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309B1 - 차량 방호 울타리 - Google Patents

차량 방호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309B1
KR101199309B1 KR1020100041926A KR20100041926A KR101199309B1 KR 101199309 B1 KR101199309 B1 KR 101199309B1 KR 1020100041926 A KR1020100041926 A KR 1020100041926A KR 20100041926 A KR20100041926 A KR 20100041926A KR 101199309 B1 KR101199309 B1 KR 10119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uard rail
ground
fixed
guar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249A (ko
Inventor
박찬수
조성환
김미정
강병기
Original Assignee
도아기업주식회사
(주)정진로드스틸
(주) 유창스틸산업
신성컨트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아기업주식회사, (주)정진로드스틸, (주) 유창스틸산업, 신성컨트롤(주) filed Critical 도아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30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방호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와; 지면에 평행을 이루며 지주에 고정되는 복수 행의 가아드레일과; 가아드레일을 지주에 고정하는 가아드레일 고정수단과;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한 가아드레일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을 향하여 경사진 복수 행의 단부 가아드레일과; 단부 가아드레일의 타단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단부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그 충격력을 1차적으로 가아드레일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고 2차적으로 단부 가아드레일과 단부 지지대 및 단부 지주를 통해 지면으로 분산시키게 되어 지주들의 꺾임이나 파손 없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 방호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가아드레일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어 그 양단이 단부고정수단에 고정되는 보강선재와; 보강선재를 지주에 지지함과 아울러 보강선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쇠시키는 충격력감쇠수단을 더 포함하여 가아드레일과 지주의 변형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지주의 파손을 배제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차량 충돌 지점으로부터 멀리 있는 지주일수록 감쇠된 충격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지주의 변형과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부고정수단의 고정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차량 방호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 방호 울타리{Vehicle protection fence}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흡수와 이탈방지를 위한 차량 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량과 탑승자에 전달되는 충돌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충돌에 의한 방호 울타리의 파손을 줄이고 차량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등에 설치되는 차량 방호 울타리는 주행 중 정상적인 주행 경로를 벗어난 차량이 주행차로를 벗어나 도로 밖으로 이탈하거나 중앙선을 넘어 대향 차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돌시 소성 변형을 일으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정상적인 차로를 이탈한 차량을 다시 정상 주행차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도로변, 보도 또는 차도의 경계, 중앙분리대 등에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종래 차량 방호 울타리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 사이에 연결되는 가아드레일로 구성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상기 지주는 통상 원형 파이프가 주로 사용되며, 가아드레일로서는 사각 파이프나 절곡된 철판 또는 와이어로프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아드레일의 종류에 따라 사각 파이프를 사용한 것을 "사각 파이프형 차량 방호 울타리"라고 하고, 절곡된 철판을 사용한 것을 "절곡 철판형 차량 방호 울타리"라고 하며, 와이어로프를 사용한 것을 "와이어로프형 차량 방호 울타리"라고 한다.
종래의 사각 파이프형 차량 방호 울타리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G)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10)와, 지면(G)에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주(10) 사이에 연결되는 사각 파이프로 된 가아드레일(20)로 구성된다.
종래의 절곡 철판형 차량 방호 울타리는 가아드레일만 절곡 철판을 사용한 것이며, 지주와 여타 구성은 사각 파이프형 차량 방호 울타리와 흡사하다.
이러한 종래의 사각 파이프형 차량 방호 울타리 및 절곡 철판형 차량 방호 울타리는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그 충격력은 1차적으로 가아드레일을 구성하는 사각 파이프 또는 절곡 철판에 가해지고 이 가아드레일이 연결된 지주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사각 파이프 또는 절곡 철판의 소성 변형과 지주의 소성 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사각 파이프 또는 절곡 철판과 지주의 소성 변형에 따라 충격력이 흡수되면서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차량이 정상 주행차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각 파이프형 차량 방호 울타리와 절곡 철판형 차량 방호 울타리는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력이 사각 파이프 또는 절곡 철판과 지주에 전달되며, 최종적으로는 지주의 지면 인접 부위에 가해지기 때문에 지주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나 절단 등의 파손을 초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충격력 흡수성능과 차량 이탈방지 성능이 저하되며, 대형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쉽게 파손되는 지주와 사각 파이프 또는 절곡 철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여러 구조의 보강부재들이 추가로 설치된 차량 방호 울타리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은 단지 지주와 가아드레일을 보강한 것일 뿐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력이 최종적으로는 지주의 지면 인접 부위에 가해지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을 충분히 해소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종래 와이어로프형 차량 방호 울타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시브(sheave; 도르래)에 의해 안내되며 그 양단이 지면에 고정되는 와이어로프로 된 가아드레일로 구성된다.
이러한 와이어로프형 차량 방호 울타리는 와이어로프에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그 충격력은 와이어로프를 안내하고 있는 시브를 통해 지주에 가해지기는 하지만 와이어로프의 양단이 최초 충돌 부위를 향하여 당겨지기 때문에 지면에 앵커 등으로 고정된 와이어로프의 양단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와이어로프의 양단이 지면에서 뽑히게 되어 차량 방호 울타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모든 종류의 차량 방호 울타리는 지주가 중공형의 원형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지면과 인접한 부위가 꺾이거나 파손되기 쉬워 차량 방호 울타리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가아드레일과 지주 및 지면으로 분산시켜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방호 울타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아드레일과 지주의 변형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지주의 파손을 배제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방호 울타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아드레일의 보강함과 아울러 차량 충돌 지점으로부터 멀리 있는 지주일수록 감쇠된 충격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지주의 변형과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부고정수단의 고정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 차량 방호 울타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와; 지면에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복수 행의 가아드레일과; 상기 가아드레일을 지주에 고정하는 가아드레일 고정수단과;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한 가아드레일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을 향하여 경사진 복수 행의 단부 가아드레일과;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의 타단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단부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방호 울타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와; 지면에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복수 행의 가아드레일과; 상기 가아드레일을 지주에 고정하는 가아드레일 고정수단과;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한 가아드레일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을 향하여 경사진 복수 행의 단부 가아드레일과;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의 타단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단부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므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그 충격력을 1차적으로 가아드레일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고 2차적으로 단부 가아드레일과 단부 지지대 및 단부 지주를 통해 지면으로 분산시키게 되어 지주들의 꺾임이나 파손 없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 방호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평면도,
도 4는 가아드레일 결합수단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정면도,
도 7은 분해 사시도,
도 8은 지주와 가아드레일 및 보강선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지주와 가아드레일과 보강선재 및 충격력감쇠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충격력감쇠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13a는 도 12의 B-B선 단면도,
도 13b는 C-C선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충격력감쇠수단의 정면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제 5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보강선재 및 충격력감쇠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D-D선 단면도,
도 18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일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로 안쪽에서 보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울타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G)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110)와; 지면(G)에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주(110)에 고정되는 가아드레일(120)과; 상기 가아드레일(120)을 지주(110)에 고정하는 가아드레일 고정수단과;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한 가아드레일(120)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G)을 향하여 경사진 단부 가아드레일(150)과;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150)의 타단을 지면(G)에 고정하기 위한 단부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110)는 도로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상기 가아드레일(120)은 도로의 안쪽에 설치된다. 도시 예에서는 가아드레일(120)이 2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3행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지주(110)는 차량 방호 울타리의 기본 구조물로서 그 하단이 지면(G)에 매설, 고정되어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력을 지면(G)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중공형의 원형 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10)를 지면(G)에 매설, 고정하는 구성은 통상적인 차량 방호 울타리의 지주의 매설, 고정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력은 지주(110)의 지면(G)에 인접한 부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 부위의 보강을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110)의 내부 공간에 보강파이프(111)를 삽입,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아드레일(120)은 사각 파이프가 사용되며, 각 행별로 단일 파이프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실질적으로 사각 파이프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복수개의 사각 파이프를 가아드레일 연결구(130)에 의해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아드레일 연결구(130)는 인접하는 가아드레일(120)의 인접 단부가 양측에서 삽입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가아드레일(120)은 인접하는 가아드레일(120)의 인접 단부를 가아드레일 연결구(130)의 양측에 끼우고 나사(S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가아드레일(120)을 구성하는 각 행의 사각 파이프는 레일보강판(132)에 의해 연결되어 가아드레일(120)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레일보강판(132)은 가아드레일(120)을 구성하는 각 행의 사각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부(133)와, 상기 연결부(133)에서 절곡 형성된 절곡편(134)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편(134)에는 고휘도 반사지(135)가 부착된다.
상기 레일보강판(132)은 나사(136)에 의해 가아드레일(120)에 고정된다.
상기 가아드레일 고정수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반원호형 지주밀착면(142)을 가지는 상판(141)과, 상기 상판(141)의 좌 · 우측에 연결, 고정되어 바깥쪽 단부가 상기 지주(110)의 외주면 좌 · 우측에 밀착, 고정되며 그 안쪽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아드레일(120)의 바깥면에 밀착, 고정되는 가아드레일 연결편(144)을 가지는 한 쌍의 지주 연결편(143)으로 되는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4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41)과 한 쌍의 지주연결편(143)은 3개의 부품으로 구성하여 용접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상판과 한 쌍의 지주연결편(143)을 하나의 판체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지주 연결편(143)에는 볼트관통공(145)이 천공되고, 상기 지주(110)에는 상기 볼트관통공(145)에 대응하는 볼트관통공(미도시)이 천공되어 이들 볼트관통공에 관통되는 볼트(B1)에 너트(N1)를 체결하는 것(도 1 참조)에 의해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40)가 지주(110)에 고정되며, 가아드레일 연결편(144)에는 나사관통공(146)이 천공되고 상기 가아드레일(120)에는 나사관통공(146)에 대응하는 나사공(미도시)이 천공되어 나사관통공(146)을 관통하는 나사(S3)를 나사공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가아드레일(120)이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40)를 통해 지주(110)에 고정된다.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150)은 가아드레일(120)과 마찬가지로 사각 파이프가 사용된다.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150)은 윗행의 것이 길고 아랫행의 것이 짧게 설치된다.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150)의 일단과 울타리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하는 가아드레일(120)의 단부는 단부 가아드레일 연결구(16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 연결구(160)는 가아드레일(120)과 단부 가아드레일(150)의 상대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를 이루는 두 개의 관부(161)(16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아드레일(120)과 단부 가아드레일(150)은 단부 가아드레일 연결구(160)를 구성하는 두 개의 관부(161)(162)에 가아드레일(120)의 단부와 단부 가아드레일(150)의 단부를 끼우고 나사(S4)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단부고정수단은 울타리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한 지주(1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지면(G)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단부 지주(170)와;
상기 단부 지주(170)와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한 지주(110) 사이에서 지면(G)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단부 지주(170)에 고정,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150)의 타단이 고정, 연결되는 단부 지지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부 지주(170)는 상기 지주(110)와 같은 방법으로 지면(G)에 매설,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단부 지지대(180)는 도시 예와 같이 한 쌍의 띠형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으나, 사각 파이프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부 지지대(180)의 일단은 상기 단부 지주(170)의 외주면 양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단부 지지대(180)의 일단과 상기 단부 지주(170)를 관통하는 볼트(B2)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2)에 의해 고정, 연결되며, 상기 단부 지지대(180)와 단부 가아드레일(150)의 타단은 단부 지지대(180)와 단부 가아드레일(150)을 관통하는 볼트(B3)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3)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울타리는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그 충격력을 1차적으로 가아드레일(120)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고 2차적으로 단부 가아드레일(150)과 단부 지지대(180) 및 단부 지주(170)를 통해 지면(G)으로 분산시키게 되어 지주(110)들의 꺾임이나 파손 없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울타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G)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110)와; 지면(G)에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주(110)에 고정되는 가아드레일(120)과; 상기 가아드레일(120)을 지주(110)에 고정하는 가아드레일 고정수단과;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한 가아드레일(120)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G)을 향하여 경사진 단부 가아드레일(150)과;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150)의 타단을 지면(G)에 고정하기 위한 단부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지주(11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아드레일(120)과 단부 가아드레일(150)은 그 단면 형상을 채널(channel)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가아드레일 연결구(130)와 단부 가아드레일 연결구(16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부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단부 지주(170)와 단부 지지대(18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아드레일(120)은 내측수직판(121)과, 상기 내측수직판(121)의 상하단에서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된 한 쌍의 수평판(122)과, 상기 수평판(122)의 바깥쪽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고 수직 절곡된 수직절곡편(123)과, 상기 수직절곡편(123)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된 수평절곡편(124)을 가지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150)은 내측수직판(151)과, 상기 내측수직판(151)의 상하단에서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된 한 쌍의 수평판(152)과, 상기 수평판(152)의 바깥쪽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고 수직 절곡된 수직절곡편(153)과, 상기 수직절곡편(153)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된 수평절곡편(154)을 가지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는 가아드레일(120)의 수직절곡부(123)에 밀착되는 수직편(191)과, 상기 수직편(191)의 좌우 양측에서 도로 안쪽으로 절곡되는 양측편(192)과, 상기 양측편(192)의 상하에 고정되며 반원호형 지주밀착면(193)을 가지는 상하편(193)과, 상기 상하편(193)의 안쪽 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절곡편(19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는 모든 구성요소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수직편(191)과 양측편(192)을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하고 상하편(193)과 절곡편(194)을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이들 두 부품을 용접에 의해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측편(192)에는 지주(11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관통공(195)이 천공되고, 상기 절곡편(194)에는 가아드레일(12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관통공(196)이 천공된다.
상기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를 이용하여 지주(110)에 가아드레일(120)을 고정함에 있어서는 양측편(192)에 천공된 볼트관통공(195)과 지주(110)에 천공된 볼트관통공(112)에 볼트(B4)를 관통시키고 이에 너트(N4)를 체결함과 아울러 절곡편(194)에 천공된 나사관통공(196)에 나사(S4)를 관통시켜 가아드레일(120)의 수직절곡부(123)에 천공된 나사공(125)에 체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울타리는 상기 가아드레일(120)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단부고정수단에 고정되는 보강선재(200)와; 상기 보강선재(200)를 상기 지주(110)에 지지함과 아울러 보강선재(20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쇠시키는 충격력감쇠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선재(200)는 와이어로프 또는 강연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선재(200)의 양단부는 고리(201)를 형성하여 상기 단부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단부 지지대(180)에 고정핀(203)으로 고정한다.
도 6의 도시 예에서는 보강선재(200)의 양단부에 고리(201)를 형성하기 위하여 보강선재(200)를 고리모양으로 구부리고 클립(202)을 이용하여 그 단부를 고정하였으나, 통상적인 와이어로프나 강연선의 단부에 고리를 형성하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203)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부 고정대(180)를 관통하는 볼트(204)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205)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충격력감쇠수단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아드레일(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마찰판(210)과, 상기 마찰판(210)과 상기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의 수직편(191) 및 지주(110)를 관통하는 조임볼트(212)와, 상기 조임볼트(202)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선재(200)를 상기 마찰판(210)과의 사이에 조여붙이는 조임절곡부(213) 및, 상기 조임볼트(212)에 체결되는 너트(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찰편(210)과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의 수직편(191)과 지주(110)에는 각각 상기 조임볼트(202)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212)(191a)(113)이 천공된다.
상기 마찰판(210)은 단순히 사각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그 상하단부에서 도로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 절곡편(211)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편(211)은 상기 가아드레일(120)의 수평절곡편(124)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울타리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그 충격력을 1차적으로 가아드레일(120)을 통해 흡수하고 2차적으로 단부 가아드레일(150)과 단부 지지대(180) 및 단부 지주(170)를 통해 지면(G)으로 분산시키게 되어 지주(110)들의 꺾임이나 파손 없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보강선재(200)와 충격력감쇠수단에 의해 감쇠하게 된다.
즉, 가아드레일(120)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가아드레일(120)에 변형이 일어나면, 그 충격력이 보강선재(20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보강선재(200)가 휘어지면서 그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보강선재(200)는 마찰판(210)과 조임볼트(202) 및 조임절곡부(213)에 의해 조여져 있으므로 보강선재(200)와 마찰판(210) 및 조임절곡부(213)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마찰력에 의해 보강선재(200)에 전달된 충격력이 감쇠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인접한 두 지주(110) 사이에서 가아드레일(120)에 차량의 충돌이 일어난 경우, 먼저 그 두 지주(110) 위치에 설치된 한 쌍의 충격력감쇠수단에서 서로 대등한 충격력 감쇠 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이들 한 쌍의 충격력감쇠수단에서 미처 감쇠시키지 못한 충격력은 두 지주(110)와 인접한 두 번째 다른 두 지주(110) 위치에 설치된 한 쌍의 충격력감쇠수단에 의해 또 다시 충격력 감쇠 작용이 일어나게 되며, 여기서도 충격력이 완전히 감쇠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또 다시 세 번째 다른 두 지주(110) 위치에 설치된 한 쌍의 충격력감쇠수단에 의해 또 다시 충격력 감쇠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면서 충격력은 각 지주(110)에 분산됨과 아울러 보강선재(200)의 양단에 이르게 되면, 보강선재(200)의 양단의 고리(201)와 고정된 고정핀(203) 및 단부 지지대(180)에 가해지게 되고, 또 다시 단부 지지대(180)가 고정된 단부 지주(170)에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지면(G)으로 분산된다.
여기서 최초 차량이 충돌한 지점의 양측에 위치한 지주(110)는 가장 큰 충격력을 받게 되고, 그 지주를 기점으로 양단 측으로 갈수록 지주(110)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감쇠된 상태로 되고, 최종적으로 단부 지지대(180)와 단부 지주(170)에 전달되는 충격력은 여러 단계를 거쳐 충격력감쇠수단에 의해 감쇠된 상태로서 단부 지지대(180)와 단부 지주(170)가 지면(G)로부터 뽑혀 나오는 일은 없이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울타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G)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110)와; 지면(G)에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주(110)에 고정되는 가아드레일(120)과; 상기 가아드레일(120)을 지주(110)에 고정하는 가아드레일 고정수단과;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한 가아드레일(120)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G)을 향하여 경사진 단부 가아드레일(150)과;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150)의 타단을 지면(G)에 고정하기 위한 단부고정수단; 및 보강선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는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충격력감쇠수단의 구성을 달리한 것이다.
따라서 충격력감쇠수단을 제외한 구성 요소들과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에 대해서는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충격력감쇠수단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아드레일(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작동판(220)과, 상기 회전작동판(220)의 안쪽 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선재(200)가 끼워지는 파형(波形)의 보강선재 끼움홈(222)과, 상기 회전작동판(220)과 상기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의 수직편(191) 및 지주(110)를 관통하는 지축핀(223)과, 상기 지축핀(22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가지고 상기 회전작동판(220)에 형성되는 원호형 슬릿(224)과, 상기 원호형 슬릿(224)의 중간부에 원호형 슬릿(224)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형공(225)과, 상기 원형공(225)을 통해 상기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의 수직편(191) 및 지주(110)를 관통하는 충격력감쇠핀(2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작동판(220)은 단순한 사각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그 상하단부에서 도로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 절곡편(221)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편(221)은 상기 가아드레일(120)의 수평절곡편(124)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작동판(220)에는 지축핀(223)이 끼워지는 지축핀공(227)이 형성되고,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의 수직편(191)과 지주(110)에는 지축핀(223)이 관통되는 지축핀 관통공(228)(114)이 형성된다.
상기 지축핀(223)은 볼트(223a)와 너트(223b)로 구성하고, 충격력감쇠핀(226)은 볼트(226a)와 너트(226b)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아드레일(120)의 수직절곡편(123)과 수평절곡편(124)에는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의 양측으로 소성변형 유도용 노치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울타리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량이 충돌하였을 대 그 충격력을 1차적으로 가아드레일(120)을 통해 흡수하고 2차적으로 단부 가아드레일(150)과 단부 지지대(180) 및 단부 지주(170)를 통해 지면(G)으로 분산시키게 됨과 아울러 보강선재(200)와 충격력감쇠수단에 의하여 감쇠하게 된다.
즉, 가아드레일(120)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가아드레일(120)에 변형이 일어나면, 그 충격력이 보강선재(20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보강선재(200)가 휘어지면서 그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게 되는데, 보강선재(200)는 회전작동판(220)에 파형으로 형성된 보강선재 끼움홈(222)에 끼워져 있으므로 보강선재(200)의 인장력이 회전작동판(220)을 측방(좌측 또는 우측)으로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여 회전작동판(220)에는 지축핀(223)을 중심으로 회전모멘트가 생기게 되며, 회전작동판(220)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작동판(220)에 형성된 원형공(225)에 끼워져 있는 충격력흡수핀(226)에 의해 회전작동판(220)에 형성된 슬릿(224)이 확장되는 소성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소성변형에 수반하여 보강선재(200)에 가해진 충격력이 감쇠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작동판(220)이 회전하면서 충격력감쇠 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회전작동판(220)의 절곡편(221)과 가아드레일(120)의 수직절곡편(123)과 수평절곡편(124)의 간섭에 의해 가아드레일(120)의 수직절곡편(123)과 수평절곡편(124)이 소성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충격력감쇠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아드레일(120)의 수직절곡편(123)과 수평절곡편(124)에는 소성변형 유도용 노치부(12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아드레일(120)의 수직절곡편(123)과 수평절곡편(124)의 소성변형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울타리는 충격력감쇠수단을 구성하는 회전작동판(220)의 안쪽 면에 형성되는 보강선재 끼움홈(227)이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울타리는 그 작용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방호 울타리의 제 5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울타리는 직선작동판(230)을 구비한 충격력감쇠수단을 포함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력감쇠수단은 상기 가아드레일(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직선작동판(230)과, 상기 직선작동판(230)의 안쪽 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선재(200)를 파형으로 지지하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3개)의 보강선재 클립(232)과, 상기 직선작동판(230)의 상측 중앙부와 하측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직선형 슬릿(233)과, 상기 직선형 슬릿(233)의 중간부에 직선형 슬릿(233)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형공(234)과, 상기 원형공(234)을 통해 상기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의 수직편(191)및 지주(110)를 관통하는 충격력감쇠핀(2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선작동판(230)은 단순한 사각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그 상하단부에서 도로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 형성되는 절곡편(231)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편(231)은 상기 가아드레일(120)의 수평절곡편(124)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아드레일 고정부재(190)의 수직편(191)과 지주(110)에는 충격력감쇠핀(235)이 관통되는 충격력감쇠핀 관통공(191b)(115)이 형성된다.
상기 충격력감쇠핀(235)은 볼트(235a)와 너트(235b)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 울타리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량이 충돌하였을 대 그 충격력을 1차적으로 가아드레일(120)을 통해 흡수하고 2차적으로 단부 가아드레일(150)과 단부 지지대(180) 및 단부 지주(170)를 통해 지면(G)으로 분산시키게 됨과 아울러 보강선재(200)와 충격력감쇠수단에 의하여 감쇠하게 된다.
즉, 가아드레일(120)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가아드레일(120)에 변형이 일어나면, 그 충격력이 보강선재(20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보강선재(200)가 휘어지면서 그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게 되는데, 보강선재(200)는 직선작동판(230)에 지그재그 선상에 구비된 보강선재 클립(232)에 끼워져 있으므로 보강선재(200)의 인장력이 직선작동판(230)을 측방(좌측 또는 우측)으로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여 직선작동판(230)에는 측방으로 직선 운동하게 되고, 직선작동판(230)에 형성된 원형공(234)에 끼워져 있는 충격력감쇠핀(235)에 의해 직선작동판(230)에 형성된 직선형 슬릿(233)이 확장되는 소성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소성변형에 수반하여 보강선재(200)에 가해진 충격력이 감쇠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직선작동판(230)이 직선운동하면서 충격력감쇠 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직선작동판(230)의 절곡편(231)과 가아드레일(120)의 수직절곡편(123)과 수평절곡편(124)의 간섭에 의해 가아드레일(120)의 수직절곡편(123)과 수평절곡편(124)이 소성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충격력감쇠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110 : 지주 120 : 가아드레일
130 : 가아드레일 연결구 140 : 가아드레일 고정부재
150 : 단부 가아드레일 160 : 단부 가아드레일 연결구
170 : 단부 지주 180 : 단부 가아드레일
190 : 가아드레일 고정부재

Claims (3)

  1.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G)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110)와; 지면(G)에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주(110)에 고정되는 복수 행의 가아드레일(120)과; 상기 가아드레일(120)을 지주(110)에 고정하는 가아드레일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가아드레일(120)은 내측수직판(121)과, 상기 내측수직판(121)의 상하단에서 안쪽으로 수평 절곡된 한 쌍의 수평판(122)과, 상기 수평판(122)의 바깥쪽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고 수직 절곡된 수직절곡편(123)과, 상기 수직절곡편(123)의 단부에서 안쪽으로 수평 절곡된 수평절곡편(124)을 가지는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한 상기 가아드레일(120)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G)을 향하여 경사진 복수 행의 단부 가아드레일(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150)은 내측수직판(151)과, 상기 내측수직판(151)의 상하단에서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된 한 쌍의 수평판(152)과, 상기 수평판(152)의 바깥쪽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고 수직 절곡된 수직절곡편(153)과, 상기 수직절곡편(153)의 단부에서 안쪽으로 수평 절곡된 수평절곡편(154)을 가지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150)의 타단을 지면(G)에 고정하기 위한 단부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방호 울타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고정수단은 울타리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한 지주(1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지면(G)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단부 지주(170)와;
    상기 단부 지주(170)와 설치 구역 양단에 위치한 지주(110) 사이에서 지면(G)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단부 지주(170)에 고정,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단부 가아드레일(150)의 타단이 고정, 연결되는 단부 지지대(1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 울타리.
KR1020100041926A 2010-05-04 2010-05-04 차량 방호 울타리 KR10119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926A KR101199309B1 (ko) 2010-05-04 2010-05-04 차량 방호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926A KR101199309B1 (ko) 2010-05-04 2010-05-04 차량 방호 울타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388A Division KR100970934B1 (ko) 2009-12-04 2010-03-24 차량 방호 울타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249A KR20110107249A (ko) 2011-09-30
KR101199309B1 true KR101199309B1 (ko) 2012-11-12

Family

ID=4495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926A KR101199309B1 (ko) 2010-05-04 2010-05-04 차량 방호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3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449Y1 (ko) * 1998-12-21 2002-04-13 이구택 도로폭이제한된고가도로용철재박스형중앙분리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449Y1 (ko) * 1998-12-21 2002-04-13 이구택 도로폭이제한된고가도로용철재박스형중앙분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249A (ko) 201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7914A1 (en) Guardrail end shock absorbing device
KR101640859B1 (ko)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
KR101709576B1 (ko)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구조
MX2011010257A (es) Ensamble de valla de seguridad, poste de soporte de separacion para una valla de seguridad y metodos para el ensamble y uso de los mismos.
RU2619562C2 (ru) Гибкий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барьер с повышенной способностью поглощения энергии удара
US7556243B2 (en) High tension cable to metal beam guide fence transition
IL155228A (en) Guardrail terminals
JP2013119736A (ja) 車両用防護柵
KR100970934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101199309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200432896Y1 (ko) 와이어케이블을 이용하는 가드레일 지주보강구조
KR101973588B1 (ko) 휀스
JP2023041907A (ja) 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用支柱
KR102319139B1 (ko) 휀스
EP3918133A1 (en) Road restraint system with elements for anchorage of the poles to improve performance
KR100797863B1 (ko) 방호 울타리
EP2333159A1 (de) Schutzplankenkonstruktion
WO2015019140A1 (de) Pfosten für ein steinschlag-fangnetz sowie steinschlag-fangnetz
KR100823594B1 (ko) 방호 울타리
KR100872088B1 (ko) 차량용 방호울타리
KR101898252B1 (ko) 가드레일의 단부처리 구조체 시공방법
KR200287841Y1 (ko) 와이어 로프가 내장된 차량 방호 울타리
KR200228307Y1 (ko) 가드레일
KR102299390B1 (ko) 지주와 횡대의 체결 보강장치를 구비한 펜스
KR101259931B1 (ko)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