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463B1 - 용융전기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융전기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463B1
KR101199463B1 KR1020100077940A KR20100077940A KR101199463B1 KR 101199463 B1 KR101199463 B1 KR 101199463B1 KR 1020100077940 A KR1020100077940 A KR 1020100077940A KR 20100077940 A KR20100077940 A KR 20100077940A KR 101199463 B1 KR101199463 B1 KR 101199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poly
gas
heater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655A (ko
Inventor
박충열
이영우
조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네웰
Priority to KR1020100077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4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1/00Other features of manufacture
    • D01D11/06Coating with spinning solutions or mel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2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m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가열 방식으로 고분자를 용융시킨 후 전기 방사하여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융용전기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부직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분자를 용융시키기 위해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기(1), 가열된 가스가 접촉하는 고분자 용융탱크(9), 용융된 고분자를 방사하는 방사노즐(6),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장치(5), 방사된 섬유를 집속하기 위한 수집판(7)으로 이루어진 용융전기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조직유착 방지성능을 가지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Description

용융전기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나노섬유의 제조방법{Melt electrosp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eparing polymer nanofiber web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융전기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를 용융시키기 위해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기, 가열된 가스를 접촉하는 고분자 용융탱크, 용융된 고분자를 방사하는 방사노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장치 및 방사된 섬유를 집속하기 위한 수집판 등으로 이루어진 용융전기방사 장치 및 가스가열 방식으로 고분자를 용융시킨 후 전기방사하여 조직유착 방지 성능을 가지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나노섬유는 전자파 차단, 액정, 배터리 등의 전기 및 전자분야를 비롯해서 의약품이나 생체공학용 각종 보철물 등의 의료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 ~ 1,000㎛ 크기의 나노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용융분사 방사, 플래쉬 방사, 복합방사, 원심방사 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방사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가 어려워 전기방사 방법보다 효과가 떨어진다. 전기방사는 고분자 용액 및 용융된 고분자에 고전압을 걸어주어 모세관 팁과 나노섬유를 받아주는 수집판(collector)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켜 수십에서 수백 nm크기의 부직포 웹을 얻는 공정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 방법은 용액전기방사(solution electro-spinning)과 용융전기방사(melt electro-spinning)로 나뉘어진다. 용액전기방사는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완전한 제거가 어려워 바이오 및 의료용으로의 활용에 제한이 있으며, 유기용매를 회수하기 위한 부가적인 2차 설비가 요구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용융전기방사는 고분자를 가열하여 방사하는 방법으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용융된 고분자는 용융물 특성으로 인하여 용액 상태의 고분자보다 나노미터 사이즈의 섬유를 제조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고분자 가열부분과 전기 인가부분 사이의 절연이 깨져 전압 충돌 등의 문제로 고전압 인가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0346호에서는 방사부에 열을 가해주는 가열기와 가열기의 조절기 전원부분을 차폐하기 위한 고전압 트랜스포머를 장착하여 고전압을 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방사부에서 발생된 고전압이 가열기를 타고 조절기 부분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면서 용융방사를 가능하게 하였지만, 나노 사이즈의 섬유를 제조하는 것은 실패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0077913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8933호에서는 원심력을 이용한 용융전기방사 장치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이 방법은 원심노즐을 이용해서 토출되는 고분자의 연신을 확장하여 섬유 직경을 줄이는데 성공하였으나, 방사장치의 구성과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12592호에서는 용융부, 방사노즐, 수집판, 방사니들과 컬렉터 사이에서 방사되는 용융물을 유도하는 유도챔버, 방사노즐과 수집판 사이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여 나노 사이즈의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 명시된 장치는 방사니들에서 방사되는 용융된 고분자가 빠르게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도챔버를 사용해서 방사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성공하였지만, 고분자 용융부의 산화현상 및 파일롯 규모로 확대함에 있어 전압인가 문제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용융전기방사 방법이 가지는 전압충돌의 문제점과 용융과정에서 발생하는 산화 그리고 복잡한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 사이즈의 섬유 제조에 대한 단점을 동시에 개선하면서 안정적으로 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가스 가열 방식으로 고분자 용융탱크를 직접 가열하여 고전압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압 충돌을 방지하고, 방사니들과 컬렉터 사이의 유도챔버 없이도 방사노즐 밖으로 나오는 가열가스에 의해서 섬유의 빠른 고형화를 막아주며 용융 과정에서 고분자가 산화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전기방사 가능하고, 복잡한 원심 방사 노즐 없이도 나노 사이즈의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용융전기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존의 용융전기방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 할 수 있어 상처치료용 드레싱제, 유착방지막 또는 차폐막 등의 의료용 재료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융전기 방사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부직포의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와 섬유직경분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를 통해 얻은 동물 조직의 유착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고분자를 용융시키기 위하여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기(1); 상기 가열기(1)에서 가열된 가스가 접촉하여 고분자를 용융시키는 고분자 용융탱크(9); 고분자 용융탱크에서 용융된 고분자를 방사하는 방사노즐(6); 방사노즐(6)로부터 방사된 용융물을 웹 형태로 수집하는 수집판(7); 및 상기 방사노즐(6) 및 수집판(7)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시키는 고전압 발생장치(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전기 방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를 가열하는 단계; 용융시키고자 하는 고분자의 융점보다 10 내지 300℃ 높은 온도에서 상기 가열된 가스를 이용하여 고분자를 용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융된 고분자를 전기 방사하여 부직포 상태의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스가열 방식으로 고분자를 용융시킨 후 전기 방사하여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용융전기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를 용융시키기 위해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기(1), 가열기(1)에 열을 공급하고 온도를 조절하는 열공급장치(2), 가열된 가스가 접촉하는 고분자 용융탱크(9), 용융된 고분자를 방사하는 방사노즐(6),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장치(5), 방사된 섬유를 집속하기 위한 수집판(7) 등으로 이루어진 용융전기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된 나노섬유 부직포에 조직 유착방지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표면 코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용융전기 방사장치는 고분자 용융탱크(9)내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8)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용융탱크(9)는 고분자 용융탱크(9) 내의 고분자의 융점보다 10 내지 300℃ 높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열기(1)에 열을 제공하고, 상기 수집판(7)의 온도는 고분자 용융탱크(9) 내의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 보다 5 내지 100℃ 높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하기 표 1에서 나타낸 온도조건을 참고하여 용융시키고자 하는 고분자의 융점보다 10 내지 300℃ 정도 더 높은 고분자 용융탱크의 온도를 갖도록 가열기의 온도를 설정한 후 가스를 가열하여 고분자 용융탱크(9) 내의 고분자를 용융시키는 단계와 방사노즐(6)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방사되게 하는 단계에 의해 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용융전기 방사장치에서 가열기의 온도 및 그에 따른 고분자 용융탱크 내의 온도
가열기의 온도(℃) 고분자 용융탱크 내의 온도(℃)
400 100~120
450 120~150
500 150~180
550 180~200
600 200~250
650 250~300
본 발명에 따른 용융전기 방사장치에 대한 내용은 도면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용융전기 방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1에 따르면, 도면번호 1은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기 부분이다. 가열기(1)에 열을 공급해주는 열 공급장치(2)는 표 1의 조건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가열된 가스는 고분자가 들어 있는 용융탱크(9)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분자 용융탱크(9)는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을 사용하고 세척 시 녹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용융탱크 (9)에는 용융탱크 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온도측정센서(8)를 장착하였으며, 추가로 혼합 교반기를 장착하여 효율적으로 용융체를 교반할 수도 있다.
용융전기방사는 노즐을 통과하는 시점부터 순간적으로 고형화되기 때문에 수집된 섬유들간의 접합력이 없어 쉽게 떨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집판(7)에 열을 공급해 주도록 제작된다. 수집판(7)은 열 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음전압이 인가되는 판과 절연이 되어야 한다. 수집판(7)의 온도는 사용된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보다 5 내지 100℃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번호 4는 가스탱크(3)에서 주입되는 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열기(1)에 가스를 공급하고 고분자 용융탱크(9)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기이다. 가열기(1)과 고분자 용융탱크(9)에 주입되는 가스는 고분자가 용융되는 과정에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압력은 1 내지 300kpa로 공급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50kpa로 공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압력이 1kpa 미만이면 가열된 가스가 용융탱크를 가열하는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용융체를 토출시키는 압력이 낮아 방사노즐(6)을 통과할 때 순간적으로 굳는 현상이 발생하여 방사가 되지 않으며, 압력이 300kpa 초과하면 고분자 용융체가 빠르게 나와 섬유상으로 제조하기 어렵다.
고전압 발생장치(5)는 방사노즐(6)에 소정의 양전압을 인가하여 고분자 용융체를 섬유상으로 제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정의 전압은 5 내지 40kV의 직류전압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이 5kV 미만이면 섬유상으로 제조되지 못하며, 40kV를 초과하면 전압이 수집판(7)으로 튀는 현상이 발생한다. 방사노즐(6)과 수집판(7) 사이의 정전기력을 높이기 위해 수집판(7)에 소정의 음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소정의 음전압은 1 내지 20kV의 직류전압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용융전기 방사장치를 구성하여 고분자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한다. 이때 사용되는 고분자는 분자량 1,000 ~ 100,000,000 g/mol 인 것으로서, 폴리락트산(poly(L-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poly lactic-co-glycolic acid copolymer),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락트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 폴리락트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 폴리알킬렌 석시네이트(poly(akylene succinates)),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poly(hydroxyl butyr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부틸렌 클리콜레이트(poly(butylenes diglycolate), 폴리언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s), 플루로닉(pluronics), 하이드록시프로틸에틸셀룰로우스(Hydroxypropylene ethylcellulose) 및 폴리포스 파젠(polyphophaz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고분자로 제조된 나노섬유 부직포를 조직유착 방지제로 사용하기 위해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천연고분자를 부직포 표면에 코팅한다. 고분자 수용액은 초순수에 대해서 1 ~ 20중량%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도가 1중량% 미만일 경우 점도가 낮아 표면 코팅되는 고분자의 양이 적어 유착방지 효과가 떨어지며, 2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 부직포를 코팅할 수 없다. 고분자 수용액에 나노섬유 부직포를 침지하여 건조한 후 표면에 천연고분자가 코팅된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 한다.
상기의 부직포 표면코팅은 침지방법 이외에 전기방사, 캐스팅, 분사 등의 통상의 코팅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부직포의 상부에 코팅된 2층 구조, 상부와 하부에 코팅된 3층 구조, 필요에 따라 2층 이상의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천연고분자로는 분자량 1,000 ~ 1,500,000g/mol 알긴산, 펙틴, 카르기닌, 겔란 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덱스트란, 키틴 및 키토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부직포는 유착방지제로의 사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조직공학용 지지체, 약물전달 매체, 창상피복재, 조직재생 유도막 등에 사용가능 함을 명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
150℃의 연화점을 가진 고분자인 폴리락트글리콜산을 고분자 용융탱크(9)에 넣고 열공급장치(2)를 이용하여 가열기(1)에 550℃의 열을 제공하고 가스를 20kpa로 제공하였다. 고분자를 완전히 용융시킨 후에 고전압 발생장치(5)를 이용하여 방사노즐(6)에는 25kV의 그리고 수집판(7)에는 3kV의 전압을 인가하여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섬유는 약 500nm의 균일한 나노섬유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가열기에 450℃의 열을 제공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2~3㎛ 크기의 섬유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2: 표면에 천연고분자가 코팅된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
천연고분자이며,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히알루론산을 초순수에 대해 10중량 %로 녹인 수용액을 제조한 후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부직포를 한 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히알루론산 수용액에서 부직포를 빼낸 후 30℃ 하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히알루론산이 표면에 코팅된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건에 의해 제조된 히알루론산이 코팅된 폴리락트글리콜산 나노섬유 부직포는 높은 다공도를 가져 상처면에 용이하게 부착되고 코팅된 히알루론산의 낮은 조직 흡착력으로 상처와 상처 사이를 분리시켜 조직유착을 원천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어 조직유착방지제로 사용할 수 있었다.
실험예 : 나노섬유 부직포의 조직유착 방지성능 평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시료의 조직유착 방지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물모델(SD rat)을 이용하였다. 마취제를 쥐의 하복부에 주사하여 마취를 시행하였다. 마취된 쥐의 복부를 절개하고, 복벽(peritoneum)의 표피부분에 1×2cm 크기의 상처를 뼈 절삭기구(bone burr)를 이용하여 형성시키고, 이 상처와 맞닿아 있는 맹장에 표피가 살짝 벗겨질 정도로 상처를 냈다. 상처와 상처 사이에 어떠한 재료도 넣지 않고 봉합한 대조군과 실시예 2의 재료를 2×3cm의 크기로 잘라 상처부위를 덮어주고 봉합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조직유착 정도를 확인하였다. 조직유착 정도에 따라 4단계(0, 1, 2, 3, 숫자가 클수록 유착이 심함)의 유착평가 시스템(grading system)을 이용하여 그 성적을 합산하고 평균을 내었다 (A. A. Luciano, et al., "Evaluation of commonly used adjuvants in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adhesions", Am . J. Obstet . Gynecol., 146, 88-92 (1983)).
상기 동물실험에 의한 조직유착 정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대조군에 비하여 조직유착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가열기 2: 열공급장치
3: 가스탱크 4: 가스공급기
5: 고전압 발생장치 6: 방사노즐
7: 수집판 8: 온도측정센서
9: 고분자 용융탱크

Claims (12)

  1. 고분자를 용융시키기 위하여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에서 가열된 가스가 접촉하여 고분자를 용융시키는 고분자 용융탱크;
    고분자 용융탱크에서 용융된 고분자를 방사하는 방사노즐;
    방사노즐로부터 방사된 용융물을 웹 형태로 수집하는 수집판; 및
    상기 방사노즐 및 수집판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시키는 고전압 발생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전기 방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전기 방사장치는 고분자 용융탱크 내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용융탱크는 고분자 용융탱크 내의 고분자의 융점보다 10 내지 300℃ 높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열기의 열을 제공하고, 상기 수집판의 온도는 고분자 용융탱크 내의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 보다 5 내지 100℃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전기 방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가열기에 열을 공급해 주는 열 공급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전기 방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융탱크에 공급되는 고분자는 폴리락트산(poly(L-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poly lactic-co-glycolic acid copolymer),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락트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 폴리락트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 폴리알킬렌 석시네이트(poly(akylene succinates)),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poly(hydroxyl butyr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부틸렌 클리콜레이트(poly(butylenes diglycolate), 폴리언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s), 플루로닉(pluronics), 하이드록시프로틸에틸셀룰로우스(Hydroxypropylene ethylcellulose) 및 폴리포스 파젠(polyphophaz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전기 방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1 내지 300kpa의 압력으로 가열기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탱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전기 방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융탱크는 고분자 용융탱크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는 가스탱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전기 방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는 5 내지 40kV의 직류 양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전기 방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판에 1 내지 20kV의 직류 음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전기 방사장치.
  9. 가스를 가열하는 단계;
    용융시키고자 하는 고분자의 융점보다 10 내지 300℃ 높은 온도에서 상기 가열된 가스를 이용하여 고분자를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된 고분자를 전기 방사하여 부직포 상태의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부직포 표면에 천연고분자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폴리락트산(poly(L-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poly lactic-co-glycolic acid copolymer),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락트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 폴리락트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 , 폴리알킬렌 석시네이트(poly(akylene succinates)),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poly(hydroxyl butyr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부틸렌 클리콜레이트(poly(butylenes diglycolate), 폴리언하이드라이드 (polyanhydrides), 플루로닉(pluronics), 하이드록시프로틸에틸셀룰로우스 (Hydroxypropylene ethylcellulose) 및 폴리포스 파젠(polyphophaz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표면코팅을 침지, 전기방사, 캐스팅, 분사방법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고분자는 분자량 1,000 내지 1,500,000g/mol이며, 알긴산, 펙틴, 카르기닌, 겔란 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덱스트란, 키틴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0100077940A 2010-08-12 2010-08-12 용융전기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199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40A KR101199463B1 (ko) 2010-08-12 2010-08-12 용융전기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40A KR101199463B1 (ko) 2010-08-12 2010-08-12 용융전기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655A KR20120015655A (ko) 2012-02-22
KR101199463B1 true KR101199463B1 (ko) 2012-11-09

Family

ID=4583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940A KR101199463B1 (ko) 2010-08-12 2010-08-12 용융전기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4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836A (ko) * 2016-06-20 2017-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노 셀룰로오스 섬유 제조 방법
KR102109572B1 (ko) 2018-11-23 2020-05-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부텐-1 부직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8606B (zh) * 2015-07-29 2017-04-19 东北师范大学 一种交联果胶纤维及其制备方法
KR101709608B1 (ko) * 2015-09-03 2017-03-09 (주)진우바이오 용융 방사에 의한 히알루론산염 파이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파이버
CN109457305B (zh) * 2018-12-12 2021-04-09 青岛科技大学 一种内置电极真空环境静电纺丝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6974A (ja) 2003-02-27 2004-09-16 Japan Vilene Co Ltd 静電紡糸方法及び静電紡糸装置
JP2009249744A (ja) 2008-04-02 2009-10-29 Japan Vilene Co Ltd 不織布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6974A (ja) 2003-02-27 2004-09-16 Japan Vilene Co Ltd 静電紡糸方法及び静電紡糸装置
JP2009249744A (ja) 2008-04-02 2009-10-29 Japan Vilene Co Ltd 不織布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836A (ko) * 2016-06-20 2017-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노 셀룰로오스 섬유 제조 방법
KR102315015B1 (ko) 2016-06-20 2021-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노 셀룰로오스 섬유 제조 방법
KR102109572B1 (ko) 2018-11-23 2020-05-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부텐-1 부직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655A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slam et al. A review on fabrication of nanofibers via electrospinning and their applications
Lu et al. Coaxial electrospun fibers: applications in drug delivery and tissue engineering
Subramanian et al. Fabrication of uniaxially aligned 3D electrospun scaffolds for neural regeneration
Yoon et al. Fabrication of Microfibrous and Nano‐/Microfibrous Scaffolds: Melt and Hybrid Electrospinning and Surface Modification of Poly (L‐lactic acid) with Plasticizer
Zhou et al. A novel three-dimensional tubular scaffold prepared from silk fibroin by electrospinning
KR101199463B1 (ko) 용융전기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Yukseloglu et al. Biomaterial applications of silk fibroin electrospun nanofibres
US20120040581A1 (en) Template-supported method of forming patterns of nanofibers in the electrospinning process and uses of said nanofibers
US20100143435A1 (en) Scaffold with increased pore size
KR20110087031A (ko) 분리 개섬이 가능한 나노 장섬유 또는 극세사의 제조방법
CN104399117A (zh) 一种聚乳酸纤维三维仿生多孔有序支架的制备方法
Chahal et al. Characterization of modified cellulose (MC)/poly (vinyl alcohol) electrospun nanofiber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Sebe et al. Polymers and formulation strategies of nanofibrous systems for drug delivery application and tissue engineering
Bhattacharyya et al. Electrospinning of poly [bis (ethyl alanato) phosphazene] nanofibers
Hasan et al. Production of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from poly caprolactone (PCL) and its microscopic analysis
CN106757772A (zh) 一种聚乳酸熔融纺纤维热粘合固化三维多孔无序支架的制备方法
CN105970315A (zh) 医用聚左旋乳酸熔融纺纤维的制备方法
Alvarado et al. Nanofiber alignment for biomedical applications
Srivastava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regenerated silk fibroin fibers
Tong et al. Effects of processing parameters on the morphology and size of electrospun PHBV micro-and nano-fibers
Park et al. Surface characteristics of plasma‐treated PLGA nanofibers
JP4056361B2 (ja) ポリグリコール酸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081832A1 (en) Biomimetic nanofiber web and method and device to manufacture the same
He et al. Electrospraying and electrospinning for nanobiomaterial fabrication
Buschle-Diller et al. Electrospun nanofibers from biopolymers and their biomedic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