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678A -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678A
KR20150114678A KR1020140039124A KR20140039124A KR20150114678A KR 20150114678 A KR20150114678 A KR 20150114678A KR 1020140039124 A KR1020140039124 A KR 1020140039124A KR 20140039124 A KR20140039124 A KR 20140039124A KR 20150114678 A KR20150114678 A KR 20150114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lange
bicycle
wir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이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엽 filed Critical 이동엽
Priority to KR102014003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4678A/ko
Publication of KR2015011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체인과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지던 자전거는 날카로운 스프라켓이나 체인과 스프라켓의 원활한 맛물림을 위한 윤활유에 의하여 의복이나 신체가 다치거나 오염될 우려가 있으며 정해진 비율로만 변속이 가능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을 새로운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변속이 무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일 끝단에 페달이 장착되는 한 쌍의 크랭크의 회전력을 자전거 뒷바퀴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구동하게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자전거 뒷바퀴의 축에 장착되어 자전거 진행 방향으로는 축과 같이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도록 하되 외경 양단이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와이어 권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이 진행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장착되는 리턴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 풀리와;
한 쌍의 상기 크랭크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크랭크축에 일측 크랭크에 인접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일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걸림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축과 동일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캠과;
상기 캠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제1 축 삽입홀이 형성되는 회전플렌지와;
상기 회전플렌지의 직경 보다 같거나 큰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캠이 밀착되는 회전플렌지의 반대 측면과 이격되어 장착되고, 상기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제2 축 삽입홀이 형성되는 가이드플렌지와;
일단은 상기 동력전달풀리의 와이어 권취부에 고정된 후 감기며 타측단은 상기 회전플렌지와 가이드플렌지의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가이드로울러를 감싼 후 구동와이어 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동와이어와;
상기 회전플렌지의 캠에 밀착된 면에 힌지에 의하여 장착되어 일단이 상기 걸림 단턱부에 걸려 캠과 회전플렌지가 동일 회전하도록 하고, 180°이상 회전한 위치에서 상기 회전플렌지 또는 가이드플렌지에 장착되는 후크 풀림핀에 의하여 상기 걸림 단턱부에 걸린 반대측을 눌러 걸림 단턱부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후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체인과 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지던 자전거는 날카로운 스프라켓이나 체인과 스프라켓의 원활한 맛물림을 위한 윤활유에 의하여 의복이나 신체가 다치거나 오염될 우려가 있으며 정해진 비율로만 변속이 가능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을 새로운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변속이 무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처음 고안한 사람은 1790년 프랑스의 콩트 드 시브락이라는 것이 정설이며 최초의 자전거는 페달이 없이 발로 끄는 방식이였으나 점차 페달이 생기고 다양한 종류로 발전하였으며 일부는 사장되고 점차 현대 자전거의 형상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자전거의 구성은 프레임, 바퀴, 핸들인 조향장치, 페달과 스프라켓 및 체인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 브레이크장치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변속장치도 거의 대부분의 자전거에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동력전달장치는 일부 직접 바퀴의 축에 페달이 장착된 외발자전거와 같은 것을 제외하면 체인과 스프라켓에 의한 동력전달 방식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스프라켓과 체인은 날카로운 부분이 많아 탑승자가 다칠 우려가 있으며, 원활한 결합과 작동을 위하여 도포된 윤활유는 공기 중의 먼지나 기타 물질에 의하여 검게 변색되고 또 윤활유가 의복에 묻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변속장치는 현재 시판되는 것은 MTB는 최대 30단까지 로드바이크는 최대 22단까지 변속 가능하도록 한 고급형이 개발되었으나 기어를 변속하는 과정에서 변속비가 정해진 변속 단위에 따라서만 변속되는 한계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283133-0000호 (2000년12월05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0066072호 (2004년07월23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16943호 (2006년11월16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197289-0000호 (1999년02월2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체인과 스프라켓에 의한 동력전달이 아닌 새로운 방식의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자전거의 변속 즉 페달이 연결된 크랭크의 1회전에 따른 뒷바퀴의 회전수를 설정된 단계가 아닌 사용자의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무단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끝단에 페달이 장착되는 한 쌍의 크랭크의 회전력을 자전거 뒷바퀴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구동하게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자전거 뒷바퀴의 축에 장착되어 자전거 진행 방향으로는 축과 같이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도록 하되 외경 양단이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와이어 권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이 진행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장착되는 리턴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 풀리와;
한 쌍의 상기 크랭크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크랭크축에 일측 크랭크에 인접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일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걸림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축과 동일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캠과;
상기 캠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제1 축 삽입홀이 형성되는 회전플렌지와;
상기 회전플렌지의 직경 보다 같거나 큰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캠이 밀착되는 회전플렌지의 반대 측면과 이격되어 장착되고, 상기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제2 축 삽입홀이 형성되는 가이드플렌지와;
일단은 상기 동력전달풀리의 와이어 권취부에 고정된 후 감기며 타측단은 상기 회전플렌지와 가이드플렌지의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가이드로울러를 감싼 후 구동와이어 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동와이어와;
상기 회전플렌지의 캠에 밀착된 면에 힌지에 의하여 장착되어 일단이 상기 걸림 단턱부에 걸려 캠과 회전플렌지가 동일 회전하도록 하고, 180°이상 회전한 위치에서 상기 회전플렌지 또는 가이드플렌지에 장착되는 후크 풀림핀에 의하여 상기 걸림 단턱부에 걸린 반대측을 눌러 걸림 단턱부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후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플렌지는 한 쌍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 축 삽입홀을 중심으로 법선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장홀과, 상기 가이드장홀의 법선 방향 외측 끝단 한 쌍의 상기 가이드플렌지 사이에 장착되는 변속와이어 가이드로울러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플렌지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가이드장홀에 삽입되되 상기 회전플렌지가 장착되는 방향으로는 가이드돌기가 더욱 돌출되어 회전플렌지의 면과 근접하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플렌지 사이에 삽입되는 외경에는 와이어 고정고리가 형성되는 변속가변축(54)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플렌지에는 중심에서 법선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핀 가이드장홀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구동와이어 고정핀이 고정핀 가이드장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은 당기고 풀림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타측단은 방사형으로 배치된 변속와이어 가이드로울러의 외연부를 따라 감기며, 상기 변속가변축의 와이어 고정고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변속와이어 가이드로울러에 감긴 부분에 고정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변속와이어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체인과 스프라켓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를 와이어에 의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경량이고 스프라켓과 같은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여 탑승자가 다치는 경우를 줄이며, 윤활을 위한 오일로 의하여 의복이나 피부다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속와이어를 당기고 풀리는 정도에 따라 와이어가 감기는 원의 직경이 변화되도록 하여 운행도중 동력이 전달되면서 동시에 변속이 가능한 무단 변속기를 제공하여 변속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의 감김에 따른 동력전달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원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와이어 고정핀의 움직임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의 감김에 따른 동력전달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원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와이어 고정핀의 움직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도면에 의한 본원의 구성은 일 끝단에 페달이 장착되는 한 쌍의 크랭크(11)의 회전력을 자전거(1) 뒷바퀴(12)에 전달하여 자전거(1)를 구동하게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자전거(1) 뒷바퀴(12)의 축(13)에 장착되어 자전거(1) 진행 방향으로는 축(13)과 같이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도록 하되 외경 양단이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와이어 권취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축(13)이 진행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장착되는 리턴스프링(22)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 풀리(2)와;
한 쌍의 상기 크랭크(11)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크랭크축(14)에 일측 크랭크(11)에 인접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일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걸림 단턱부(31)가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축(14)과 동일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캠(3)과;
상기 캠(3)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크랭크축(14)이 관통하는 제1 축 삽입홀(41)이 형성되는 회전플렌지(4)와;
상기 회전플렌지(4)의 직경 보다 같거나 큰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캠(3)이 밀착되는 회전플렌지(4)의 반대 측면과 이격되어 장착되고, 상기 크랭크축(14)이 관통하는 제2 축 삽입홀(51)이 형성되는 가이드플렌지(5)와;
일단은 상기 동력전달풀리(2)의 와이어 권취부(21)에 고정된 후 감기며 타측단은 상기 회전플렌지(4)와 가이드플렌지(5)의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가이드로울러(61)를 감싼 후 구동와이어 고정핀(62)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동와이어(6)와;
상기 회전플렌지(4)의 캠(3)에 밀착된 면에 힌지(71)에 의하여 장착되어 일단이 상기 걸림 단턱부(31)에 걸려 캠(3)과 회전플렌지(4)가 동일 회전하도록 하고, 180°이상 회전한 위치에서 상기 회전플렌지(4) 또는 가이드플렌지(5)에 장착되는 후크 풀림핀(72)에 의하여 상기 걸림 단턱부(31)에 걸린 반대측을 눌러 걸림 단턱부(31)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후크(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플렌지(4) 중 캠(3)에 밀착된 면에 힌지(71)에 의하여 장착되는 후크(7)가 상기 걸림 단턱부(31)에 걸려 캠(3)과 회전플렌지(4)가 동일 회전하도록 하고, 180°이상 회전한 위치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후크 풀림핀(72)에 의하여 상기 걸림 단턱부(31)에 걸린 반대측을 눌러 걸림 단턱부(31)에서 이탈되도록 한 것이다.
먼저 전술한 구동와이어(6)가 감기면서 동력전달 풀리(2)가 회전할 경우에는 후크(7)가 캠(3)의 단턱부(31)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크링크축(14)과 회전플렌지(4)가 동시에 회전하여 구동와이어(6)는 감기면서 자전거를 전진시키게 되며, 이때 동력전달 풀리(2)의 리턴스프링(22)은 토션스프링으로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복원되려는 힘이 회전에 따라 누적되게 된다.
이후 상기 회전플렌지(4)는 더욱 회전하여 상기 후크(7)가 후크 풀림핀(72)을 통과하게 되면 후크(7)는 걸림 단턱부(31)에서 이탈하게 되어 크랭크축(14)만 회전하는 상태가 되나 리턴스프링(22)에 의하여 구동와이어(6)는 풀리면서 회전플렌지(4)는 크랭크축(14)과 반대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하게 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던 캠(3)과 회전플렌지(4)는 최초 위치에서 상기 후크(7)가 걸림 단턱부(31)에 걸리면서 다시 동시에 회전하여 추진력을 부여하게 되는 방식으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이루어진 구동방식은 날카롭고 검게 변한 윤활유에 의하여 지저분한 체인과 스프라켓이나 스프라켓과 체인의 맞물리는 부분에 옷이나 피부가 오염 또는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으로 이루어져 무거운 스프라켓이 보다 가벼운 소재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은 이러한 기본 원리에 변속의 기능을 가지면서 그 변속이 기존의 다양한 직경의 스프라켓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하는 다단 변속이 아닌 변속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무단변속을 구현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그 구성은 상기 가이드플렌지(5)는 한 쌍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 축 삽입홀(51)을 중심으로 법선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장홀(52)과, 상기 가이드장홀(52)의 법선 방향 외측 끝단 한 쌍의 상기 가이드플렌지(5) 사이에 장착되는 변속와이어 가이드로울러(53)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플렌지(5)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에 가이드돌기(541)가 형성되어 가이드장홀(52)에 삽입되되 상기 회전플렌지(4)가 장착되는 방향으로는 가이드돌기(541)가 더욱 돌출되어 회전플렌지(4)의 면과 근접하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플렌지(5) 사이에 삽입되는 외경에는 와이어 고정고리(542)가 형성되는 변속가변축(54)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플렌지(4)에는 중심에서 법선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핀 가이드장홀(42)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구동와이어 고정핀(62)이 고정핀 가이드장홀(4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은 당기고 풀림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타측단은 방사형으로 배치된 변속와이어 가이드로울러(53)의 외연부를 따라 감기며, 상기 변속가변축(54)의 와이어 고정고리(54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변속와이어 가이드로울러(53)에 감긴 부분에 고정되는 연결와이어(81)를 포함하는 변속와이어(8)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 구성은 변속와이어(8)가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변속와이어 가이드로울러(53)를 1회 감싸는 구조를 가지고 타측에서 이를 당길 수 있는 구조를 기본으로 가지며, 상기 변속와이어(8)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장홀(52)을 가로질러 변속가변축(54)의 와이어 고정고리(542)에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와이어(81)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변속와이어(8)를 당기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가이드플렌지(5)에서 접선 방향으로 변속와이어(8)가 이동하게 되고 그 이동된 거리만큼 연결와이어(81)는 변속가변축(54)을 당겨 다수의 변속가변축(8)으로 이루어지는 원의 직경이 확장되며, 이때 변속가변축(54)의 확장에 따라 장착되는 가이드로울러(61)가 이루는 원 또한 직경이 증가하게 되어 크랭크축 1회전에 따른 뒷바퀴(12) 축(13)의 회전 비율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반대로 변속와이어(7)를 풀면 동력전달 풀리(2)의 자체 리턴스프링(22)이 항상 당기는 복원력을 가지게 되므로 다수의 변속가변축(8)으로 이루어지는 원의 직경이 축소되어 크랭크축 1회전에 따른 뒷바퀴(12) 축(13)의 회전 비율이 감소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원은 구동와이어 고정핀(72)의 위치도 가변할 수 있도록 회전플렌지(4)에 고정핀 가이드장홀(42)을 두어 변속에 따른 구동와이어(6)가 이루는 직경이 변하면 구동와이어 고정핀(72)의 위치 또한 가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크랭크축 1회전에 따른 뒷바퀴(12) 축(13)의 회전 비율이 정해져 있지 않고 연속적으로 점차 간격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구조로 무단 변속이 가능하게 되며 종래 변속시 동력의 전달이 일시 멈추던 문제점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1 : 자전거
11 : 크랭크 12 : 뒷바퀴
13 : 축 14 : 크랭크축
2 : 동력전달 풀리
21 : 와이어 권취부 22 : 리턴스프링
3 : 캠
31 : 걸림 단턱부
4 : 회전플렌지
41 : 제1 축 삽입홀 42 : 고정핀 가이드장홀
5 : 가이드플렌지
51 : 제2 축 삽입홀 52 : 가이드장홀
53 : 변속와이어 가이드로울러 54 : 변속가변축
541 : 가이드돌기 542 : 와이어 고정고리
6 : 구동와이어
61 : 가이드로울러 62 : 구동와이어 고정핀
7 : 후크
71 : 힌지 72 : 후크 풀림핀
8 : 변속와이어
81 : 연결와이어

Claims (2)

  1. 일 끝단에 페달이 장착되는 한 쌍의 크랭크(11)의 회전력을 자전거(1) 뒷바퀴(12)에 전달하여 자전거(1)를 구동하게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자전거(1) 뒷바퀴(12)의 축(13)에 장착되어 자전거(1) 진행 방향으로는 축(13)과 같이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도록 하되 외경 양단이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와이어 권취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축(13)이 진행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장착되는 리턴스프링(22)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 풀리(2)와;
    한 쌍의 상기 크랭크(11)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크랭크축(14)에 일측 크랭크(11)에 인접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일 부분에서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걸림 단턱부(31)가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축(14)과 동일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캠(3)과;
    상기 캠(3)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크랭크축(14)이 관통하는 제1 축 삽입홀(41)이 형성되는 회전플렌지(4)와;
    상기 회전플렌지(4)의 직경 보다 같거나 큰 원판의 형상으로 상기 캠(3)이 밀착되는 회전플렌지(4)의 반대 측면과 이격되어 장착되고, 상기 크랭크축(14)이 관통하는 제2 축 삽입홀(51)이 형성되는 가이드플렌지(5)와;
    일단은 상기 동력전달풀리(2)의 와이어 권취부(21)에 고정된 후 감기며 타측단은 상기 회전플렌지(4)와 가이드플렌지(5)의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가이드로울러(61)를 감싼 후 구동와이어 고정핀(62)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동와이어(6)와;
    상기 회전플렌지(4)의 캠(3)에 밀착된 면에 힌지(71)에 의하여 장착되어 일단이 상기 걸림 단턱부(31)에 걸려 캠(3)과 회전플렌지(4)가 동일 회전하도록 하고, 180°이상 회전한 위치에서 상기 회전플렌지(4) 또는 가이드플렌지(5)에 장착되는 후크 풀림핀(72)에 의하여 상기 걸림 단턱부(31)에 걸린 반대측을 눌러 걸림 단턱부(31)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후크(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렌지(5)는 한 쌍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 축 삽입홀(51)을 중심으로 법선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장홀(52)과, 상기 가이드장홀(52)의 법선 방향 외측 끝단 한 쌍의 상기 가이드플렌지(5) 사이에 장착되는 변속와이어 가이드로울러(53)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플렌지(5)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에 가이드돌기(541)가 형성되어 가이드장홀(52)에 삽입되되 상기 회전플렌지(4)가 장착되는 방향으로는 가이드돌기(541)가 더욱 돌출되어 회전플렌지(4)의 면과 근접하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플렌지(5) 사이에 삽입되는 외경에는 와이어 고정고리(542)가 형성되는 변속가변축(54)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플렌지(4)에는 중심에서 법선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핀 가이드장홀(42)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구동와이어 고정핀(62)이 고정핀 가이드장홀(4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은 당기고 풀림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타측단은 방사형으로 배치된 변속와이어 가이드로울러(53)의 외연부를 따라 감기며, 상기 변속가변축(54)의 와이어 고정고리(54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변속와이어 가이드로울러(53)에 감긴 부분에 고정되는 연결와이어(81)를 포함하는 변속와이어(8)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1020140039124A 2014-04-02 2014-04-02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20150114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124A KR20150114678A (ko) 2014-04-02 2014-04-02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124A KR20150114678A (ko) 2014-04-02 2014-04-02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678A true KR20150114678A (ko) 2015-10-13

Family

ID=5434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124A KR20150114678A (ko) 2014-04-02 2014-04-02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46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971A (ko) 2020-01-29 2021-08-06 서일웅 체인 오일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971A (ko) 2020-01-29 2021-08-06 서일웅 체인 오일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6238A (en) Free-wheeling mechanism for bicycles
TW200533557A (en) Chain tension structure
JP2005271911A (ja) 自転車用変速装置
KR101659222B1 (ko) 자전거용 무단변속장치
KR101516473B1 (ko) 씽싱바퀴
KR100901436B1 (ko) 주행속도 향상을 위한 자전거용 가속장치
JPS6322784A (ja) 多速度型自転車の自動伝動装置
US8475327B2 (en) Accelerating system for improving the running speed of a bicycle
JP5163942B2 (ja) 携帯用自転車
KR20120006384A (ko) 무체인 자전거용 동력전달장치
KR20150114678A (ko)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970074553A (ko) 로라베아링 뭉치 구동과 크러치 베아링에 의한 자동 변속장치의 무체인 자전거
EP3263949A1 (en) Adjustable speed gear apparatus
KR20150009684A (ko)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200441208Y1 (ko) 자전거용 자동변속기
KR20150114679A (ko) 자전거의 변속장치
KR200453246Y1 (ko) 주행속도 향상을 위한 자전거용 가속장치
EP3475153B1 (en) Drive train for a treadle scooter
KR101486131B1 (ko) 자전거의 구동장치
US20100234153A1 (en) Transmission neutralizing structure for pedal-powered vehicle
KR20110123851A (ko) 주행속도 향상을 위한 자전거용 가속장치
KR20140102588A (ko)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JP2005225286A (ja) 自転車用変速装置
KR100934344B1 (ko) 자동변속장치
KR101881938B1 (ko) 전기 자전거용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