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999B1 - 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999B1
KR101197999B1 KR1020110045362A KR20110045362A KR101197999B1 KR 101197999 B1 KR101197999 B1 KR 101197999B1 KR 1020110045362 A KR1020110045362 A KR 1020110045362A KR 20110045362 A KR20110045362 A KR 20110045362A KR 101197999 B1 KR101197999 B1 KR 101197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accelerated
feed rate
accelerated cooling
cool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충재
안건
안성철
신동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4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3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heets of limited length, e.g. folded sheets, superimposed sheets, pack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3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heets of limited length, e.g. folded sheets, superimposed sheets, pack rolling
    • B21B2001/386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강판의 제조방법은 압연기와 압연기에 의해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간들을 포함하는 가속 냉각기 및 가속 냉각기에 의해 가속 냉각된 강판을 열간 교정하기 위한 열간 교정기를 이용한 강판의 제조방법으로서, 복수의 구간들 중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간을 가속 냉각 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가속 냉각 구간 동안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키는 단계;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한 가속 냉각된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단계; 및 제한된 이송 속도로 가속 냉각된 강판을 열간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강판의 열간 교정 효율(즉, 강판의 평탄도)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METHOD OF APPARATUS FOR FABRICATING STEEL PLATE}
본 발명은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여 열간 교정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판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압연 및 가속냉각 프로세스(On-line accelerated cooling process)에 따라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그 하나가 제어 압연 및 가속 냉각 작업을 통해 온도 제어를 하는 TMCP(Thermo Mechanical Control Process)강과 온도 제어를 하지 않고 일반 압연을 실시하는 일반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강도, 인성, 용접성 등 기계적 성질을 확보하기 위해 후판의 기본 공정인 가열 공정부터 압연 공정, 가속 냉각 공정(TMCP강만 해당), 열간 교정 공정 등의 세부 단위 공정들을 필수적으로 거치고, 미세조직(microstructure)을 제어하여 물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제품의 형상품질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제품의 형상품질이라 함은 고객이 요구하는 제품의 평탄도(C만곡, 사이드 웨이브 등)을 말한다.
통상 평탄도의 발생 형태 및 원인은 압연 작업시 길이 방향 및 폭방향의 하중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압연성 평탄도 불량과, 가속 냉각 작업시 강판 상하부의 온도차이, 강판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가속 냉각성 평탄도 불량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평탄도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열간 교정기를 통해 강판의 잔류 응력을 해소하여 강판을 평탄하게 하는 열간 교정 작업을 행하게 된다.
특히 열간 교정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강판의 이송 속도 , 교정기 롤갭, 롤크라운 등을 설정하게 되는데, 교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강판의 이송 속도는 최대한 저속으로 설정하여 교정하는 것이 평탄도 향상에 유리하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의하면, 가속 냉각기를 통과하면서 가속된 강판의 이송 속도 그대로 열간 교정기를 통과하기 때문에 강판의 열간 교정 효율(즉, 강판의 평탄도)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여 강판의 열간 교정 효율(즉, 강판의 평탄도)을 높일 수 있는 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압연기와 상기 압연기에 의해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간들을 포함하는 가속 냉각기 및 상기 가속 냉각기에 의해 가속 냉각된 강판을 열간 교정하기 위한 열간 교정기를 이용한 강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구간들 중 상기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간을 가속 냉각 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가속 냉각 구간 동안 상기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한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을 열간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한 시점의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이송 속도를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이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하는 시점의 이송 속도 보다 낮은 속도를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하는 시점은,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후단이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완전히 통과한 시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압연기;
상기 압연기에 의해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간들을 포함하는 가속 냉각기;
상기 가속 냉각기에 의해 가속 냉각된 강판을 열간 교정하기 위한 열간 교정기; 및
상기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구간들 중 상기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간을 상기 가속 냉각기의 가속 냉각 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가속 냉각기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가속 냉각 구간 동안 상기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키며,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한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한하고,
상기 열간 교정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을 열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하는 시점의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이송 속도를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하거나, 또는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이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하는 시점의 이송 속도 보다 낮은 속도를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하는 시점은,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후단이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완전히 통과한 시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한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한함으로서, 열간 교정기를 저속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강판의 열간 교정 효율(즉, 강판의 평탄도)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속 냉각기의 가속 냉각 구간에 따라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강판의 열간 교정 효율(즉, 강판의 평탄도)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강판의 제조 장치는 강판(S)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사상 압연기(100)와, 압연된 강판(S)을 가속 냉각시키기 위한 가속 냉각기(110)와, 가속 냉각된 강판(S)을 열간 교정하기 위한 열간 교정기(120)와, 이송되는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는 이송속도 제어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판의 제조 장치는 간이 교정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제조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상 압연기(finishing mill)(100)는 슬래브를 고객이 요구하는 사이즈에 맞게 연속적으로 압연함으로써, 강판(S)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압연된 강판(S)은 간이 교정기(130)로 이송될 수 있다.
간이 교정기(130)는 압연된 강판을 간이 교정하여 강판(S)의 평탄도를 개선시키는 장치로, 이러한 간이 교정기(130)는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속 냉각기(110)('MULPIC'이라고도 함)는 다수의 가속 냉각 구간(A 뱅크 내지 G 뱅크, 여기서, '뱅크'라는 용어는 각각의 가속 냉각 구간을 의미함)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가속 냉각 구간(A 뱅크 내지 G 뱅크)은 필요에 따라 설정된 가속 냉각 구간만이 가동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A 뱅크 내지 C 뱅크의 가속 냉각 구간만이 압연된 강판(S)을 가속 냉각하는데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가속 냉각기(110)는 압연된 강판(S)을 가속 냉각시키며, 가속 냉각된 강판(S)을 열간 교정기(1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열간 교정기(120)는 가속 냉각된 강판(S)에 대해 열간 교정(hot levelling)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강판(S)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열간 교정 이후 추가적으로 냉간 교정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송속도 제어모듈(140)은 사상 압연기(100), 간이 교정기(130), 가속 냉각기(110) 및 열간 교정기(12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사상 압연기(100)를 통과한 강판(S)은 1차 이송 속도로 간이 교정기(130)로 이송되며, 1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이후 1차 감속이 이루어진 가속 냉각 진입 속도로 간이 교정기(130)를 통과하여 가속 냉각기(110)의 첫번째 가속 냉각 구간(A 뱅크)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 가속 냉각기(110)를 통과하는 동안 강판(S)의 속도는 점차적으로 가속하게 된다(도 1의 '가속 구간'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이송속도 제어모듈(140)은 강판(S)이 가속 냉각기(110)의 복수의 구간들(A 뱅크 내지 G 뱅크) 중 설정된 가속 냉각 구간(도 1에서는 A 뱅크 내지 C 뱅크)을 통과한 시점(T)의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열간 교정기(120)로 진입되는 속도(도 1에서는 '가속 냉각 탈출 속도'로 표기됨)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송속도 제어모듈(140)은, 도 1의 M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이 가속 냉각 구간(도 1에서는 A 뱅크 내지 C 뱅크)을 통과한 시점(T)의 강판(S)의 이송속도를 가속냉각 탈출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속도 제어모듈(140)은, 도 1의 M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이 가속 냉각 구간(도 1에서는 A 뱅크 내지 C 뱅크)을 통과한 시점(T)의 강판(S)의 이송속도보다 낮은 속도를 가속냉각 탈출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강판(S)의 후단이 가속 냉각 구간(A 뱅크 내지 C 뱅크)을 완전히 통과한 시점(T)을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시점으로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강판(S)의 선단이 가속 냉각 구간의 마지막 구간(C 뱅크)에 도달하는 시점을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시점으로 하거나, 강판(S)의 중단이 가속 냉각 구간의 마지막 구간(C 뱅크)에 도달하는 시점을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시점으로 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표 1은 강판(S)의 두께와 강판(S)의 길이에 따른 가속냉각 탈출속도를 예시한 것으로, 설정된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한 시점(T)의 강판(S)의 이송 속도를 가속 냉각 탈출 속도로 제한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가속 냉각 탈출 속도 가속 냉각 탈출 속도
강판두께(20mm)×강판길이(20M) 1.353m/s (B 뱅크) 1.525m/s (G 뱅크)
강판두께(60mm)×강판길이(10M) 0.624m/s (D 뱅크) 0.661m.s (G 뱅크)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20mm)×길이(20M)인 강판(S)에 대해서 A 뱅크 내지 B 뱅크를 가속 냉각 구간으로 설정한 경우,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속 냉각 탈출 속도는 1.353m/s이다. 이는 가속 냉각기(110)의 실질적인 가속 구간인 가속 냉각 구간을 고려하지 않고 가속 냉각기(110)의 마지막 구간인 G 뱅크의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일률적으로 가속 냉각 탈출 속도(1.525m/s)로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열간 교정기(120)로 진입하는 속도를 대략 11% 정도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60mm)×길이(10M)인 강판(S)에 대해서 A 뱅크 내지 D 뱅크를 가속 냉각 구간으로 설정한 경우,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속 냉각 탈출 속도는 0.624m/s이다. 이는 가속 냉각기(110)의 실질적인 가속 구간인 가속 냉각 구간을 고려하지 않고 가속 냉각기(110)의 마지막 구간인 G 뱅크의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일률적으로 가속 냉각 탈출 속도(0.661m/s)로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열간 교정기(120)로 진입하는 속도를 대략 6% 정도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속 냉각기(110)의 가속 냉각 구간을 고려하여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강판의 열간 교정 효율(즉, 강판의 평탄도)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발명의 간명화를 위해 도 1에서 설명된 사항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0에서, 이송속도 제어모듈(140)은 가속 냉각기(110)의 복수의 구간들(A 뱅크 내지 G 뱅크) 중 압연된 강판(S)을 가속 냉각시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간을 가속 냉각 구간(A 뱅크 내지 C 뱅크)으로 설정한다.
이후 단계 201에서, 사상 압연기(100)에 의해 압연된 강판(S)은 1차 이송 속도로 간이 교정기(130)를 통과하며 1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이후 1차 감속이 이루어진 가속 냉각 진입 속도로 간이 교정기(130)를 통과하여 가속 냉각기(110)의 첫번째 가속 냉각 구간(A 뱅크)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 가속 냉각기(110)의 나머지 가속 냉각 구간(B 뱅크 및 C 뱅크)를 통과하는 강판(S)의 속도는 점차적으로 가속하게 된다(도 1의 '가속 구간' 참조).
이후, 단계 202에서, 이송속도 제어모듈(140)은 강판(S)이 가속 냉각 구간(A 뱅크 내지 C 뱅크)를 통과했는지 판단한다. 강판(S)이 가속 냉각 구간(A 뱅크 내지 C 뱅크)를 완전히 통과했다면 단계 203으로, 통과하지 않았다면 단계 201로 진행한다.
단계 203에서, 이송속도 제어모듈(140)은 강판(S)이 가속 냉각기(110)의 복수의 구간들(A 뱅크 내지 G 뱅크) 중 설정된 가속 냉각 구간(도 1에서는 A 뱅크 내지 C 뱅크)을 통과한 시점(T)의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열간 교정기(120)로 진입되는 속도(도 1에서는 '가속 냉각 탈출 속도'로 표기됨)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이송속도 제어모듈(140)은, 도 1의 M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이 가속 냉각 구간(도 1에서는 A 뱅크 내지 C 뱅크)을 통과한 시점(T)의 강판(S)의 이송속도를 가속냉각 탈출속도로 제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속도 제어모듈(140)은, 도 1의 M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이 가속 냉각 구간(도 1에서는 A 뱅크 내지 C 뱅크)을 통과한 시점(T)의 강판(S)의 이송속도보다 낮은 속도를 가속냉각 탈출속도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강판(S)의 후단이 가속 냉각 구간(A 뱅크 내지 C 뱅크)을 완전히 통과한 시점(T)을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시점으로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강판(S)의 선단이 가속 냉각 구간의 마지막 구간(C 뱅크)에 도달하는 시점을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시점으로 하거나, 강판(S)의 중단이 가속 냉각 구간의 마지막 구간(C 뱅크)에 도달하는 시점을 강판(S)의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시점으로 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후 단계 204에서, 열간 교정기(120)는 가속 냉각된 강판(S)에 대해 열간 교정(hot levelling)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강판(S)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한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한함으로서, 열간 교정기를 저속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강판의 열간 교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가속 냉각기의 가속 냉각 구간에 따라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강판의 열간 교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사상 압연기
110: 가속 냉각기
120: 열간 교정기
130: 간이 교정기
140: 이송속도 제어 모듈
S: 강판

Claims (8)

  1. 압연기와 상기 압연기에 의해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간들을 포함하는 가속 냉각기 및 상기 가속 냉각기에 의해 가속 냉각된 강판을 열간 교정하기 위한 열간 교정기를 이용한 강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구간들 중 상기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간을 가속 냉각 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가속 냉각 구간 동안 상기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한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을 열간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한 시점의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이송 속도를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속도를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이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하는 시점의 이송 속도 보다 낮은 속도를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하는 시점은,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후단이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완전히 통과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
  5. 압연기;
    상기 압연기에 의해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간들을 포함하는 가속 냉각기;
    상기 가속 냉각기에 의해 가속 냉각된 강판을 열간 교정하기 위한 열간 교정기; 및
    상기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구간들 중 상기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간을 상기 가속 냉각기의 가속 냉각 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가속 냉각기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가속 냉각 구간 동안 상기 압연된 강판을 가속 냉각시키며,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한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이송 속도를 제한하고,
    상기 열간 교정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을 열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하는 시점의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이송 속도를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이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하는 시점의 이송 속도 보다 낮은 속도를 상기 제한된 이송 속도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통과하는 시점은,
    상기 가속 냉각된 강판의 후단이 상기 가속 냉각 구간을 완전히 통과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제조 장치.
KR1020110045362A 2011-05-13 2011-05-13 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197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62A KR101197999B1 (ko) 2011-05-13 2011-05-13 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62A KR101197999B1 (ko) 2011-05-13 2011-05-13 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999B1 true KR101197999B1 (ko) 2012-11-05

Family

ID=4756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362A KR101197999B1 (ko) 2011-05-13 2011-05-13 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837B1 (ko) * 2015-12-22 2017-04-1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연코일의 압연 제어 방법
KR20190077713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703A (ja) 2004-03-29 2005-10-13 Jfe Steel Kk 鋼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設備
JP2009209444A (ja) 2008-02-07 2009-09-17 Jfe Steel Corp 均質性に優れた加速冷却型薄肉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703A (ja) 2004-03-29 2005-10-13 Jfe Steel Kk 鋼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設備
JP2009209444A (ja) 2008-02-07 2009-09-17 Jfe Steel Corp 均質性に優れた加速冷却型薄肉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837B1 (ko) * 2015-12-22 2017-04-1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연코일의 압연 제어 방법
KR20190077713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999021B1 (ko) * 2017-12-26 2019-07-10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11484B (zh) 一种热轧带钢微中浪板形控制方法
JP2014521517A (ja) 熱間圧延中間スラブの頭部および尾部の切断量を減少させるための、連続鋳造スラブの頭部および尾部の形状を予め制御する方法
KR101197999B1 (ko) 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04399748B (zh) 一种可以取代常规宽带钢热连轧的生产工艺
CN102548679A (zh) 热轧的冷却装置及冷却方法
AU2019305746B2 (en) Corner-thickened cold/hot composite formation square/rectangular pipe forming system
JP6897609B2 (ja) 熱間圧延装置及び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2020196049A (ja) ハット形鋼矢板の製造方法
AU2003235800B2 (en) Method and rolling stand for producing rods, bar stock or seamless tubes
KR101462399B1 (ko) 후판 형상 교정 장치
KR100961350B1 (ko) 후판 제어 압연 제어 장치 및 그의 방법
CN104946872B (zh) 一种制备钢板厚度在8~20mm的低应力热轧高强钢的方法
KR20080058084A (ko) 연속압연이 가능한 보조 롤러 테이블
JP6658457B2 (ja) 厚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圧延のパススケジュール設定方法
RU2012116248A (ru) Способ прокатки с оптимизированным полным формированием (strain penetration)
JP2011200878A (ja) 棒鋼の圧延方法
KR101076199B1 (ko) 후강판의 제조방법
JP2017006941A (ja) ローラーレベラの零点調整方法
KR20030016046A (ko) 가속냉각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방법
KR101237080B1 (ko) 소재의 열간압연 방법
JP5707687B2 (ja) 厚板の製造方法
US20230056053A1 (en) Modular rolling train, particularly hot rolling train, preferably in conjunction with an upstream casting facility
JPH03128122A (ja) 厚鋼板の加速冷却方法
JP2011143459A (ja) 厚鋼板の製造方法
JP2010005659A (ja) Mg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