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775B1 - 전력 중계단자 - Google Patents

전력 중계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775B1
KR101195775B1 KR1020110077209A KR20110077209A KR101195775B1 KR 101195775 B1 KR101195775 B1 KR 101195775B1 KR 1020110077209 A KR1020110077209 A KR 1020110077209A KR 20110077209 A KR20110077209 A KR 20110077209A KR 101195775 B1 KR101195775 B1 KR 101195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output
input termi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민
Original Assignee
선진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테크 (주) filed Critical 선진테크 (주)
Priority to KR102011007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 내측에 작은 부피로 돌출하여 케이스 내측의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케이스의 분해를 분해하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일이 없이 케이스 내측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에 전력 공급을 위한 단자에 전선의 고정과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중계단자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력 중계단자는, 입력단과 출력단과, 입력단에 출력단에 각각 설치되는 전력선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에는 상기 나사수단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는 전도부재의 설치를 위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을 통해 설치되는 전도부재는 상기 입력단의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과, 상기 출력단의 수직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력 중계단자{Electric power relay device}
본 발명은 전력 중계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로 모듈화된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공급을 위한 인입선 설치와 전력출력을 위한 출력선의 연결과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력 중계단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전기 및 전자장치는 보다 정교해지는 관계로 전기 및 전자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많아져, 용이한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한 부분들을 따로 모아 모듈화시켜 장치의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모듈만을 교체하게 함으로써 전기 및 전자장치를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전자부품들 모듈화되어 개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모듈화된 전자부품 또는 모듈화된 전자부품으로 구성되는 전기 및 전자장치들은 별도의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설치되는 관계로, 케이스 내측의 장치 또는 모듈화된 전자부품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설치되어야 한다.
전원공급수단은 통상적으로 외부전력을 케이스 내측의 장치나 모듈화된 전자부품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중계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력중계장치의 예는 공개특허 제2002-0032788호에 설명된 것과 같다. 상기 공개특허는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그 단면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개특허의 전력중계장치는 격벽(33)이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케이스(미도시)의 외면에 접촉하고, 격벽을 중심으로 우측부분(도면에서)이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에서 전력중계장치는 전도판(50)이 나사(40, 40')에 의해 전기중계기구의 본체(32)에 결합되어 있고, 전도판(50)의 양단에 제1단자(44)와 제2단자(4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따라서, 전력공급용 전선을 제1단자(44)에 연결하고,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전자부품의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을 제2단자(44')에 연결함으로써 전도판(50)을 통해 케이스 내측의 전자부품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종래 전력중계장치에서, 전도판이 일자형의 평면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하게 되는 전력중계장치의 부분의 부피가 커져, 적은 숫자의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라 하더라도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크게 돌출하는 전력중계장치의 부분 때문에 케이스의 크기가 커져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에서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위치되기 때문에, 만일 전자부품을 실장하고 있는 케이스가 벽체나 또는 소정의 표면 상에 고정설치되는 경우에, 제1단자나 제2단자 중 하나는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나사를 통해 전선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지만, 다른 하나는 상기 벽체나 또는 소정의 표면을 향하기 때문에, 케이스를 벽체나 소정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는 전선을 결합하기는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케이스 내측에서 점유하는 공간을 적게 하여 케이스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벽체나 표면에 고정된 케이스를 분리하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입력용 전선과 출력용 전선을 용이하게 결합 및 해체할 수 있게 해주는 전력 중계단자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케이스를 제작할 때 전력중계단자를 설치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전자부품이 실장된 케이스를 구입하여 전력중계단자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력중계단자를 케이스 외벽에 설치하여 케이스 내측의 전자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해야한다. 전자부품이 실장된 케이스의 경우에는, 케이스 외벽에 전력공급을 위한 단자가 볼트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전력중계단자의 경우에는 케이스 외벽에 고정시킨 다음에 제2단자를 전선수단을 통해 상기 볼트형태의 단자에 연결하고 또한 제1단자에 전력공급용 전선을 연결해야 한다. 그러나, 만일 케이스에 종래 전력중계단자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단자 또는 제2단자에 연결된 전선을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1단자와 제2단자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관계로 케이스에 전력중계단자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단자 또는 제2단자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없어서 전력중계단자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해체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볼트형태의 전원공급단자가 설치된 전자부품 실장 케이스에 용이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중계단자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 내측에 작은 부피로 돌출하여 케이스 내측의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케이스의 분해를 분해하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일이 없이 케이스 내측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에 전력 공급을 위한 단자에 전선의 고정과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중계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전자부품이 미리 실장되어 있고 그 외측에 전자부품에 전력공급을 위한 단자가 볼트형태로 형성된 케이스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전력 중계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중계단자는, 입력단과 출력단과, 입력단에 출력단에 각각 설치되는 전력선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수단으로 구성되고, 입력단에는 격벽으로 서로 분리되는 다수의 입력단자대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단에도 다수의 출력단자대가 형성되며, 케이스의 벽면에 밀착하게 되어 전력중계단자가 더 이상 케이스 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출력단만이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의 사이에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에는 상기 나사수단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는 전도부재의 설치를 위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을 통해 설치되는 전도부재는 상기 입력단의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과, 상기 출력단의 수직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에 따른 전력 중계단자에서, 상기 입력단 또는 출력단에는 힌지수단을 통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중계단자는, 입력단과 출력단과, 입력단에 설치되는 전력선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단에는 격벽으로 서로 분리되는 다수의 입력단자대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단에도 다수의 출력단자대가 형성되며; 상기 입력단에는 상기 나사수단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단에는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전도부재의 설치를 위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부재는 상기 입력단의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과, 상기 출력단의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져 역 "ㄱ"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도부재의 바닥면에는 상기 체결구에 대응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직면에는 상기 제2통공과 정합하고 또한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전자부품에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공급단자가 형성된 케이스의 상기 전력공급단자의 통과를 위한 제1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전력중계단자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와셔수단을 고정하는 나사수단은 항상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단과 출력단의 위치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종래 전력중계장치와는 달리 언제라도 용이하게 출력단과 입력단에 전선을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전력중계단자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설치되는 전선의 통전을 위해 사용하는 전도부재를 역 "ㄴ" 형상으로 만들기 때문에, 출력단에 설치되는 전도부재가 케이스의 벽면(W)과 나란하도록 위치되게 되므로,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하는 출력단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전자부품이 미리 실장되어 있고 또한 그 외측에 전자부품에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공급단자가 형성된 케이스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전력중계단자와는 다리 언제라도 용이하게 출력단과 입력단에 전력공급선을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를 앞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뒤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 A-A'을 따라 절취단 단면도.
도 6은 전자부품이 실장된 케이스에 부착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에 입력과 출력을 위한 전선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보호용 커버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의 분해투시도이고, (b)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전력중계단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에 커버를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의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또한 그 외측에 전력공급단자가 설치된 케이스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의 입력단에 입력단자대를 구획하는 격벽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의 출력단에 커버를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를 앞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뒤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선 A-A'을 따라 절취단 단면도이고, 도 6은 전자부품이 실장된 케이스에 부착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에 입력과 출력을 위한 전선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보호용 커버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100)는 일체로 형성되는 입력단(110)과 출력단(120)과, 입력단에 출력단에 각각 설치되는 전력선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수단(S)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단(110)에는 다수의 입력단자대(111)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단에도 다수의 출력단자대(121)가 형성된다.
상기 입력단자대(111)들 각각은 혹시라도 발생할지도 모를 누전을 예방하기 위하여 격벽(111'1)으로 서로 분리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자대(121)들은 도면에서 분리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입력단자대의 격벽에 대응하는 격벽으로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단(110)과 출력단(120)의 사이에는 도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밀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는, 전력중계단자를 전자부품이 실장된 소정의 케이스에 설치될 때, 케이스의 벽면에 밀착하게 되어 전력중계단자가 더 이상 케이스 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출력단(120) 만이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에는 상기 나사수단(S)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111'2, 12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는 슬롯(14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슬롯(140)에는 역 "ㄴ" 형상의 전도부재(150)가 형성된다. 상기 전도부재의 바닥면(151)은 상기 입력단(110)의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전도부재의 수직면(152)은 상기 출력단(120)이 수직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도부재의 바닥면과 수직면 각각에는 상기 체결구(111'2, 121'1)에 대응하는 나사구멍(151'1, 15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도부재(150)가 전력중계단자에 설치되면 도 4의 (a)와 (b)와 도 5의 단면도에 나타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력중계단자를 소정의 전자부품이 실장된 케이스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측의 전자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된다.
전력중계단자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C)에 전력중계단자를 설치하게 되면, 전력중계단자의 입력단(110)과 출력단(120) 사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밀착부(130)가 케이스(C)의 벽면(W)과 접촉하게 되어 출력단(120)만이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전력중계단자가 케이스에 설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케이스에 전력중계단자 설치되면, 입력전선(L1)에 설치된, 나사수단(S)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구멍을 가지는 와셔수단(WS1)을 나사수단(S)에 끼워넣은 후 와셔수단(WS1)이 전도부재(150)의 바닥면(151) 위쪽에 접촉하도록 한 다음 나사수단(S)을 회전시켜 나사수단이 입력단의 체결구(111'2)와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와셔수단(WS1)을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전자부품에 연결되는 출력전선(L2)에 설치된, 나사수단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구멍을 가지는 와셔단(WS2)을 나사수단(S)에 끼워 넣은 후 와셔수단(WS2)이 전도부재(150)의 수직면(152)과 접촉하도록 한 다음 나사수단(S)의 회전시켜 나사수단이 출력단의 체결구(121'1)와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와셔수단(WS2)을 고정한다.
따라서, 입력전선(L1)을 통해 인입되는 전력은 와셔수단(WS1)과 전도부재의 바닥면(151)과, 그리고 전도부재의 바닥면과 연결된 수직면(152)과 와셔수단(WS2)과, 와셔수단(WS2)에 연결된 출력전선(L2)에 의해 케이스 내측의 전자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 전선들이 와셔수단을 통해서 나과 전도부재에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다른 공지된 모든 수단을 사용하여 나사수단사수단과 전도부재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선 그 자체만으로도 나사수단과 전도부재에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별도의 절차 없이 입력전선과 출력전선을 용이하게 전력중계단자에 연결할 수 있다. 즉, 입력전선을 전력중계단자에 연결할 경우에는 입력전선의 와셔수단을 나사수단에 결합하여 나사수단을 입력단에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출력전선의 연결할 경우에 케이스(C)의 두껑(C1)을 개방한 후 출력전선의 와셔수단을 나사수단에 결합하여 나사수단을 출력단에 고정하면 된다. 즉, 입력단과 출력단에 와셔수단을 고정하는 나사수단은 항상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단과 출력단의 위치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종래 전력중계장치와는 달리 언제라도 용이하게 출력단과 입력단에 전선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력단과 출력단에 설치되는 전선의 통전을 위해 사용하는 전도부재를 역 "ㄴ" 형상으로 만들기 때문에, 출력단에 설치되는 전도부재가 케이스의 벽면(W)과 나란하도록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하는 출력단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전도부재를 일자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하게 되는 출력단의 크기가 커져, 비록 케이스 내측에 작은 전자부품이 실장되더라도 케이스 내측으로 크게 돌출하는 출력단 때문에 케이스를 크게 만들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한편, 전력중계단자에는 필요에 따라 고압의 전력이 인가되기 때문에, 케이스 외측 부분에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는 입력단에서 위험이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부주의한 접촉에 의한 감전의 위험성, 또는 도체의 접촉에 의한 누전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력단에 커버(16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160)의 일단에는 힌지수단(H)을 설치하여 회동식으로 개폐가 되도록 할 수 있고, 커버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힌지수단이 설치되지 않는 일단이 전력중계단자의 일부와 소정의 고정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고정수단은 후크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다른 공지된 모든 방식의 고정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알 것이다.
또한,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출력단에도 필요에 따라 입력단과 동일한 방식으로 커버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중계단자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의 재료로 구성되고, 전도부재는 금속재와 같은 전도재료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장치는 실시예1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보면,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200)는 입력단(210)과 출력단(220)으로 이루어지고,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전력선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수단(S')이 입력단에만 설치된다. 상기 입력단(210)에는 다수의 입력단자대(211)이 형성되고, 상기 출력단에도 다수의 출력단자대(221)가 형성된다. 상기 출력단은 상기 입력단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출력단의 뒷면, 즉 입력단과 출력단이 만나는 부분에 대향하는 면은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력단자대의 뒷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는 전자부품이 실장된 케이스의 벽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력중계단자를 케이스에 설치할 때 케이스와 접촉면적을 넓혀 전력중계단자를 케이스에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입력단에는 상기 나사수단(S)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211'2)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수단(S)은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는 전력공급용 전선을 고정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출력단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하가 개방되는 슬롯(240)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240)에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ㄱ" 형상의 전도부재(250)가 설치된다. 상기 전도부재는 바닥면(251)과 수직면(2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251)은 상기 입력단(210)의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수직면(252)는 상기 출력단(120)의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도부재(250)의 바닥면(251)에는 상기 입력단의 체결구(211'2)에 대응하는 나사구멍(25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252)에도 제1통공(25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도부재가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1통공(252'2)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상기 출력단에 제2통공(22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통공과 함께 관통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도부재(250)가 전력중계단자에 설치되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력중계단자에는 필요에 따라 고압의 전력이 인가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외측 부분에 전력중계단자의 입력단과 출력단이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면 감전의 위험성 또는 누전의 위험성이 있게 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력단과 출력단에 커버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사시도이고, (b)는 투시 사시도이고, 도 11은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단에 커버(260)를 설치하고, 커버의 일단에는 힌지(H)수단을 설치하여 회동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14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듯이, 출력단에도 입력단과 동일한 방식으로 커버(27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270)는 커버(260)과는 달리 제작자가 아닌 사용자가 해체를 용이하게 하지 못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예컨대, 나사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결합과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강제 맞물림을 통해 물리력을 통해서만 해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힌지를 사용하여 커버(260)를 회동식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커버의 일단과 입력단의 일단에 후크결합방식으로 체결수단을 형성하여 커버를 입력단에 체결방식으로 고정 및 해체하는 방식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공지의 다른 체결방식을 이용한 커버수단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전력중계단자를, 소정의 전자부품이 미리 실장되어 있고 또한 그 외측에 내부의 전자부품에 전력공급을 위한 2개의 전력공급단자(CB)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에 설치하며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전자부품으로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공급단자는 외주면에 나사산(CB1)이 형성된 볼트의 형태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케이스는 전도성의 금속체로 제작될 수 있는 경우가 있어서, 도면에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에 전력공급단자를 설치할 때 케이스와 전력공급단자 사이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체(IS)를 설치하여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하게 된다.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은 기술분야에서 잘 공지된 사실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먼저 입력전선(L1')에 설치되고 또한 나사수단(S')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구멍을 가지는 와셔수단(WS1')의 구멍에 나사수단(S')을 끼워넣은 다음 와셔수단(WS1')이 전도부재(250)의 바닥면(251) 위쪽에 접촉하도록 한 다음 나사수단(S')을 회전시켜 나사수단이 입력단의 체결구(211'2)와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와셔수단을 고정시켜 입력전선을 전도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입력전선을 전력중계장치의 입력단에 연결한 다음, 출력단에 형성된 제2통공(221'1)과 전도부재의 수직면(252)에 형성된 제1통공(252'2)을 관통하도록 케이스의 전력공급단자(CB)를 설치한 다음에, 소정의 너트수단(NT)을 전력공급단자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CB1)과 맞물리도록 끼워넣는다. 그러면, 전력중계단자의 출력단과 상기 케이스 내측의 전자부품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고, 또한 전력중계단자가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의 전력공급단자(CB)를 본 발명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에 직접 연결하여 체결하기 때문에, 기존의 전력중계장치를 별도의 수단을 사용하여 케이스에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서는 전력중계단자를 케이스에 아주 단단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력공급단자(CB)에 너트수단(NT)을 체결할 때, 전력공급단자와 너트수단의 결합력을 높이고 또한 전기적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와셔수단(WS2')을 너트수단과 전도부재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와셔수단을 사용하는 대신에 너트수단의 외주면에 평면상의 날개를 형성하여 와셔수단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단자대(211)들 각각은 혹시라도 발생할지도 모를 누전을 예방하기 위하여 격벽(211'1)으로 서로 분리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출력단자대들도 상기 격벽과 동일한 구성의 격벽으로 분리형성되어 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입력단과 출력단의 위치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종래 전력중계장치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가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입력단과 출력단 둘 다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전도부재 "ㄱ" 형상으로 만들기 때문에, 출력단에 설치되는 전도부재의 수직면이 케이스의 벽면과 나란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종래 전력중계장치와는 달리 전력중계단자의 전체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중계단자에서, 체결구(121'1)를 관통구의 형식으로 만들어, 제2실시예와 같이 전력공급단자(CB)가 형성된 케이스의 전력공급단자에 바로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이해할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3)

  1. 일체로 형성되는 입력단(110)과 출력단(120)과, 입력단에 출력단에 각각 설치되는 전력선(L1, L2)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수단(S)으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단(110)에는 격벽(111'1)으로 서로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단자대(111)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단에도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대(121)가 형성되며,
    전력중계단자를 전자부품이 실장된 소정의 케이스에 설치할 때, 케이스의 벽면에 밀착하게 되어 전력중계단자가 더 이상 케이스 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출력단(120) 만이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입력단(110)과 출력단(120)의 사이에 밀착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에는 상기 나사수단(S)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111'2, 121'1)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는 전도부재(150)의 설치를 위한 슬롯(140)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슬롯(140)을 통해 설치되는 전도부재(150)는 상기 입력단의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151)과, 상기 출력단(120)의 수직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면(152)으로 이루어져 역 "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도부재의 바닥면과 수직면 각각에는 상기 체결구(111'2, 121'1)에 대응하는 나사구멍(151'1, 152'1)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단 또는 출력단에, 또는 입력단과 출력단 둘 다에 힌지수단(H)을 통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버(16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중계단자.
  2. 입력단(210)과 상기 입력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출력단(220)과, 입력단에 설치되는 전력선(L1)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수단(S')으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단(210)에는 격벽(211'1)으로 서로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단자대(211)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단에도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대(221)가 형성되며,
    상기 입력단에는 상기 나사수단(S')의 체결을 위한 체결구(211'2)이 형성되고, 상기 출력단에는 제2통공(221'1)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연결지점에서 상기 출력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도부재(250)의 설치를 위한 슬롯(240)이 관통구로 형성되게 되고,
    상기 슬롯(240)을 통해 설치되는 전도부재(250)는 상기 입력단의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251)과, 상기 출력단(220)의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면(252)으로 이루어져 역 "ㄱ"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도부재의 바닥면에는 상기 체결구(211'2)에 대응하는 나사구멍(25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에는 전도부재가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2통공과 정합하고 또한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전자부품에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공급단자(CB)가 형성된 케이스(C)의 상기 전력공급단자의 통과를 위한 제1통공(25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중계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력공급단자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CB1)이 형성된 볼트로 제작되고, 상기 전력공급단자를 상기 전도부재의 수직면에 형성된 통공에 끼워 넣은 후 너트수단(NT)으로 상기 전력공급단자를 체결함으로써 전력 중계단자가 케이스에 고정되는 한편 케이스 내측의 전자부품으로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둘 다에 힌지수단을 통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중계단자.
KR1020110077209A 2011-08-03 2011-08-03 전력 중계단자 KR101195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209A KR101195775B1 (ko) 2011-08-03 2011-08-03 전력 중계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209A KR101195775B1 (ko) 2011-08-03 2011-08-03 전력 중계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775B1 true KR101195775B1 (ko) 2012-11-21

Family

ID=4756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209A KR101195775B1 (ko) 2011-08-03 2011-08-03 전력 중계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7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068A (ko) *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전력선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102298692B1 (ko) * 2021-02-09 2021-09-06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635A (ja) 1998-12-30 2000-07-18 Osada:Kk 端子盤
KR200264090Y1 (ko) 2001-10-30 2002-02-19 최현길 공업용 트랜스의 입/출력 단자 형성구조
JP2003257516A (ja) 2002-03-06 2003-09-12 Tdk Corp ブスバー及び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
KR200431096Y1 (ko) 2006-09-05 2006-11-14 만 석 김 단자블록의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635A (ja) 1998-12-30 2000-07-18 Osada:Kk 端子盤
KR200264090Y1 (ko) 2001-10-30 2002-02-19 최현길 공업용 트랜스의 입/출력 단자 형성구조
JP2003257516A (ja) 2002-03-06 2003-09-12 Tdk Corp ブスバー及び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
KR200431096Y1 (ko) 2006-09-05 2006-11-14 만 석 김 단자블록의 커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068A (ko) *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전력선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101713978B1 (ko) 2015-07-31 2017-03-09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전력선통신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102298692B1 (ko) * 2021-02-09 2021-09-06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6861B2 (en) Conductor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20060045066A (ko)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KR900003184B1 (ko) 폐쇄 배전반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WO2017006588A1 (ja) 電源装置
JP2013246941A (ja) 電源装置
KR101195775B1 (ko) 전력 중계단자
US20130279081A1 (en) Motor control center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CN210669066U (zh) 一种具有便于拆卸的断路器骨架的高压开关柜
US7744424B2 (en) Expansion connection module for connecting to at least two coil connectors of a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in particular a contactor
CN110416950B (zh) 一种简易型母线装置
KR100594908B1 (ko) 분,배전반용 꽂음식 자선부스바
KR100817887B1 (ko) 부스바 케이스
CN102405565A (zh) 用于导引导体通过壁体的电气连接端子
CN110444925B (zh) 一种快装接线端子模块及开关
RU2390081C2 (ru) Корпус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щита
CN209461754U (zh) 一种通信设备用电源分配单元
JP3551613B2 (ja) 住宅用分電盤
KR10182560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ES2263145T3 (es) Sistema de sujeccion de barras conductoras para aparatos polifasicos de control y maniobra.
US8717743B2 (en) Basepan assembly for an electrical enclosure
CN214625811U (zh) 便于器件维护的连接结构及电气柜
CN110289584B (zh) 一种应用于母线的接地线铜排连接结构
KR100368566B1 (ko) 전기 중계기구
RU65288U1 (ru) Клавиш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