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597B1 - 자전거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597B1
KR101193597B1 KR1020120067892A KR20120067892A KR101193597B1 KR 101193597 B1 KR101193597 B1 KR 101193597B1 KR 1020120067892 A KR1020120067892 A KR 1020120067892A KR 20120067892 A KR20120067892 A KR 20120067892A KR 101193597 B1 KR101193597 B1 KR 10119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unit
sprocket
cam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옥
최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앤첼린지
최재권
이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앤첼린지, 최재권, 이상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앤첼린지
Priority to KR102012006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597B1/ko
Priority to PCT/KR2013/005566 priority patent/WO20140033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the chain, belt, or the like being laterally shiftable, e.g. using a rear derailleur
    • B62M9/121Rear derailleurs

Abstract

자전거의 바퀴가 결합되는 허브축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측에 복수의 스프라켓이 지지되는 스프라켓 지지유닛, 허브축유닛과 스프라켓 지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라켓 지지유닛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래치 유닛과, 래치 유닛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타방향으로도 허브축유닛에 대해 스프라켓 지지유닛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지 상태에서 기어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래치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변속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전거 변속장치 {Bicyc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전거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지 상태에서도 변속이 가능한 자전거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기어 변속기는 주행상태에 따라 페달을 일정한 힘과 속도로 밟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데, 페달과 뒷바퀴 축에 서로 다른 톱니 수를 갖는 스프로킷(sprocket)을 중첩배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자전거의 기어 변속기는 언덕에서는 자전거 체인을 페달 축은 작은 스프로킷에, 뒷바퀴 축은 큰 스프로킷에 걸리도록 하고, 평지에서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에는 자전거 체인을 페달 축은 큰 스프로킷에, 뒷바퀴 축은 작은 스프로킷에 걸리도록 하여 페달을 일정한 힘과 속도로 밟아도 자전거의 진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어 변속기는 자전거의 주행시에만 조절을 할 수 있으며, 바퀴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변속기의 조절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정지된 상태에서 기어 변속을 하기 위해서는, 자전거의 뒷바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놓은 상태에서 변속을 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어린이 등의 청소년은 무거운 자전거를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한 손으로 자전거 뒷바퀴를 든 상태에서 변속작업을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정지 상태에서의 기어 변속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정지 상태에서도 기어 변속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전거 변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전거 변속장치는, 자전거의 바퀴가 결합되는 허브축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측에 복수의 스프라켓이 지지되는 스프라켓 지지유닛; 상기 허브축유닛과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래치 유닛과; 상기 래치 유닛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타방향으로도 상기 허브축유닛에 대해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지 상태에서 기어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래치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래치 유닛은, 상기 허브축유닛의 단부 외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가 눌린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래치에 마주하도록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의 내주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이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래치가 걸리도록 하는 래치 걸림구를 가지는 래치 간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치 유닛은, 상기 허브축유닛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이 상기 허브축 유닛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 외주에서 상기 래치를 지지하는 래치 지지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래치 제어유닛은, 상기 래치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며 회전시 상기 가이드돌기의 위치를 제어하는 캠부를 가지며, 상기 래치 지지캡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상대적으로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 지지캡에 연결되는 캠판과; 상기 캠판에 마찰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캠판이 상기 래치 지지캡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마찰력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판에 마찰력이 제공되어 상기 래치가 회전하면, 상기 캠부를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래치가 상기 래치 간섭구를 벗어나도록 자세변경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이 상기 타방향으로 자유회전 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래치 제어유닛은, 상기 캠판이 상기 래치 지지캡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캠판과 상기 래치 지지캡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각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래치 제어유닛은, 상기 캠판이 상기 래치 지지캡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래치 간섭부는,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은, 상기 허브축 유닛의 외측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에 다수의 스프라켓이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라켓 지지하우징; 및 상기 스프라켓 지지하우징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라켓 지지하우징에 결합된 스프라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간섭부는 상기 이탈방지캡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자전거 변속장치에 따르면, 주행하는 동안에 기어 변속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정지 상태에서도 기어 변속이 가능하다.
따라서, 평지를 주행하다가 갑자기 오르막길을 주행할 경우와 같이 저속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도 기어변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전거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변속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의 변속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래치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a의 상태에서의 자전거의 변속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 각각은 정지 상태에서 기어변속 가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변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변속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변속장치(10)는, 자전거의 바퀴가 결합되는 허브축 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측에 복수의 스프라켓(30)이 지지되는 스프라켓 지지유닛(40), 허브축유닛(20)과 스프라켓 지지유닛(40) 사이에 설치되는 래치 유닛(50) 및 래치 제어유닛(6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허브축 유닛(20)은 허브축 몸체(21)와, 허브축 몸체(21)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베어링 지지부재(23)를 구비한다. 허브축 몸체(21)는 중공축(21a)과, 중공축(21a)에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플랜지부(21b)를 가진다. 중공축(21a)의 일단에는 베어링 지지부재(23)가 체결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23)는 원통형상으로, 그 외주에 지지베어링(70)이 설치되며, 일단 내주면에는 상기 중공축(21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타단부의 외주에는 후술할 래치 지지캡(51)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결합부(23a)가 형성된다. 이러한 베어링 지지부재(23)는 허브축 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결합 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40)과 허브축 유닛(20)의 베어링 지지부재(23) 사이에는 지지베어링(70)이 설치된다.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은 외주에 다수의 스프라켓(30)이 끼워져 지지되는 스프라켓 지지하우징(41)과, 스프라켓 지지하우징(41)의 단부에 결합되어 결합된 스프라켓(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43)을 구비한다. 스프라켓 지지하우징(41)의 외주에는 결합된 스프라켓(30)의 자유로운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이탈방지캡(43)은 스프라켓 지지하우징(41)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링 형상을 가지며, 스프라켓 지지하우징(41)의 외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의 내주 즉, 구체적으로는 스프라켓 지지하우징(41)의 내주에는 후술할 래치 간섭부(57)가 설치되며, 이 래치 간섭부(57)에는 후술할 래치(53)가 걸리는 래치 간섭구(57a)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은 일방향(A; 자전거 바퀴 주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자유회전 가능하며, 타방향(B: 자전거 바퀴 주행방향)으로의 자유 회전은 래치 유닛(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한된다.
상기 래치 유닛(50)은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의 일방향(A)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B)으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이러한 래치 유닛(50)은, 허브축 유닛(20)의 베어링 지지부재(23)의 단부 외주에 결합되는 래치 지지캡(51)과, 래치 지지캡(51)의 외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53)와, 래치(53)가 눌린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5) 및, 래치 간섭부(57)를 구비한다.
상기 래치 지지캡(51)은 베어링 지지부재(23)의 일측 단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스프라켓 지지유닛(40) 및 지지베어링(70)이 허브축 유닛(20)에서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래치 지지캡(51)의 캡 몸체(51a)의 외주에는 래치(53)가 안착되는 래치 안착홈(51b)이 외주로부터 인입되게 형성된다. 또한, 캡 몸체(51a)의 외주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55)가 지지되는 환형홈(51c)이 형성된다. 또한, 캡 몸체(51a)의 일측으로 후술할 캠판(62)이 지지되는 지지턱(51d)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래치(53)는 래치 지지캡(51)의 외주에 형성된 래치 안착홈(51b)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래치 안착홈(51b) 내에서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자세 변경되면서 상기 래치 간섭부(57)에 형성되는 래치 걸림구(57a)에 걸리거나 벗어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즉, 래치(53)는 래치 지지캡(51)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자세(도 2a 및 도 3)에서는 래치 걸림구(57a)에 걸려서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이 일방향(A)으로 자유회전 하지 못하고, 허브축 유닛(20)과 함께 회전되도록 제한하고, 타방향(B)으로는 래치 걸림구(57a)에 간섭되어 탄력적으로 눌려지면서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이 래치(53)에 걸리지 않고 자유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래치(53)는 탄성부재(5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래치 걸림구(57a)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55)는 지지캡(51)의 환형홈(51c)에 끼워진 상태로 래치(53)를 지지하는 탄성링을 포함하며, 래치(53)의 중앙부분에는 탄성부재(55)가 끼워져 지지되는 슬롯(55a)이 형성된다.
상기 래치 간섭부(57)는 래치 지지캡(51)의 외주에 대응되는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의 내주에 설치되며, 래치(53)의 끝단이 걸리는 래치 간섭구(57a)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래치 간섭부(57)는 링 형상을 가지며,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의 내주에 설치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래치 제어유닛(60)은 래치 유닛(50)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타방향(B)으로도 허브축 유닛(20)에 대해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지 상태에서 기어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래치 제어유닛(60)은 래치(53)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61)와, 캠판(62), 회전각 제한부(63), 고정부재(64) 및 마찰력 제공부(65)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돌기(61)는 래치(53)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61)는 래치(5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핀을 래치(53)에 홀을 가공한 후 압입하여 설치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캠판(62)은 가이드돌기(61)가 끼워져 결합되며 회전시 가이드돌기(61)의 위치를 제어하는 캠부(62a)가 래치(53)에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캠판(62)은 래치 지지캡(5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 지지캡(51)에 연결된다. 캠부(62a)는 캠판(62)의 회전시 가이드돌기(61)를 가이드하여 위치제어함으로써, 래치(53)가 래치 지지캡(51)의 외주에서 돌출되거나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가이드돌기(61)가 캠부(62a)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전중심 쪽으로 최대한 이동하게 되면, 래치(53)가 누운 자세(도 4 및 도 5의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래치 간섭부(57)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이 타방향(B)으로도 자유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캠판(62)에 외력(마찰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탄성부재(5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래치(53)가 원위치(선 자세)로 복귀되면서 가이드돌기(61)도 회전중심에서 최대한 먼 거리에 위치되고, 캠판(62)도 소정 각도 피동회전되어 자세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캠판(62)이 래치 지지캡(51)에서의 상대적으로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회전각 제한부(6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각 제한부(63)는 캠판(62)의 내주에 형성되는 걸림턱(63a)과, 래치 지지캡(51)의 외주에 형성되는 스토퍼부(63b)를 구비한다. 캠판(62)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될 수 있도록 걸림턱(63a)과 스토퍼부(63b)가 간섭됨으로써, 캠판(62)에 큰 외력(마찰력)이 가해지더라도 정해지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캠판(62)을 통해 래치(53)에 부하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래치(53)의 고장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64)는 래치 지지캡(51)에 설치되어, 캠판(62)이 래치 지지캡(51)에서 분리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재(64)는 래치 지지캡(51)의 외주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스냅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력 제공부(65)는 캠판(62)에 마찰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캠판(62)이 래치 지지캡(51)과 일체로 회전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즉, 래치 지지캡(5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마찰력 제공부(65)는, 중심축(1)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65a)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찰부재(65b) 및 마찰부재(65b)에 연결되어 마찰부재(65b)를 가동시키는 와이어(65c)를 구비한다. 중심축(1)은 허브축 유닛(20)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허브축 유닛(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중심축(1)에 상기 지지브라켓(65a)이 고정 설치되고, 그 지지브라켓(65a)에 마찰부재(65b)가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마찰부재(65b)는 예를 들어, 지지브라켓(65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찰부재(65b)는 와이어(65c)의 당김 및 당김 해제 동작에 의해서 연동되면서 캠판(62)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압되거나, 접촉 가압이 해지된다.
상기 마찰부재(65b)가 도 2a와 같이 캠판(62)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래치(53)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상태로서,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은 일방향(A)으로의 자유 회전이 제한된다.
반대로, 도 4와 같이, 마찰부재(65b)가 캠판(62)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면, 그 마찰력에 의해서 캠판(62)이 소정 각도 래치 지지캡(5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래치(53)를 도 5와 같이 눕혀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이 허브축 유닛(20)에 대해 타방향(B)으로도 자유회전 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정지 상태에서의 기어변속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65c)는 마찰부재(65b)에 연결된 상태로, 와이어 조작부(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마찰부재(65b)를 캠판(62)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거나, 가압력을 가하지 않는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마찰부재(65b)와 캠판(62)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조작부는 자전거 핸들에 설치되는 조작레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 조작부, 와이어(65c) 및 마찰부재(65b)의 구성은 자전거에 널리 적용되는 기어변속 레버 및 와이어의 구조 또는 브레이크 레버 및 와이어의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러한 마찰력 제공부(65)의 구체적인 구성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변속기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a 및 도 3은 주행상태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는 래치(53)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게 됨으로써,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은 일방향(A)으로는 허브축 유닛(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회전 가능하며, 타방향(B)으로는 허브축 유닛(20)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래치(53)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주행 중에 기어 변속장치를 이용하여 체인을 위치 이동시켜서 기어 변속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자전거 페달을 밟으면, 그 동력이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을 통해 허브축 유닛(20)으로 전달되어 자전거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로 자전거를 이용하다가, 정지 상태에서 기어 변속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찰력 제공부(65)를 동작시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판(62)으로 마찰부재(65b)를 밀착시켜서 캠판(62)에 마찰력을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자전거 페달을 주행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인의 힘에 의해 스프라켓 지지유닛(4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며, 이때 캠판(62)의 캠부(62a)의 길이 정도만큼만 미세하게 자전거를 움직여 주면, 캠판(62)은 마찰부재(65b)에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고 스프라켓 지지유닛(40)과 허브축 유닛(20)이 캠판(62)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 가이드돌기(61)는 캠부(62a)에 의해 가이드되어, 도 4 및 도 5의 위치로 이동되고, 따라서 래치(53)는 래치 간섭구(57a)에서 벗어남으로써,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이 타방향(B)으로도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정지된 상태에서,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이 타방향(B)으로도 자유회전 가능하게 되면, 정지 상태에서 기어 변속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어 변속이 끝난 뒤에, 상기 마찰부재(65b)를 캠판(62)에서 분리하면, 래치(53)는 탄성부재(55)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도 2a 및 도 3의 상태)로 자연스럽게 복귀됨으로써,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은 다시 타방향(B)으로의 자유회전이 불가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53)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래치 간섭부(57')가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40)의 이탈방지캡(43')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탈방지캡(43')은 스프라켓 지지하우징(41)의 단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 및 내주면 각각을 덮도록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허브축 유닛 30..스프라켓
40..스프라켓 지지유닛 50..래치 유닛
60..래치 제어유닛 70..지지베어링

Claims (8)

  1. 자전거의 바퀴가 결합되는 허브축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측에 복수의 스프라켓이 지지되는 스프라켓 지지유닛;
    상기 허브축 유닛과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래치 유닛과;
    상기 래치 유닛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타방향으로도 상기 허브축 유닛에 대해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지 상태에서 기어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래치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유닛은,
    상기 허브축 유닛의 단부 외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가 눌린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래치에 마주하도록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의 내주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이 상기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래치가 걸리도록 하는 래치 걸림구를 가지는 래치 간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변속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유닛은,
    상기 허브축 유닛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이 상기 허브축 유닛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 외주에서 상기 래치를 지지하는 래치 지지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변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유닛은,
    상기 래치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며 회전시 상기 가이드돌기의 위치를 제어하는 캠부를 가지며, 상기 래치 지지캡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상대적으로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 지지캡에 연결되는 캠판과;
    상기 캠판에 마찰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캠판이 상기 래치 지지캡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마찰력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판에 마찰력이 제공되어 상기 래치가 회전하면, 상기 캠부를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래치가 상기 래치 간섭구를 벗어나도록 자세변경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이 상기 타방향으로 자유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변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유닛은,
    상기 캠판이 상기 래치 지지캡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캠판과 상기 래치 지지캡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각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변속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제어유닛은,
    상기 캠판이 상기 래치 지지캡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변속장치.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간섭부는,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의 내주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변속장치.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 지지유닛은,
    상기 허브축 유닛의 외측에 지지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에 다수의 스프라켓이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라켓 지지하우징; 및
    상기 스프라켓 지지하우징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라켓 지지하우징에 결합된 스프라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간섭부는 상기 이탈방지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변속장치.
KR1020120067892A 2012-06-25 2012-06-25 자전거 변속장치 KR10119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892A KR101193597B1 (ko) 2012-06-25 2012-06-25 자전거 변속장치
PCT/KR2013/005566 WO2014003395A1 (ko) 2012-06-25 2013-06-24 자전거 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892A KR101193597B1 (ko) 2012-06-25 2012-06-25 자전거 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597B1 true KR101193597B1 (ko) 2012-10-24

Family

ID=4728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892A KR101193597B1 (ko) 2012-06-25 2012-06-25 자전거 변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3597B1 (ko)
WO (1) WO2014003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09490B (zh) * 2021-09-01 2023-07-21 彥豪金屬工業股份有限公司 自行車變速操控裝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655B2 (ja) * 1990-11-13 2000-07-17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変速操作装置
KR20010110061A (ko) * 2000-05-30 2001-12-12 마재열 자전거의 변속 레버장치
KR100586631B1 (ko) * 2004-04-02 2006-06-12 오천도 자전거용 무단 변속장치
JP2005324603A (ja) * 2004-05-12 2005-11-24 Fujiwara Wheel:Kk 自転車用変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3395A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1573B2 (en) Actuation device for a control cable for a bicycle gearshift
US8096208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a bicycle shift control device
US20170101161A1 (en) Bicycle drive mechanism to enable coasting
EP0605741B1 (en) Change gear operation device for bicycle
US5961416A (en) Internally mounted bicycle transmission
JP2003524119A5 (ko)
KR100195515B1 (ko) 자전거의 변환 전진구동 주행의 제어장치
KR101193597B1 (ko) 자전거 변속장치
US7290462B2 (en) Bicycle twist-grip shift control device with parallel gearing
JPH05270476A (ja) 自転車用変速操作装置
KR101744386B1 (ko) 자전거용 증속 동력변환장치
KR101196008B1 (ko) 자전거 변속장치
KR20140120694A (ko) 자전거 변속기 제어장치
EP3057862A1 (en) Shift lever arrangement for a bicycle
KR102003642B1 (ko) 등속 및 무단자동 변속 장치
KR20150114679A (ko) 자전거의 변속장치
KR20150022691A (ko) 자전거 변속장치
KR100863350B1 (ko) 변속 클러치 기능을 보유한 자전거 페달 하우징
KR20150137873A (ko) 자전거 변속장치
US4056013A (en) Bicycle transmissions
KR20150069332A (ko) 자전거 변속장치
KR20150009684A (ko)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101164490B1 (ko) 자전거 변속장치
KR101887807B1 (ko) 자전거용 구동장치
KR20140105998A (ko) 자전거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