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893B1 - Ejecting apparatus for carrier of glass - Google Patents

Ejecting apparatus for carrier of gla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893B1
KR101199893B1 KR1020120068086A KR20120068086A KR101199893B1 KR 101199893 B1 KR101199893 B1 KR 101199893B1 KR 1020120068086 A KR1020120068086 A KR 1020120068086A KR 20120068086 A KR20120068086 A KR 20120068086A KR 101199893 B1 KR101199893 B1 KR 101199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upport member
main body
take
st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0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우성
Original Assignee
(주)대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상이엔지 filed Critical (주)대상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06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8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8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guiding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ejecting device for a glass carrier is provided to simplify the ejection of carriers because the carriers are ejected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a gear part by an actuating part. CONSTITUTION: An ejecting device for a glass carrier comprises carriers(10) and an ejecting unit(20). Glasses are mounted on the carriers with an engagement part. The ejecting unit comprises a body, a lifting part, a supporting member, a gear part, and an actuating part. The lif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body. The supporting member is hinge-coupled to the body and is turned by the lifting part. The gear part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art of the carriers by the turning mo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The actua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delivers power to the gear part.

Description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EJECTING APPARATUS FOR CARRIER OF GLASS}Extracting device of glass carrier {EJECTING APPARATUS FOR CARRIER OF GLASS}

본 발명은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글라스가 장착되고, 치합부를 갖는 캐리어와, 그리고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승하강동작부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동작부에 의하여 선회동작이 가능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선회동작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의 치합부에 맞물리는 기어부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가 구비된 취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carrier take-o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glass is mounted, a carrier having a fitt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the elevating opera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hinged to the main body, A support member capable of pivoting by a strong operating portion, a gear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arrier by a pivo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It comprises a take-out means provided with a drive unit for transmitting.

즉 본 발명은 취출수단의 승하강동작부에 의하여 본체의 선회동작이 가능하고, 이때 기어부가 상승하여 치합부에 맞물림과 동시에, 지지부재가가 수평을 유지하게 되며, 구동부에 의하여 기어부의 회전 구동으로 캐리어를 취출해냄으로써 캐리어의 취출 작업이 쉽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캐리어의 취출 작업이 일련의 동작으로 연속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turning the main body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portion of the take-out means, at this time the gear portion is raised to engage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is horizontally maintained, The take-out operation of the carrier is not only easy and easy by taking out the carrier, but also the work taking-out operation of the carrier is carried out in a series of operations.

종래의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6-0000733호(1996.01.25.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패널의 경사 적재를 위한 자동 로딩용 팔레트"가 개시되어 있다.
The conventional apparatus for taking out a glass carrier discloses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996-000073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Automatic Loading Pallet for Inclined Loading of Panels”.

상기 종래기술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4 모서리 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측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주는 횡방향 부재로 이루어져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기둥의 상단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주는 횡방향 부재가 상하 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재의 상하면이 상호 대응되는 톱니형 래치부로 형성되어 이의 완만한 경사면에 패널의 적재 시 이의 내단 받침부가 패널을 등간격으로 지지하여 주는 래치가 배치되고, 이의 래치들은 서로 이웃하는 래치끼리 초기동작을 연동하여 줄 수 있도록 한 래치부와; 패널의 적재시 이를 받쳐주는 받침부의 복귀동작을 막아 래치의 로딩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래치 스톱퍼를 포함하는 래치 스톱퍼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측으로 패널 지지용 패드가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패널의 경사 적재를 위한 자동 로딩용 팔레트를 제안하고 있다.
The prior art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formed of four pillars of the base plate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transverse member 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pillar and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basic skeleton; The transverse member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colum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and the upper and lower members are formed with a toothed latch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inner end of the panel when the panel is loaded on a gentle slope thereof. A latch for supporting the additional panel at equal intervals is disposed, the latches comprising: a latch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adjacent latche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an initial operation; A latch stopper portion including a latch stopper for preventing the return ope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panel when the panel is loaded and maintaining the loading state of the latch; It proposes an automatic loading pallet for the inclined stacking of a panel including a support having a panel support pad formed above the base plate.

아울러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프레스 및 패널 조립라인에 적재, 취출을 자동화할 수 있고, 팔레트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패널의 경사 적재를 위한 자동 로딩용 팔레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utomatic loading pallets for inclined stacking of panels that can automate loading and unloading in press and panel assembly lines and facilitate maintenance of pallets.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을 패널의 경사 적재를 위한 것으로 패널의 취출 또는 인출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패널의 적재 후, 이 패널의 이송을 위해 패널을 취출하여야 하는 경우 수작업이나, 다른 장치를 도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is for the inclined stacking of panels, and there is no configuration for taking out or taking out panels. If the panel is to be taken out for transporting the panels after loading the panels, manual or other devices must be introduced. There is a discomfort,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low.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취출수단의 승하강동작부에 의하여 본체의 선회동작이 가능하고, 이때 기어부가 상승하여 치합부에 맞물림과 동시에, 지지부재가가 수평을 유지하게 되며, 구동부에 의하여 기어부의 회전 구동으로 캐리어를 취출해냄으로써 캐리어의 취출 작업이 쉽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캐리어의 취출 작업이 일련의 동작으로 연속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is made possible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part of the take-out means. At this time, the gear part is lifted up to be engaged with the toothing part, and the support member is kept horizontal. It is one object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carrying out the carrier taking out operation easily and easily by carrying out a continuous operation by a series of operation | movement.

아울러 본 발명은 캐리어가 스토커의 장착부에 안치되어 있는 경우 캐리어가 취출수단에 의하지 않고 장착부에서 스스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커에 힌지 결합되고, 캐리어의 치합부에 맞물리는 대응치합부가 구비된 스토퍼를 도입하여 장착부에 안치된 캐리어가 스스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캐리어의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carrier is plac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tocker, the stopper is hinged to the stocker in order to prevent the carrier from slipping on the mounting portion without relying on the take-out means, and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mating portion engaging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arri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arrier from being detached and detached from the mounting part by itself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carrier or safety accident.

또한 본 발명은 스토커에 의하여 장착부에 구속되어 있는 캐리어를 구속을 해제하기 위해 추출수단에 분리부재가 더 구비되고, 이 분리부재는 승하강동작부에 의한 본체의 선회동작 시, 상승하여 스토퍼의 단부를 승강시켜 대응치합부를 치합부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캐리어의 구속을 해제함과 동시에, 캐리어를 취출할 수 있어 캐리어의 구속 해제 후, 해제상태로 인한 공백을 없애 보다 안정적이면서, 장치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ing member in the extracting means fo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carrier bound to the mounting portion by the stocker, the separating member is raised during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by the elevating operation portion to raise the end of the stopper By lifting up and removing the corresponding engagement portion from the engagement portion, the carrier can be released and the carrier can be taken out. After the release of the carrier, the space caused by the release state can be eliminated, resulting in a more stable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device. It is another thing that can be done.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취출수단의 지지부재에 도그가 연결되고, 상기 승하강동작부에 의한 본체의 선회동작 시, 상기 도그의 동작에 따라 구동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센싱부가 도입되어 장치의 자동화는 물론이고, 장치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g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of the take-out means, and during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by the elevating operation part, a sen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iving par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og is introduced, as well as automation of the device. Another object is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는 글라스가 장착되고, 치합부를 갖는 캐리어; 및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승하강동작부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동작부에 의하여 선회동작이 가능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선회동작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의 치합부에 맞물리는 기어부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가 구비된 취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pparatus for taking out a glass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rier on which a glass is mounted and having a fitting portion; And a main body, a lifting memb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support member hinged to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pivoting by the lifting opera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by a pivo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 take-out means having a gear portion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arrier and a dri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gear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캐리어를 위한 스토커가 더 구비되고,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cker for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 스토커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의 치합부에 맞물리는 대응치합부를 갖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topper hinged to the stocker and having a corresponding mating portion engaged with a mating portion of the carrie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취출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승하강동작부에 의한 지지부재의 선회동작 시, 상기 캐리어의 치합부에서 상기 스토커의 대응치합부를 분리 이탈시키기 위한 분리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ake-ou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ng member for separating and disengaging the correspond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stocker from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arrier during the pivoting of the support member by the elevating operation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취출수단의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도그가 더 구비되고,Further provided with a dog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of the take-out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선회동작 시, 상기 도그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개폐시키기 위한 센싱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en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og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는 취출수단의 승하강동작부에 의하여 본체의 선회동작이 가능하고, 이때 기어부가 상승하여 치합부에 맞물림과 동시에, 지지부재가가 수평을 유지하게 되며, 구동부에 의하여 기어부의 회전 구동으로 캐리어를 취출해냄으로써 캐리어의 취출 작업이 쉽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캐리어의 취출 작업이 일련의 동작으로 연속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glass carrier take-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portion of the take-out means. At this time, the gear portion is raised to engage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is kept horizontal. By taking out the carrier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gear portion, the carrier taking out operation is easy and easy, and the taking out operation of the carrier is performed continuously in a series of operations,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아울러 본 발명은 캐리어가 스토커의 장착부에 안치되어 있는 경우 캐리어가 취출수단에 의하지 않고 장착부에서 스스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커에 힌지 결합되고, 캐리어의 치합부에 맞물리는 대응치합부가 구비된 스토퍼를 도입하여 장착부에 안치된 캐리어가 스스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캐리어의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carrier is plac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tocker, the stopper is hinged to the stocker in order to prevent the carrier from slipping on the mounting portion without relying on the take-out means, and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mating portion engaging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arrier By preventing the carrier from being separated and detached on its own by mounting the carrier,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arrier or safety accident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스토커에 의하여 장착부에 구속되어 있는 캐리어를 구속을 해제하기 위해 추출수단에 분리부재가 더 구비되고, 이 분리부재는 승하강동작부에 의한 본체의 선회동작 시, 상승하여 스토퍼의 단부를 승강시켜 대응치합부를 치합부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캐리어의 구속을 해제함과 동시에, 캐리어를 취출할 수 있어 캐리어의 구속 해제 후, 해제상태로 인한 공백을 없애 보다 안정적이면서, 장치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ing member in the extracting means fo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carrier bound to the mounting portion by the stocker, the separating member is raised during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by the elevating operation portion to raise the end of the stopper By lifting up and removing the corresponding engagement portion from the engagement portion, the carrier can be released and the carrier can be taken out. After the release of the carrier, the space caused by the release state can be eliminated, resulting in a more stable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device. It becomes possible.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취출수단의 지지부재에 도그가 연결되고, 상기 승하강동작부에 의한 본체의 선회동작 시, 상기 도그의 동작에 따라 구동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센싱부가 도입되어 장치의 자동화는 물론이고, 장치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g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of the take-out means, and during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by the elevating operation part, a sen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iving par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og is introduced, as well as automation of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에서 스토커를 나타내는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의 가이드롤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와 취출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취출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취출수단의 하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출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도, 평면도 및 단면도.
1 and 2 are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stocker in the take-out apparatus of the glass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uide roller of the st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arrier and a takeou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take-out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7 and 8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lower structure of the take-out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9 to 12 are enlarged views,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extrac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pparatus for taking out the glass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는As shown in Figures 1 to 12 the extraction apparatus of the glass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글라스(G)가 장착되고, 치합부(11)를 갖는 캐리어(10); 및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에 연결되는 승하강동작부(220)와, 상기 본체(2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동작부(220)에 의하여 선회동작이 가능한 지지부재(230)와, 상기 지지부재(230)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230)의 선회동작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 맞물리는 기어부(240)와, 상기 본체(210)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부(24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50)가 구비된 취출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carrier 10 having a glass G mounted thereon and having a fitting portion 11; And a support member 230 hinged to the main body 210, the lifting lowering operation unit 2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0, and hinged to the main body 210, and capable of turning by the lifting lowering operation unit 220. ), A gear part 240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30, and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11 of the carrier 10 by a pivo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member 230, and the main body 210. It is connected to, the take-out means 20 is provided with a drive unit 250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gear unit 240; comprises.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캐리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커(stocker)(100)에 다수 구비되고, 상기 스토커(100)에는 글라스 캐리어(10)가 나란히 배열될 수 있도록 다수의 장착부(110)가 구비된다.
First, the carr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tockers 100 as shown in FIGS. 1 and 2, so that the glass carriers 1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tockers 100.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 110 is provided.

상기 각 장착부(110)의 상부에는 글라스(G)를 자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자력식 지지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각 장착부(110)의 하부에는 캐리어(10)의 취출 시, 회전 구동을 통하여 캐리어(10)의 취출이나, 인입을 돕기 위한 가이드롤러(140)가 구비된다.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mounting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 magnetic support portion 130 for supporting the glass (G) by magnetic force,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mounting portion 110 when the carrier 10 is taken out, through the rotational drive A guide roller 140 is provided for assisting withdrawal or withdrawal of the carrier 10.

상기 자력식 지지부(130)는 마그넷(131)과, 이 마그넷(131)이 고정되는 마그넷프레임(133)으로 구성되고, 상기 글라스(G) 상단에는 대응마그넷(17)이 구비되는데,The magnetic support unit 130 is composed of a magnet 131 and a magnet frame 133 to which the magnet 131 is fixed, and the corresponding magnet 17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glass G.

상기 마그넷(131)은 대응마그넷(17)의 상단 및 양측면을 비접촉하며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마그넷(131)과 대응마그넷(17)의 척력에 의하여 글라스(G)가 세워질 수 있도록 글라스(G)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The magnet 131 is provided to surround the upper end and both sides of the corresponding magnet 17 in a non-contact manner so that the glass G is erected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gnet 131 and the corresponding magnet 17. Support.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140)는 고정브래킷(145)과, 상기 고정브래킷(145)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10)의 하부 양측면에 접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롤러(141)와, 상기 고정브래킷(145)에 축 결합된 회전축(147)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10)의 하면에 접하는 제2 가이드롤러(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guide roller 140 is provided on the fixing bracket 145 and the fixing bracket 145, and the pair of first guide rollers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10. 141 and a second guide roller 143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47 axial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145 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10.

따라서 상기 캐리어(10)가 취출수단(20)에 의하여 인출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롤러(140)의 제1 및 제2 가이드롤러(141)(143)가 캐리어(10)의 양측면 및 하면을 회전 지지하여 캐리어(10)의 이송을 돕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arrier 10 is drawn out by the take-out means 20,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141 and 143 of the guide roller 140 rotate and support both sides and the bottom of the carrier 10. It helps to transport the carrier 10.

이 경우 상기 가이드롤러(140)는 캐리어(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다수 지점에 배열되는데,In this case, the guide roller 140 is arranged at a plurality of points for the stable support of the carrier 10,

첨부된 도 2에는 상기 가이드롤러(140)가 각 장착부(110)에 4개소씩 구비되어 캐리어(10)의 4지점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가이드롤러(140)에 의한 캐리어(10)의 지지점은 필요에 따라 증감이 가능하다.
In FIG. 2, four guide rollers 140 are provided at each mounting unit 110 to support four points of the carrier 10. However, the guide rollers 140 are provided with four guide rollers 140. The support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캐리어(10)는1 to 4, the carr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상기 스토커(100)의 각 장착부(110)에 배열된 상태에서 글라스(G)의 이송이 필요한 경우 취출수단(20)에 의하여 스토커(100)에서 인출되어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When the transfer of the glass (G) is necessary in the state arranged in each mounting portion 110 of the stocker 100 is taken out from the stocker 100 by the take-out means 20 is carried out.

이를 위한 상기 캐리어(10) 상부에 글라스(G)를 장착되는 고정부(13)가 구비되고,The fixing part 13 is mounted on the carrier 10 for mounting the glass (G) for this purpose,

상기 캐리어(10) 하부에는 상기 제2 가이드롤러(143)에 얹히는 접촉부(15)가 구비되어 캐리어(10)의 인출 시, 상기 접촉부(15)가 제2 가이드롤러(143)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10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15 mounted on the second guide roller 143 so that the contact portion 15 moves on the second guide roller 143 when the carrier 10 is pulled out. do.

이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롤러(143)는 양측이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143a)가 구비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접촉부(15)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열되어 상기 제2 가이드롤러(143)의 돌출부(143a)에 각각 얹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second guide roller 143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143a having a protruding shape on both sides thereof, and correspondingly, the contact portions 15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roller 143. ) Are placed on the protrusions 143a,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캐리어(10)의 하부에는 상기 접촉부(15) 사이에 배열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톱니 형태의 치합부(11)가 구비되고,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rrier 10 is provided with a toothed engaging portion 11 is arrang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5 and protrudes downward,

상기 치합부(11)는 취출수단(20)의 기어부(240)에 맞물려 기어부(240)의 회전 구동 시, 기어부(240)를 타고 이송함으로써 캐리어(10)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The engagement part 11 is engaged with the gear part 240 of the take-out means 20, and when the gear part 240 is driven to rotate, the carrier part 11 can be taken out by transporting the gear part 240.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취출수단(20)은As shown in Figures 4 to 12 the extraction mean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스토커(100)의 각 장착부(110)에 배열되어 있는 캐리어(10)를 인출하여 마운트시킨 후, 이송이 필요한 장소로 캐리어(10)를 운반하게 된다.
After taking out and mounting the carriers 10 arranged on the mounting units 110 of the stocker 100, the carriers 10 are transported to a place where transfer is necessary.

이를 위한 상기 취출수단(20)은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에 연결되는 승하강동작부(220)와, 상기 본체(2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동작부(220)에 의하여 선회동작이 가능한 지지부재(230)와, 상기 지지부재(230)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230)의 선회동작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 맞물리는 기어부(240)와, 상기 본체(210)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부(24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take-out means 20 for this purpos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2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0, the hinge 210 and the main body 210, by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220 A support member 230 capable of swinging operation, and a gear portion 240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30 and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11 of the carrier 10 by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support member 230. And a driving unit 250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0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gear unit 240.

우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커(100)의 일측에는 취출수단(20)의 이송을 위한 가이드부(300)가 구비되어 상기 취출수단(20)이 상기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송되고,First, as shown in FIGS. 5 and 6, one side of the stocker 100 is provided with a guide part 300 for the transfer of the takeout means 20 so that the takeout means 20 may move the guide part 300. Being conveyed along,

상기 가이드부(300)는 한 쌍의 레일(310)로 구성되며, 상기 각 레일(310)에는 가이드블록(330)이 얹히게 된다.
The guide part 300 is composed of a pair of rails 310, the guide block 330 is mounted on each rail (310).

다음으로 상기 취출수단(20)의 본체(210)는 상기 가이드블록(33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11)과,Next, the main body 210 of the takeout means 20 includes a fixed frame 211 coupled to the guide block 330;

상기 고정프레임(211)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212)과, 상기 지지프레임(212)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롤러(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ncludes a support frame 212 provided on the fixing frame 211, and a support roller 213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212.

상기 본체(210)의 고정프레임(211)에는 취출수단(20)의 이동을 위해 작동모터(214)가 결합되고,An operation motor 214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211 of the main body 210 for the movement of the takeout means 20,

상기 작동모터(214)의 구동축에는 피니언(214b)이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300)의 각 레일(310) 사이에는 상기 피니언(214b)이 치합되는 래크(320)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모터(214)의 구동 시, 피니언(214b)의 회전 구동함으로써 피니언(214b)이 래크(320)를 타고 이동함으로써 상기 취출수단(20)이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송된다.
The pinion 214b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operating motor 214, and between the rails 310 of the guide part 300 is provided a rack 320 to which the pinion 214b is engaged. When the 214 is driven, the pinion 214b moves on the rack 320 by rotating the pinion 214b so that the take-out means 20 is transferred along the guide portion 30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롤러(213)는 지지브래킷(213a)과, 상기 지지브래킷(213a)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10)의 하부 양측면에 접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롤러(213b)와, 상기 지지브래킷(213a)에 축 결합된 회전축(213d)에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10)의 하면에 접하는 제2 지지롤러(213c)를 포함하여 이루진다.
As shown in FIG. 7, the support roller 213 is provided on the support bracket 213a and the support bracket 213a, and a pair of first support rollers contacting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carrier 10. 213b and a second support roller 213c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213d axially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213a 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10.

따라서 상기 취출수단(20)에 의하여 캐리어(10)가 인출되는 경우 캐리어(10)는 스토커(100)에서 취출수단(20) 쪽으로 이송되고, 이때 상기 지지롤러(213)가 캐리어(10)의 양측면과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캐리어(10)의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arrier 10 is drawn out by the takeout means 20, the carrier 10 is transferred from the stocker 100 toward the takeout means 20, wherein the support rollers 21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10. By supporting the lower and lower surfaces, the stable transport of the carrier 10 is possibl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취출수단(20)의 승하강동작부(220)는 상기 본체(2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는데,In addition,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220 of the take-out mean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main body 210,

첨부된 도 6의 도시에는 상기 승하강동작부(220)가 본체(210)의 양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의 어느 한 단부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6,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unit 220 is shown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210, but may be provided only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s necessary.

다만 이하에서는 상기 승하강동작부(220), 즉 취출수단이 본체(210)의 양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owever,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 lifting operation unit 220, that is, the take-out mean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210.

우선 도 6,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0)의 고정프레임(211)의 양단에는 장착브래킷(215)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브래킷(215)의 단부에 상기 승하강동작부(220)가 연결되는데,First, as shown in FIGS. 6, 8, 9, and 10, mounting brackets 215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frame 211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end portions of the mounting brackets 215 are provided. Lifting operation unit 220 is connected,

상기 승하강동작부(220)는 상기 장착브래킷(215)의 단부에 연결되는 구동실린더(221)와, 상기 구동실린더(221)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223)와, 상기 실린더로드(223)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링커(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220 is a driving cylinder 221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ounting bracket 215, a cylinder rod 223 connected to the driving cylinder 221, and the end of the cylinder rod 223 It comprises a linker 225 hinged.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취출수단(20)의 지지부재(230)는 상기 본체(210)의 지지프레임(212) 양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몸체(231)와, 상기 몸체(231)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동작부(220)의 링커(225)에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233)로 구성된다.
Next, as shown in FIGS. 6 to 11, the support member 230 of the take-out mean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231 hing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212 of the main body 210, and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31,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portion 233 hinged to the linker 225 of the lifting operation part 220.

상기 지지부재(230)의 몸체(231)에는 복수의 축결합부가 구비되는데,The body 231 of the support member 2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aft coupling,

상기 몸체(231)의 내측단부, 즉 상기 본체(210)의 지지프레임(212)에 연결되는 제1 축결합부(231a)와, 상기 몸체(231)의 외측단부, 즉 상기 캐리어(10) 쪽으로 배열되는 제2 축결합부(231b)로 구성된다.
An inner end of the body 231, that is, a first shaft coupling part 231a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12 of the body 210, and an outer end of the body 231, that is, toward the carrier 10. It is composed of a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231b) arranged.

그리고 상기 각 축결합부(213a)(213b)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개구된 쪽이 단부 쪽을 향하도록 배열되고,Each of the axial coupling parts 213a and 213b is formed in a 'c' shape and is arranged such that an opening side thereof faces an end side thereof.

상기 제1 축결합부(231a)에는 상기 제1 회전축(254)이 관통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210)의 지지프레임(212)이 단부가 제1 축결합부(231a) 내부에 배열되어 있어 상기 제1 회전축(254)이 관통 결합되고, 이때 상기 몸체(231)가 상기 지지프레임(212)의 단부에 힌지 결합을 이루게 된다.
The first rotational shaft 254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231a through which the support frame 212 of the main body 210 has an end portion arranged in the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231a. The first rotation shaft 254 is coupled through, and the body 231 is hinged to the end of the support frame 212.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230)의 결합부(233)는 상기 링커(225)가 'U'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링커(225)에 끼워진 상태에서 핀으로 링커(225)와 결합부(233)를 연결하여 힌지 결합을 이루게 된다.
In addition, the linking portion 233 of the support member 230 has the linker 225 is formed in the 'U' shape to the linker 225 and the coupling portion 233 with a pin in the state fitted to the linker 225 It is connected to form a hinge coupling.

따라서 상기 승하강동작부(220)의 구동실린더(221)가 작동되어 실린더로드(223)가 인출되면 상기 지지부재(230)는 상기 제1 회전축(254)을 중심축으로 하여 외측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선회동작을 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cylinder 221 of the elevating operation part 220 is operated and the cylinder rod 223 is pulled out, the support member 230 has an outer end thereof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rotation shaft 254 as the central axis. It will tur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출수단(20)의 기어부(240)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제1 및 제2 축결합부(213a)(231b)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어부(241)(243)로 구성되고,In addition, the gear unit 240 of the take-out mean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and second gear portion 241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s 213a and 231b of the support member 230. ) 243,

상기 제1 기어부(241)는 상기 제1 축결합부(231a)에 상기 제1 회전축(254)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 기어부(243)는 상기 제2 축결합부(231b)에 제2 회전축(255)에 의하여 연결된다.
The first gear portion 241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231a by the first rotation shaft 254, and the second gear portion 243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231b. It is connected by the second rotating shaft 255.

이 경우 상기 각 축결합부(213a)(213b)에는 상기 각 회전축(254)(255)을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B)이 구비되어 각 회전축의 안정적인 회전 구동을 지지하게 된다.
In this case, each shaft coupling portion (213a) (213b) is provided with a bearing (B) to support the respective rotary shafts (254, 255) to support a stable rotational drive of each rotary shaft.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취출수단(20)의 구동부(250)는 상기 본체(210)의 고정프레임(211)에 상부 중심부에 구동모터(251)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11)의 양단에는 상기 구동모터(251)의 동력을 상기 기어부(240)로 전달하기 위해 내부에 한 쌍의 베벨기어(미도시)가 내장된 종동부(252)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driving unit 250 of the take-out mean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iving motor 251 fixed to an upper center of the fixed frame 211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fixed frame. Both ends of the 211 are provided with a driven part 252 having a pair of bevel gears (not shown) therein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251 to the gear part 240.

이 경우 상기 구동모터(251)에는 양측으로 구동축(251a)이 구비되고, 상기 각 구동축(251a)에는 샤프트(253)가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253)는 상기 종동부(252)의 베벨기어와 연결되고,In this case, the driving motor 251 is provided with driving shafts 251a at both sides, and each of the driving shafts 251a is connected with a shaft 253, and the shaft 253 is connected to the bevel gear of the driven part 252. Connected,

상기 종동부(252)의 베벨기어는 상기 제1 회전축(254)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어부(241)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The bevel gear of the follower 252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254 to transmit power to the first gear 241.

아울러 상기 각 회전축(254)(255) 단부에는 풀리(256)가 구비되고, 각 풀리(256)는 벨트(257)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51)의 구동 시, 상기 제1 회전축(254)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제2 회전축(255)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각 기어부(241)(243)가 상호 연동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pulleys 256 are provided at end portions of the rotation shafts 254 and 255, and each pulley 256 is connected by a belt 257 to drive the first rotation shaft 254 when the driving motor 251 is driven. By transmitting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255, the respective gear parts 241, 243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취출수단(20)은 다음과 같은 작동방식으로 상기 캐리어(10)는 스토커(100)에서 취출하여 이송하게 된다.
Taking out mean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carrier 10 is taken out from the stocker 100 to be transported in the following operating manner.

먼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커(100)에는 다수의 캐리어(10)가 각 장착부(110)에 배열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취출수단(20)이 상기 가이드부(300)를 따라 스토커(100)로 이동하여 스토커(100)에서 인출될 캐리어(10)의 근접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stocker 100 has a plurality of carriers 10 arranged in each mounting unit 110 in the stocker 100 along the guide unit 300. It moves to the stocker 100 and stops at a position close to the carrier 10 to be withdrawn from the stocker 100.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230)의 제2 축결합부(231b)와 제2 기어부(243)는 상기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 닿지 않도록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In this case, the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231b and the second gear portion 243 of the support member 230 are maintained in a lowered state so as not to contact the engagement portion 11 of the carrier 10.

이때 상기 승하강동작부(220)의 구동실린더(221)는 실린더로드(223)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At this time, the driving cylinder 221 of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220 is a state in which the cylinder rod 223 is retracted.

다음으로 상기 구동실린더(221)가 작동하여 상기 실린더로드(223)를 인출하여 승강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230)의 외측단부, 즉 제2 축결합부(231b) 쪽이 상부방향으로 선회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기어부(243)가 상기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 맞물리게 되고,Next, when the driving cylinder 221 is operated to withdraw the cylinder rod 223 and lifts it,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30, that is, the second shaft coupling part 231b rotates upwar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gear portion 243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11 of the carrier 10,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230)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241)(243) 역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support member 230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gear parts 241 and 243 als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이 경우 상기 본체(210)의 지지프레임(212)의 단부면에 'ㄴ'자 형태(또는 외측방향을 돌출된 형태)의 위치결정스토퍼(30)가 연결되고,In this case, a positioning stopper 30 having a 'b' shape (or protruding outward direction) is connected to an end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12 of the main body 210.

상기 지지부재(230)의 몸체(231)에는 상기 위치결정스토퍼(30)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텐션블록(235)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230)의 선회 시, 상기 텐션블록(235)이 상기 위치결정스토퍼(30)에 맞닿아 지지부재(230)의 수평이 정확한 위치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dy 231 of the support member 230 is provided with a tension block 235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ing stopper 30 so that the tension block 235 is rotated when the support member 230 pivots. It is preferable to be in contact with the positioning stopper 30 so that the horizontality of the support member 230 can be made at the correct position.

그리고 상기 구동부(25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각 기어부(240)는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캐리어(10)의 치합부(11)는 상기 각 기어부(240)를 타고 취출수단(20)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캐리어(10)가 스토커(100)에서 취출수단(20)으로 이송된다.
When the driving unit 250 is operated, the gear units 240 rotate in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the engagement portion 11 of the carrier 10 rides on the gear units 240 and takes out the means 20. The carrier 10 is moved from the stocker 100 to the takeout means 20 by moving toward the side.

아울러 상기 취출수단(20)의 본체(210)에 구비된 지지롤러(213)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10)의 양측면과 하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캐리어(10)가 완전히 취출수단(20)에 안착되면 상기 구동부(25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취출수단(20)은 상기 가이드부(300)를 따라 이동하여 캐리어(10)를 다른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In addition, both side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rrier 10 are s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roller 213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of the takeout means 20, and the carrier 10 is completely supported by the takeout means 20. When seated,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50, the take-out means 20 is moved along the guide portion 300 to carry the carrier 10 to another place.

즉 본 발명에 따른 취출수단(20)에 의하여 스토커(100)에 장착되어 있는 캐리어(10)의 취출 작업이 쉽고 용이해지고, 또한 캐리어(10)의 취출 시, 기어간의 치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동신뢰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take-out operation of the carrier 10 mounted on the stocker 100 is made easy and easy by the take-out mean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take-out of the carrier 10 is made of gears between gears, the operation reliability and Stability can be guaranteed.

나아가 상기 지지부재(230)의 선회동작을 통하여 상기 제2 기어부(243)가 상기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 맞물리는 경우 상기 구동부(250)의 동작을 별도의 명령으로 수행하는 것보다 지지부재(230)의 선회동작에 따라 구동부(250)의 작동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작업성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Furthermore, when the second gear part 243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art 11 of the carrier 10 through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member 230,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250 is performed by a separate command. Rather than being able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250 in accordance with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member 230 is advantageous in terms of workability.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취출수단(20)의 지지부재(230)에 연결되는 도그(40)가 더 구비되고,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g 40 is further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30 of the take-out means 20,

상기 본체(210)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230)의 선회동작 시, 상기 도그(4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250)의 작동을 개폐시키는 센싱부(50)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introduce the sensing unit 50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0 and opens and close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5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g 40 when the support member 230 rotates. .

즉 상기 도그(40)는 상기 텐션블록(235)에 연결되는 상부부재(41)와, 상기 상부부재(41)와 직교하는 형태로 연결되거나, 절곡된 중간부재(43)와, 상기 중간부재(43)와 직교하는 형태로 연결하거나, 절곡된 하부부재(45)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dog 40 has an upper member 41 connected to the tension block 235, an intermediate member 43 connected or bent in a form orthogonal to the upper member 41, and the intermediate member ( 43 is connected orthogonal to the form, or is made of a lower member 45 bent.

그리고 상기 센싱부(50)는 상기 장착브래킷(215)에 연결되는 센서브래킷(51)이 구비되고,And the sensing unit 50 is provided with a sensor bracket 51 connected to the mounting bracket 215,

상기 센서브래킷(51)은 상부로 돌출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센서(53)(55)가 구비되어 상기 도그(40)의 하부부재(45)의 어느 센서에 근접하여 감지되는지에 따라 감지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각 센서의 신호에 따른 상기 구동부(250)의 작동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The sensor bracket 51 is configured by a pair of protruding upwards, and includes the sensors 53 and 55 to detect a detection signal depending on which sensor of the lower member 45 of the dog 40 is detected. The controller transmits to the controller (not shown),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driving unit 250 according to the signal of each sensor.

즉 상기 취출수단(20)의 제2 기어부(243)가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서 분리된 상태, 즉 상기 지지부재(230)의 외측단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도그(40)의 하부부재(45)는 내측에 위치하는 센서(53)에 근접하게 되고,That is, the dog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gear portion 243 of the take-out means 20 is separated from the engagement portion 11 of the carrier 10, that is,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30 is inclined downward. The lower member 45 of the 40 is close to the sensor 53 located inside,

이때 내측 센서(53)가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250)를 작동시키기 않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inner sensor 53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oes not operate the driving unit 250.

반대로 상기 취출수단(20)의 제2 기어부(243)가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 맞물린 상태, 즉 상기 지지부재(230)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도그(40)의 하부부재(45)는 외측에 위치하는 센서(55)에 근접하게 되고,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gear portion 243 of the take-out means 20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11 of the carrier 10, that is, the support member 230 maintains the horizontal state, the lower portion of the dog 40 is lower. The member 45 comes close to the sensor 55 located outside,

이때 외측 센서(55)가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250)의 작동 명령을 하달하여 구동부(250)가 작동하게 되며,In this case, when the external sensor 55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ssues an operation command of the driving unit 250 to operate the driving unit 250.

이에 이하여 캐리어(10)의 취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way, the take-out operation of the carrier 10 is performed.

따라서 상기 센싱부(50)는 취출장치의 자동화를 구현하고, 또한 지지부재(230)의 선회동작에 따른 동작 오류를 방지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효율적인 운용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sensing unit 50 implements the automation of the take-out device, and also prevents an operation error caused by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member 230,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ensuring efficient operation of the device. Will b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100)의 장착부(110)에 구비되는 캐리어(10)는 가이드롤러(14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캐리어(10)에 장착되는 글라스(G) 상단은 자력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진동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하여 캐리어(10)가 장착부(110)를 따라 스스로 흘러내리거나,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arrier 10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stoc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guide roller 140, and the upper end of the glass G mounted on the carrier 10 is supported by magnetic force. As a result, the carrier 10 may flow down or move along the mounting unit 110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vibration.

따라서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토커(10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 맞물리는 대응치합부(61)를 갖는 스토퍼(stopper)(60)를 도입하여 상기 캐리어(10)가 스토커(100)의 장착부(110)에 구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as shown in FIGS. 4 and 9,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opper is hinged to the stocker 100 and has a corresponding matching portion 61 engaged with the fitting portion 11 of the carrier 10. It is preferable to introduce 60 so that the carrier 10 is constrained to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stocker 100.

즉 상기 스토퍼(60)는 상기 스토커(100)의 장착부(110) 하부, 즉 장착프레임(120)에 연결되는 지지바(65)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동작이 가능하고,That is, the stopper 60 is hinged to the support bar 65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unit 110, that is, the mounting frame 120 of the stocker 100, and the pivoting operation is possible.

상기 스토퍼(60)의 일단에는 상기 대응치합부(61)가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 맞물림으로써 캐리어(10)가 장착부(110)에서 구속된다.
One end of the stopper 60 is provided with the corresponding mating portion 61 and engaged with the mating portion 11 of the carrier 10 to constrain the carrier 10 at the mounting portion 110.

아울러 상기 스토퍼(60)의 타단에는 상기 장착프레임(120)에 연결되는 복귀스프링(63)이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60)의 선회동작을 위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복귀스프링(63)이 탄성을 발휘하여 스토퍼(6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60 is provided with a return spring 63 connected to the mounting frame 120 so that the return spring 63 is elastic when the external force for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stopper 60 is removed. By doing so, the stopper 6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따라서 상기 스토퍼(60)는 상기 캐리어(10)가 스토커(100)의 장착부(110)에 안치된 후, 진동과 같은 외부요인 작용하는 경우에도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캐리어(10) 및 글라스(G)가 장착부(110)에서 스스로 이탈하여 파손되거나, 또는 위험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stopper 60 is firmly fixed even when the carrier 10 is placed in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stocker 100, and even when an external factor such as vibration is applied, the carrier 10 and the glass G are mounted. At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itself from being broken and broken or a dangerous accident occurs.

다만 이 경우 상기 취출수단(20)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10)를 취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토퍼(60)에 의한 캐리어(10)의 구속을 해제하여야 하므로,In this case, however, in order to take out the carrier 10 by the takeout means 20, the restraint of the carrier 10 by the stopper 60 must be released.

상기 취출수단(20)에는 상기 지지부재(230)에 연결되고, 상기 승하강동작부(220)에 의한 지지부재(230)의 선회동작 시, 상기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서 상기 스토커(100)의 대응치합부(61)를 분리 이탈시키기 위한 분리부재(260)가 구비된다.
The stocker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30, and when the support member 230 is pivot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unit 220, the stocker 11 of the carrier 10 is turned. The separating member 260 is provided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corresponding engagement portion 61 of the 100.

즉 상기 분리부재(260)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외측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동작부(220)에 의하여 지지부재(230)의 외측단부(상기 제2 축결합부(231b) 및 제2 기어부(243) 쪽 단부)가 상부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 상기 분리부재(260)가 상방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스토퍼(60)의 타단을 들어 올리게 된다.
That is, the separating member 260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30 and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30 (the second shaft coupling part 231b and the second by the elevating operation part 220). When the end portion of the gear portion 243 is pivoted upward, the separating member 260 is lifted upward to lift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60.

이때 상기 스토퍼(60)의 일단, 즉 상기 대응치합부(61)는 하부방향으로 선회하여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서 분리 이탈됨으로써 상기 캐리어(10)는 장착부(110)에서의 구속이 해제된다.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topper 60, that is, the corresponding engagement portion 61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descends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engagement portion 11 of the carrier 10 by the mounting portion 110 Constraints are released.

따라서 상기 취출수단(20)의 분리부재(260)는 상기 스토퍼(60)에 의하여 캐리어(10)가 장착부(110)에 구속된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기어부(243)가 캐리어(10)의 치합부(11)에 맞물리게 되어 상기 캐리어(10)는 곧 바로 취출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한다.
Therefore, the separating member 260 of the take-out means 20 releases the state in which the carrier 10 is restrained on the mounting portion 110 by the stopper 60 and the second gear portion 243 is the carrier. Engagement with the engagement portion 11 of (10) causes the carrier 10 to be immediately ready to be taken out.

즉 상기 취출수단(20)과 분리부재(260)는 스토커(100)의 장착부(110)에 구속되어 있던 캐리어(10)를 해제시킨 후, 해제상태로 인한 공백을 없애 보다 안정적이면서, 장치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dispensing means 20 and the separating member 260 release the carrier 10 that has been restrained by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stocker 100, and then remove the space due to the released state, thereby making it more stable and operating the device. Can be efficiently maintained.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nvention of the glass carrier take-o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particular shape an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G : 글라스 B : 베어링
10 : 캐리어 11 : 치합부
13 : 고정부 15 : 접촉부
17 : 대응마그넷
20 : 취출수단
210 : 본체 211 : 고정프레임
212 : 지지프레임 213 : 지지롤러
213a : 지지브래킷 213b : 제1 지지롤러
213c : 제2 지지롤러 213d : 회전축
214 : 작동모터 214a : 피니언
220 : 승하강동작부 221 : 구동실린더
223 : 실린더로드 225 : 링커
230 : 지지부재 231 : 몸체
231a : 제1 축결합부 231b : 제2 축결합부
233 : 결합부 235 : 텐션블록
240 : 기어부 241 : 제1 기어부
243 : 제2 기어부
250 : 구동부 251 : 구동모터
251a : 구동축 252 : 종동부
253 : 샤프트 254 : 제1 회전축
255 : 제2 회전축 256 : 풀리
257 : 벨트
260 : 분리부재
30 : 위치결정스토퍼
40 : 도그 41 : 상부부재
43 : 중간부재 45 : 하부부재
50 : 센싱부 51 : 센서브래킷
53 : 내측 센서 55 : 외측 센서
60 : 스토퍼 61 : 대응치합부
63 : 복귀스프링 65 : 지지바
100 : 스토커 110 : 장착부
120 : 장착프레임 130 : 자력식 지지부
131 : 마그넷 133 : 마그넷 프레임
140 : 가이드롤러 141 : 제1 가이드롤러
143 : 제2 가이드롤러 143a : 돌출부
145 : 고정브래킷 147 : 회전축
300 : 가이드부 310 : 레일
320 : 래크 330 : 가이드블록
G: Glass B: Bearing
10 carrier 11 engagement part
13: fixed part 15: contact part
17: correspondence magnet
20: extraction means
210: body 211: fixed frame
212: support frame 213: support roller
213a: support bracket 213b: first support roller
213c: second support roller 213d: rotating shaft
214: working motor 214a: pinion
220: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unit 221: driving cylinder
223 cylinder rod 225 linker
230: support member 231: body
231a: first shaft coupling portion 231b: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233: coupling portion 235: tension block
240: gear portion 241: first gear portion
243: second gear portion
250: driving unit 251: driving motor
251a: drive shaft 252: driven part
253: shaft 254: first axis of rotation
255: second axis of rotation 256: pulley
257: Belt
260: separating member
30: positioning stopper
40 dog 41 upper member
43: intermediate member 45: lower member
50: sensing unit 51: sensor bracket
53: inner sensor 55: outer sensor
60: stopper 61: corresponding mating portion
63: return spring 65: support bar
100: stocker 110: mounting portion
120: mounting frame 130: magnetic support
131: magnet 133: magnet frame
140: guide roller 141: first guide roller
143: second guide roller 143a: protrusion
145: fixing bracket 147: rotating shaft
300: guide portion 310: rail
320: rack 330: guide block

Claims (4)

글라스가 장착되고, 치합부를 갖는 캐리어; 및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승하강동작부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동작부에 의하여 선회동작이 가능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선회동작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의 치합부에 맞물리는 기어부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가 구비된 취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캐리어를 위한 스토커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토커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캐리어의 치합부에 맞물리는 대응치합부를 갖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
A carrier equipped with a glass and having a fitting portion; And
With the body,
A lowering operation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support member hinged to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pivoting by the elevating operation;
A gear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arrier by a pivo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 take-out mean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drive uni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gear unit.

A stocker for the carrier is further provided,
And a stopper hinged to the stocker, the stopper having a corresponding engagement portion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arri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승하강동작부에 의한 지지부재의 선회동작 시, 상기 캐리어의 치합부에서 상기 스토커의 대응치합부를 분리 이탈시키기 위한 분리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ke-out means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member for separating and separating the corresponding engagement portion of the stocker from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arrier during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member by the elevating operation portion A device for taking out a glass carrier.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수단의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도그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선회동작 시, 상기 도그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개폐시키기 위한 센싱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캐리어의 취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 dog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of the take-out means is further provided,
And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n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g when the support member is pivoted.
KR1020120068086A 2012-06-25 2012-06-25 Ejecting apparatus for carrier of glass KR101199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086A KR101199893B1 (en) 2012-06-25 2012-06-25 Ejecting apparatus for carrier of gla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086A KR101199893B1 (en) 2012-06-25 2012-06-25 Ejecting apparatus for carrier of gla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893B1 true KR101199893B1 (en) 2012-11-09

Family

ID=4756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086A KR101199893B1 (en) 2012-06-25 2012-06-25 Ejecting apparatus for carrier of gla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8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710B1 (en) * 2013-02-26 2014-08-19 주식회사 좋은기술 Pallet for carrying of glass of manufacturing equipment for vacuum window
CN110817350A (en) * 2019-12-16 2020-02-21 安徽理工大学 Novel commodity circulation is carried and letter sorting platfor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362A (en) * 1998-05-25 1999-12-07 Kawatetsu Machinery Co Ltd Article delivery device
JP2003137427A (en) * 2001-10-31 2003-05-14 Mitsubishi Heavy Ind Ltd Board carrying cart and board carrying system
US7217077B2 (en) 2003-03-13 2007-05-15 Bromer Inc. Storage system for glass offcu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362A (en) * 1998-05-25 1999-12-07 Kawatetsu Machinery Co Ltd Article delivery device
JP2003137427A (en) * 2001-10-31 2003-05-14 Mitsubishi Heavy Ind Ltd Board carrying cart and board carrying system
US7217077B2 (en) 2003-03-13 2007-05-15 Bromer Inc. Storage system for glass offcu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710B1 (en) * 2013-02-26 2014-08-19 주식회사 좋은기술 Pallet for carrying of glass of manufacturing equipment for vacuum window
WO2014133304A1 (en) * 2013-02-26 2014-09-04 주식회사 좋은기술 Pallet for vacuum window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ransporting glass plate
CN110817350A (en) * 2019-12-16 2020-02-21 安徽理工大学 Novel commodity circulation is carried and letter sorting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617B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CN101549718B (en) Conveyance apparatus for an assembly line
EP3205606A1 (en)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for article conveying container
JP5234328B2 (en) Goods storage equipment
WO2019007318A1 (en) Automatic mounting and dismounting system for container twistlock
KR100453147B1 (en) Automatic moving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vehicle using comb
KR20110129936A (en) Arrangement for storage, warehouse rack and handling machine particularly for such arrangement
CN104003171A (en) H-frame automatic conveying plate placing machine
CN105501870A (en) Conveying device based on X-Y mobile platforms
KR101199893B1 (en) Ejecting apparatus for carrier of glass
KR101097192B1 (en) Centering machine of baggage loaded in pallet
KR20190018066A (en) Modularized lower moving system for nuclear fuel handling and Method for reloading nulcear fuel using thereof
KR100500728B1 (en) Automatic conveyor system for monorail
CN104176442B (en) Single bucket elevator with weighing function
CN108861500B (en) Conveying system
KR100710070B1 (en) Cassette Transfer System in the Clean Room
CN211168428U (en) Warehouse-in and warehouse-out system
KR100655983B1 (en) Auto-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a pallet loaded fuel tanks
KR20090018284A (en) Pallet transfer apparatus
JP2012218904A (en) Article transfer apparatus
KR100856302B1 (en) Coil transfer apparatus between conveyors
KR100857053B1 (en) A glass lifter having glass reverse function for flat display panel
KR101940140B1 (en) Side plate supplying apparatus for battery pack manufacturing device
KR100757197B1 (en) Conveyor
CN218967768U (en) Railway transport case device special for large g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