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525B1 - 환기용 급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용 급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525B1
KR101195525B1 KR1020120014382A KR20120014382A KR101195525B1 KR 101195525 B1 KR101195525 B1 KR 101195525B1 KR 1020120014382 A KR1020120014382 A KR 1020120014382A KR 20120014382 A KR20120014382 A KR 20120014382A KR 101195525 B1 KR101195525 B1 KR 101195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air supply
fan
air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to KR102012001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빌딩 등과 같은 공동주택, 다중시설 건물의 각 세대 환기를 위한 급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고 건물의 각 세대실로 분기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하나의 배관라인을 통하여 급기와 배기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필요한 배관라인의 감소로 작업공정상 효율적이고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며 풍속을 이용한 간단한 댐퍼 개폐구조로 고장발생률이 적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급기 및 배기시 실내 바닥을 통하므로 냉난방 에너지를 대부분 회수 및 공급하고 축열소자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잔류된 냉기 및 열기를 회수 및 공급함으로 급배기시 냉난방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바닥 매립부에 견고한 구조를 갖는 오발형상의 배관을 적용하여 층간소음 전달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고 건물의 각 세대실로 분기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하나의 배관 라인을 통하여 급기와 배기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10)는 몸체 내부에 급기팬(12)과 배기팬(13)이 함께 설치되되 상기 급기팬(12)의 공기배출방향은 건물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구를 향하고 상기 배기팬(13)의 공기배출방향은 건물외측과 연통되는 연결구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공기배출구(121,131)에는 풍속에 의해 개방되는 급기 또는 배기 댐퍼(23,24)가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50)를 구비하여; 상기 급기팬(12)의 작동시에는 급기팬(12)의 공기배출구(121)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급기댐퍼(23)가 개방되고 배기팬(13)의 배기댐퍼(24)는 자중에 의해 밀폐되어 급기가 이루어지고, 상기 배기팬(13)의 작동시에는 배기팬(13)의 공기배출구(131)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배기댐퍼(24)가 개방되고 급기팬(12)의 급기댐퍼(23)는 자중에 의해 밀폐되어 배기가 이루어지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환기용 급배기 장치{VENTILATING SYSTEM FOR AIR EXHAUST AND INHALATION}
본 발명은 아파트, 빌딩 등과 같은 공동주택, 다중시설 건물의 각 세대 환기를 위한 급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고 건물의 각 세대실로 분기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하나의 배관라인을 통하여 급기와 배기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필요한 배관라인의 감소로 작업공정상 효율적이고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며 풍속을 이용한 간단한 댐퍼 개폐구조로 고장발생률이 적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급기 및 배기시 실내 바닥을 통하므로 냉난방 에너지를 대부분 회수 및 공급하고 축열소자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잔류된 냉기 및 열기를 회수 및 공급함으로 급배기시 냉난방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바닥 매립부에 견고한 구조를 갖는 오발형상의 배관을 적용하여 층간소음 전달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과 같은 공동주택, 다중시설 건물내 세대별 환기는 창문의 개폐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환기시 냉,난방 에너지 손실이 커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공동주택, 다중시설 건물의 세대 환기는 별도의 환기용 급배기 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72359호의 환기용 급기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 1을 참조하면 급기팬(101)의 작동에 의해 건물의 외부공기를 급기구(107)를 통하여 급기하도록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는 급기배관(102)과 상기 급기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건물의 각 세대실(S)로 분기공급하도록 연결설치되는 분기배관(103)을 구성하고 분기배관(103) 단부에 설치된 디퓨져(104)를 통해 급기를 행하고, 배기는 종래 설치된 욕실의 환기팬(105)을 통해 수직배기관(106)으로 직접 배출토록 하는 환기용 급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등록된 특허 기술을 계속적으로 실험 및 연구를 거듭하던 중에 배기시 실내공기가 욕실의 환기팬(105)을 통해 그대로 배출되어 배기시 냉난방 에너지의 손실이 대단히 커 문제점이 있다는 점을 깨닫고 이를 개선하고자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종래기술 중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기구(211), 급기팬(212), 급기배관(213)과 급기용 분기배관(214)으로 이루어진 급기장치와, 배기구(221),배기팬(222), 배기배관(223)과 배기용 분기배관(224)으로 이루어진 배기장치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급기와 배기가 별개로 또는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별도의 배기를 위하여 배기구(221), 배기팬(222), 배기배관(223) 및 배기용 분기배관(224)까지 모두 추가적으로 구성 및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복잡하고 장비 및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되어 건설원가 상승 및 작업공정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의 종래 배관의 바닥 매립시(단면도 AA)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층(6a) 위에 차음제층(6b)과 급기배관(102) 및 기포층(6c)과 냉온수배관(6d)과 모르타르층(6e)이 순차적으로 시공되는데, 상기 급기배관(102)의 매립을 위해 바닥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서는 안되므로 종래 급기배관(102)의 설치위치만 차음제층(6b)을 급기배관(102) 하부의 모양으로 도려낸 뒤 설치하고 있어 얇아진 두께로 인한 층간소음 발생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건물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고 건물의 각 세대실로 분기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하나의 배관라인을 통하여 급기와 배기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필요한 배관라인의 감소로 작업공정상 효율적이고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며 풍속을 이용한 간단한 댐퍼 개폐구조로 고장발생률이 적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급기 및 배기시 실내 바닥을 통하므로 냉난방 에너지를 대부분 회수 및 공급하고 축열소자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잔류된 냉기 및 열기를 회수 및 공급함으로 급배기시 냉난방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바닥 매립부에 견고한 구조를 갖는 오발형상의 배관을 적용하여 층간소음 전달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고 건물의 각 세대실로 분기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하나의 배관 라인을 통하여 급기와 배기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10)는 몸체 내부에 급기팬(12)과 배기팬(13)이 함께 설치되되 상기 급기팬(12)의 공기배출방향은 건물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구(111)를 향하고 상기 배기팬(13)의 공기배출방향은 건물외측과 연통되는 연결구(112)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공기배출구(121,131)에는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가 풍속에 의해 밀려 개방되는 급기 또는 배기 댐퍼(23,24)가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50)를 구비하여; 상기 급기팬(12)의 작동시에는 급기팬(12)의 공기배출구(121)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급기댐퍼(23)가 풍속에 의해 밀려 개방되지만 배기팬(13)의 배기댐퍼(24)는 자중에 의해 밀폐되어 있어 급기가 이루어지고, 상기 배기팬(13)의 작동시에는 배기팬(13)의 공기배출구(131)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배기댐퍼(24)가 풍속에 의해 밀려 개방되지만 급기팬(12)의 급기댐퍼(23)는 자중에 의해 밀폐되어 있어 배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10)는 내부 중앙을 가로막는 격벽(20)을 설치하고 상기 격벽(20)에 급기공(21)과 배기공(22)을 형성하며 격벽(20)의 양측에 급기팬(12)과 배기팬(13)을 각각 배치하되 상기 급기공(21)과 배기공(22)에는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공기배출구(121,131)를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10)는 내부에 급기 및 배기되는 공기가 지나는 부분에 열전도성 및 축열성이 우수한 합성금속, 숯 또는 합성섬유로 된 축열소자(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어 건물의 각 세대실로 분기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상기 배관라인의 일부 또는 전부는 설치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오발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시 오발형상의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보강벽(1a)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10)의 제어부(50)는 급기팬(12) 및 배기팬(13)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실내에 설치된 CO2센서에서 입력된 실내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CO2기준값을 초과시 환기를 시작하고 CO2기준값 이하시 환기를 정지하도록 제어되고 실내 및 실외에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실내외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차 이상이면 실내온도가 급변하지 않도록 급기팬(12)과 배기팬(13)이 소정시간 짧은 간격으로 교번하여 작동되도록 설정하고, 실내외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차 이하이면 실내온도가 급변하지 않으므로 급기팬(12)과 배기팬(13)이 소정시간 긴 간격으로 교번하여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건물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고 건물의 각 세대실로 분기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하나의 배관라인을 통하여 급기와 배기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필요한 배관라인의 감소로 작업공정상 효율적이고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며 풍속을 이용한 간단한 댐퍼 개폐구조로 고장발생률이 적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급기 및 배기시 실내 바닥을 통하므로 냉난방 에너지를 대부분 회수 및 공급하고 축열소자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잔류된 냉기 및 열기를 회수 및 공급함으로 급배기시 냉난방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바닥 매립부에 견고한 구조를 갖는 오발형상의 배관을 적용하여 층간소음 전달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환기용 급기 장치를 이용한 배관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도 2 는 종래의 환기용 급배기 장치를 이용한 배관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환기용 급배기 장치를 이용한 배관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의 환기용 급배기 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환기용 급배기 장치의 제어부를 보이는 개략도
도 6 은 급기시 본 발명의 환기용 급배기 장치내 공기의 흐름을 보이는 개략도
도 7 은 배기시 본 발명의 환기용 급배기 장치내 공기의 흐름을 보이는 개략도
도 8 은 도 1의 AA 요부확대도와 도 3의 BB 요부확대도를 비교하는 대비도
도 9 는 본 발명의 오발덕트를 보이는 사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1)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고 건물의 각 세대실로 분기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하나의 배관 라인을 통하여 급기와 배기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연결구(111,112)가 형성된 직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10)의 몸체는 그 내부에 급기팬(12)과 배기팬(13)이 함께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급기팬(12)의 공기배출방향은 건물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구(111)를 향하고 상기 배기팬(13)의 공기배출방향은 건물외측과 연통되는 연결구(112)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공기배출구(121,131)에는 급기 또는 배기 댐퍼(23,24)가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작동시 풍속에 의해 밀려 개방된다. 상기 급기댐퍼(23)와 배기댐퍼(24)의 힌지부분을 상측에 두어 급기팬(12) 또는 배기팬(13)의 미작동시 자중에 의해 공기배출구(121,131)와의 연통을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50)를 구비하여 급기팬(12)과 배기팬(13)이 실내외에 설치되는 온도센서(52,53) 및 CO2센서(51)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 및 소정주기 동안 교번하여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환기용 급배기 장치(10)는 상기 급기팬(12)의 작동시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기팬(12)의 공기배출구(121)에 연통되게 설치된 급기댐퍼(23)가 풍속에 의해 밀려 개방되나 배기팬(13)의 배기댐퍼(24)는 자중에 의해 밀폐되어 있어 급기가 이루어지고, 상기 배기팬(13)의 작동시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기팬(13)의 공기배출구(131)에 연통되게 설치된 배기댐퍼(24)가 풍속에 의해 밀려 개방되나 급기팬(12)의 급기댐퍼(23)는 자중에 의해 밀폐되어 있어 배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하나의 배관라인을 통하여 급기와 배기가 교번하여 이루어져 종래 급기와 배기가 별도로 이루어진 2개의 배관라인을 이용한 환기용 급배기 장치보다 필요한 배관라인의 감소로 작업공정상 효율적이고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며 풍속을 이용한 간단한 댐퍼 개폐구조로 고장발생률이 적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환기용 급배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용 급배기 장치(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중앙을 가로막는 격벽(20)을 설치하고 상기 격벽(20)에 급기공(21)과 배기공(22)을 형성하며 격벽(20)의 양측에 급기팬(12)과 배기팬(13)을 각각 배치하되 상기 급기공(21)과 배기공(22)에는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공기배출구(121,131)를 각각 연통되도록 밀착시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20)은 환기용 급배기 장치(10)의 급기 및 배기시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공기유입구(122,132)를 통하여 집중되어 유입되도록 하여 공기의 풍속에 의해 급기 또는 배기 댐퍼(23,24)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10)는 내부에 급기 및 배기되는 공기가 지나는 부분에 열전도성 및 축열성이 우수한 합성금속, 숯 또는 합성섬유로 된 축열소자(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열소자(30)는 배기되는 공기로부터 냉기 또는 열기를 흡수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급기를 위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전달하여 실내공기와의 온도차를 줄이는 역할을 2차적으로 하게 된다.
물론, 1차적으로는 바닥에 매립 설치되는 배관에서 실내공기와의 온도차를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냉기 또는 열기를 가진 실내공기가 바닥에 매립되어 설치된 배관을 통과할 때 바닥에서 흡수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급기시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바닥에 매립되는 상기 배관도 열전도성 및 축열성이 우수한 합성금속, 숯 또는 합성섬유를 첨가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어 건물의 각 세대실로 분기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상기 배관라인의 일부 또는 전부는 설치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오발형상(OVAL)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바닥의 경우 차음제층(6b)을 규정대로 시공할 수 있어 층간소음 전달을 억제하고 바닥부의 구조적 강도를 설계와 같이 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시 시멘트나 모래 등의 무게에 의해 오발형상의 중앙부분이 휘어진 채로 시공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이를 지지하는 보강벽(1a)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10)의 내부 또는 외부 어디든 설치될 수 있으며 급기팬(12) 및 배기팬(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실내 및 실외에 설치되는 온도센서(52,53)와 CO2센서(51)와 조절기(54)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내외 온도차 및 CO2오염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된다. 물론, 거실이나 안방에 설치되는 상기 조절기(54)에 의해 수동제어도 가능하다. 도 5는 급기팬(12)의 구동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10)의 제어부(50)는 급기팬(12) 및 배기팬(13)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이 자동모드인지 수동모드인지를 판별(S100)하고 자동모드인 경우, CO2센서(51)를 검출(S200)하여 검출된 CO2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판별(S210)하여 이하인 경우 급기팬/배기팬의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CO2를 검출하는 단계(S200)로 회귀한다.
만일, 상기 검출된 CO2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실내외 온도센서(52,53)에서 온도를 검출(S300)하여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뺀 절대값이 미리 설정된 제1온도차(실내외 온도차가 클 때 예상값)를 초과하는 경우 급기팬/배기팬의 교번주기를 미리 설정된 L1(가장 짧은 주기)으로 교번하여 구동하게 되며 제어신호는 자동모드인지를 판별(S100)하는 단계로 복귀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실내외 온도차가 클 경우 급기팬의 작동시간이 길게 되면 실내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동되어 거주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급기와 배기의 시간을 짧게 하여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실내외 온도센서(52,53)에서 검출(S300)되어 계산된 절대값이 미리 설정된 제1온도차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검출된 실내외 온도의 절대값이 미리 설정된 제2온도차(실내외 온도차가 작을 때 예상값) 보다 작은지를 판별(S320)하여 작거나 같다면 급기팬/배기팬의 교번주기를 미리 설정된 L3(가장 긴 주기)로 교번하여 구동하게 되며 제어신호는 자동모드인지를 판별(S100)하는 단계로 복귀한다. 실내외 온도차가 작은 경우 급기팬(12)의 구동시간이 길어도 실내에서의 온도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급기와 배기의 주기가 길어도 상관없기 때문이다.
만일 실내외 온도의 절대값이 미리 설정된 제2온도차 보다 크다고 판별(S320)되면 급기팬/배기팬의 교번주기를 미리 설정된 L2(중간 주기)로 교변하여 구동하게 되며 제어신호는 자동모드인지를 판별(S100)하는 단계로 복귀한다. 실내외 온도차가 일반적인 수준이라면 급기와 배기의 구동시간도 미리 설정된 중간정도로 교번하여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동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환기버튼(541)이 눌려졌는지를 판별(S140)하여 눌려지지 않았으면 대기하고 눌려졌으면 급기팬/배기팬을 교번하여 구동하게 되고, 급기팬/배기팬의 속도를 설정(강,중,약)하게 되는데 기본설정은 '중'으로 설정되어 있다.이후 정지버튼이 눌려졌는지 판별(S440)하여 눌려지지 않았으며 급기팬/배기팬 교번작동 단계로 회귀하고 만일 정지버튼이 눌려졌다고 판별되면 급기팬/배기팬을 정지하고 자동모드인지를 판별하는 단계(S100)로 회귀한다.
물론, 자동 및 수동제어시 타이머를 두어 시간에 따른 제어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50)는 이상과 같은 제어순서 및 방법에 따라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구동을 제어하되 교번하여 구동시키되 일정주기를 갖고 제어하며, 그 주기를 실내외 온도차에 따라 다르게 제어한다는 점이 기술적 특징이다.
미도시 부호는 B는 발코니, R은 욕실, 215 및 225는 디퓨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급배기배관 1a: 보강벽
2: 분기배관 3; 디퓨져
4: 소음차단댐퍼 5; 통기구
6a: 콘크리트층 6b: 차음제층
6c: 기포층 6d: 냉온수배관
6e: 모르타르층 10: 환기용 급배기 장치
11: 본체 111, 112: 연결구
12: 급기팬 13: 배기팬
121, 131: 공기배출구 122, 132: 공기유입구
20: 격벽 21: 급기공
22: 배기공 23: 급기댐퍼
24: 배기댐퍼 30: 축열소자
35: 필터 50: 제어부
51: CO2센서 52: 실외용 온도센서
53: 실내용 온도센서 54: 조절기
541: 환기버튼
S100: 자동모드 판별 S200: CO2 센서 검출
S210: 검출된 CO2값과 기준치 대비
S220: 급기팬/배기팬 정지 S300: 온도센서 검출
S310: 실내외 온도차와 제1온도차 대비
S320: 실내외 온도차와 제2온도차 대비
S330: 급기팬/배기팬 교번주기 L1로 구동
S340: 급기팬/배기팬 교번주기 L2로 구동
S350: 급기팬/배기팬 교번주기 L3로 구동
S400: 환기버튼 누름 판별 S410: 급기팬/배기팬 교번작동
S420: 팬 속도 설정 S430: 정지버튼 누름 판별
S440: 급기팬/배기팬 정지

Claims (5)

  1.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고 건물의 각 세대실로 분기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하나의 배관 라인을 통하여 급기와 배기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10)는 몸체 내부에 급기팬(12)과 배기팬(13)이 함께 설치되되 상기 급기팬(12)의 공기배출방향은 건물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구(111)를 향하고 상기 배기팬(13)의 공기배출방향은 건물외측과 연통되는 연결구(112)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공기배출구(121,131)에는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가 풍속에 의해 밀려 개방되는 급기 또는 배기 댐퍼(23,24)가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50)를 구비하여;
    상기 급기팬(12)의 작동시에는 급기팬(12)의 공기배출구(121)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급기댐퍼(23)가 풍속에 의해 밀려 개방되지만 배기팬(13)의 배기댐퍼(24)는 자중에 의해 밀폐되어 있어 급기가 이루어지고, 상기 배기팬(13)의 작동시에는 배기팬(13)의 공기배출구(131)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배기댐퍼(24)가 풍속에 의해 밀려 개방되지만 급기팬(12)의 급기댐퍼(23)는 자중에 의해 밀폐되어 있어 배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10)는 내부 중앙을 가로막는 격벽(20)을 설치하고 상기 격벽(20)에 급기공(21)과 배기공(22)을 형성하며 격벽(20)의 양측에 급기팬(12)과 배기팬(13)을 각각 배치하되 상기 급기공(21)과 배기공(22)에는 급기팬(12)과 배기팬(13)의 공기배출구(121,131)를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10)는 내부에 급기 및 배기되는 공기가 지나는 부분에 열전도성 및 축열성이 우수한 합성금속, 숯 또는 합성섬유로 된 축열소자(3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바닥을 통하여 설치되어 건물의 각 세대실로 분기되도록 연통되어 설치되는 상기 배관라인의 일부 또는 전부는 설치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오발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시 오발형상의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보강벽(1a)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급배기 장치(10)의 제어부(50)는 급기팬(12) 및 배기팬(13)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실내에 설치된 CO2센서에서 입력된 실내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CO2기준값을 초과시 환기를 시작하고 CO2기준값 이하시 환기를 정지하도록 제어되고 실내 및 실외에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실내외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차 이상이면 실내온도가 급변하지 않도록 급기팬(12)과 배기팬(13)이 소정시간 짧은 간격으로 교번하여 작동되도록 설정하고, 실내외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차 이하이면 실내온도가 급변하지 않으므로 급기팬(12)과 배기팬(13)이 소정시간 긴 간격으로 교번하여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급배기 장치.
KR1020120014382A 2012-02-13 2012-02-13 환기용 급배기 장치 KR101195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382A KR101195525B1 (ko) 2012-02-13 2012-02-13 환기용 급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382A KR101195525B1 (ko) 2012-02-13 2012-02-13 환기용 급배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525B1 true KR101195525B1 (ko) 2012-10-29

Family

ID=4728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382A KR101195525B1 (ko) 2012-02-13 2012-02-13 환기용 급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5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9941A4 (en) * 2014-07-16 2018-03-28 Williams, Arch Ventilation and dry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90001956A (ko) 2017-06-26 2019-01-08 주식회사 제일테크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환기시스템
KR101988865B1 (ko) * 2018-01-23 2019-06-13 (주)그렉스 외기도입관 및 필터의 청소기능을 가지는 급기시스템
CN110608499A (zh) * 2019-10-15 2019-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储能式新风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198387B1 (ko) * 2020-07-22 2021-01-05 주식회사 제일테크 다기능 환기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9941A4 (en) * 2014-07-16 2018-03-28 Williams, Arch Ventilation and dry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436471B2 (en) 2014-07-16 2019-10-08 Arch Williams Ventilation fan and dry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209185B2 (en) 2014-07-16 2021-12-28 Arch Williams Ventilation and dry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90001956A (ko) 2017-06-26 2019-01-08 주식회사 제일테크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환기시스템
KR101988865B1 (ko) * 2018-01-23 2019-06-13 (주)그렉스 외기도입관 및 필터의 청소기능을 가지는 급기시스템
CN110608499A (zh) * 2019-10-15 2019-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储能式新风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608499B (zh) * 2019-10-15 2023-10-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储能式新风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198387B1 (ko) * 2020-07-22 2021-01-05 주식회사 제일테크 다기능 환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525B1 (ko) 환기용 급배기 장치
US4296798A (en) Integrated house
US20110099918A1 (en) Complete prefabricated mechanical &amp; utility system
JP5108569B2 (ja) 建物の空調システム
JP6095606B2 (ja) 室内冷暖房方法、室内冷暖房装置
JPH0894138A (ja) 戸建住宅用全館換気構造
EP3743570A1 (en) A partially prefabricated building and method
KR20130085675A (ko) 중앙식 건물환기장치
JP6349293B2 (ja) 暖房システム
KR20010096533A (ko) 복사 및 대류 냉난방 시스템
JP2001279837A (ja) エアサイクル家屋及び家屋の換気システム
KR102157679B1 (ko) 화장실 급기 배기 온열 시스템
JP5057660B2 (ja) 冷排熱利用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018218B1 (ko) 고층건물의 공조 및 용수공급 시스템
JP5563326B2 (ja) 建物の換気設備
RU118338U1 (ru) 17-этажный одноподъездный жилой дом
KR200433079Y1 (ko) 공동주택용 급,배기 연동형 환기시스템
KR101319067B1 (ko) 건물환기용 급기장치
CN100572707C (zh) 动态保温材料及制备方法
KR101124926B1 (ko) 실내바닥의 가장자리를 이용한 환기장치
KR100727481B1 (ko) 실내 환경조절 시스템
DK200700251U3 (da) Ventilationsanlæg for indblæsning og/eller udsugning
KR200319833Y1 (ko) 전력선 통신모뎀 겸용 유선식 룸 제어시스템
KR100634112B1 (ko)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RU135686U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е убежище, встроенное в квартиру жилого зд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