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619B1 -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 - Google Patents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619B1
KR101197619B1 KR1020110068913A KR20110068913A KR101197619B1 KR 101197619 B1 KR101197619 B1 KR 101197619B1 KR 1020110068913 A KR1020110068913 A KR 1020110068913A KR 20110068913 A KR20110068913 A KR 20110068913A KR 101197619 B1 KR101197619 B1 KR 10119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steam
shaft
steam pipe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김성표
Original Assignee
김성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표 filed Critical 김성표
Priority to KR102011006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12M3/02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with means providing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12M27/06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stirrer shaft or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including condition or time responsive control, e.g. automatically controlled fermentors
    • C12M1/38Temperature-respons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12M41/18Heat exchange systems, e.g. heat jackets or outer envelopes
    • C12M41/22Heat exchange systems, e.g. heat jackets or outer envelopes in contact with the bioreactor wa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제나 또는 축산용 사료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미생물을 증식 배양하는 미생물 배양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미생물 균체의 활동성과 증식속도를 높여서 배양시간을 단축하는 한편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대량으로 증식 배양하여 발효제 또는 사료용 첨가제로 사용하며, 특히 교반기에서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간접 가열함에 따라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하고, 배양챔버를 저온으로 가열하여 배양과정이 진행되므로 에너지 소모량을 줄이는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배양물질이 공급되는 투입구와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한편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가 구비된 배양챔버와; 상기 배양챔버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간접 가열하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배양챔버에서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Microbe growth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제나 또는 축산용 사료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미생물을 증식 배양하는 미생물 배양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양물질이 투입되는 배양챔버를 스팀으로 저온 가열하는 한편 교반기에서 배양챔버에 투입된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간접 가열하여 미생물의 증식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함으로써, 미생물 균체의 활동성과 증식속도를 높여서 배양시간을 단축하는 한편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대량으로 증식 배양하여 발효제 또는 사료용 첨가제로 사용하며, 특히 교반기에서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간접 가열함에 따라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하고, 배양챔버를 저온으로 가열하여 배양과정이 진행되므로 에너지 소모량을 줄이는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농업ㆍ축산ㆍ수산업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광합성균이나 유산균, 효모균, 남조균 등을 배양하여 종자소독, 토양살포, 농작물에 관주 또는 엽면살포 및 가축의 사료로 급이하는 방법으로서, 농작물의 경우 생산성을 높이고 병충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가축의 경우 성장을 촉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한편 육질이 우수한 효과를 얻는데 이용되고 있다.
또한 미생물은 환경분야에서 수질정화,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제, 각종 산업 폐기물의 정화에도 널리 이용되고, 수산양식업에 이용할 경우 수질정화, 병원균의 발생억제, 내병성 제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최근에는 환경 및 축산분야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제와 사료용 첨가제로 선호되고 있다.
최근 환경 및 축산분야에서 미생물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고, 이에 따라 미생물을 인위적으로 증식 배양하여 대량 생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의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미생물을 증식 배양하기 위해서는 온도ㆍ공기ㆍ수분 등의 배양환경이 조성되야 한다.
종래 미생물을 증식 배양하여 대량 생산하기 위한 미생물 배양장치가 다양하게 제시된 바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일정공간이 구비된 배양조의 내부에 배양물질(쌀겨ㆍ비지ㆍ톱밥ㆍ밀기울ㆍ대두 등)을 투입한 후,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교반날개로 배양물질을 교반시키면서 열을 가하여 살균시킨 다음, 미생물 균체를 주입하고 배양물질을 교반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미생물을 대량으로 증식하여 배양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미생물 배양장치는 배양조의 내부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배양물질의 발효과정에서 공기가 골고루 분산되지 못하여 미생물에 적합한 배양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미생물 균체의 활동성과 증식속도가 낮아져 배양시간이 오래 걸리는 한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미생물 균체의 활동성과 증식속도를 높여서 배양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대량으로 증식 배양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972755호(미생물 배양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배양물질이 투입되는 배양챔버를 스팀으로 가열하여 미생물의 증식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하는 한편 모터의 구동으로 복수개의 교반날이 회전하여 배양챔버 안에 투입된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열풍을 공급하여 효율적으로 발효시킴으로써, 미생물 균체의 활동성과 증식속도를 높여서 배양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대량으로 증식 배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본 출원인이 실시해 본 결과, 배양물질이 투입되는 배양챔버를 외부에서 스팀으로 가열하여 배양물질을 발효시킴에 따라 배양물질의 발효 및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하고자 배양챔버의 내부온도를 고온으로 높일 경우,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에너지 소모량에 비하여 배양시간이 단축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복수개의 교반날이 회전하여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배양물질에 열풍을 직접 공급하여 가열하므로 미생물 균체의 활동성과 증식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발효 및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하고자 배양챔버를 외부에서 고온으로 가열하므로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에너지 소모량에 비하여 배양시간이 단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교반날이 회전하면서 배양물질에 열풍을 직접 가하므로 미생물의 활동성과 증식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미생물 배양장치"의 선행기술에서 배양물질의 발효 및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하고자 배양챔버의 내부온도를 고온으로 높일 경우,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에너지 소모량에 비하여 배양시간이 단축되지 않는 문제점과, 복수개의 교반날이 회전하면서 배양물질에 열풍을 직접 가하여 미생물의 활동성과 증식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배양물질이 투입되는 배양챔버를 스팀으로 저온 가열하는 한편 교반기에서 배양챔버에 투입된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간접 가열하여 미생물의 증식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하는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배양물질이 공급되는 투입구와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한편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가 구비된 배양챔버와; 상기 배양챔버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간접 가열하는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에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배양챔버에서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는, 배양챔버의 내부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주입공이 관통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연에 원형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내측스팀관 및 외측스팀관과; 상기 샤프트와 내측스팀관 및 외측스팀관에 연결 설치된 스팀공급관과; 상기 샤프트와 내측스팀관 및 외측스팀관에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된 다수개의 내측교반날 및 외측교반날;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양물질이 투입되는 배양챔버를 스팀으로 저온 가열하는 한편 교반기에서 배양챔버에 투입된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간접 가열하여 미생물의 증식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함으로써, 미생물 균체의 활동성과 증식속도를 높여서 배양시간을 단축하는 한편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미생물을 대량으로 증식 배양하여 발효제 또는 사료용 첨가제로 사용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반기의 샤프트와 다수개의 내측스팀관 및 외측스팀관으로 스팀이 공급됨에 따라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배양물질을 간접 가열함에 따라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하고, 배양챔버를 저온으로 가열하여 배양과정이 진행되므로 에너지 소모량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반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반기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반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측교반날과 외측교반날의 요부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이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미생물 균체의 활동성과 증식속도를 높여서 배양시간을 단축하는 한편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대량으로 증식 배양하여 발효제 또는 사료용 첨가제로 사용하며, 교반기에서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간접 가열함에 따라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하고, 배양챔버를 저온으로 가열하여 에너지 소모량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배양물질이 공급되는 투입구(11)와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구비된 한편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3)가 구비된 배양챔버(10)와; 상기 배양챔버(1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간접 가열하는 교반기(20)와; 상기 교반기(20)에 모터(31)의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30)와; 상기 배양챔버(10)에서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배양챔버(10)는 내부공간에 배양물질(쌀겨ㆍ비지ㆍ톱밥ㆍ밀기울ㆍ대두 등)이 투입되어 살균과정과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미생물이 증식 배양되는 기능으로서,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소정길이의 원통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베이스프레임(110) 위에 놓여 고정 설치되는 한편 외부에 박스형태로 컨테이너(100)가 감싸여 설치된다.
상기에서 배양챔버(10)를 감싸도록 설치된 컨테이너(100)는 한쪽 측면에 점검을 위한 도어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부에 적당한 공간이 개방되어 배양챔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투입구(11)와 배기구(13) 및 점검구(14)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배양챔버(10)는 상부 한쪽에 배양물질이 공급되는 투입구(11)가 구비되고, 중간 부분에 배양물질의 살균과정과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3)가 구비되는 한편 내부공간을 점검하기 위하여 점검구(14)가 구비되며, 저면부의 중간 부분에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구비된다.
상기 배양챔버(10)에서 투입구(11)에 스크류컨베이어가 설치되어 배양물질이 배양챔버(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고, 배기구(13)에 배기관(13a)이 연결 설치되어 살균과정과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가스를 쿨링타워로 이송하여 수증기를 응축하고, 악취를 탈취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배양챔버(10)는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스팀으로 가열되는 구조로서, 외주연에 스팀실(15)이 형성된 이중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스팀실(15)의 외주연에 보온재(16)가 감싸여 단열기능을 하며, 상기 스팀실(15)의 상부 양측에 각각 스팀관(15a)이 연결 설치되어 보일러에서 가열된 스팀이 스팀실(15)로 공급되는 한편 스팀실(15)에서 보일러로 순환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배양챔버(10)는 배양물질(쌀겨ㆍ비지ㆍ톱밥ㆍ밀기울ㆍ대두 등)이 투입구(11)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공급되고, 보일러에서 가열된 스팀이 스팀관(15a)을 통해 스팀실(15)로 공급되어 배양챔버(10)의 내부온도를 70℃ 이상으로 가열하므로 내부공간에 공급된 배양물질을 살균하는 한편 미생물 균체를 주입한 다음, 50~55℃로 유지하여 미생물의 증식에 적합한 배양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교반기(20)는 배양챔버(10)의 내부공간에 공급된 배양물질을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간접 가열하는 기능으로서, 도면에서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배양챔버(10)의 내부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주입공(22)이 관통 형성된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외주연에 원형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과; 상기 샤프트(21)와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에 연결 설치된 스팀공급관(25)과; 상기 샤프트(21)와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에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된 다수개의 내측교반날(26) 및 외측교반날(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교반기(20)는 배양챔버(10)의 양측면에 설치된 베어링하우징(28)에 샤프트(21)가 끼워져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21)의 중심에 스팀주입공(22)이 관통 형성되어 내부공간으로 스팀이 공급되고, 외주연에 크고 작은 직경으로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이 원형으로 설치되는 한편 샤프트(21)와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에 복수개의 스팀공급관(25)이 연결 설치되어 샤프트(21)의 스팀주입공(22)에서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으로 스팀이 공급된다.
상기에서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은 샤프트(21)의 외주연에 동심원으로 샤프트(21) 보다 큰 원주상의 내측스팀관(23)이 구현되는 한편 내측스팀관(23) 보다 큰 원주상으로 외측스팀관(24)이 구현되고, 샤프트(21)의 길이 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21)와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내측교반날(26) 및 외측교반날(27)이 연결 설치된다.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은 배양물질의 살균과정과 발효과정에서 샤프트(21)의 스팀주입공(22)을 통해 공급되는 스팀열로 배양물질을 간접 가열하는 기능이고,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된 내측교반날(26) 및 외측교반날(27)은 샤프트(21)가 회전할 경우,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내측교반날(26) 및 외측교반날(27)은 도면에서 도 8과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설치된다.
즉, 내측교반날(26) 및 외측교반날(27)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설치됨에 따라 샤프트(21)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내측교반날(26)은 배양물질을 투입구(11)가 위치한 방향으로 교반하면서 이송하고, 외측교반날(27)은 배양물질을 배출구(12)가 위치한 방향으로 교반하면서 이송하므로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효율적으로 교반하게 된다.
상기에서 샤프트(21)로 스팀을 공급하고자 샤프트(21)의 양측 단부에 각각 로터리조인트(29)를 설치하고, 상기 로터리조인트(29)에 스팀이 공급 및 배기되는 스팀관(29a)을 각각 연결 설치하며, 여기서 로터리조인트(29)는 공지된 선행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구동부(30)는 교반기(20)에 모터(31)의 구동력을 제공하여 샤프트(21)를 회전시키는 기능으로서,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구동부(30)는 모터(31)ㆍ스프라켓(32)(33)ㆍ체인(34)으로 구현된다.
상기 구동부(30)에서 모터(31)는 배양챔버(10)의 한쪽 측면에서 베이스프레임(110) 위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구동축에 스프라켓(32)이 장착되고, 상기 모터(31)가 위치한 배양챔버(10)의 한쪽 측면에서 교반기(20)의 샤프트(21)에 스프라켓(33)이 장착되는 한편 모터(31)와 샤프트(21)에 장착된 스프라켓(32)(33)에 체인(34)이 감겨져 설치된다.
상기에서 모터(31)는 저속회전이 가능한 감속모터를 적용함이 바람직하고, 모터(31)의 구동력이 체인(34)을 통하여 교반기(20)의 샤프트(21)에 전달되므로 샤프트(21)가 배양챔버(10)의 내부공간에서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게이트(40)는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기능으로서, 도면에서 도 9와 같이, 배출구(12)를 슬라이드 개폐하는 도어(41)와; 상기 도어(41)를 전후 작동시키는 실린더(42)와; 상기 도어(41)가 끼워져 슬라이드 작동하고, 한쪽 단부에 실린더(42)가 부착되는 브라켓(43);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배양챔버(10)에서 배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2)는 저면부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브라켓(43)이 부착되는 한편 상기 브라켓(43)의 안쪽에 도어(41)가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케 설치되며, 브라켓(43)의 한쪽 단부에 실린더(42)가 부착되고, 상기 실린더(42)의 피스톤로드가 도어(41)의 한쪽 단부에 장착된다.
상기에서 도어(41)는 배출구(12)의 공간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실린더(42)의 구동으로 전후 작동하여 배출구(12)를 개폐하며, 배양챔버(10)에서 배양물질의 발효과정이 진행되어 미생물의 증식 배양이 완료되면, 실린더(42)가 구동하여 배출구(12)에서 도어(41)를 열어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을 배출하고, 상기 배출구(12) 아래에서 브라켓(43)의 하부에 스크류컨베이어를 설치하여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여 완제품으로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양물질이 투입된 배양챔버(10)를 스팀으로 가열하여 내부온도를 70℃ 이상으로 유지해 배양물질의 살균과정이 30분~1시간 정도 진행되고, 살균과정이 완료되면, 투입구(11)를 통해 미생물 균체를 주입한 다음, 배양물질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배양챔버(10)의 내부온도를 50~55℃로 유지해 48시간 정도 발효 및 배양과정을 진행하여 미생물을 증식 배양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양물질의 살균과정과 발효과정에서 교반기의 샤프트와 다수개의 내측스팀관 및 외측스팀관으로 스팀이 공급됨에 따라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배양물질을 간접 가열하므로 발효환경과 미생물의 증식 배양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하여 배양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생산량을 높이는 한편 배양챔버를 저온으로 가열하여 배양과정이 진행되므로 에너지 소모량을 줄이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배양챔버 11: 투입구
12: 배출구 13: 배기구
15: 스팀실 20: 교반기
21: 샤프트 22: 스팀주입공
23: 내측스팀관 24: 외측스팀관
25: 스팀공급관 26: 내측교반날
27: 외측교반날 30: 구동부
31: 모터 40: 게이트
41: 도어 42: 실린더

Claims (3)

  1. 배양물질이 공급되는 투입구(11)와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구비된 한편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3)가 구비된 배양챔버(10)와; 상기 배양챔버(1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배양물질을 골고루 뒤섞어 교반하면서 스팀열로 간접 가열하는 교반기(20)와; 상기 교반기(20)에 모터(31)의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30)와; 상기 배양챔버(10)에서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게이트(4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20)는,
    배양챔버(10)의 내부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주입공(22)이 관통 형성된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외주연에 원형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과; 상기 샤프트(21)와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에 연결 설치된 스팀공급관(25)과; 상기 샤프트(21)와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에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된 다수개의 내측교반날(26) 및 외측교반날(2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은,
    샤프트(21)의 외주연에 동심원으로 샤프트(21) 보다 큰 원주상의 내측스팀관(23)이 구현되는 한편 내측스팀관(23) 보다 큰 원주상으로 외측스팀관(24)이 구현되고, 샤프트(21)의 길이 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내측교반날(26) 및 외측교반날(27)은,
    샤프트(21)와 내측스팀관(23) 및 외측스팀관(24)에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
KR1020110068913A 2011-07-12 2011-07-12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 KR10119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913A KR101197619B1 (ko) 2011-07-12 2011-07-12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913A KR101197619B1 (ko) 2011-07-12 2011-07-12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619B1 true KR101197619B1 (ko) 2012-11-07

Family

ID=4756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913A KR101197619B1 (ko) 2011-07-12 2011-07-12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7725A (zh) * 2018-12-28 2019-03-26 上海泓阳机械有限公司 一种便携式饲料发酵装置和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595B1 (ko) 1997-12-05 2000-08-01 여광웅 초고속 발효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595B1 (ko) 1997-12-05 2000-08-01 여광웅 초고속 발효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7725A (zh) * 2018-12-28 2019-03-26 上海泓阳机械有限公司 一种便携式饲料发酵装置和工艺
CN109517725B (zh) * 2018-12-28 2023-12-15 上海泓阳机械有限公司 一种便携式饲料发酵装置和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479B1 (ko) 거품제거부를 구비한 미생물 배양기
KR20190015864A (ko) 축산분뇨, 농수산 부산물 또는 남은 음식물의 혼합발효에 의한 유기질 비료 생산을 위한 퇴비화 장치
KR101799893B1 (ko) 속효성 유기물 발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방법
KR20190033713A (ko) 축산분뇨, 농수산 부산물 또는 남은 음식물의 혼합발효에 의한 유기질 비료 생산을 위한 퇴비화 장치
CN110903113A (zh) 一种有机肥复合菌发酵剂及其专用设备和在有机肥快熟前发酵中的应用
CN102718582B (zh) 畜禽粪便的高效环保处理工艺
CN104326775A (zh) 有机肥生产工艺、生产线及有机肥生产设备
KR100972755B1 (ko) 미생물 배양장치
KR101197619B1 (ko) 저온 미생물 배양장치
KR20180087822A (ko) 속효성 유기물 발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방법
CN209128426U (zh) 一种大田作物微生物菌肥种子发酵罐
KR100758506B1 (ko) 축산 분뇨 고속발효기
CN216550201U (zh) 一种有机肥多段发酵连续生产装置
KR20180129048A (ko) 유기질 비료 속성 발효장치
CN107988111A (zh) 一种处理养殖场污染物的微生物复合菌剂及其应用
KR20190031045A (ko) 마늘 요구르트용 소형 발효장치
TWM604322U (zh) 橫式發酵槽
CN207608499U (zh) 一种生物有机肥发酵池
KR20030060500A (ko) 식용버섯 재배용 배지 발효기
KR20180046941A (ko) 버섯 복합 재배장치
CN212610587U (zh) 横式发酵槽
CN206616156U (zh) 一种粘性物料搅拌结构
CN207525161U (zh) 具有加热功能的生物废弃物快速处理设备
CN112679251A (zh) 一种生物有机肥发酵池
KR101082186B1 (ko) 발효사료의 생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