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766B1 - 조류 퇴치 장치 - Google Patents

조류 퇴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766B1
KR101192766B1 KR1020100067474A KR20100067474A KR101192766B1 KR 101192766 B1 KR101192766 B1 KR 101192766B1 KR 1020100067474 A KR1020100067474 A KR 1020100067474A KR 20100067474 A KR20100067474 A KR 20100067474A KR 101192766 B1 KR101192766 B1 KR 10119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rd
model bird
model
bar
eye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814A (ko
Inventor
양현이
Original Assignee
양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현이 filed Critical 양현이
Priority to KR1020100067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7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맹금류 형상을 갖는 모형새의 눈과 목, 그리고 날개가 별도의 동력을 인가하지 않고도 풍력에 의해 움직이도록 하는 조류 퇴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류 퇴치 장치는,
맹금류 형상을 갖는 모형새가 좌대의 상부에 고정되어 구성된 조류 퇴치 장치에 있어서, 모형새의 외측에 풍력에 의해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바람개비; 모형새의 몸통부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바람개비의 동력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에 제1 구동바가 링크로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고, 모형새의 날개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날개에 삽입된 수평바가 상기 구동바에 연결된 날개 구동부; 상기 회전드럼에 제2 구동바가 링크로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고, 모형새의 눈꺼풀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구동바가 눈꺼풀의 후방에 설치되는 밀대를 밀어 회전시켜 눈이 노출되도록 하는 눈꺼풀 구동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류 퇴치 장치{Apparatus for eliminating birds}
본 발명은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류가 맹금류의 움직이는 눈을 보고 근접하지 못하는 점을 이용하여 눈꺼풀을 움직이도록 함과 아울러 머리와 날갯짓을 하도록 하는 맹금류 형상의 모형으로 조류를 퇴치하도록 한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 도심지, 관광지, 그리고 공항 등에는 참새, 까지, 비둘기, 철새 등의 조류에 의한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농작물의 경우 수확기에 조류에 의한 농작물의 훼손에 의하여 많은 부분이 상품의 가치를 잃고 있어서 농촌의 심각한 문제점이 된 지 오래다.
도심지나 관광지의 경우에도 비둘기 또는 갈매기 등의 배설물에 의하여 도시 미관이 훼손되고, 공항의 경우에는 비행기의 이착륙시에 충돌에 의하여 심각한 대 형 사고의 위험이 항시 존재한다.
그리고, 송전선 등의 전깃줄도 마찬가지로 새들이 감전사고를 일으켜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피해를 끼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편이 이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폭음이나 사이렌, 또는 맹금류의 소리 등에 의하여 조류를 퇴치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조류들이 이러한 소리에 내성이 생기는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소리에 둔감해져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러한 소리는 사람에게도 민감한 영향을 끼치므로 많은 사람들이 소리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방안으로는 반짝거리는 불빛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또한 새들이 쉽게 내성이 생겨 조류 퇴치에 큰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최근에는 맹금류 형상을 갖는 모형새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새들이 모형인 것을 인지하게 되는 경우 다시 모여들게 되므로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태반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맹금류 형상을 갖는 모형새의 눈꺼풀과 목, 그리고 날개가 별도의 동력을 인가하지 않고도 풍력에 의해 움직이도록 하는 조류 퇴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류 퇴치 장치는,
맹금류 형상을 갖는 모형새가 좌대의 상부에 고정되어 구성된 조류 퇴치 장치에 있어서,
모형새의 외측에 풍력에 의해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바람개비;
모형새의 몸통부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바람개비의 동력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에 제1 구동바가 링크로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고, 모형새의 날개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날개에 삽입된 수평바가 상기 구동바에 연결된 날개 구동부;
상기 회전드럼에 제2 구동바가 링크로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고, 모형새의 눈꺼풀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구동바가 눈꺼풀의 후방에 설치되는 밀대를 밀어 회전시켜 눈이 노출되도록 하는 눈꺼풀 구동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맹금류 형상의 모형새의 눈꺼풀을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모형새가 살아있는 느낌을 줌으로써 조류를 퇴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풍력에 의해 외부의 전원 공급이 없이도 동작되도록 하여 전원이 공급되기 힘든 바닷가나 산간벽지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기구적인 구조에 의해 동작되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인 도.
도2는 모형새의 고정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도.
도4는 본 발명의 요지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조류는 상대 동물의 눈을 보고 살아있는 상태를 확인하게 되는데, 종래와 같은 눈꺼풀이 움직이지 않는 모형새의 경우에는 날갯짓을 할지라도 눈꺼풀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조류들이 쉽게 모형임을 알아차리게 된다.
조류들이 상대 동물의 눈꺼풀의 움직임을 보고 살아있는 상태를 인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어서, 이러한 과학적 근거를 이유로 하여 본 발명에 이를 적용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인 도로서, 모형새(1)는 좌대(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형태로서, 상기 모형새(1)는 맹금류 형상을 갖는 외형을 가진다.
또한, 모형새(1)의 외측으로는 바람개비(5)가 설치되어 바람개비(5)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으로 모형새(1)를 동작시키게 된다.
모형새(1)의 발부분 하측에는 까치모형의 제2모형새(4)가 더 구비되며, 모형새(1)의 외측으로는 다수개의 핀(200)이 설치되어 실제 조류로부터 공격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공격적인 조류인 까치등이 접근하여 핀(200)에 찔리게 되면 더 이상 공격하지 않는 습성을 감안하여 다수개의 핀(200)을 모형새(1)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좌대(100)는 도2에서와 같이 모형새(1)가 장착되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좌대(100)는 후방에 지지대(120)로부터 축(111)으로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연결로드(11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로드(110)의 후방 좌우 양측으로는 스프링(131,132)이 지지대(1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철탑이나 벽체 등에 볼트(150)로 고정되는 고정대(140)에 장착되어 설치나 이동을 수월하게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로서, 몸통부(3)의 내측에 설치된 회전드럼(500)의 동력축(510)은 바람개비(5)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며, 회전드럼(500)에는 눈 구동바(314)와 날개 구동바(610)가 각각 링크(317,611)로 연결되어 회전드럼(500)의 회전력을 상하 왕복운동력으로 변환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머리부(2)의 내측에는 눈 구동부(300)가 설치되는데, 눈꺼풀(311-1)이 회전축(31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눈(310)이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눈을 깜빡이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고, 상기 눈꺼풀(314)의 후방으로는 밀대(312)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눈꺼풀 구동바(314)가 상하운동하면서 밀대(312)를 상측으로 밀어올려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눈꺼풀(314)을 회전시킨다.
또한, 밀대(312)에는 중량추(313)가 더 설치되어 밀대(312)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눈꺼풀(314)을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눈꺼풀 구동바(314)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315)이 형성되고, 그 장공(315)에는 몸통부(3)의 내측에 고정된 핀(316)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눈꺼풀 구동바(314)가 이탈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서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눈(310)은 야광체로 되어 있어서, 눈꺼풀(314)이 열릴 때 빛을 발하도록 하여 실제의 맹금류의 눈과 유사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 구동부(600)는 날개 구동바(610)의 상측에 와이어(612)의 한쪽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612)의 다른쪽에는 모형새(1)의 날개 부위에 삽입되어 상하운동함으로써 날갯짓을 하는 수평바(613)와 연결된다.
즉, 날개 구동바(610)가 하강하면, 와이어(612)가 당겨져서 수평바(613)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회전드럼(500)의 외측 둘레로는 톱니형태로 된 다수개의 걸림돌기(520)가 형성되는데, 이 걸림돌기(520)에 연결바(700)가 접촉하여 회전축(710)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바(700)의 하측 단부는 까치모형의 제2 모형새(4)의 날개부위에 삽입된 날개 구동바(720)와 연결됨으로써 연결바(700)가 걸림돌기(520)에 걸릴때마다 제2 모형새(4)의 날개가 떨리게 되어 제2 모형새(4)가 모형새(1)에게 잡혀있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요지부위를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서, 회전드럼(500)은 흡사 크랭크 형태로 되어 있는 형태로서, 3개의 원판(501,502,503)이 축(504,50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축(504,505)은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제1원판(501)과 제2원판(502)은 제1축(504)에 의해 연결되고, 제2원판(502)과 제3원판(503)은 제2축(505)에 의해 연결되되, 제1축(504)과 제2축(505)는 180도의 위상차를 가짐으로써 크랭크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축(504)에는 눈 구동바(314)가 링크(317)에 의해 연결되고, 제2축에는 날개 구동바(610)가 링크(611)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드럼(500)의 회전에 의해 상하왕복운동하는 것이다.
날개구동부(600)는 날개 구동바(610)의 상단 양측으로 2개의 와이어(612,615)가 수평바(613,616)에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바(613,615)는 모형새(1)의 날개에 삽입되어 날갯짓을 하는 것으로, 수평바(613,615)는 축(614,617)의 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날개 구동바(610)가 하강하면 와이어(612,615)가 당겨져서 날갯짓을 하게 되는 것이다.
1 : 모형새 2 : 머리부
3 : 몸통부 4 : 제1 모형새
5 : 바람개비
200 : 핀 300 : 눈꺼풀 구동부
310 : 눈 311 : 회전축
312 : 밀대 313 : 중량추
314 : 눈꺼풀 구동바 315 : 장공
316 : 핀 317 : 링크
400 : 머리구동부 410,420 : 와이어
411,421 : 추 412.422 : 자석
500 : 회전드럼 510 : 동력축
520 : 걸림돌기 600 : 날개 구동부
610 : 날개 구동바 611 : 링크
612,615 : 와이어 613,616 : 수평바
614,617 : 축

Claims (6)

  1. 맹금류 형상을 갖는 모형새가 좌대의 상부에 고정되어 구성된 조류 퇴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형새의 외측에 풍력에 의해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바람개비;
    상기 모형새의 몸통부 내측에 구비되며, 3개의 원판이 180도 위상차를 갖는 제1축과 제2축에 의해 크랭크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원판 중 바람개비와 근접한 원판에는 동력축이 설치되어 바람개비의 축과 연결됨으로써 동력을 인가받음과 아울러 어느 하나의 원판 외측 둘레로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제1축에 제1구동바가 링크로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고, 모형새의 날개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날개에 삽입된 수평바가 상기 구동바에 연결된 날개 구동부;
    상기 회전드럼의 제2축에 제2구동바가 링크로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고, 모형새의 눈꺼풀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구동바가 눈꺼풀의 후방에 설치되는 밀대를 밀어 회전시켜 눈꺼풀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눈이 노출되도록 하는 눈꺼풀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모형새의 외측으로 다수개의 핀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모형새는 좌대에 장착되며, 상기 좌대는 철탑이나 벽체에 지지된 지지대와 축에 의해 좌우회전하는 연결로드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로드는 지지대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탄성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형새의 하측에는 제2모형새가 하나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드럼과 제2모형새 사이에는 구동바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바의 일단은 상기 회전드럼의 걸림돌기에 걸려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구동바의 타단은 제2 모형새의 날개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67474A 2010-07-13 2010-07-13 조류 퇴치 장치 KR10119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74A KR101192766B1 (ko) 2010-07-13 2010-07-13 조류 퇴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74A KR101192766B1 (ko) 2010-07-13 2010-07-13 조류 퇴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14A KR20120006814A (ko) 2012-01-19
KR101192766B1 true KR101192766B1 (ko) 2012-10-23

Family

ID=4561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474A KR101192766B1 (ko) 2010-07-13 2010-07-13 조류 퇴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087A (ko) 2015-05-29 2016-12-07 이동주 유해성 조류 퇴치용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10Y1 (ko) * 2016-11-23 2018-06-22 정진 가변형 엠블럼
KR200488143Y1 (ko) * 2017-03-09 2018-12-20 이운재 새떼 쫓는 맹금류 형상의 모형 장치
CN117809917B (zh) * 2024-02-26 2024-04-26 山东理工大学 一种具有驱鸟功能的绝缘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885Y1 (ko) * 2003-01-03 2003-03-29 송주탁 풍력을 이용한 춤추는 허수아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885Y1 (ko) * 2003-01-03 2003-03-29 송주탁 풍력을 이용한 춤추는 허수아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087A (ko) 2015-05-29 2016-12-07 이동주 유해성 조류 퇴치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14A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6823B2 (en) Flying bird decoy and method
US6907688B2 (en) Flying and simulated wounded mechanical bird decoys and method
US6807765B2 (en) Bird scaring device
US6698132B1 (en) Bird decoy and method
KR101192766B1 (ko) 조류 퇴치 장치
US7627977B2 (en) Animated wildfowl decoy
US7458181B2 (en) Waterfowl decoy kite
US7255060B2 (en) Owl with spring connected head and wind activated fin
WO2019223807A1 (zh) 一种新型模拟开枪情景的驱鸟假人
KR101707916B1 (ko) 야생 동물 및 조류 퇴치 장치
US8402685B1 (en) Waterfowl decoy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RU4589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пугивания птиц
US10463039B2 (en) Decoy
JP2015100319A (ja) 鳥獣威嚇装置
KR101047068B1 (ko) 조류 퇴치 장치
JP2003304795A (ja) 両側面ラックギアと半円歯車付き羽、鳥の羽ばたき装置
KR200206999Y1 (ko) 조류 퇴치장치
US9943074B2 (en) Hinging and rotating coupler mechanism for avian spinning wing decoy
KR20110001459U (ko) 조류 퇴치기
CN204290223U (zh) 一种新型输电线路驱鸟装置
JP5024690B2 (ja) 防鳥器具
CN210054409U (zh) 一种电力设备驱鸟装置
JP3124132U (ja) 鳥獣害防止用案山子
KR20010106441A (ko) 조류 접근 방지장치
JP6017088B1 (ja) ムクドリ集団追い払い方法及びムクドリ集団追い払い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