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632B1 -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632B1
KR101193632B1 KR1020060008925A KR20060008925A KR101193632B1 KR 101193632 B1 KR101193632 B1 KR 101193632B1 KR 1020060008925 A KR1020060008925 A KR 1020060008925A KR 20060008925 A KR20060008925 A KR 20060008925A KR 101193632 B1 KR101193632 B1 KR 101193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ck
memory
clocks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555A (ko
Inventor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632B1/ko
Priority to US11/627,431 priority patent/US7852328B2/en
Publication of KR20070078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09G5/008Clock recove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in I/O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8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with adaption or trimming of parame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11C29/50012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of tim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06B2003/26312Snap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최적의 클럭 타이밍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메모리 구동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에 저장된 체크 데이터를 읽어 들여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DDR SDRAM, 메모리, 클럭 스큐, 셋업, 홀드

Description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의 데이터 입력부에서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의 데이터 입력부를 도시한 회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부의 상세 회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최적 데이터 선택부의 최적 마진 클럭 선택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가 적용된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회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타이밍 컨트롤러 10 : 데이터 입력부
11, 13, 15, 17, 19, 21 : 지연부 20 : 데이터 래치부
26 : 데이터 변환부 30 : 메모리
40 : 클럭 변환부 50 : 최적 데이터 선택부
122 : 감마 전압 생성부 124 : 타이밍 컨트롤러
126 : 데이터 드라이버 128 : 게이트 드라이버
130 : 액정 패널
본 발명은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최적 타이밍의 클럭을 이용하여 래치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로 각광 받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로는 액정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LCD), 불활성 가스의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LED) 등이 대표적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대형 TV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소형 제품에 주로 응용되고 있는 반면에 액정 표시 장치는 휴대폰, 노트북, 모니터, TV 등과 같이 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크기로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평판 표시 장치는 화소 매트릭스를 통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 회로와, 패널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데이터 보정으로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변환 회로를 포함하고 이때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데이터 변환 회로로 공급하기 위한 메모리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낼 때 클럭을 이용한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는 메모리로부터 읽어낸 데이터를 클럭에 따라 래치하여 데이터 변환 회로로 공급한다. 이때 정확한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셋업 마진(Setup Margin)과 홀드 마진(Hold Margin)이 필요하므로 클럭의 에지부가 데이터의 중심부와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데이터 중심과 클럭의 에지가 정렬되도록 클럭의 위상값을 세팅하더라도 주변 온도 및 클럭 지연과 회로 편차 등으로 인하여 데이터와 클럭 간의 타이밍 스큐(Timing Skew)가 틀어져서 데이터 래치시 에러가 발생되어 화면에 노이즈로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최적 타이밍의 클럭을 이용하여 래치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 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된 체크 데이터를 읽어 들여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체크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체크 데이터를 읽어 들여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체크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전송 클럭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 클럭을 위상값이 서로 다른 다수의 클럭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클럭 각각에 따라 상기 체크 데이터를 래치하는 단계와; 상기 래치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체크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체크 데이터의 래치시 이용된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체크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래치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 중 상기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일치하는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의 래치시 이용된 다수의 클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다수의 클럭 중 어느 하나의 위상값을 갖는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된 다수의 클럭 중 가운데 위상값을 갖는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설정된다.
상기 체크 데이터는 각 프레임 또는 각 수평 기간의 유효 데이터 기간 사이의 블랭크 기간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방법은 상기 메모리에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체크 데이터를 읽어 들여 입력하는 단계 내지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반복 단계에서 상기 설정 빈도수가 높은 클럭의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최종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유효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유효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전송 클럭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 클럭을 위상값이 서로 다른 다수의 클럭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클럭 각각에 따라 상기 유효 데이터를 래치하는 단계와; 상기 래치된 다수의 유효 데이터 중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된 유효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 들인 소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고 설정된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전송 클럭을 입력하여 위상값이 서로 다른 다수의 클럭으로 변환하는 클럭 변환부와; 상기 클럭 변환부로부터의 다수의 클럭 각각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래치부와; 상기 데이터 래치부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고 설정된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최적 데이터 선택부를 포 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체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래치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체크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클럭 각각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하며; 상기 최적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데이터 래치부로부터의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체크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체크 데이터 래치시 상기 데이터 래치부에서 이용된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 클럭으로 설정한다.
상기 최적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다수의 체크 데이터 중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일치하는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의 래치시 이용된 다수의 클럭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다수의 클럭 중 어느 하나의 위상값을 갖는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설정한다. 상기 최적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검출된 다수의 클럭 중 가운데 위상값을 갖는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설정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블랭크 기간에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단계를 반복하고, 설정 빈도수가 높은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최종 설정한다.
상기 메모리는 유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래치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유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클럭 각각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하며; 상기 최적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데이터 래치부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유효 데이터 중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된 유효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을 이용한 화소 매트릭스를 통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화소 매트릭스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화소 매트릭스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출력하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의 데이터 입력부에서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유효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각 프레임의 유효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효 데이터의 중간 중간에 데이터 입력부에서 최적 타이밍의 클럭을 선택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체크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타이밍 컨트롤러는 각 프레임 또는 각 수평 기간의 유효 데이터가 공급된 후 다음 프레임 또는 다음 수평 기간의 유효 데이터가 공급되기 이전까지의 블랭크 기간에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메모리의 여유 공간에 더 저장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입력부 는 유효 데이터를 래치하여 입력하는 중간 중간에 체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 마진의 클럭을 실시간으로 설정하여 온도 및 회로 편차 등으로 인한 데이터 에러가 방지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의 데이터 입력부가 메모리로부터 체크 데이터를 읽어낼 때 체크 데이터(DQ)와 함께 클럭(DQS)이 입력된다. 이어서 데이터 입력부는 메모리로부터 입력된 클럭(DQS)를 이용하여 위상이 서로 다른 다수의 클럭, 즉 위상 설정값(MR_SKEW[2:0])에 따라 서로 다른 위상값(0/8 위상 내지 7/8 위상)을 갖는 제1 내지 제8 클럭(C1 내지 C8)을 생성한다. 그 다음 데이터 입력부는 메모리로부터의 체크 데이터(DQ)를 제1 내지 제8 클럭(C1 내지 C8) 각각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최적 마진의 클럭을 검출하여 최적의 클럭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8개의 클럭(C1 내지 C8) 중 위상 설정값(MR_SKEW[2:0])이 "001, 010, 011"인 제2 내지 제4 클럭(C2, C3, C4)에 따라 래치된 체크 데이터가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로 검출된다. 여기서 중간 위상값인 "010"인 제3 클럭(C3)이 데이터(DQ)의 중심부에 근접하여 셋업 마진(dqi_Setup)과 홀드 마진(dqi_Hold)이 최적이므로 제3 클럭(C3)이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과정에서 최적 마진으로 설정된 클럭에 따라 다음의 유효 데이터를 래치하여 데이터 변환부로 공급한다. 다시 말하여 데이터 입력부는 메모리부터의 유효 데이터를 위상이 서로 다른 다수의 클럭에 따라 래치하고, 상기 과정에서 최적 마진으로 설정된 클럭에 응답하여 래치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변환부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입력부는 실시간으로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래치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데이터 에러가 방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의 데이터 입력부를 도시한 회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럭 변환부로부터의 다수의 클럭과 메모리로부터의 체크 데이터 간의 타이밍 스큐를 비교하여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1)의 데이터 입력부(10)는 메모리(30)로부터의 클럭(DQS)을 위상이 서로 다른 다수의 클럭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클럭 변환부(40)와, 클럭 변환부(40)로부터의 다수의 클럭에 각각 응답하여 메모리(30)로부터의 데이터(DQ)를 래치하는 데이터 래치부(20)와, 데이터 래치부(20)로부터의 데이터 중 최적의 클럭 타이밍으로 래치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변환부(26)로 출력하는 최적 데이터 선택부(50)를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메모리(30)에 저장한다. 이때 타이밍 컨트롤러(1)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각 프레임 또는 각 수평 기간의 유효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효 데이터의 중간에 데이터 입력부(10)에서 최적 타이밍의 클럭을 선택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체크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타이밍 컨트롤러(1)는 각 프레임 또는 각 수평 기간의 유효 데이터가 공급된 후 다음 프레임 또는 다음 수평 기간의 유효 데이터가 공급되기 이전까지의 블랭크 기간에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메모리(30)의 여유 공간에 더 저장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입력부(10)는 메모리(30)로부터 체크 데이터를 읽어 들여 위상이 서로 다른 다수의 클럭으로 래치한 다음 원래의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최적 마진의 클럭을 검출하여 최적의 클럭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1)는 외부로부터의 유효 데이터를 메모리(30)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각 프레임 또는 각 수평 기간의 블랭크 기간에 체크 데이터를 메모리(30)의 여유 공간에 저장한다. 메모리(30)로는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가 이용된다. 타이밍 컨트롤러(1)가 메모리(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경우 메모리(30)로부터의 데이터(DQ)는 데이터 래치부(20)로 공급되고, 메모리(30)로부터 데이터(DQ)와 동기하여 입력된 클럭(DQ)은 클럭 변환부(40)로 공급된다. 이때 메모리(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DQ)는 도 3과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의 입출력 패드(12)를 통해 입력되며 다수의 지연부(11, 13, 15)를 통해 소정의 위상이 지연되어 데이터 래치부(20)로 공급된다. 그리고 메모리(30)로부터 입력된 클럭(DQS)도 도 3과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1)의 입출력 패드(16)를 통해 입력되며 다수의 지연부(17, 19, 21)를 통해 소정의 위상이 지연되어 클럭 변환부(40)로 공급된다.
클럭 변환부(40)는 메모리(30)로부터의 클럭(DQ)을 위상 설정값(MR_SKEW)에 따라 위상이 서로 다른 다수의 클럭(C1 내지 C8)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클럭 변환부(40)는 도 3과 같이 위상 동기 발진 회로인 PLL(Phase Locked Loop) 회로로 구현된다. PLL 회로(40)는 메모리(30)로부터의 클럭(DQ)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비트의 위상 설정값(MR_SKEW[2:0])에 따라 서로 다른 위상값(0/8 위상 내지 7/8 위상)을 갖는 제1 내지 제8 클럭(C1 내지 C8)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래치 부(20)로 출력한다. 이때 클럭 변환부(40)로부터의 제1 내지 제8 클럭(C1 내지 C8)은 지연부(23)을 통해 소정의 위상이 동일하게 지연되어 데이터 래치부(20)로 출력되기도 한다.
데이터 래치부(20)는 클럭 변환부(40)로부터의 다수의 클럭(C1 내지 C8)에 각각 응답하여 메모리(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DQ)를 래치하여 최적 데이터 선택부(5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래치부(20)는 도 3과 같이 위상이 서로 다른 8개의 클럭(C1 내지 C8)을 각각 입력하는 제1 내지 제8 래치부(FF1 내지 FF8)로 구성되고, 제1 내지 제8 래치부(FF1 내지 FF8) 각각은 데이터(DQ)의 비트수(N)에 해당되는 N비트 래치, 즉 N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8 래치부(FF1 내지 FF8) 각각은 제1 내지 제8 클럭(C1 내지 C8) 각각의 특정 에지, 예를 들면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메모리(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DQ)를 래치하고 래치된 데이터(DQ)를 최적 데이터 선택부(5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최적 데이터 선택부(50)에는 제1 내지 제8 클럭(C1 내지 C8) 각각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8 래치부(FF1 내지 FF8)에 래치된 제1 내지 제8 N비트 데이터가 동시에 출력된다.
최적 데이터 선택부(50)는 메모리(30)에 저장된 체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 데이터 래치부(20)로부터의 제1 내지 제8 N비트 데이터 중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변환부(26)로 출력한다. 다시 말하여 최적 데이터 선택부(50)는 각 프레임의 블랭크 기간에서 메모리(30)에 저장된 체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과정을 거지게 된다. 그리고 최적 데이터 선택부(50)는 메모리(30)로부터 데이터 래치부(20)를 경유하여 다수의 클럭(C1 내지 C8)에 따라 래치된 다수의 유효 데이터 중에서 이전의 블랭크 기간에서 설정된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된 유효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변환부(26)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레임 또는 각 수평 기간의 블랭크 기간에서 메모리(30)에 저장된 32비트의 제1 체크 데이터(CD1)가 데이터 래치부(20)를 통해 제1 내지 제8 클럭(C1 내지 C8)에 응답하여 래치된 다음 최적 데이터 선택부(50)로 출력된다. 최적 데이터 선택부(50)는 데이터 래치부(20)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제1 체크 데이터(CD1)를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비교하여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의 래치시 이용된 클럭들 중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선택한다. 도 4를 참조하면, 8개의 클럭(C1 내지 C8)에서 위상 설정값(MR_SKEW[2:0])이 "001, 010, 011"인 제2 내지 제4 클럭(C2, C3, C4)의 응답으로 래치된 체크 데이터가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로 검출된다. 여기서 위상 설정값(MR_SKEW[2:0])이 "001"인 제2 클럭(C2)은 셋업 마진(dqi_Setup)이 부족하고, "011"인 제4 클럭(C4)은 홀드 마진(dqi_Hold)이 부족한 반면, 가운데의 "010"인 제3 클럭(C3)은 체크 데이터(CD1)의 중심부에 근접하여 셋업 마진(dqi_Setup)과 홀드 마진(dqi_Hold)이 최적이므로 제3 클럭(C)을 최적의 클럭으로 선택한다. 다시 말하여 최적 데이터 선택부(50)는 제3 클럭(C)을 입력으로 하는 제3 래치부(FF3)를 최적의 래치부로 선택한다. 그리고, 최적 데이터 선택부(50)는 블랭크 기간에 저장된 나머지의 체크 데이터들(CD2 내지 CDn)에 대하여 상 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선택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최적의 클럭의 선택하고 선택 빈도수가 높은 클럭, 즉 제3 클럭(C)을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최종 선택한다.
그리고 최적 데이터 선택부(50)는 각 프레임의 유효 데이터 기간에서 메모리(30)로부터 데이터 래치부(20)를 경유하여 입력된 다수의 유효 데이터들 중 상기 블랭크 기간에서 최적 마진으로 설정된 클럭에 따라 래치된 유효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변환부(26)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1)의 데이터 입력부(10)는 유효 데이터들 사이의 중간에, 즉 블랭크 기간에 메모리(30)에 저장된 체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고, 메모리(30)로부터 유효 데이터가 입력되면 설정된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된 유효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변환부(26)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1)는 실시간으로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함으로써 온도 및 회로 편차 등으로 인한 데이터 입력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컨트롤러가 적용된 액정 표시 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130)의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28)와,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26)와, 감마 전압을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6)로 공급하는 감마 전압 생성부(122)와, 데이터 드라이버(126) 및 게이트 드라이버(128)를 제어하고 입력 데이터 를 변환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6)로 공급하는 타이밍 컨트롤러(24)를 구비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24)는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화질 향상을 위해 보정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6)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타이밍 컨트롤러(124)는 응답 속도 향상을 위하여 DCC(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회로 내장하고 내장된 DCC 회로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DCC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6)로 출력한다. 이때 타이밍 컨트톨러(1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를 메모리(30)에 저장하고 데이터 입력부(10)를 통해 메모리(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들여 래치한 다음 DCC 회로로 공급한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30)에 저장된 체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고, 설정된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DCC 회로 블록으로 공급하므로 온도 및 회로 편차에 따른 데이터의 입력 에러가 방지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24)는 외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입력된 다수의 제어 신호들, 예를 들면 도트 클럭, 데이터 이네이블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등을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8)와 데이터 드라이버(126)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감마 전압 생성부(122)는 다수의 계조에 따른 다수의 감마 전압을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6)로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26)는 타이밍 컨트롤러(124)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액정 패널(130)의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공 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26)는 감마 전압 생성부(122)로부터의 다수의 감마 전압들 중 타이밍 컨트롤러(124)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되는 계조의 감마 전압을 선택하여 액정 패널(130)의 각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한다. 이때 데이터 드라이버(126)는 타이밍 컨트롤러(124)로부터의 극성 제어 신호에 따라 정극성 또는 부극성(공통 전압 기준) 감마 전압을 선택하여 각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8)는 타이밍 컨트롤러(12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여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8)는 타이밍 컨트롤러(12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을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다음 필드에서 게이트 온 전압이 공급되기 이전까지 게이트 오프 전압을 공급한다.
액정 패널(13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의 조합으로 화상을 표시하고 화소들 각각은 적, 녹, 청 서브 화소의 조합으로 원하는 색을 표현한다. 각 서브 화소는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하는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으로 구성되는 액정 커패시터(Clc)로 표현되고, 액정 커패시터(Clc)는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과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라인(GL)의 게이트 온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DL)의 데이터 신호를 액정 커패시터(Clc)에 충전하고 게이트 오프 전압에 의해 턴-오프되어 액정 커패시터(Clc)에 충전된 데이터 신호가 유지되게 한다. 액정 커패시터(Clc)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 신호를 공통 전극에 공급된 공통 전압(Vcom)을 기준으로 충전하여 액정을 구동함으로써 광투과율을 조절한다. 그리고 각 서브 화소는 액정 커패시터(Clc)와 병렬 접속되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턴-오프시 누설 전류를 보상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는 체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고 설정된 최적의 클럭에 따라 래치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다음 회로 블록으로 출력함으로써 온도 및 회로 편차로 인한 데이터 입력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 장치가 포함된 타이밍 컨트롤러가 적용된 액정 표시 장치는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데이터를 래치하여 입력함으로써 데이터 입력 에러로 인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6)

  1. 메모리에 저장된 체크 데이터를 읽어 들여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단계는
    a) 상기 메모리에 상기 체크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체크 데이터를 읽어 들여 입력하는 단계와;
    c)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체크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전송 클럭을 입력하는 단계와:
    d) 상기 전송 클럭을 위상값이 서로 다른 다수의 클럭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e) 상기 다수의 클럭 각각에 따라 상기 체크 데이터를 래치하는 단계와;
    f) 상기 래치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체크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체크 데이터의 래치시 이용된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래치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 중 상기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일치하는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의 래치시 이용된 다수의 클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다수의 클럭 중 어느 하나의 위상값을 갖는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다수의 클럭 중 가운데 위상값을 갖는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데이터는 각 프레임 또는 각 수평 기간의 유효 데이터 기간 사이의 블랭크 기간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b), c), d), e), f)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반복 단계에서 최적의 클럭으로 선택된 클럭들 중 선택 빈도수가 높은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최종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7.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g)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유효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h)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유효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전송 클럭을 입력하는 단계와:
    i) 상기 h)단계의 전송 클럭을 위상값이 서로 다른 다수의 클럭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j) 상기 i)단계의 다수의 클럭 각각에 따라 상기 유효 데이터를 래치하는 단계와;
    k) 상기 래치된 다수의 유효 데이터 중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된 유효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8.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 들인 소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고 설정된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전송 클럭을 입력하여 위상값이 서로 다른 다수의 클럭으로 변환하는 클럭 변환부와;
    상기 클럭 변환부로부터의 다수의 클럭 각각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래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래치부와;
    상기 데이터 래치부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고 설정된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최적 데이터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체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래치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체크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클럭 각각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하며;
    상기 최적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데이터 래치부로부터의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체크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체크 데이터 래치시 상기 데이터 래치부에서 이용된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 클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다수의 체크 데이터 중 원래의 체크 데이터와 일치하는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의 래치시 이용된 다수의 클럭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다수의 클럭 중 어느 하나의 위상값을 갖는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검출된 다수의 클럭 중 가운데 위상값을 갖는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데이터는 각 프레임 또는 각 수평 기간의 유효 데이터 기간 사이의 블랭크 기간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블랭크 기간에 다수의 체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체크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을 설정하는 단계를 반복하고, 최적의 클럭으로 선택된 클럭들 중 선택 빈도수가 높은 클럭을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으로 최종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15. 제13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유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래치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의 유효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클럭 각각에 따라 래치하여 출력하며;
    상기 최적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데이터 래치부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유효 데이터 중 상기 최적 마진의 클럭에 따라 래치된 유효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16. 액정을 이용한 화소 매트릭스를 통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화소 매트릭스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화소 매트릭스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제 8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출력하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008925A 2006-01-27 2006-01-27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193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925A KR101193632B1 (ko) 2006-01-27 2006-01-27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US11/627,431 US7852328B2 (en) 2006-01-27 2007-01-26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925A KR101193632B1 (ko) 2006-01-27 2006-01-27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555A KR20070078555A (ko) 2007-08-01
KR101193632B1 true KR101193632B1 (ko) 2012-10-23

Family

ID=3832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925A KR101193632B1 (ko) 2006-01-27 2006-01-27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52328B2 (ko)
KR (1) KR101193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0315B2 (ja) 2008-03-20 2012-08-01 アナパ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ブランク期間にクロック信号を伝送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方法
KR100883778B1 (ko) * 2008-03-20 2009-02-20 주식회사 아나패스 블랭크 기간에 클록 신호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및 방법
US8305368B2 (en) * 2009-08-19 2012-11-06 Himax Technologies Limited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mum skew and adjusting a clock phase of a pixel clock signal and data driver utilizing the same
KR101641361B1 (ko) * 2009-12-22 2016-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807246B1 (ko) * 2011-01-11 2017-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843315B2 (en) 2011-11-01 2017-12-12 Rambus Inc. Data transmission using delayed timing signals
US9112655B1 (en) * 2013-07-30 2015-08-18 Altera Corporation Clock data recovery circuitry with programmable clock phase selection
JP2017219586A (ja) * 2016-06-03 2017-12-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信号供給回路及び表示装置
JP6763715B2 (ja) * 2016-07-11 2020-09-30 ローム株式会社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その制御方法、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2589195B1 (ko) * 2021-11-23 2023-10-13 주식회사 티엘아이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6633A (ja) 2004-05-14 2005-11-24 Nec Electronics Corp コントローラ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61180B (en) * 1998-12-21 2001-10-21 Sony Corp Digital/analog converter circuit, level shift circuit, shift register utilizing level shift circuit, sampling latch circuit, latch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KR100330036B1 (ko) * 2000-06-29 2002-03-27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69168B1 (ko) * 2001-09-04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6633A (ja) 2004-05-14 2005-11-24 Nec Electronics Corp コントローラ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80347A1 (en) 2007-08-02
KR20070078555A (ko) 2007-08-01
US7852328B2 (en) 201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632B1 (ko)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US10783820B2 (en) Gate driv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402396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040167A1 (en) Programmable nonvolatile memory embedded in a timing controller for storing lookup tables
KR101254030B1 (ko)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US10019927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suppressing power voltage ripples
KR20050002428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10221727A1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8379002B2 (en) Data transmitting device and flat plate display using the same
JP5634702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1046797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7777706B2 (en) Impuls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crystal device
US10115349B2 (en) Display device
KR101441385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US7924258B2 (en) Gate driv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gate start puls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801745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an image display
US908749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30131807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354359B1 (ko) 표시장치
KR20060134779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906310B1 (ko) 액정표시장치용 타이밍 콘트롤러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964566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90063689A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US10140939B2 (en) Data convers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30215351A1 (en) Power supply,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