)에 전자가 포획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를 상태 '1'로, 전자가 포획되어 있는 상태를 상태 '0'으로 정의하지만, 이와 반대로 정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 소정의 게이트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인가된 게이트 전압과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에 축적되는 정전 용량(electric capacity) 간의 관계는 도 8의 그래프와 같은 히스테리시스 곡선(hysterisis curve, 추이(推移) 곡선 또는 이력(履歷) 곡선)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플래시 기억 소자에 쓰기 전압(VW)을 인가한 경우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에 축적되는 정전 용량은 제1 곡선(10)을 따라 증가하며, 플래시 기억 소자에 소거 전압(VE)을 인가한 경우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의 정전 용량은 제2 곡선(11)을 따라 감소하게 된다.
이때, 플래시 기억 소자에 쓰기 전압(VW)이 인가되는 경우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상응하여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문턱 전압(VTH, Threshold Voltage)도 초기 상태에서의 문턱 전압(VTH(1))으로부터 VTH(0)로 증가하게 되며, 플래시 기억 소자에 소거 전압(VE)이 인가되면 문턱 전압은 다시 VTH(1)으로 복귀(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VTH(1)은 초기 상태인 상태 '1'에서의 플래시 기억 소자의 문턱 전압을 의미하고, VTH(0)는 상태 '0'에서의 플래시 기억 소자의 문턱 전압을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쓰기 동작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소거 동작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쓰기 동작의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 상태 '0'을 기억(쓰기)시키기 위해 게이트 전극(160)과 반도체 기판(110) 간에 양의 값을 갖는 소정 크기의 게이트 전압(즉, 쓰기 전압(VW))을 인가한다.
이때, 쓰기 동작을 위해 드레인 전극(175)과 소스 전극(170) 간은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여기서, 게이트 전압이 양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게이트 전극(160) 쪽에 (+)극, 반도체 기판(110) 쪽에 (-)극을 연결한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음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게이트 전극(160) 쪽에 (-)극, 반도체 기판(110) 쪽에 (+)극을 연결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플래시 기억 소자에 쓰기 전압(VW)이 인가되면, 반도체 기판(110)의 중간 영역에는 전자의 축적으로 인한 반전층이 형성된다. 또한, 반도체 기판(110)과 게이트 전극(160) 사이에는 반도체 기판(110) 쪽을 향하는 외부 전계가 형성된다. 이때, 반전층에 축적된 전자는 형성된 외부 전계와 반대 방향으로 인력을 받게 되며, 이러한 인력에 의해 전자는 절연막(150)(또는 터널 절연막) 및 비정 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를 터널링함으로써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의 내부에 분포된 금속 나노 입자(130)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가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 내부에 분포된 금속 나노 입자(130)에 포획되도록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상태 '0'의 쓰기 동작에 해당한다.
이때, 금속 나노 입자(130)에 포획된 전자에 의해 플래시 기억 소자에는 게이트 전극(160) 쪽을 향하는 내부 전계가 형성(유도)되고, 이러한 내부 전계에 의한 영향으로 상태 '0'에서의 정전 용량과 전압간의 관계는 도 8의 제1 곡선(10)과 같은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즉, 플래시 기억 소자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은 초기 상태의 문턱 전압인 VTH(1)에서 VTH(0)으로 상승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소거 동작의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의 기억 상태를 제거(소거)하기 위하여 게이트 전극(160)과 반도체 기판(110) 간에 음의 값을 갖는 소정 크기의 게이트 전압(즉, 소거 전압(VE))을 인가한다.
이와 같이 플래시 기억 소자에 소거 전압(VE)이 인가되면 반도체 기판(110)으로부터 게이트 전극(160) 방향으로의 외부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금속 나노 입자(130)에 포획되었던 전자는 형성된 외부 전계와 반대 방향으로 인력을 받게 되며, 이러한 인력에 의해 금속 나노 입자(130)에 포획되었던 전자는 절연 막(150) 및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을 터널링하여 반도체 기판(110) 쪽으로 전부 방출(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나노 입자(130)에 포획되었던 전자가 전부 방출되어 다시 원래의 상태(즉, 초기 상태)로 복귀되도록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소거 동작에 해당한다. 따라서, 소거 전압(VE)이 인가되면 플래시 기억 소자는 다시 초기화되어 상태 '1'로 복귀하게 되며,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정전 용량과 전압 간의 관계는 도 8의 초기 상태 곡선으로 복귀하게 되므로 플래시 기억 소자의 문턱 전압도 VTH(1)로 다시 낮아지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상태 '0'의 읽기 동작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상태 '1'의 읽기 동작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각 기억 상태의 읽기 동작을 위하여 제1 전압원(180)에 의해 인가되는 읽기 전압(VR) 이외에 제2 전압원(190)에 의해 연결된 드레인 전극(175)과 소스 전극(170) 간에도 일정 크기의 전압(VDS)을 인가되고 있다. 다만, 이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읽기 동작에 있어 일반적인 구동 회로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과 같이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120)의 내부에 분포된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130)에 전자가 포획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 (즉, 상태 '1')에서 읽기 전압(VR)을 인가하게 되면, 플래시 기억 소자에 인가된 읽기 전압(VR)이 초기 상태에서의 문턱 전압(VTH(1))보다 큰 값을 가지므로 반도체 기판(110)의 중간 영역에는 전자의 이동 통로로서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채널을 통한 전자의 이동에 의해 소스 영역(112)과 드레인 영역(114) 간에는 소스 영역(112) 쪽을 향하는 전류(즉, 드레인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래시 기억 소자에 읽기 전압(VR)을 인가함에 따라 플래시 기억 소자에 흐르는 드레인 전류의 유무를 확인(측정)함으로써 플래시 기억 소자의 기억 상태의 판단(읽기)을 할 수 있다. 즉, 플래시 기억 소자에 읽기 전압(VR)을 인가하였을 때, 도 11과 같이 드레인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플래시 기억 소자가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130)에 전하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즉, 금속 나노 입자(130)에 전자가 전혀 포획되어 있지 않은) 상태 '1'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 12와 같이 채널이 형성되지 않아 드레인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에는 플래시 기억 소자가 플로팅 게이트 역할을 하는 금속 나노 입자(130)에 전하가 축적되어 있는(즉, 금속 나노 입자(130)에 전자가 포획되어 있는) 상태 '0'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플래시 기억 소자에 인가되는 읽기 전압(VR)은 도 8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의 문턱 전압(VTH(1))보다 크고 상태 '0'의 문턱 전압(VTH(0))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으로부터 산소 원자가 분리되어 금속 나노 입자와 실리콘 산화물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나노 입자 주위에 실리콘 산화물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부에 형성된 금속 나노 입자의 투과 전자 현미경 상을 나타낸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나노 입자의 물질 성분 분포도.
도 8은 본 발명의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 인가된 게이트 전압에 따른 금속 나노 입자의 정전 용량 및 채널의 문턱 전압의 변화를 예시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쓰기 동작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소거 동작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상태 '0'의 읽 기 동작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기억 소자에서의 상태 '1'의 읽기 동작의 원리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반도체 기판 112 : 소스 영역
114 : 드레인 영역 116 : 반전층
120 :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130 : 금속 나노 입자
140 : 실리콘 산화물 150 : 절연막
160 : 게이트 전극 170 : 소스 전극
175 : 드레인 전극 180 : 제1 전압원
190 : 제2 전압원 210 : 금속 산화물 박막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반도체 기판 상에 금속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산화물 박막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열처리하여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부에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 사이에는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이 개재되고,
    상기 열처리는 산소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은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금속 산화 물 박막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박막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는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내의 금속 입자와 실리콘 산화물이 분리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 입자의 금속은 아연(Zn), 구리(Cu), 인듐(In), 은(Ag), 주석(Sn), 안티몬(Sb), 니켈(Ni) 및 철(Fe)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둘러 싸인 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의 크기, 밀도 및 위치는 상기 전자빔의 초점 크기, 조사 시간 및 조사 위치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은 Zn2XSi1-YO2, Cu2XSi1-YO2, In2XSi1-YO2, Ag2XSi1-YO2, Sn2XSi1-YO2, Sb2XSi1-YO2, Ni2XSi1-YO2 및 Fe2XSi1-YO2 박막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1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양 측부에 제1 도전성 영역 및 제2 도전성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금속 실리콘 산화물 박막, 상기 제1 도전성 영역 및 상기 제2 도전성 영역 상에 각각 게이트 전극,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90003811A 2009-01-16 2009-01-16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0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11A KR101200813B1 (ko) 2009-01-16 2009-01-16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11A KR101200813B1 (ko) 2009-01-16 2009-01-16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789A Division KR20090011334A (ko) 2007-07-25 2007-07-25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281A KR20090012281A (ko) 2009-02-02
KR101200813B1 true KR101200813B1 (ko) 2012-11-13

Family

ID=4068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811A KR101200813B1 (ko) 2009-01-16 2009-01-16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8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571A (ko) * 2014-02-07 2015-08-1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밀리파대용 반도체 패키지 및 밀리파대용 반도체 장치
US9343793B2 (en) 2014-02-07 2016-05-17 Kabushiki Kaisha Toshiba Millimeter wave bands semiconductor package
US9343794B2 (en) 2014-02-07 2016-05-17 Kabushiki Kaisha Toshiba Millimeter wave bands semiconductor package
US9536843B2 (en) 2013-12-25 2017-01-03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package and semiconductor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1537B2 (ja) * 2009-04-28 2014-10-22 日立化成株式会社 導電性接合材料、それを用いた接合方法、並びにそれによって接合された半導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50B1 (ko) 2006-05-11 2007-07-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나노 결정체를 이용한 나노 플로팅 게이트를 가지는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850B1 (ko) 2006-05-11 2007-07-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나노 결정체를 이용한 나노 플로팅 게이트를 가지는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6843B2 (en) 2013-12-25 2017-01-03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package and semiconductor module
KR20150093571A (ko) * 2014-02-07 2015-08-1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밀리파대용 반도체 패키지 및 밀리파대용 반도체 장치
US9343793B2 (en) 2014-02-07 2016-05-17 Kabushiki Kaisha Toshiba Millimeter wave bands semiconductor package
US9343794B2 (en) 2014-02-07 2016-05-17 Kabushiki Kaisha Toshiba Millimeter wave bands semiconductor package
KR101630058B1 (ko) * 2014-02-07 2016-06-1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밀리파대용 반도체 패키지 및 밀리파대용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281A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054B1 (ko) 고체 전해질 메모리 소자 및 이러한 메모리 소자를제조하는 방법
US7297975B2 (en) Non-volatile, resistive memory cell based on metal oxide nanoparticles,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mory cell arrangement of the same
JP4056817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素子の製造方法
US7615446B2 (en) Charge trap flash memory devic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write/rea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5253713B2 (ja) 不揮発性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82944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KR101200813B1 (ko)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499151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I485752B (zh) 加強電荷捕捉的方法
KR20030067956A (ko) 퀀텀 도트를 가지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6646A (ko) 반도체 메모리
KR100736850B1 (ko) 금속 나노 결정체를 이용한 나노 플로팅 게이트를 가지는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7847325B2 (en) Method of making discrete trap memory (DTM) mediated by fullerenes
JP3469212B2 (ja) 半導体記憶素子
KR20090011334A (ko)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래시 기억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365646B2 (ja) 抵抗変化機能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記憶装置
KR100652135B1 (ko) 안정된 다층 양자점을 가지는 유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70190721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n alloy metal gate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11331A (ko) 금속 나노 입자 형성 방법
US8461565B2 (en) Electrically actuated devices
KR20090012198A (ko) 금속 나노 입자 형성 방법
JP4438275B2 (ja) 抵抗変化機能体の動作方法
JP2008277827A (ja) 不揮発性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619675B2 (ja) 非単調電流電圧特性機能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76399B1 (ko) 금속 나노 입자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