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323B1 -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 Google Patents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323B1
KR101199323B1 KR1020110010894A KR20110010894A KR101199323B1 KR 101199323 B1 KR101199323 B1 KR 101199323B1 KR 1020110010894 A KR1020110010894 A KR 1020110010894A KR 20110010894 A KR20110010894 A KR 20110010894A KR 101199323 B1 KR101199323 B1 KR 10119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irect injection
gasoline engine
fuel pump
pressur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452A (ko
Inventor
황재근
이연홍
김중종
김기태
강명권
유해찬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주)모토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토닉 filed Critical (주)모토닉
Priority to KR102011001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3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관한 것으로, 바디, 댐퍼부, 스필밸브, 입구측 체크밸브 및 토출측 체크밸브를 구비한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바디에 형성된 결합부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상면에 다수의 제 1이동홈이 형성되는 댐퍼커버,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제 1유로가 형성되는 하부가이드, 상기 하부가이드의 내부에 안착되는 댐퍼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제 2유로가 형성되는 상부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은 댐퍼부에서 이동하는 연료량을 증가시켜 연료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연료의 맥동 개선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HIGH PRESURE FUEL PUMP FOR DIRECT INJECTION TYPE GASOLINE ENGINE}
본 발명은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솔린 엔진이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가솔린 연료를 실린더 내부에 직접 분사하도록 고압으로 압축하여 인젝터에 공급하는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엔진의 연비 및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직접분사식 엔진(Gasoline Direct Injection)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공기/연료 혼합기(air/fuel mixture)의 흡입/압축/점화/폭발/배기 과정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통상의 가솔린 엔진의 연소 과정에 비하여,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은 공기만을 흡입하여 압축한 후 연료를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디젤 기관의 압축 착화 방식과 유사하다.
따라서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은 통상적인 가솔린 엔진의 압축비(compression ratio)의 한계를 넘는 높은 압축비를 구현할 수 있어 연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에서는 연료압력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며, 이를 위하여 고성능의 고압연료펌프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고압연료펌프는 엔진 캠축에 장착되어 캠의 회전력에 의해 펌프 축이 회전하고 그 회전력에 의해 펌프의 피스톤이 운동하여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가솔린 연료를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고압연료펌프의 경우, 세 개의 피스톤(three-piston)을 구비한 형태의 펌프로 되어 있어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0-0031210호(2010년 4월 6일 출원,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하나의 펌프 피스톤을 갖는 싱글 피스톤(single-piston) 타입의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를 개시하여 출원한 바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압연료펌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댐퍼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댐퍼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유로를 통해 연료를 공급하는 동작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특허문헌 1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는 엔진 캠축에 장착되어 캠의 회전력에 의해 펌프 축이 회전함에 따라 펌프 축의 회전력에 의해 펌프의 피스톤이 운동하여 압력을 형성하고 가솔린 연료를 인젝터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특허문헌 1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a)과 리턴 스프링(2b)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연료의 흡입력을 발휘하는 흡입부재(2)가 형성되고, 측면 양측에 입구측 및 토출측 개공(3,4)이 형성되며, 외측에 연료를 유입 및 토출하는 유입구(1a) 및 토출구(1b)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 댐퍼부(6)가 장착되는 결합부(5)가 형성된 바디(1), 바디(1)의 결합부(5)에 결합되며 흡입된 연료의 맥동을 감소시키는 댐퍼부(6), 입구측 개공(3)에 결합되며 공급 유량 및 토출 압력을 제어하는 스필 밸브(7), 입구측 개공(3)에 결합되며 스필 밸브(7)에 연결된 입구측 체크밸브(8) 및 토출측 개공(4)에 결합되는 토출측 체크밸브(9)를 포함한다.
댐퍼부(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에 형성된 결합부(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댐퍼커버(11), 결합부(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가이드(12), 하부가이드(12)의 내부에 안착되는 댐퍼(13)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댐퍼(1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가이드(14)를 포함한다.
댐퍼커버(11)의 측벽 내측면에는 제 1돌출턱(111)이 형성되고, 제 1돌출턱(111)의 상부에는 홈(112)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홈(112)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113)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댐퍼커버(11)를 결합부(10)에 덮은 후, 가압에 의해 제 1돌출턱(111)과 결합부(10)에 형성된 제 2돌출턱(101)을 억지 끼움으로 결합된다.
하부가이드(12)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 1유로(121)가 형성되고, 하부가이드(12)의 내주면에는 댐퍼(13)가 안착되는 환턱(122)이 형성된다.
댐퍼(13)의 외면에는 다수의 골(13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환형의 날개(132)가 형성된다. 날개(132)는 하부가이드(12)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가이드(12)의 환턱(122)에 안착된다.
상부가이드(14)는 댐퍼(13)의 상부에 위치되어 댐퍼(13)의 날개(132)를 가압하고, 상부가이드(1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 2유로(14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특허문헌 1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서는 피스톤(2a)의 흡입 동작시에만 연료가 흡입됨에 따라 흡입되는 연료의 맥동이 발생하는데, 댐퍼부(6)는 이러한 연료의 맥동을 감소시켜 연료가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즉, 피스톤(2a)의 하강 동작시 흡입력이 발생하여 유입구(1a)를 통해 연료가 흡입되며, 바디(1)의 상승유로(102)를 통해 댐퍼부(6)로 유입된다.
이어서 댐퍼부(6)로 유입된 연료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제 1 및 제 2유로(111,131)를 통해 이동하면서 댐퍼(12)의 골(121)을 지나면서 맥동이 감소된 후 배출통로(102)를 통해 스필밸브(7)로 유입된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는 댐퍼부(6)에서의 연료 흐름이 원활하기 않아 고RPM 영역에서의 연료 맥동 개선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0-0031210호(2010년 4월 6일 출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연료펌프 내부로 흡입된 연료의 맥동을 저감하는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디, 댐퍼부, 스필밸브, 입구측 체크밸브 및 토출측 체크밸브를 구비한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바디에 형성된 결합부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상면에 다수의 제 1이동홈이 형성되는 댐퍼커버,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제 1유로가 형성되는 하부가이드, 상기 하부가이드의 내부에 안착되는 댐퍼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제 2유로가 형성되는 상부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이동홈은 상기 하부가이드에 형성된 제 1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유로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디, 댐퍼부, 스필밸브, 입구측 체크밸브 및 토출측 체크밸브를 구비한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바디에 형성된 결합부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댐퍼커버,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제 1유로가 형성되는 하부가이드, 상기 하부가이드의 내부에 안착되는 댐퍼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2이동홈이 형성되는 상부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이동홈은 상기 하부가이드에 형성된 제 1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유로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디, 댐퍼부, 스필밸브, 입구측 체크밸브 및 토출측 체크밸브를 구비한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바디에 형성된 결합부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상면에 다수의 제 1이동홈이 형성되는 댐퍼커버,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제 1유로가 형성되는 하부가이드, 상기 하부가이드의 내부에 안착되는 댐퍼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2이동홈이 형성되는 상부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이동홈은 상기 하부가이드에 형성된 제 1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유로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이동홈은 상기 하부가이드에 형성된 제 1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유로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댐퍼부에 구비되는 댐퍼커버의 내측 상면에 형성된 제 1이동홈 및/또는 상부가이드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 2이동홈을 통해 이동하는 연료량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댐퍼부에서 이동하는 연료량을 증가시켜 연료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연료의 맥동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댐퍼부에서의 연료량을 증대함으로써 맥동 발생시 댐퍼의 응답성을 빠르게 하여 연료의 맥동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 RPM 영역에서 연료 맥동 개선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의 연료분사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압연료펌프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댐퍼부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댐퍼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유로를 통해 연료를 공급하는 동작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적용된 댐퍼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댐퍼커버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적용된 댐퍼부의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 가이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적용된 댐퍼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실시 예 및 종래기술의 댐퍼부에서의 연료 맥동을 측정한 실험결과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고압연료펌프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고압연료펌프의 구성을 원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고압연료펌프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있는 하나의 펌프 피스톤을 갖는 싱글 피스톤(single-piston) 타입의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적용된 댐퍼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댐퍼커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적용된 댐퍼부(20)는 바디(1)에 형성된 결합부(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상면에 다수의 제 1이동홈(211)이 형성되는 댐퍼커버(21), 결합부(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제 1유로가 형성되는 하부가이드(22), 하부가이드(22)의 내부에 안착되는 댐퍼(23)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댐퍼(23)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제 2유로가 형성되는 상부가이드(24)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는 댐퍼부(20)에 구비된 댐퍼커버(21)의 내측 상면에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1이동홈(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이동홈(211)은 하부가이드(22) 및 상부가이드(24)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만큼 형성될 수도 있고, 제 1 및 제 2유로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댐퍼커버(21)의 제 1이동홈(211)은 특허문헌 1에서 제 2유로(131)를 통해 이동하는 연료의 양보다 많은 양의 연료가 이동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댐퍼부에 구비되는 댐퍼커버의 내측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 1이동홈을 통해 이동하는 연료량을 증가시켜 연료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댐퍼부의 연료 맥동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적용된 댐퍼부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적용된 댐퍼부(30)는 바디(1)에 형성된 결합부(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댐퍼커버(31), 결합부(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제 1유로가 형성되는 하부가이드(32), 하부가이드(32)의 내부에 안착되는 댐퍼(33)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댐퍼(33)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2이동홈(341)이 형성되는 상부가이드(34)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는 댐퍼부(30)에 구비되는 상부가이드(34)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2이동홈(34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가이드(34)의 제 2이동홈(341)은 특허문헌 1에서 설명한 제 2유로(131)를 통해 이동하는 연료량보다 많은 양의 연료가 이동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댐퍼부에 구비되는 상부가이드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 2이동홈을 통해 이동하는 연료량을 증가시켜 연료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댐퍼부의 연료 맥동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적용된 댐퍼부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의 댐퍼부(40)는 바디(1)에 형성된 결합부(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상면에 다수의 제 1이동홈(411)이 형성되는 댐퍼커버(41), 결합부(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제 1유로가 형성되는 하부가이드(42), 하부가이드(42)의 내부에 안착되는 댐퍼(43)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댐퍼(43)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2이동홈(441)이 형성되는 상부가이드(44)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서는 댐퍼부(40)에 구비된 댐퍼커버(41)의 내측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1이동홈(411)이 형성되고, 상부가이드(44)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2이동홈(4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이동홈(411,441)은 하부가이드(42)에 형성된 제 1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만큼 형성될 수도 있고, 제 1유로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댐퍼커버(41)의 제 1이동홈(411) 및 상부가이드(44)의 제 2이동홈(441)은 특허문헌 1에서 제 2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연료의 양보다 많은 양의 연료가 이동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댐퍼부에 구비되는 댐퍼커버의 내측 상면에 형성된 제 1이동홈과 상부가이드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 2이동홈을 통해 이동하는 연료량을 증가시켜 연료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댐퍼부의 연료 맥동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실시 예 및 특허문헌 1에 적용된 댐퍼부에서의 연료 맥동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특허문헌 1에 적용된 댐퍼부에서의 연료 맥동은 A선이고,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적용된 댐퍼부(20)에서의 연료 맥동은 B선이며,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적용된 댐퍼부(30)에서의 연료 맥동은 C선이고,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적용된 댐퍼부(40)에서의 연료 맥동은 D선이다.
도 10에서는 엔진의 RPM 변화에 따른 각 댐퍼부(6,20,30,40)의 연료 맥동을 최고 압력과 최저 압력의 압력차(ΔP)로 표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적용된 댐퍼부(6)에서는 1500RPM 근처에서 약 10bar의 압력차가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실시 예에 적용된 댐퍼부(20,30,40)에서는 약 6bar의 압력차만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 적용된 댐퍼부(6)에서는 6000RPM을 초과하면서 약 16bar까지 급격하게 연료 맥동이 증가하지만,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실시 예에 적용된 댐퍼부(20,30,40)에서는 약 10bar의 연료 맥동만이 발생하였다 .
또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실시 예에 적용된 댐퍼부(20,30,40)에서는 특허문헌 1에 적용된 댐퍼부(6)보다 전체적으로 약 1 내지 2bar만큼 압력차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댐퍼부에서 이동하는 연료량을 증대시켜 맥동 발생시 댐퍼의 응답성을 빠르게 하여 연료 맥동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댐퍼부에서 이동하는 연료량을 증가시켜 연료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연료의 맥동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바디 2: 흡입부재
3,4: 입구측 및 토출측 개공 7: 스필 밸브
8: 입구측 및 토출측 체크밸브 10: 결합부
20,30,40: 댐퍼부 21,31,41: 댐퍼커버
211,411: 제 1이동홈 22,32,42: 하부가이드
23,33,43: 댐퍼 24,34,44: 상부가이드
341,441: 제 2이동홈

Claims (7)

  1. 바디(1), 댐퍼부(20), 스필밸브(7), 입구측 체크밸브(8) 및 토출측 체크밸브(9)를 구비한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20)는
    상기 바디(1)에 형성된 결합부(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상면에 다수의 제 1이동홈(211)이 형성되는 댐퍼커버(21),
    상기 결합부(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제 1유로가 형성되는 하부가이드(22),
    상기 하부가이드(22)의 내부에 안착되는 댐퍼(23)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23)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제 2유로가 형성되는 상부가이드(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홈(211)은
    상기 하부가이드(22)에 형성된 제 1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유로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3. 바디(1), 댐퍼부(30), 스필밸브(7), 입구측 체크밸브(8) 및 토출측 체크밸브(9)를 구비한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30)는
    상기 바디(1)에 형성된 결합부(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댐퍼커버(31),
    상기 결합부(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제 1유로가 형성되는 하부가이드(32),
    상기 하부가이드(32)의 내부에 안착되는 댐퍼(33)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33)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2이동홈(341)이 형성되는 상부가이드(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동홈(341)은
    상기 하부가이드(32)에 형성된 제 1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유로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5. 바디(1), 댐퍼부(40), 스필밸브(7), 입구측 체크밸브(8) 및 토출측 체크밸브(9)를 구비한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40)는
    상기 바디(1)에 형성된 결합부(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상면에 다수의 제 1이동홈(411)이 형성되는 댐퍼커버(41),
    상기 결합부(1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제 1유로가 형성되는 하부가이드(42),
    상기 하부가이드(42)의 내부에 안착되는 댐퍼(43)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댐퍼(43)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2이동홈(441)이 형성되는 상부가이드(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홈(411)은
    상기 하부가이드(42)에 형성된 제 1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유로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동홈(441)은
    상기 하부가이드(42)에 형성된 제 1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유로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KR1020110010894A 2011-02-08 2011-02-08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KR10119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894A KR101199323B1 (ko) 2011-02-08 2011-02-08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894A KR101199323B1 (ko) 2011-02-08 2011-02-08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452A KR20120090452A (ko) 2012-08-17
KR101199323B1 true KR101199323B1 (ko) 2012-11-09

Family

ID=4688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894A KR101199323B1 (ko) 2011-02-08 2011-02-08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010A (ko)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연료의 맥동을 저감시키는 고압 연료펌프의 댐퍼구조체
CN106089526A (zh) * 2016-06-15 2016-11-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降低汽油直接喷射式发动机高压油泵nvh噪音的泵盖及油泵
KR20200130452A (ko) 2018-05-18 2020-11-18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댐퍼 유닛
EP3795818A4 (en) 2018-05-18 2022-02-16 Eagle Industry Co., Ltd. METAL DIAPHRAGM SHOCK MOUNTING STRUCTURE
JP7074563B2 (ja) 2018-05-18 2022-05-24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ダンパ装置
CN111989479B (zh) 2018-05-18 2022-07-26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减震器装置
KR20200140902A (ko) * 2018-05-25 2020-12-16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댐퍼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8805A (ja) 2005-11-17 2007-06-07 Denso Corp 高圧燃料ポンプ
JP2010270727A (ja) 2009-05-25 2010-12-02 Toyota Motor Corp 燃料ポンプ用パルセーションダン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8805A (ja) 2005-11-17 2007-06-07 Denso Corp 高圧燃料ポンプ
JP2010270727A (ja) 2009-05-25 2010-12-02 Toyota Motor Corp 燃料ポンプ用パルセーションダン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452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323B1 (ko)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KR101171995B1 (ko)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CN105008719B (zh) 用于内燃发动机的燃料泵
US20060159555A1 (en) High pressure pump having plunger
US8677976B2 (en) High pressure fuel pump
KR101182131B1 (ko)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WO2010057701A3 (de) Kugelventil für hochdruckpumpen
US10876509B2 (en) High-pressure fuel pump
CA2408982A1 (en) Regulated pump
KR101787595B1 (ko)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JP4971425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燃料高圧供給のためのラジアルピストンポンプ
KR101986017B1 (ko) 고압연료펌프
JP2020084844A (ja) 副室式ディーゼル機関
JP6221410B2 (ja) 高圧燃料ポンプ
US9581113B2 (en) Fuel injection nozzle having an anti-leakage device
CN112368474A (zh) 燃料泵
CN106460731A (zh) 集成式气体喷嘴止回阀和使用其的发动机
JP4735467B2 (ja) 燃料噴射装置及び内燃機関
KR20120007958A (ko)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흡입 밸브
IT201900001413A1 (it) Valvola di aspirazione per una pompa di alta pressione di alimentazione di carburante ad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e pompa comprendente tale valvola
US20190360388A1 (en) Fuel injector and piston bowl
KR101244846B1 (ko)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연료펌프
JP6579943B2 (ja) 燃料供給ポンプ
CN212690343U (zh) 一种压缩机的喷气增焓流道和泵体
KR101692231B1 (ko) 분사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