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609B1 -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609B1
KR101198609B1 KR1020100048993A KR20100048993A KR101198609B1 KR 101198609 B1 KR101198609 B1 KR 101198609B1 KR 1020100048993 A KR1020100048993 A KR 1020100048993A KR 20100048993 A KR20100048993 A KR 20100048993A KR 101198609 B1 KR101198609 B1 KR 10119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ylinder
dredging
discharge
discharge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926A (ko
Inventor
신영구
Original Assignee
신영구
주식회사 아이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구, 주식회사 아이렉스 filed Critical 신영구
Priority to KR102010004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6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58Submerg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E02F3/9268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with rotating cut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adapted for working ground under 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10Pipelines for conveying excavat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준설선의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준설선 배출관의 배출구에는 배출용 버킷(10)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용 버킷(10)에는 준설바닥을 굴착하는 원통형 굴착기(20)가 설치되는 것으로. 준설토 배출관 전단에 있는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 굴착용 로드비트가 조합되어 장착된 원통형 굴착기를 구비하여 단단하게 굳어진 준설대상인 수면 아래의 지반을 파쇄하면서 굴착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하고, 또한 상기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 원통형 굴착기를 형성시켜 준설효율을 향상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A DREDGER WITH DRUM EXCAVATOR}
본 발명은 강 또는 하천, 저수지, 수로, 항만, 항로 등의 바닥에 퇴적된 퇴적물이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수질오염 및 자연재해의 원인이 되고 있어 수질을 개선하고 홍수 및 가뭄 등의 자연재해에 대비하고 항로, 항만의 작업 깊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준설이 필요할 때 사용되는 준설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준설선 배출관의 배출구에 연결된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되어, 단단하게 굳어진 수면 아래의 지반인 준설바닥을 파쇄하면서 분리시켜 배출하는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 또는 하천, 저수지, 수로, 항만, 항로 등에서 바닥의 깊이를 깊게 하기 위한 준설작업과 바닥의 진흙, 모래, 암석, 광물 등을 굴착하는 작업과 해상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기초공사와, 수중 바닥에 있는 각종 오물들을 지상으로 올려 폐기하는 작업 등에 사용되는 각종 준설선에 있어서, 준설할 지역의 물의 깊이와 바닥 토질의 종류 및 준설된 물질의 운반거리 등에 따라 각각 적당한 설비와 장치를 갖춘 준설선을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준설선의 종류에는 디퍼 준설선(dipper dredger), 그래브 준설선(grab dredger), 래더 준설선(ladder dredger), 흡입식 준설선(hydraulic dredger) 등이 있다.
상기 디퍼 준설선은 동력으로 작동되는 동력 삽(shovel)으로 준설하는 방법으로 주로 준설바닥이 모래나 진흙으로 형성된 곳에 사용되며, 또한 상기 그래브 준설선은 그래브 버킷을 줄에 매달아 그래브를 벌린 채 물속으로 하강한 후 그래브를 다물면서 바닥에 있는 물질을 들어 올리는 것으로 깊이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준설바닥이 흙, 모래, 자갈일 때 많이 사용하며, 또한 상기 래더 준설선은 상향식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사다리를 물밑까지 내리고 체인으로 연결된 많은 버킷(양동이)들이 사다리 주위를 돌게 하면서 빈 버킷이 사다리의 뒷면을 타고 내려와 준설바닥의 흙, 모래 등을 긁어 담아서 사다리의 앞면을 타고 올라간 후 내려오는 순간 상기 버킷에 담긴 흙, 모래 등을 배출하는 준설선이다.
또한 흡입식 준설선은 원심력 펌프로 수면 아래 준설바닥의 진흙, 모래, 자갈 등을 물과 함께 퍼 올려 준설하는 방법으로 상기 흡입식 준설선 중에는 흡입구 전단에 인접하여 각종 커터를 설치하여 상기 커터의 회전으로 준설대상인 준설바닥의 진흙, 모래, 자갈 등을 분산시켜 흡입을 쉽게 하는 준설선이 있는데, 상기 준설선 중 흡입식 준설선은 준설선의 준설토 흡입관 전단에 있는 흡입용 버킷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준설선 붐(boom)의 전단에 장착되는 준설바닥의 굴착수단으로 각종 커터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커터들은 준설대상인 준설바닥을 굴착하여 분산시켜 흡입펌프로 흡입이 용이하게 하여 준설효율을 즉 함니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커터들이 준설바닥에 퇴적된 암석이나 단단하게 굳어진 퇴적물에 사용되면 상기 커터들이 파손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준설토 흡입관 전단에 있는 흡입용 버킷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준설선 붐(boom)의 전단에 장착되어 준설바닥의 굴착수단으로 사용되는 커터가 상기 흡입용 버킷과 분리되어 있어 준설효율을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준설공사에서 사용되는 준설선에 장착되며, 준설선 배출관의 배출구에 연결된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 굴착용 로드비트가 조합되어 장착된 원통형 굴착기를 구비하여 단단하게 굳어진 수면 아래의 지반을 파쇄하면서 굴착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하고, 상기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 원통형 굴착기를 형성시켜 준설효율을 향상하는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준설선의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준설선 배출관의 배출구에는 배출용 버킷(10)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용 버킷(10)에는 준설바닥을 굴착하는 원통형 굴착기(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준설공사에서 사용되는 준설선에 장착되며, 준설선 배출관의 배출구에 연결된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 굴착용 로드비트가 조합되어 장착된 원통형 굴착기를 구비하여 단단하게 굳어진 수면 아래의 지반을 파쇄하면서 굴착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하고, 또한 상기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 원통형 굴착기를 형성시켜 준설효율을 향상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원통형 굴착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원통형 굴착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에어 분출공의 위치도
본 발명은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준설선의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준설선 배출관의 배출구에는 배출용 버킷(10)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용 버킷(10)에는 준설바닥을 굴착하는 원통형 굴착기(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용 버킷(10)은 사각형 기둥통의 형태로 형성되어, 네 개의 측벽은 바닥과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 면은 사각뿔 형태로 되어 꼭지점의 중앙 지점에 준설토 배출구로 연결되는 배출공(11)이 있고, 하부의 바닥면은 가장자리의 일부만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굴착기(20)는 상기 배출용 버킷(10) 내부의 양 측벽에 장착되고 준설바닥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외부면에 다수 개의 에어 분출공(22)이 형성된 원통(21)과, 상기 원통에 형성된 각각의 에어 분출공(22)의 상부에 장착되며 또한 중앙에 에어 분사공(25)이 형성되어 준설바닥의 굴착수단으로 사용되는 다수 개의 굴착용 로드비트(23)와, 상기 굴착용 로드비트(23)의 에어 분사공(25)을 통하여 상기 배출용 버킷(10)의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승기류를 만들어 배출효율을 향상하며, 상기 원통(21)의 내부에 원통(21)과 동심으로 설치되며 상기 배출용 버킷(10)의 양 측벽에 고정되는 에어 노즐 파이프(24)와, 상기 에어 노즐 파이프(24)를 통하여 상기 원통(21) 내부로 분사된 고압의 에어를 상기 굴착용 로드비트(23)의 분사공(25)을 통하여 상기 배출용 버킷(10)의 내부로 분사할 때 상기 원통(21) 내부의 일정구간을 폐쇄하여 고압 에어를 일정구간 폐쇄시키는 에어 폐쇄장치(26)가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원통형 굴착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원통형 굴착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에어 분출공의 위치도이다.
상기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은 준설바닥과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원통의 양측, 즉 원형으로 된 측벽의 중심에는 회전축이 장착되고, 또한 상기 배출용 버킷의 측벽에 장착되어 모터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원통은 상기 배출용 버킷의 하부면 외부로, 즉 바닥 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또한 원통의 외부면에는 다수 개의 에어 분출공이 형성 되는데, 에어 분출공이 형성되는 위치는 원통의 외부면에 나선을 가상하여 나선을 따라 설치하는데, 원통의 외부면을 평면으로 보았을 때 세로선상에서 에어 분출공이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하고, 또한 원통이 일회전 하였을 때 원통과 바닥면이 접하는 하나의 접선이 발생되는데 하나의 접선 모두에 에어 분출공이 통과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원통의 외부면에는 준설바닥의 굴착수단으로 사용되며, 상기 원통에 형성된 각각의 에어 분출공의 상부에 장착된 다수 개의 굴착용 로드비트가 장착되는데, 상기 굴착용 로드비트는 초경합금의 재질을 사용하고, 원통이 회전하는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장착하며, 또한 굴착용 로드비트의 에어 분사공(25)을 통하여 배출용 버킷의 내부로 고압 에어를 분사하여 상승기류를 형성시켜 배출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원통형 굴착기의 원통 내부에는 원통과 동심인 에어 노즐파이프가 장착되는데, 에어 노즐파이프는 배출용 버킷의 양 측벽에 고정되어 외부에서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아 회전하는 원통의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키며, 또한 에어 노즐파이프를 통하여 원통 내부로 분출된 고압의 에어를 굴착용 로드비트의 에어 분사공을 통하여 배출용 버킷의 내부로 분사하는데, 이때 원통 내부의 일정구간을 폐쇄하여 고압에어의 분사를 일정구간 폐쇄시키는 에어 폐쇄장치가 상기 원통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 폐쇄장치가 고압의 에어를 폐쇄하는 구간은 원통의 측벽을 정면에서 볼 때 원통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 때 1시에서 5시까지의 구간이 폐쇄 되도록 하여 굴착용 로드비트가 상승시만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게 하여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는 상승기류만 발생하게 하며, 또한 상기 에어 폐쇄장치는 에어 노즐파이프에 고정되고, 원통 내면에 접하여 시계 바늘이 1시에서 5시까지 움직이는 공간의 형상으로 원호기둥을 형성시켜 장착한다.
본 발명의 도 1은 원통형 굴착기의 정면도이며, 준설선 배출관의 배출구에 연결되며 사각형 기둥통의 형태로 형성되어, 네 개의 측벽은 바닥과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 면은 사각뿔 형태로 되어 꼭지점의 중앙 지점에 준설토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의 바닥면은 가장자리의 일부만 남기고 사각공으로 형성된 배출용 버킷과, 상기 배출용 버킷 내부에 장착되어 준설바닥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회전하고 또한 외부면에 다수 개의 에어 분출공이 설치된 원통과, 상기 원통의 외부면에 준설바닥의 굴착수단으로 사용되며 원통 외부면에 형성된 각각의 에어 분사공(25)의 상부에 장착된 다수 개의 굴착용 로드비트와, 상기 원통형 굴착기 내부에 원통과 동심으로 설치되며 배출용 버킷의 양측 측벽에 고정된 에어 노즐 파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원통형 굴착기의 측면도이며, 상기 원통의 외부면에 준설바닥의 굴착수단으로 사용되며, 원통에 외부면에 설치된 각각의 에어 분출공의 상부에 장착된 다수 개의 굴착용 로드비트가 장착되며, 원통이 회전하는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장착되는 것과, 또한 상기 굴착용 로드비트의 에어 분사공(25)을 통하여 상기 배출용 버킷의 내부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어 거품이 일어나면서 상승기류가 형성됨으로써 준설토사를 부양배출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굴착기의 원통 내부에 원통과 동심인 에어 노즐파이프가 장착되고, 에어 노즐파이프는 배출용 버킷의 양측의 측벽에 고정되어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아 회전하는 원통의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과, 상기 에어 노즐파이프를 통하여 원통 내부로 분출된 고압의 에어를 굴착용 로드비트의 에어 분사공을 통하여 배출용 버킷의 내부로 분사할 때 원통 내부의 일정구간을 폐쇄하여 고압 에어의 분사를 일정구간 폐쇄시키는 에어 폐쇄장치가 상기 원통 내부에 형성되며, 에어 폐쇄장치가 고압의 에어를 폐쇄하는 구간은 원통의 측벽을 정면에서 볼 때 원통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때 1시에서 5시까지의 구간이 폐쇄 되도록 하여 굴착용 로드비트가 상승시만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게 하여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는 상승기류만 발생하며, 또한 에어 폐쇄장치가 에어 노즐파이프에 고정되고, 원통 내면에 접하여 시계 바늘이 1시에서 5시까지 움직이는 공간의 형상으로 원호기둥을 형성하는 에어 폐쇄기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원통 외부면에 형성되는 에어 분출공의 위치도이며, 에어 분출공이 형성되는 위치는 원통의 외부면에 나선을 가상하여 나선을 따라 형성되며, 원통의 외부면을 평면으로 보았을 때 세로선상에서 상기 에어 분출공이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되고, 또한 원통이 일회전 하였을 때 원통과 바닥면이 접하는 하나의 접선이 발생되는데 하나의 접선 모두에 상기 에어 분출공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준설공사에서 사용되는 준설선에 장착되며, 준설토 배출관 전단에 있는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 굴착용 로드비트가 조합되어 장착된 원통형 굴착기를 구비하여 단단하게 굳어진 준설대상인 수면 아래의 지반을 파쇄하면서 굴착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하고, 또한 상기 배출용 버킷의 내부에 원통형 굴착기를 형성시켜 준설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10 : 배출용 버킷 11 : 배출공 20 : 원통형 굴착기 21 : 원통
22 : 분출공 23 : 굴착용 로드비트 24 : 에어 노즐 파이프
25 : 분사공 26 : 에어 폐쇄장치

Claims (3)

  1. 준설선의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준설선 배출관의 배출구에는 배출용 버킷(10)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용 버킷(10)에는 준설바닥을 굴착하는 원통형 굴착기(20)가 설치되되,
    상기 배출용 버킷(10)은 사각형 기둥통의 형태로 형성되어, 네 개의 측벽은 바닥과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 면은 사각뿔 형태로 되어 꼭지점의 중앙 지점에 준설토 배출구 연결되는 배출공(11)이 있고, 하부의 바닥면은 가장자리의 일부만 남기는 것이며,
    또한, 상기 원통형 굴착기(20)는 상기 배출용 버킷(10) 내부의 양 측벽에 장착되고 준설바닥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외부면에 다수 개의 에어 분출공(22)이 형성된 원통(21)과, 상기 원통에 형성된 각각의 에어 분출공(22)의 상부에 장착되며 또한 중앙에 에어 분사공(25)이 형성되어 준설바닥의 굴착수단으로 사용되는 다수 개의 굴착용 로드비트(23)와, 상기 굴착용 로드비트(23)의 에어 분사공(25)을 통하여 상기 배출용 버킷(10)의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승기류를 만들어 배출효율을 향상하며, 상기 원통(21)의 내부에 원통(21)과 동심으로 설치되며 상기 배출용 버킷(10)의 양 측벽에 고정되는 에어 노즐 파이프(24)와, 상기 에어 노즐 파이프(24)를 통하여 상기 원통(21) 내부로 분사된 고압의 에어를 상기 굴착용 로드비트(23)의 분사공(25)을 통하여 상기 배출용 버킷(10)의 내부로 분사할 때 상기 원통(21) 내부의 일정구간을 폐쇄하여 고압 에어를 일정구간 폐쇄시키는 에어 폐쇄장치(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00048993A 2010-05-26 2010-05-26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 KR101198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93A KR101198609B1 (ko) 2010-05-26 2010-05-26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93A KR101198609B1 (ko) 2010-05-26 2010-05-26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926A KR20100076926A (ko) 2010-07-06
KR101198609B1 true KR101198609B1 (ko) 2012-11-07

Family

ID=4263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993A KR101198609B1 (ko) 2010-05-26 2010-05-26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186A (ko) 2021-12-17 2023-06-26 김석규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04358B (zh) * 2024-05-21 2024-08-02 兰州资源环境职业技术大学 一种土壤污染修复用修复剂投放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083A (ja) * 2001-09-06 2003-03-12 Toyo Denki Industrial Co Ltd 水底堆積物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083A (ja) * 2001-09-06 2003-03-12 Toyo Denki Industrial Co Ltd 水底堆積物搬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186A (ko) 2021-12-17 2023-06-26 김석규 수심에 따라 변형되는 가변형 준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926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27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installation of underground containment barriers under contaminated lands
US20070166107A1 (en) Subsea excavation and suction device
CN212223929U (zh) 一种用于沉井不排水下沉施工工艺的冲吸装置
KR100729864B1 (ko) 준설선
WO2010111947A1 (zh) 建造水下构筑物的液化弃土施工方法
KR101113208B1 (ko) 조립형 준설선과 그 조립방법
KR200425184Y1 (ko) 준설선
KR101198609B1 (ko) 원통형 굴착기가 설치된 준설장치
JP2008223338A (ja) 基礎杭施工装置
JP2006214263A (ja) 浚渫装置
CN112962525B (zh) 一种疏浚土充灌筑堤结构及其充灌袋筑堤方法
CN102733391B (zh) 一种桩体水下切割的施工方法
CN209603220U (zh) 一种挖泥船的吸泥装置
KR20100080662A (ko) 고압 분사 굴착 공법 및 이를 위한 고압수 분사기능을 구비한 지반개량용 굴착장치
JP3194786U (ja) 浚渫用先端アタッチメント
KR20100053718A (ko)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CN113026848B (zh) 刨铣法连续式高喷防渗墙施工方法
CN211973547U (zh) 一种沉井不排水下沉施工设备
JP3217038B2 (ja) 地盤掘下げ装置および筒状地下構造体の形成法
CN208152124U (zh) 一种用于河道整治的吸泥罩装置
KR100997373B1 (ko) 준설 플랜트 장치
KR20110083935A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KR200171739Y1 (ko) 흡입식 준설장치
KR200275366Y1 (ko) 지중 물막이 연속벽 구축장치
KR20010026233A (ko) 흡입식 준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