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684A -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684A
KR20150009684A KR20130083921A KR20130083921A KR20150009684A KR 20150009684 A KR20150009684 A KR 20150009684A KR 20130083921 A KR20130083921 A KR 20130083921A KR 20130083921 A KR20130083921 A KR 20130083921A KR 20150009684 A KR20150009684 A KR 20150009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power transmission
wire
guid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이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엽 filed Critical 이동엽
Priority to KR2013008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9684A/ko
Publication of KR2015000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체인과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지던 자전거의 동력전달을 새로운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변속이 무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일 끝단에 페달이 장착되는 한 쌍의 크랭크의 회전력을 자전거 뒷바퀴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구동하게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크랭크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크랭크축에는 일측 크랭크에 인접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일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캠이 상기 크랭크축과 동일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캠 보다 큰 외경을 가진 한 쌍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축 삽입홀이 형성되며, 하나는 상기 캠에 밀착되고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중심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밀착되는 두 개 이상의 간격유지 돌출부가 형성되고, 자전거의 진행을 위해 페달을 전방으로 밟아 이루어지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간격유지 돌출부가 180°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중심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끝단은 상호 밀착하지 않도록 이격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렌지와;
자전거 뒷바퀴의 축에 장착되어 자전거 진행 방향으로는 축과 같이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도록 하되 외경 양단이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와이어 권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이 진행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장착되는 리턴스프링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 풀리와;
인접한 상기 와이어 고정돌출부 사이 공간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일단은 상기 동력전달풀리의 와이어 권취부에 고정된 후 감기며 타측단은 외경이 확장되는 형상의 고정부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돌출부 사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동력전달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플렌지 중 캠에 밀착된 면에 힌지에 의하여 장착되어 동력전달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 고정돌출부가 크랭크축의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하였을 때 상기 단턱부에 걸려 캠과 가이드플렌지가 동일 회전하도록 하고, 180°이상 회전한 위치에서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이 장착되는 프레임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후크 풀림핀에 의하여 상기 단턱부에 걸린 반대측을 눌러 단턱부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후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체인과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지던 자전거의 동력전달을 새로운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변속이 무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처음 고안한 사람은 1790년 프랑스의 콩트 드 시브락이라는 것이 정설이며 최초의 자전거는 페달이 없이 발로 끄는 방식이였으나 점차 페달이 생기고 다양한 종류로 발전하였으며 일부는 사장되고 점차 현대 자전거의 형상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자전거의 구성은 프레임, 바퀴, 핸들인 조향장치, 페달과 스프라켓 및 체인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 브레이크장치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변속장치도 거의 대부분의 자전거에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동력전달장치는 일부 직접 바퀴의 축에 페달이 장착된 외발자전거와 같은 것을 제외하면 체인과 스프라켓에 의한 동력전달 방식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스프라켓과 체인은 날카로운 부분이 많아 탑승자가 다칠 우려가 있으며, 원활한 결합과 작동을 위하여 도포된 윤활유는 공기 중의 먼지나 기타 물질에 의하여 검게 변색되고 또 이는 의복에 묻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변속장치는 현재 시판되는 것은 MTB는 최대 30단까지 로드바이크는 최대 22단까지 변속 가능하도록 한 고급형이 개발되었으나 기어를 변속하는 과정에서 변속비가 정해진 변속 단위에 따라서만 변속되는 한계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283133-0000호 (2000년12월05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0066072호 (2004년07월23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16943호 (2006년11월16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197289-0000호 (1999년02월2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체인과 스프라켓에 의한 동력전달이 아닌 새로운 방식의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자전거의 변속 즉 페달이 연결된 크랭크의 1회전에 따른 뒷바퀴의 회전수를 설정된 단계가 아닌 사용자의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무단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끝단에 페달이 장착되는 한 쌍의 크랭크의 회전력을 자전거 뒷바퀴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구동하게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크랭크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크랭크축에는 일측 크랭크에 인접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일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캠이 상기 크랭크축과 동일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캠 보다 큰 외경을 가진 한 쌍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축 삽입홀이 형성되며, 하나는 상기 캠에 밀착되고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중심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밀착되는 두 개 이상의 간격유지 돌출부가 형성되고, 자전거의 진행을 위해 페달을 전방으로 밟아 이루어지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간격유지 돌출부가 180°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중심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끝단은 상호 밀착하지 않도록 이격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렌지와;
자전거 뒷바퀴의 축에 장착되어 자전거 진행 방향으로는 축과 같이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도록 하되 외경 양단이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와이어 권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이 진행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장착되는 리턴스프링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 풀리와;
인접한 상기 와이어 고정돌출부 사이 공간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일단은 상기 동력전달풀리의 와이어 권취부에 고정된 후 감기며 타측단은 외경이 확장되는 형상의 고정부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돌출부 사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동력전달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플렌지 중 캠에 밀착된 면에 힌지에 의하여 장착되어 동력전달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 고정돌출부가 크랭크축의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하였을 때 상기 단턱부에 걸려 캠과 가이드플렌지가 동일 회전하도록 하고, 180°이상 회전한 위치에서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이 장착되는 프레임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후크 풀림핀에 의하여 상기 단턱부에 걸린 반대측을 눌러 단턱부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후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플렌지의 축 삽입홀은 상기 크랭크축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중앙은 상기 크랭크축의 외경에 상응하여 관통되는 축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 외경은 상기 축 삽입홀의 내경에 상응하여 삽입되며, 타측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변속와이어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캠의 반대측에 있는 가이드플렌지로부터 삽입되고, 삽입되어 한 쌍의 가이드플렌지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외경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되 일 회전방향에 따라 간격이 좁아지는 변속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변속플렌지와;
상기 변속플렌지의 변속와이어 연결부 상호 반대 측단에 각각 연결된 후 접선방향으로 연장되어 둘 중 하나가 당겨짐으로 상기 변속플렌지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변속와이어와;
상기 변속플렌지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고 내경면에는 회전하는 변속구가 돌출 장착되어 상기 변속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외경면에는 수 개의 가변편 고정홈이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는 한 쌍의 변속링과;
상기 가이드플렌지의 간격유지 돌출부와 와이어 고정돌출부의 사이가 180°이상 이격된 공간에서 상기 축 삽입홀에서 법선 방향으로 한 쌍이 나란히 돌출 연장되어 그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는 형식으로 방사형으로 수 개가 일정간격 형성되는 가변편 가이드리브와;
다수의 링크가 두 개가 'X'자 형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교차 연결된 후 양단이 다시 또 다른 교차된 링크의 끝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형식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단은 상기 가변편 고정홈에 장착되고 양측은 상기 가변편 가이드리브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신장하는 수 개의 가변편로 구성되는 변속장치가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체인과 스프라켓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를 와이어에 의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경량이고 스프라켓과 같은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여 탑승자가 다치는 경우를 줄이며, 윤활을 위한 오일로 의하여 의복이나 피부다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속플렌지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가 감기는 가변판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운행도중 동력이 전달되면서 동시에 변속이 가능한 무단 변속기를 제공하여 변속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의 감김에 따른 동력전달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과 후크에 의한 회전제어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플렌지의 작동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의 감김에 따른 동력전달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일 끝단에 페달이 장착되는 한 쌍의 크랭크(11)의 회전력을 자전거(1) 뒷바퀴(12)에 전달하여 자전거(1)를 구동하게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크랭크(11)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크랭크축(13)에는 일측 크랭크(11)에 인접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일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141)가 형성되는 캠(14)이 상기 크랭크축(13)과 동일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캠(14) 보다 큰 외경을 가진 한 쌍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크랭크축(13)이 관통하는 축 삽입홀(211)이 형성되며, 하나는 상기 캠(14)에 밀착되고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중심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밀착되는 두 개 이상의 간격유지 돌출부(212)가 형성되고, 자전거(1)의 진행을 위해 페달을 전방으로 밟아 이루어지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간격유지 돌출부(212)가 180°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중심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끝단은 상호 밀착하지 않도록 이격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돌출부(213)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렌지(21)와;
자전거(1) 뒷바퀴(12)의 축(15)에 장착되어 자전거(1) 진행 방향으로는 축(15)과 같이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도록 하되 외경 양단이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와이어 권취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축(15)이 진행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장착되는 리턴스프링(222)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 풀리(22)와;
인접한 상기 와이어 고정돌출부(213) 사이 공간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일단은 상기 동력전달풀리(22)의 와이어 권취부(221)에 고정된 후 감기며 타측단은 외경이 확장되는 형상의 고정부(231)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돌출부(213) 사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동력전달 와이어(23)를 포함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페달을 밟으면 크링크축(13)이 회전하면서 가이드플렌지(21)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면 동력전달 와이어(23)는 상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감기면서 당기는 힘을 작용하게 되며 에 의하여 상기 동력전달 풀리(22)가 회전하여 뒷바퀴(12)가 구르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크링크축(13)과 가이드플렌지(21)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과, 동력전달 풀리(22)의 움직임은 이하 도면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과 후크에 의한 회전제어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가이드플렌지(21) 중 캠(14)에 밀착된 면에 힌지(241)에 의하여 장착되어 동력전달 와이어(23)가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 고정돌출부(213)가 크랭크축(13)의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하였을 때 상기 단턱부(141)에 걸려 캠(14)과 가이드플렌지(21)가 동일 회전하도록 하고, 180°이상 회전한 위치에서 상기 자전거(1)의 크랭크축(13)이 장착되는 프레임(16)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후크 풀림핀(242)에 의하여 상기 단턱부(141)에 걸린 반대측을 눌러 단턱부(141)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후크(24)에 의한 동력전달장치(2)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내었다.
먼저 전술한 동력전달 와이어(23)가 감기면서 동력전달 풀리(22)가 회전할 경우에는 후크(24)가 캠(14)의 단턱부(141)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크링크축(13)과 가이드플렌지(21)가 동시에 회전하여 동력전달 와이어(23)는 감기면서 자전거를 전진시키게 되며, 이때 동력전달 풀리(22)의 리턴스프링(222)은 토션스프링으로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복원되려는 힘이 회전에 따라 누적되게 된다.
이후 상기 가이드플렌지(21)는 더욱 회전하여 상기 후크(24)가 후크 풀림핀(242)을 통화하게 되면 후크(24)는 단턱부(141)에서 이탈하게 되어 크랭크축(13)만 회전하는 상태가 되나 리턴스프링(222)에 의하여 동력전달 과이어(23)는 풀리면서 가이드플렌지(21)는 크랭크축(13)과 반대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하게 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던 캠(14)과 가이드플렌지(21)는 최초 위치에서 상기 후크(24)가 단턱부(141)에 걸리면서 다시 동시에 회전하여 추진력을 부여하게 되는 방식으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이루어진 구동방식은 날카롭고 검게 변한 윤활유에 의하여 지저분한 체인과 스프라켓이나 스프라켓과 체인의 맞물리는 부분에 옷이나 피부가 오염 또는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으로 이루어져 무거운 스프라켓이 보다 가벼운 소재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플렌지의 작동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며,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상기 가이드플렌지(21)의 축 삽입홀(211)은 상기 크랭크축(13)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중앙은 상기 크랭크축(13)의 외경에 상응하여 관통되는 축 관통홀(311)이 형성되고, 일측 외경은 상기 축 삽입홀(211)의 내경에 상응하여 삽입되며, 타측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변속와이어 연결부(312)가 형성되어 상기 캠(14)의 반대측에 있는 가이드플렌지(21)로부터 삽입되고, 삽입되어 한 쌍의 가이드플렌지(21)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외경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되 일 회전방향에 따라 간격이 좁아지는 변속 가이드홈(313)이 형성되는 변속플렌지(31)와;
상기 변속플렌지(31)의 변속와이어 연결부(312) 상호 반대 측단에 각각 연결된 후 접선방향으로 연장되어 둘 중 하나가 당겨짐으로 상기 변속플렌지(31)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변속와이어(32)와;
상기 변속플렌지(31)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고 내경면에는 회전하는 변속구(331)가 돌출 장착되어 상기 변속 가이드홈(313)에 삽입되며, 외경면에는 수 개의 가변편 고정홈(332)이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는 한 쌍의 변속링(33)과;
상기 가이드플렌지(21)의 간격유지 돌출부(212)와 와이어 고정돌출부(213)의 사이가 180°이상 이격된 공간에서 상기 축 삽입홀(211)에서 법선 방향으로 한 쌍이 나란히 돌출 연장되어 그 사이에 삽입홈(341)을 형성하는 형식으로 방사형으로 수 개가 일정간격 형성되는 가변편 가이드리브(34)와;
다수의 링크(351)가 두 개가 'X'자 형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교차 연결된 후 양단이 다시 또 다른 교차된 링크(351)의 끝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형식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단은 상기 가변편 고정홈(331)에 장착되고 양측은 상기 가변편 가이드리브(341)의 삽입홈(341)에 삽입되어 신장하는 수 개의 가변편(35)로 구성되는 변속장치(3)가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의 원리는 신축가능한 가변편(34)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편(34)에 감기는 동력전달 와이어(23)의 감기는 직경이 변화하면 본원의 크링크축(13)과 가이드플렌지(21)가 동시에 회전하는 구간에 감겨 당겨지는 동력전달 와이어(23)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동력전달 풀리(22)의 회전수가 증가하도록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변속링(33)의 간격을 결정하는 변속 가이드홈(313)은 일정 단계가 있는 것이 아닌 연속적으로 점차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관계로 무단 변속이 가능하게 되며 종래 변속시 동력의 전달이 일시 멈추던 문제점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1 : 자전거
11 : 크랭크 12 : 뒷바퀴
13 : 크랭크축 14 : 캠
141 : 단턱부 15 : 축
16 : 프레임
2 : 동력전달장치
21 : 가이드플렌지
211 : 축 삽입홀 212 : 간격유지 돌출부
213 : 와이어 고정돌출부
22 : 동력전달 풀리
221 : 와이어 권취부 223 : 리턴스프링
23 : 동력전달 와이어
231 : 고정부
24 : 후크
241 : 힌지 242 : 후크 풀림핀
3 : 변속장치
31 : 변속플렌지
311 : 축 관통홀 312 : 변속와이어 연결부
313 : 변속 가이드홈
32 : 변속와이어
33 : 변속링
331 : 변속구 332 : 가이드편 고정홈
34 : 가변편 가이드리브
341 : 삽입홈
35 : 가변편
351 : 링크

Claims (2)

  1. 일 끝단에 페달이 장착되는 한 쌍의 크랭크(11)의 회전력을 자전거(1) 뒷바퀴(12)에 전달하여 자전거(1)를 구동하게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크랭크(11)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크랭크축(13)에는 일측 크랭크(11)에 인접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일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141)가 형성되는 캠(14)이 상기 크랭크축(13)과 동일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캠(14) 보다 큰 외경을 가진 한 쌍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크랭크축(13)이 관통하는 축 삽입홀(211)이 형성되며, 하나는 상기 캠(14)에 밀착되고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중심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밀착되는 두 개 이상의 간격유지 돌출부(212)가 형성되고, 자전거(1)의 진행을 위해 페달을 전방으로 밟아 이루어지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간격유지 돌출부(212)가 180°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중심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끝단은 상호 밀착하지 않도록 이격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돌출부(213)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렌지(21)와;
    자전거(1) 뒷바퀴(12)의 축(15)에 장착되어 자전거(1) 진행 방향으로는 축(15)과 같이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도록 하되 외경 양단이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와이어 권취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축(15)이 진행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장착되는 리턴스프링(222)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 풀리(22)와;
    인접한 상기 와이어 고정돌출부(213) 사이 공간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일단은 상기 동력전달풀리(22)의 와이어 권취부(221)에 고정된 후 감기며 타측단은 외경이 확장되는 형상의 고정부(231)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고정돌출부(213) 사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동력전달 와이어(23)와;
    상기 가이드플렌지(21) 중 캠(14)에 밀착된 면에 힌지(241)에 의하여 장착되어 동력전달 와이어(23)가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 고정돌출부(213)가 크랭크축(13)의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하였을 때 상기 단턱부(141)에 걸려 캠(14)과 가이드플렌지(21)가 동일 회전하도록 하고, 180°이상 회전한 위치에서 상기 자전거(1)의 크랭크축(13)이 장착되는 프레임(16)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후크 풀림핀(242)에 의하여 상기 단턱부(141)에 걸린 반대측을 눌러 단턱부(141)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후크(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렌지(21)의 축 삽입홀(211)은 상기 크랭크축(13)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중앙은 상기 크랭크축(13)의 외경에 상응하여 관통되는 축 관통홀(311)이 형성되고, 일측 외경은 상기 축 삽입홀(211)의 내경에 상응하여 삽입되며, 타측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변속와이어 연결부(312)가 형성되어 상기 캠(14)의 반대측에 있는 가이드플렌지(21)로부터 삽입되고, 삽입되어 한 쌍의 가이드플렌지(21)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외경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되 일 회전방향에 따라 간격이 좁아지는 변속 가이드홈(313)이 형성되는 변속플렌지(31)와;
    상기 변속플렌지(31)의 변속와이어 연결부(312) 상호 반대 측단에 각각 연결된 후 접선방향으로 연장되어 둘 중 하나가 당겨짐으로 상기 변속플렌지(31)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변속와이어(32)와;
    상기 변속플렌지(31)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고 내경면에는 회전하는 변속구(331)가 돌출 장착되어 상기 변속 가이드홈(313)에 삽입되며, 외경면에는 수 개의 가변편 고정홈(332)이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는 한 쌍의 변속링(33)과;
    상기 가이드플렌지(21)의 간격유지 돌출부(212)와 와이어 고정돌출부(213)의 사이가 180°이상 이격된 공간에서 상기 축 삽입홀(211)에서 법선 방향으로 한 쌍이 나란히 돌출 연장되어 그 사이에 삽입홈(341)을 형성하는 형식으로 방사형으로 수 개가 일정간격 형성되는 가변편 가이드리브(34)와;
    다수의 링크(351)가 두 개가 'X'자 형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교차 연결된 후 양단이 다시 또 다른 교차된 링크(351)의 끝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형식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단은 상기 가변편 고정홈(331)에 장착되고 양측은 상기 가변편 가이드리브(341)의 삽입홈(341)에 삽입되어 신장하는 수 개의 가변편(35)로 구성되는 변속장치(3)가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20130083921A 2013-07-17 2013-07-17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20150009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921A KR20150009684A (ko) 2013-07-17 2013-07-17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921A KR20150009684A (ko) 2013-07-17 2013-07-17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684A true KR20150009684A (ko) 2015-01-27

Family

ID=5248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3921A KR20150009684A (ko) 2013-07-17 2013-07-17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96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1748A (zh) * 2019-10-29 2020-03-06 昆明理工大学 一种手动自行车无极变速装置
US20200339214A1 (en) * 2019-04-26 2020-10-29 Ukyo Duong Symmetric bicy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39214A1 (en) * 2019-04-26 2020-10-29 Ukyo Duong Symmetric bicycle
CN110861748A (zh) * 2019-10-29 2020-03-06 昆明理工大学 一种手动自行车无极变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3068B1 (en) Drive mechanism for a vehicle propellable by muscle power and vehicle
KR100869557B1 (ko) 무체인 자전거용 동력전달장치
JP6675110B2 (ja) 駆動ユニットおよび電動アシスト自転車
KR101659222B1 (ko)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US6878084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bicycle
US4182194A (en) Free wheel hub with coaster brake
JP3572266B2 (ja) 不整地走行用の二駆四駆切換装置付き四輪駆動車
KR20150009684A (ko)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JP6501085B2 (ja) 駆動ユニットおよび電動アシスト自転車
KR101154529B1 (ko)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KR20150114679A (ko) 자전거의 변속장치
KR200441208Y1 (ko) 자전거용 자동변속기
KR20060028101A (ko) 자전거 변속 장치
KR20150114678A (ko)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100934344B1 (ko) 자동변속장치
KR20140102592A (ko)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KR102034744B1 (ko) 자전거 구동장치
TW201718333A (zh) 傳動系統
KR101734965B1 (ko) 가변형 변속장치
EP3144209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881938B1 (ko) 전기 자전거용 변속장치
KR20170012646A (ko) 체인 이탈 방지형 자전거
JP6168783B2 (ja) 自転車
JP2008183995A (ja) 自転車用無段変速装置
KR200298784Y1 (ko) 자전거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