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712B1 - 신호등 - Google Patents
신호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2712B1 KR101192712B1 KR1020120053914A KR20120053914A KR101192712B1 KR 101192712 B1 KR101192712 B1 KR 101192712B1 KR 1020120053914 A KR1020120053914 A KR 1020120053914A KR 20120053914 A KR20120053914 A KR 20120053914A KR 101192712 B1 KR101192712 B1 KR 1011927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annular member
- bracket
- traffic light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등을 개시한다. 신호등은 하우징, 하우징에 결합되는 표시부, 및 하우징을 지주(支柱)에 결합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하우징 측벽의 제 1 요철부와 브래킷의 제 2 요철부가 서로 맞물리는 것에 의해, 하우징과 브래킷 간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여, 하우징과 브래킷의 초기 결합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설치하여, 표시 램프의 점멸로 통행 차량이나 사람에게 정지ㆍ우회ㆍ진행 등을 지시하는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량들의 통행을 원활하게 통제하고 보행자들이 안전하게 횡단 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신호등이 설치되고, 신호등에 의한 신호에 따라 차량과 보행자들이 통행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된다.
신호등은 램프의 점등을 위한 전기 설비들이 내장되는 함체와, 함체의 개방된 전면에 설치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보행자용 신호등의 함체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지주에 설치되고, 차량용 신호등의 함체는 수직 지주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 지주에 설치된다.
신호등의 함체는 고정 브래킷에 의해 수직/수평 지주에 설치되는데, 종래의 함체와 고정 브래킷은, 어셈블리 이후에, 함체의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서로 상대 회전하여 초기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신호등이 가진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체와 고정 브래킷 간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등은, 측벽에 결합 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는 표시부; 및 상기 하우징을 지주(支柱)에 결합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측벽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 홀을 둘러싸는 제 1 환형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환형 부재의 자유단 평면에는 톱니 모양의 제 1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은, 바(Bar)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수나사가 형성된 중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 홀에 관통 삽입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상기 일단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자유단 평면에 상기 제 1 요철부와 맞물리는 톱니 모양의 제 2 요철부가 형성된 제 2 환형 부재; 및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환형 부재는 동심원을 이루며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요철부는 상기 제 1 환형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면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철부는 상기 제 2 환형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주는 도로 위에 횡 방향으로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된 전면이 수평선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아래쪽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환형 부재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구의 상기 암나사 둘레에는 단차진 형상의 체결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홀들에 삽입되는 나사 못들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대해 상기 체결구를 죄어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과 브래킷 간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을 기설정된 경사 각도로 브래킷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분이 하우징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차량용 신호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신호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 1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 1 브래킷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제 1 브래킷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브래킷의 제 2 결합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브래킷의 제 2 결합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하우징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제 1 브래킷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보행자용 신호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보행자용 신호등과 제 1 브래킷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차량용 신호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신호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 1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 1 브래킷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제 1 브래킷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브래킷의 제 2 결합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브래킷의 제 2 결합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하우징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제 1 브래킷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보행자용 신호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보행자용 신호등과 제 1 브래킷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예)
도 1은 차량용 신호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신호등(10)은 수직 지주(100), 수평 지주(200), 보강 철선(300), 신호등(400) 및 브래킷(50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로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제 1 방향(Ⅰ)이라 하고, 도 1의 지면에서 제 1 방향(Ⅰ)에 수직한 방향을 제 2 방향(Ⅱ)이라 하며, 도 1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제 3 방향(Ⅲ)이라 한다.
수직 지주(100)는 제 1 방향(Ⅰ)으로 길게 연장되고,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수평 지주(200)는 제 1 내지 제 3 수평 지주들(210, 220, 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수평 지주들(210, 220, 230)은 제 2 방향(Ⅱ)으로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 1 수평 지주(210)는 수직 지주(100)에 결합되고, 제 2 수평 지주(220)는 제 1 수평 지주(220)에 결합되고, 제 3 수평 지주(230)는 제 2 수평 지주(220)에 결합된다. 제 1 수평 지주(210)는 제 1 직경(D1)을 가지고, 제 2 수평 지주(220)는 제 1 직경(D1) 보다 작은 제 2 직경(D2)을 가지며, 제 3 수평 지주(230)는 제 2 직경(D2) 보다 작은 제 3 직경(D3)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직경(D1)은 100mm, 제 2 직경(D2)은 80mm, 제 3 직경(D3)은 65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직경들(D1, D2, D3)은 외주 면의 직경들이다.
보강 철선(300)은 제 1 내지 제 3 보강 철선들(310, 320, 330)을 포함한다. 제 1 보강 철선(310)은 수직 지주(100)의 상단과 제 1 수평 지주(210)의 단부를 연결하고, 제 2 보강 철선(320)은 수직 지주(100)의 상단과 제 2 수평 지주(220)의 단부를 연결하며, 제 3 보강 철선(330)은 수직 지주(100)의 상단과 제 3 수평 지주(230)의 단부를 연결한다. 제 1 내지 제 3 보강 철선들(310, 320, 330)은 자중에 의한 제 1 내지 제 3 수평 지주들(210, 220, 230)의 처짐을 방지한다.
신호등(400)은 제 1 내지 제 3 수평 지주들(210, 220, 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신호등(400)이 제 2 수평 지주(220)와 제 3 수평 지주(230)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제 3 수평 지주(230)에 설치된 신호등(400)을 보여준다. 신호등(400)은 하우징(410)과, 하우징(410)의 개방된 전면에 설치되는 표시부(420)를 포함한다. 표시부(420)는 램프를 가지고, 하우징(410)에는 램프의 점등을 위한 전기 설비들이 내장된다.
브래킷(500)은 제 1 및 제 2 브래킷들(500a, 500b)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브래킷들(500a, 500b)은 하우징(410)을 중심으로 제 2 방향(Ⅱ)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 1 브래킷(500a)은 하우징(410)의 일 측면과 제 3 수평 지주(230)를 연결하고, 제 2 브래킷(500b)은 하우징(410)의 다른 측면과 제 3 수평 지주(230)를 연결한다.
도 3은 도 2의 신호등(4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우징(410)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410)은 복수 개, 예를 들어 4 개의 서브-하우징들(410a, 410b, 410c, 410d)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하우징들(410a, 410b, 410c, 410d)은 제 2 방향(Ⅱ)으로 나란하게 일직선상에 배열되고, 서로 인접하게 결합된다. 각각의 서브-하우징들(410a, 410b, 410c, 410d)에는 표시부(420)가 제공된다. 표시부(420)는 적색ㆍ녹색ㆍ황색 및 녹색 화살 표시 등을 점멸하여 통행 차량이나 사람에게 정지ㆍ우회ㆍ진행을 지시한다. 이와 달리, 하우징(410)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410)의 내부 공간은 표시부(420)가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공간들로 구획될 수 있다.
하우징(410)의 제 2 방향(Ⅱ)을 향하는 측벽들에는 결합 홀들(412)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결합 홀(412)들에는 제 1 및 제 2 브래킷들(500a, 500b)이 각각 결합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 1 환형 부재(414)가 하우징(410)의 측벽 외면에 형성된다. 제 1 환형 부재(414)는 내측 환형 부재(414a)와 외측 환형 부재(414b)를 포함한다. 내측 환형 부재(414a)는 결합 홀(412)의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돌출된다. 외측 환형 부재(414b)는 내측 환형 부재(414a)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하우징(410)의 측벽 외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내측 환형 부재(414a)와 외측 환형 부재(414b)는 결합 홀(412)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내측 및 외측 환형 부재(414a, 414b)의 자유단, 즉 끝단의 평면에는 톱니 모양의 제 1 요철부들(414a-1, 414b-1)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요철부들(414a-1, 414b-1)은 내측 및 외측 환형 부재(414a, 414b)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410)의 측벽 외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 부재들(416)이 형성된다. 보강 부재들(416)은 리브 형상을 가지고, 외측 환형 부재(414b)의 외측 면으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연장된다.
도 5는 제 1 브래킷(500a)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 1 브래킷(500a)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 1 브래킷(500a)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5의 제 1 브래킷(500a)의 좌측면도이다.
도 2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브래킷들(500a, 500b)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 1 브래킷(500a)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브래킷(500a)은 베이스(520), 제 1 결합 부재(540) 및 제 2 결합 부재(560)를 포함한다.
베이스(520)는 바(bar) 형상을 가지고, 제 1 방향(Ⅰ)으로 길게 연장된다. 케이블 인입구(미도시)가 베이스(520)의 상단에 형성되고, 케이블 인출구(미도시)가 베이스(520)의 하단부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블 인입구와 케이블 인출구를 연결하는 케이블 관통구(미도시)가 베이스(520)의 내부에 형성된다.
제 1 결합 부재(540)는 베이스(520)의 상단 부분에 제공되고, 제 3 수평 지주(도 2의 도면 참조 번호 230)의 외주 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결합 부재(540)는 오목한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제 2 방향(Ⅱ)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 결합 부재(540)의 원호 형상 단면의 내측 직경은, 예를 들어 제 3 수평 지주(230)의 직경(D3)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원호 형상 단면의 내측 직경은 65mm일 수 있다. 제 1 결합 부재(540)의 중심 영역에는 케이블 홀(542)이 형성된다. 제 1 결합 부재(540)는 케이블 홀(542)이 베이스(520)의 케이블 인출구(미도시)와 연통되도록 베이스(520)의 상단에 결합된다.
제 1 결합 부재(540)에는 장공 형상의 체결 홀들(544)이 형성된다. 체결 홀들(544)은 케이블 홀(542)을 중심으로 제 2 방향(Ⅱ)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미도시)가 체결 홀들(544)에 관통 삽입되어 제 3 수평 지주(230)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520)가 제 3 수평 지주(230)에 고정된다.
제 2 결합 부재(560)는 베이스(520)의 하단 부분에 제공되고, 신호등(400)의 하우징(410)의 측벽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결합 부재(560)는 연결구(562), 제 2 환형 부재(564) 및 체결구(미도시)를 포함한다.
연결구(562)는 외주 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중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길이 방향이 제 2 방향(Ⅱ)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연결구(562)의 일단은 베이스(520)의 좌측면 하단부에 결합되고, 연결구(562)의 중공 영역은 베이스(520)의 케이블 인출구(미도시) 및 케이블 관통구(미도시)에 연통된다. 연결구(562)의 타단은 하우징(410) 측벽의 결합 홀(도 3의 도면 참조 번호 412)에 관통 삽입되고, 체결구(미도시)와 나사 결합된다. 연결구(562)와 체결구(미도시)의 나사 결합에 의해 베이스(520)가 하우징(410)에 고정된다.
제 2 환형 부재(564)는 연결구(562)와 동심원을 이루는 환형 모양을 가지고, 베이스(520)의 좌측면으로부터 제 2 방향(Ⅱ)으로 돌출되어 연결구(562)의 하단부를 둘러싼다. 제 2 환형 부재(564)의 자유단, 즉 끝단의 평면에는 톱니 모양의 제 2 요철부(565)가 형성된다. 제 2 요철부(565)는 제 2 환형 부재(564)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9는 브래킷의 제 2 결합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구(562)가 하우징(410) 측벽의 결합 홀(412)에 관통 삽입된다. 이때, 제 2 환형 부재(564)의 제 2 요철부가 내측 및 외측 환형 부재(414a, 414b)의 제 1 요철부들과 맞물린다. 이에 의해 제 1 브래킷(500a)이 하우징(41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제 1 브래킷(500a)과 하우징(410)의 초기 결합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구(566)가 연결구(562)에 나사 결합되고, 체결구(566)와 연결구(562)의 나사 결합에 의해 제 1 브래킷(500a)이 하우징(410)에 고정된다.
도 10은 브래킷의 제 2 결합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구(566')에는 복수 개의 나사 홀들(567')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홀들(567')은 단차진 형상을 가지고, 체결구(566')의 암나사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사 홀들(567')에는 나사 못들(568')이 삽입되고, 나사 못들(568')은 하우징(410)의 측벽에 대해 체결구(566')를 죄어 고정한다.
도 11은 하우징(410)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제 1 브래킷(500a)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410)은, 전면이 수평선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α)만큼 아래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제 1 브래킷(500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하우징(410)이 각도(α)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하우징(410)의 제 1 환형 부재(414)와 제 1 브래킷(500a)의 제 2 환형 부재(564)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각도(α)는 예를 들어 15°일 수 있으며, 15°의 각도는 운전자들이 신호등에 대해 최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각도이다.
도 12는 보행자용 신호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보행자용 신호등과 제 1 브래킷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브래킷(500a, 500b)은 보행자용 신호등(4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제 1 및 제 2 브래킷(500a, 500b)은 도로에 수직하게 입설된 수직 지주(100')에 보행자용 신호등(400')을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우천시에는, 수분이 하우징(410)과 제 1 및 제 2 브래킷(500a, 500b) 사이로 침투할 수 있다. 그러나, 침투되는 수분은 내측 환형 부재(414a)와 외측 환형 부재(414b) 사이의 공간에 저장되므로, 수분이 하우징(410) 내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수직 지주 200: 수평 지주
300: 보강 철선 400, 400': 신호등
414a: 내측 환형 부재 414b: 외측 환형 부재
500: 브래킷 520: 베이스
540: 제 1 결합 부재 560: 제 2 결합 부재
562: 연결구 564: 제 2 환형 부재
566: 체결구
300: 보강 철선 400, 400': 신호등
414a: 내측 환형 부재 414b: 외측 환형 부재
500: 브래킷 520: 베이스
540: 제 1 결합 부재 560: 제 2 결합 부재
562: 연결구 564: 제 2 환형 부재
566: 체결구
Claims (6)
- 측벽에 결합 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는 표시부; 및
상기 하우징을 지주(支柱)에 결합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측벽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 홀을 둘러싸는 제 1 환형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환형 부재의 자유단 평면에는 톱니 모양의 제 1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은,
바(Bar)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수나사가 형성된 중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 홀에 관통 삽입되는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상기 일단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자유단 평면에 상기 제 1 요철부와 맞물리는 톱니 모양의 제 2 요철부가 형성된 제 2 환형 부재; 및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형 부재는 동심원을 이루며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철부는 상기 제 1 환형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면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철부는 상기 제 2 환형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도로 위에 횡 방향으로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된 전면이 수평선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아래쪽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환형 부재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상기 암나사 둘레에는 단차진 형상의 체결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홀들에 삽입되는 나사 못들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대해 상기 체결구를 죄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3914A KR101192712B1 (ko) | 2012-05-21 | 2012-05-21 | 신호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3914A KR101192712B1 (ko) | 2012-05-21 | 2012-05-21 | 신호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2712B1 true KR101192712B1 (ko) | 2012-10-19 |
Family
ID=4728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3914A KR101192712B1 (ko) | 2012-05-21 | 2012-05-21 | 신호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2712B1 (ko) |
-
2012
- 2012-05-21 KR KR1020120053914A patent/KR101192712B1/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7029B1 (ko) | 신호등 설치용 가로보 | |
KR20100084719A (ko) |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 |
US3995250A (en) | Portable traffic signal light | |
KR101192712B1 (ko) | 신호등 | |
KR101058878B1 (ko) | 가로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신호등 지주장치 | |
KR102538617B1 (ko) | 보조신호등을 갖는 교통신호장치 | |
KR101007729B1 (ko) | 다목적설치대 | |
KR101074743B1 (ko) | 다 방향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가로등주 | |
KR200454541Y1 (ko) | 교통 신호등 고정용 보호금구 | |
KR101192709B1 (ko) | 신호등 고정 브래킷 | |
KR101036237B1 (ko) |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 |
KR100816722B1 (ko) |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 |
KR200450792Y1 (ko) | 3단 분리형 조립식 지주 | |
KR101054810B1 (ko) | 신호등 지주장치 | |
KR200341550Y1 (ko) | 현수식 다방향 교차로 신호등장치 | |
KR200462052Y1 (ko) |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 |
KR101445563B1 (ko) | 가로보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 |
KR101344470B1 (ko) | 차량용 사고 알림 경보등을 갖는 조립식 삼각대 | |
KR20160033889A (ko) | 가로등 | |
CN112614355A (zh) | 声光投影预警系统及方法 | |
JP3204268U (ja) | 柵体における照明装置の配線構造 | |
KR200407048Y1 (ko) | 시선유도봉 | |
KR101090993B1 (ko) | 지주 구조물 | |
KR200193134Y1 (ko) | 보행자 보호용 조명등을 부착한 신호등 철주 조립체 | |
KR101024195B1 (ko) | 콘 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