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543B1 -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543B1
KR101190543B1 KR1020120021123A KR20120021123A KR101190543B1 KR 101190543 B1 KR101190543 B1 KR 101190543B1 KR 1020120021123 A KR1020120021123 A KR 1020120021123A KR 20120021123 A KR20120021123 A KR 20120021123A KR 101190543 B1 KR101190543 B1 KR 101190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unit
train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훈 filed Critical 전상훈
Priority to KR102012002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승객의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가입을 하되, 승객에게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종류와 장르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회원 가입 모듈; 열차 탑승을 위한 승차 정보를 승객에게 입력받아 승차권을 발행하는 승차권 발행모듈; 열차 내 구비되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한 열차 서버와 연동이 된 것으로서, 열차 내에서 승객이 착석한 좌석 각각에 장착된 상태로 승객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재생장치; 상기 재생장치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통해 상기 관심정보와 일치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와 장르를 승객에게 검색 및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재생장치에서 재생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승객이 직접 자신의 관심정보를 입력하여 이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를 승객 개개인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열차 내에서 맞춤형 미디어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MULTI MEDIA CONTENTS PROVIDING SYSTEM FOR TRAIN}
본 발명은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열차 특유의 성질을 이용하여 열차에 탑승한 승객에게 개별적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열차가 정차하는 정차역 주변의 지역 상품을 구매하거나 승객 간의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열차는 상당히 편리한 교통수단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오랜 역사를 가지고 주요 이동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프랑스의 떼제베(TCV), 독일의 이체(ICE), 일본의 신칸센, 한국의 KTX와 같이 평균 시속이 300km/h를 넘는 고속열차가 개발이 되어, 보다 빠른 시간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어 과거보다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신속한 이동 수단으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열차는 다른 자동차(고속버스) 및 비행기와 같은 교통수단과 차별되는 고유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열차는 도로 교통체증에 영향을 받는 자동차 내지 기상에 영향을 받는 비행기와 달리 정확한 시각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정시성을 가졌다는 점과, 한 번에 상대적으로 많은 승객을 태울 수 있다는 점, 사고의 위험이 적다는 안전성, 운전자의 의도에 관계없이 위치가 고정된 철도 상을 달리기 때문에 정확한 주행 위치를 가진다는 점이다.
더불어,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열차 내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는데, 그 예로서 한국 특허 제 10-0819483호 열차 영상 제공 시스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321304호 열차용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열차용 멀티미디어 재생에 대한 하드웨어 장비 및 열차 내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이 되어 있는바, 단순히 하드웨어 자체에 대한 기술적 설명이나 영상 신호를 열차 내에서 전환하는 기술에 대해서만 공개되어 있을 뿐 다른 교통수단과 차별이 되는 열차 고유의 특성을 이용한 승객 맞춤형 멀티미디어 제공 기술에 대해서는 공개가 되어 있지 아니하다.
열차는 물론 자동차, 비행기에서도 영상 제공 시스템에 다수 공개되어 있는바 이러한 영상 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보유하여 승객의 선택에 따라 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재생 영상의 러닝 타임이 탑승수단에서의 하차 시점보다 길 경우 전체를 모두 감상하지 못하는데 이를 해결할 수단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따르고, 영상 제공 장치가 비행기 내에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장치로서도 사용이 되지만 비행기의 특성상 지상과 차별되는 신선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더불어 고속버스의 재생장치 역시 다양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나, 재생되는 영상이 한정적이고 영상을 감상 할 대 열차보다 멀미가 심할 수 있다는 고유의 단점이 부각된다.
따라서 열차 고유의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승객의 관심에 맞는 맞춤형 영상을 승객의 선택이나 추천에 의하여 재생할 뿐 아니라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열차가 정차하는 역으로부터 그 역 주변 지역에서 생산한 신선한 상품을 공급하여 승객에게 판매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열차의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승객이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종류와 장르를 승객으로부터 입력받아 해당 멀티미디어를 승객의 좌석에 마련된 개별적인 재생장치를 통해 재생하여 승객의 편의를 도모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객의 열차에서 탑승하는 탑승 시간에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추천하여 이를 승객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멀티미디어를 편집하고, 재생순서를 프로그래밍하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호 취향이 유사한 승객을 매칭하여 열차 좌석 배치를 실행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승차권을 예약한 승객이 해당 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인증하고 승객이 잠시 자리를 비웠을 때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를 자동으로 일시 정지하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재생장치를 통해 지역 상품을 홍보함과 동시에 상품 구매를 실행하고, 특히 열차가 정차하는 역 근처 지역에서 생산된 지역 상품을 신선하게 승객에게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멀티미디어와 광고 컨텐츠를 동시에 출력할 때 이들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승객의 열차 탑승 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승객을 매칭하여 이들 간에 커뮤니티를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승객의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가입을 하되, 승객에게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종류와 장르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회원 가입 모듈; 열차 탑승을 위한 승차 정보를 승객에게 입력받아 승차권을 발행하는 승차권 발행모듈; 열차 내 구비되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한 열차 서버와 연동이 된 것으로서, 열차 내에서 승객이 착석한 좌석 각각에 장착된 상태로 승객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재생장치; 상기 재생장치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통해 상기 관심정보와 일치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와 장르를 승객에게 검색 및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재생장치에서 재생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차권 발행모듈은, 상기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 중 승객의 목적지 도착시간에서 출발지 탑승시간을 빼어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을 산출하는 탑승시간 산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은, 상기 열차 서버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에서 상기 열차 탑승 시간에 일치하는 재생 시간을 갖고 상기 관심 정보와 동일한 종류 및 장르를 가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하여 승객에게 추천하는 미디어 추천부와, 상기 추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승객의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추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장치에서 재생하는 미디어 승인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회원가입 모듈은, 상기 관심정보에 더하여 승객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심 순위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에 의해 승객에게 선택되거나 상기 미디어 추천부에서 추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복수 개일 때, 상기 관심 순위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순서를 배정하되,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총 재생시간이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과 일치하거나 짧도록 상기 재생순서의 오름차순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재생순서에서 순차적으로 제외하는 우선순위 프로그래밍 수단을 구비한 미디어 컨텐츠 구성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에서 승객이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시간이 승객의 상기 열차 탑승 시간보다 길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도중에, 승객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잔여 재생시간과 승객의 하차 예정 시간을 특정 주기에 따라 복수 회수로 상기 재생장치를 통해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안내 메시지 제공 수단과, 복수 회수의 안내 메시지 제공 시점 중 승객이 선택한 안내 메시지 제공 시점으로부터의 승객의 하차 예정 시간과 미디어 컨텐츠의 잔여 재생시간을 계산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완료 시각이 승객의 하차 시각과 일치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상향 조절하는 속성 재생 수단으로 이루어진 컨텐츠 재생시간 조절부를 구비한 미디어 컨텐츠 구성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재생장치가 설치된 좌석에는 중량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좌석에서의 중량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중량 감지 센서에서 착석 정보와 착석 부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중량 감지 센서에서 착석 부재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재생장치에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고, 상기 착석 부재 정보 전송 이후 상기 중량 감지 센서에서 착석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일시 정지 상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 처리하는 재생 정지 제어부를 구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제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통신 기능과 함께 열차의 정차역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정차역 지역에서 생산된 지역 상품을 홍보하는 내용을 수록한 광고 컨텐츠를 수록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열차 서버에 전송하는 로컬 제어 서버를 추가로 구비하고, 미리 저장된 특정 위치에 열차가 이르렀을 때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재생장치에서 출력하는 재생 시점으로 결정하는 재생시점 결정부와, 상기 재생시점에 재생되는 광고 컨텐츠를 상기 열차 서버 및 로컬 제어 서버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하는 광고 컨텐츠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상기 재생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광고 컨텐츠 출력부와, 승객에게 광고 컨텐츠의 객체인 지역 상품의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상품 구매부 및, 지역 상품의 수령 가능 위치를 상기 재생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상품수령 가능 위치 체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역 상품의 수령 가능 위치를 승객에게 선택 요청하는 상품 수령 지역 선택부와, 상품 수령지와 구매 상품 명칭을 포함한 상품 수령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상품 수령 정보에 따라 승객에게 구매 상품을 배송하는 구매 상품 정보 처리부로 이루어진 지역 상품 구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1) 승객이 직접 자신의 관심정보를 입력하여 이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를 승객 개개인에게 제공함으로써 열차 내에서 수준 높은 맞춤형 미디어 제공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고,
2)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 및 승객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를 추천하여 제공함으로써 승객이 열차에 탑승하는 제한적인 시간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3) 승객 탑승시간에 부합하도록 멀티미디어의 재생순서 및 재생속도 조절을 실행할 수 있어 승객이 보다 중요한 멀티미디어를 우선적으로 감상할 수 있거나 멀티미디어의 결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4) 멀티미디어 감상 취향이 유사한 승객을 추천하여 좌석 배치를 함으로써 열차 탑승 시간에서 인적인 친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5) 승객이 자리를 비웠을 때 자동으로 멀티미디어 재생을 정지하도록 하여 멀티미디어 감상이 끊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고,
6) 열차가 정차하는 지역에서 생산한 신선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열차 이용에 대한 장점을 부각할 수 있으며,
7) 열차를 이용한 빈도수, 행선지, 탑승 시점을 통해 생성된 승객 탑승 정보를 통해 보다 신뢰성이 있거나 생활 패턴이 유사한 승객을 추천하여 커뮤니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간 연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의 예시적인 외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좌석에 장착된 중량 감지 센서를 통해 재생장치의 재생 제어를 실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광고 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간 연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승객(이용자)이 착석하는 열차의 좌석 각각의 주변에 장착되는 재생 장치(50)를 통해 열차 이동 중 승객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승객 고유의 주관적인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승하차 위치 내지 탑승 시간과 같이 추출 가능한 객관적 정보와 결합하여 승객 편의적이고 합리적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함은 물론 광고 출력에 따른 지역 상품의 구매와 승객 간 커뮤니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영화, 뮤직비디오 등의 동영상, 음악 등의 음원, 전자책, 뉴스와 같은 것이 존재하며 특히 뉴스는 공중파 뉴스는 물론 지역 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승객을 회원으로 가입하여 승객 관련 정보 및 운행 중인 열차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뿐 아니라 승차권 발행 등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메인 제어 서버(10)와, 각각의 승차역에 구비되어 지역 상품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관리함과 동시에 지역 상품 판매 관리를 담당하는 로컬 제어 서버(20) 및, 열차 내에 구비되어 열차의 운행 시간, 속도, 운행 중 위치 등의 열차 정보 및 탑승 승객 정보를 물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재생장치(50)의 제어를 관리하는 열차 서버(30)와, 열차 내에서 승객이 착석하는 좌석에 장착된 재생 장치(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서버(10,20,30) 및 재생 장치(5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상호 간에 원활하게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인 제어 서버(10)는 DB 서버(11)를 구비하여 승객에 관련된 각종 정보 및 각각의 열차 관련 정보를 저장하여 특히 승객 관련 정보를 열차 서버에 전송하며, 열차 서버(30) 및 로컬 제어 서버(20)와 연동하여 정보를 교환 및 관리한다.
또한, 메인 제어 서버(10)는 웹 서버(12) 내지 모바일 서버(13)를 구비하여 웹 사이트, 모바일 페이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승객 정보의 관리 및 수집을 하고, 승차권 발행 서버(14)를 구비하여 이와의 연동을 통해 승차권 발행 기능을 구체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메인 제어 서버(10) 및 이에 속한 각각의 서버의 기능은 후술할 다양한 모듈을 구비하여 해당 모듈의 설명에 의해 구체화될 것이다.
로컬 제어 서버(20)는 열차가 정차하는 각각의 역에 구비되는 서버로서, 열차 서버와 연동하여 열차 관련 정보를 전송받는 것은 물론 승객 관련 정보와 지역 상품 구매 정보를 전송받아 상품 준비 및 배송을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지역 상품 판매자로부터 전송받은 광고 컨텐츠를 포함한 광고 컨텐츠 서버(21)를 구비하여 이를 열차 서버(30)에 전송하거나 공유하는바, 이 역시 후술할 관련 모듈에 의하여 그 기능이 구체화된다.
열차 서버(30)는 열차의 각종 운행 정보(GPS와 연동된 열차 위치, 열차 속도, 승차지 별 열차 운행 시단 등)를 생성, 저장 및 관리하는 열차 정보 관리 서버(31)와, 탑승한 승객에 대한 정보를 메인 제어 서버(10)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기록 및 저장하는 승객 정보 관리 서버(32) 및,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지 로컬 제어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지역 상품에 관련된 광고 컨텐츠 및 지역 상품 정보를 수록한 상품 판매 관리 서버(33)를 구비함은 물론 재생 장치의 다양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재생장치 관리 서버(34)를 포함하고, 이 기능들은 후술할 모듈 설명에 의해 구체화될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승객의 정보 및 열차 정보를 기준으로 열차의 객실 내 좌석에 설치된 재생장치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지역 상품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주요 특성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50)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지역 상품 컨텐츠를 재생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로서 동영상, 음악, 텍스트 파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은 물론, 별도로 캠(카메라)(53)을 구비하여 영상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더불어, 보조적으로 블루투스 통신/RF 통신 또는 유선 연결에 의하여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보조장치를 이용한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블루투스 페어링에 의하여 승객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되어 리모컨 기능과 같은 원격 제어는 물론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공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재생 장치(50)는 좌석, 구체적으로 좌석 등받이의 후면에 설치되어 뒷좌석에 착석한 승객이 시청할 수 있는 것으로 브라켓을 매개로 틸팅(tilting) 기능 내지 각도 조절 기능을 지원하여 승객이 요망하는 시청 각도에서 재생 장치(50)에서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재생 장치(50)는 스피커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옆 좌석의 승객에게 방해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어폰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 장치(50)는 화면을 통해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51) 및, 통신 기능에 의하여 마우스, 키보드(52)와 연동이 되도록 하는 보조 장치 연동부(54)와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재생 장치(50)의 메뉴를 조작하거나 리모트 컨트롤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연동부(55)를 구비하고, 각종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선택부(5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생 장치(50)의 디스플레이 패널(51)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이 될 수 있어, 승객이 직접 화면의 터치에 의하여 메뉴를 참조하여 멀티 미디어 컨텐츠/광고 컨텐츠 재생에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고,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열차 서버(30)에 전송하여 열차 서버(30)에서 승객이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과 같이 통계를 내거나 기타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재생 장치(50)의 디스플레이 패널(51)은 두 개의 화면이 동시에 출력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제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감상 중 지역 상품 정보, 즉 광고 컨텐츠를 1개의 디스플레이 패널(51)에서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고 이 역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3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회원 가입 모듈(110), 승차권 발행 모듈(120), 미디어 컨텐츠 제공 모듈(15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미디어 컨텐츠 예약 모듈(130), 좌석 지정모듈(140), 미디어 컨텐츠 구성 모듈(160),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제어모듈(170), 지역 상품 구매모듈(180), 광고 컨텐츠 구성 모듈(190), 커뮤니티 제공 모듈(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회원 가입 모듈(110)은 메인 제어 서버(10)의 관할 하에 있는 웹 서버(12) 내지 모바일 서버(13)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서, 웹 사이트, 모바일 사이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유저에게 회원 가입 페이지를 제공하고 이에 제공되는 여러 입력사항을 통하여 회원 관련 정보를 입력받으면서 회원 가입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웹 서버(12)에서 제공되는 웹사이트, 모바일 서버(13)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유저에게 열차 운행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유저가 특정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열차 운행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회원 가입모듈(110)은 구체적으로 기본 정보 입력부(111)와 관심 정보 입력부(112)를 구비한다.
기본 정보 입력부(111)는 회원의 기본적인 인적사항, 즉 이름, 나이, 성별, 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일반적인 웹 사이트와 유사하다.
특히, 회원 가입모듈(110)은 관심정보 입력부(112)를 포함하는바, 이러한 관심정보는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영화, 다큐멘터리, 뉴스, 음악 등), 장르(로맨스, 전쟁, 액션 등)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승객이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와 장르 등을 파악하고자 상기 관심정보를 입력받아 재생 장치(50)에서 재생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미리 준비하거나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심정보는 시간 흐름에 따라 업데이트 내지 수정이 가능하고, 대분류에서 소분류까지 카테고리화하여 DB 서버(11)에 저장/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승차권 발행 모듈(120)은 메인 제어 서버(10)에 의해 관리되는 것으로서, 역시 웹사이트, 모바일 페이지와 같은 수단을 통해 열차 탑승에 대한 승차권을 발행 및 구매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승차권 발행 모듈(120)은 승차정보 입력부(121), 승차권 결제부(122), 탑승시간 산출부(123)를 포함한다.
승차정보 입력부(121)는 탑승지에서 목적지, 열차 탑승시각과 같이 열차를 이용하기 위해 입력되는 기본정보는 물론 상기 관심정보에서 더 나아가 탑승목적(여행, 출장 등), 채팅(커뮤니티 내지 대화) 신청 유무, 현 상황에서 시청하고 싶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승차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먼저 승차권을 구매한 다음 추가적인 승차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승차정보 입력부(121)에서는 현재 열차 서버(30)에서 DB로 보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여 이 중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승객이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승차권 결제부(122)는 승객이 선택한 탑승시간과 위치, 열차명 등에 대해서 잔여 좌석 여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잔여 좌석이 있을 때 승차권을 전자 결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현재 공개된 철도청의 전자 결제 기능과 유사하다 할 것이다.
탑승 시간 산출부(123)는 승객이 결제한 열차에 대한 승객의 탑승 시간을 계산하여 해당 유저가 탑승할 열차 서버에 전송을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KTX 열차에 대해서 서울역 탑승에 부산역 하차일 경우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소요되는 총 시간은 2시간 20분과 같이 도착시간에서 출발 시간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승객의 탑승 시간을 계산하여 이를 승객이 탑승하는 열차에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비행기, 자동차, 고속버스보다 날씨 또는 교통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시간에 운행이 되는 열차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특별한 사고 상황이 있지 않고서는 거의 정확한 시간에 출발 및 도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공지된 열차 운행 시스템에서 마련된 열차 타임 테이블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탑승 시간 산출부(123)는 열차 내에서 승객이 시청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판단하기 위함이며, 이와 같이 승객의 탑승 시간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종합한 컨텐츠 제공 방식은 하기에서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디어 컨텐츠 예약모듈(130)은 추가적으로 메인 제어 서버(10) 내지 열차 서버(30)에 구비되어 승객이 자신이 좌석에서 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승차권 발행 당시에 예약을 하는 것으로, 추천부(131)와 선택부(132), 미디어 컨텐츠 준비부(133)로 구성이 되어 있다.
추천부(131)는 상기 탑승시간 산출부(123)를 통해 기산된 열차 탑승 시간 및 승객의 관심정보에 일치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승객에게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추천부(131)는 예를 들어 영화를 관심정보로 선택한 승객에게 복수 개의 최신 개봉작 영화를 추천한 추천리스트를 승차권을 예매한 이후 승차권을 예매한 웹사이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후술할 미디어 추천부(153)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할 것이다.
선택부(132)는 승객이 상기 추천부에서 추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를 지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컨텐츠 준비부(133)는 승객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승객이 예약한 좌석에 설치된 재생장치(50)에 저장되거나 열차 서버(30)와 연동되어 곧바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승객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열차 서버(30)에 전송하여 열차 서버(30)에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해당 좌석의 재생장치(50)의 메모리에 전송하거나 열차 서버에서 재생장치로 전송할 준비를 갖추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물론 재생장치(50)는 열차 서버(30)의 재생장치 관리서버(34)와 연동되어 클라우딩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재생장치(50)와 재생장치 관리서버(34)의 유선 연결에 의하여 신속하게 승객이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물론 다른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호출하여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나, 보다 신속하게 해당 재생장치(50)에서 승객이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미디어 컨텐츠 준비부(133)에서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좌석 지정모듈(140)은 메인 제어 서버(10)에 구비되어 상기 승차권 발행 모듈(120)에서 특화된 모듈로서, 승객이 자신이 착석할 좌석을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물론 이미 공지된 극장, 열차 등의 자리 배정 방식에서도 이러한 좌석 지정 프로세스가 존재하나, 본 발명의 좌석 지정모듈(140)은 단순히 랜덤하게 좌석을 선택하거나 동행자끼리 인접 좌석을 지정하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승객 간의 관심정보가 일치하거나 아니면 채팅을 희망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관심정보 내지 채팅 희망 여부가 일치하는 승객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좌석 지정모듈(140)은 관심정보 매칭부(141), 승차정보 매칭부(142), 매칭 결과 제시부(143)를 구비한다.
관심정보 매칭부(141)는 특정 유저 기준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취향, 즉 관심정보가 같은 다른 승객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특정 좌석에서는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재생 장치의 세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승차정보 매칭부(142)는 특정 유저 기준으로 승차정보, 즉 행선지 내지 승차 목적이 같고 더 나아가 채팅을 허락한 다른 승객을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승차 및 하차 위치가 같거나 상호 여행을 목적으로 하는 승객이 존재할 경우 지루한 열차 탑승 시간동안 서로 대화를 할 수도 있고 말벗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취향이 비슷한 승객 중 대화를 희망하는 승객에 한하여 서로 인접 좌석을 배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매칭 결과 제시부(143)는 상기 관심정보 매칭부(141) 및 승차정보 매칭부(14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서 검색이 된 승객에 대한 기본 정보 및 그 승객이 예약한 좌석 정보를 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승객의 승인을 통해 좌석을 최종적으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승객 정보는 프라이버시 보호 차원에서 30대, 남성, 여행 목적, 선호 영화는 액션영화와 같이 범용적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도록 하고, 보다 구체적인 정보는 프라이버시 보호 차원에서 공개하지 않도록 하며 이러한 정보를 확인하고 유저, 즉 승객은 매칭된 승객의 인접 좌석을 지정받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좌석 지정모듈(140)을 통해 단순히 재생장치(5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만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서로 탑승목적이나 취향이 비슷한 승객끼리 말벗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화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150)은 열차 서버(30)에 구비된 것으로 승객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상기 관심정보 및 승차정보에 입력된 승객의 취향과 열차 운행 시간의 정보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추천 및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150)은 기본 재생부(151), 시간 확인부(152), 미디어 추천부(153), 미디어 승인부(154)로 구성이 되어 있다.
기본 재생부(151)는 재생장치(50)의 메뉴를 통해 승객이 직접 자신이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여 이를 재생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는 일반적인 재생장치의 기능과 같다 할 것이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검색 기능도 지원한다.
다시 말해, 재생장치(50)는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하여 이 메모리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아니면 유선 방식으로 열차 서버에 구비된 재생장치 관리서버(34)(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록한 서버)와 연결이 되어 이 재생장치 관리서버(34)에 수록된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기본 재생부(151)는 가장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열차 탑승 시간 등을 고려하지 않고 승객 자신이 보고자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직접 검색 및 선택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시간 확인부(152)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시간과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 및 이들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열차 탑승 시간은 상기 승차권 발행 모듈에서의 탑승 시간 산출부(123)를 통해 승객의 열차탑승 시간을 확인함과 동시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플레이 타임)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 헤더에 미리 수록된 속성 데이터에서 재생 시간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니면 열차 서버(30)의 재생장치 관리 서버(34)에 저장을 할 때 미리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디어 추천부(153)는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에 일치하거나 조금 짧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에서 승객의 관심 정보에 일치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추출하여 이를 추천 리스트 목록으로 만들어 재생장치(50)의 디스플레이 패널(51)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승객이 열차를 탑승한 시간 내에 시청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별하여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동안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며, 다시 말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이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보다 긴 경우 승객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감상하다 말고 하차를 하게 되어 개운하지 못한 기분을 남기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디어 추천부(153)는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과 관심 정보를 통합하여 이에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때 반드시 하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이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과 일치할 필요는 없고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합산 시간이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에 상응하여도 된다. 즉, 고객의 관심 정보에서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예를 들어 최신 가요일 경우 복수 개의 음원 파일로 이루어진 최신 가요 목록을 추천 리스트로 작성하여 이를 승객에게 보여줄 수가 있다.
미디어 승인부(154)는 상기 미디어 추천부(153)에서 추천된 멀티미디어의 추천리스트를 고객이 승인하도록 하여 승인이 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승객은 재생장치(50)의 디스플레이 패널(51)에서 제공된 추천 리스트 목록에서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목록으로 재생장치(50)에 저장이 되어 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150)에 의하여 승객 자신이 직접 자신이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을 시키거나 열차 탑승 시간에 상응하는 재생 시간 및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편의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구성 모듈(160)은 열차 서버(30)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제공 모듈(150)을 특화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디어 추천부(153)를 통해 추천되는 추천 리스트 내지 승객에게 승인이 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목록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을 생성함과 동시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컨텐츠 구성 모듈(160)은 컨텐츠 프로그래밍부(161)와 컨텐츠 재생시간 조절부(162)로 구성이 되어 있다.
컨텐츠 프로그래밍부(161)는 상기 미디어 승인부(154)를 통해 승객에게 승인이 되거나 승객이 직접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복수 개로 이루어졌을 경우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 이내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프로그래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프로그래밍부(161)는 우선순위 프로그래밍 수단(161a)과 위치 기반 프로그래밍 수단(161b)을 구비한다.
우선순위 프로그래밍 수단(161a)은 우선적으로 승객의 탑승 시간을 확인하고 승객의 탑승 시간 이내의 시간에 대해 상기 회원 가입 모듈(110)의 관심정보 입력부(112)에서 승객(유저)에게 관심정보의 우선순위를 입력받아 해당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 개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순서를 프로그래밍하되,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총 재생시간이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과 일치하거나 짧도록 후순위로 배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재생순서에서 제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승객 탑승 시간이 2시간이고 승객의 관심 정보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뉴스(30분), 최신 가요 10곡(50분), 단막극 동영상(30분), 영화(90분)이고, 1순위-뉴스, 2순위-단만극 동영상, 3순위-최신 가요 10곡인 경우에는 이 순서대로 컨텐츠 재생순서에 대한 프로그래밍을 작성하되 이러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 재생시간이 승객의 탑승 시간을 넘어서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영화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목록 또는 재생순서에서 최종적으로 제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추천 리스트 내지 승객이 직접 선택한 재생 리스트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복수 개일 때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 이내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총 재생시간이 마쳐지도록 후순위로 배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부터 순차적으로 제외하는 방식, 즉 재생순서의 오름차순(큰 수에서 작은 수로의 순서)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순서를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프로그래밍하는 것이다.
위치 기반 프로그래밍 수단(161b)은 특히 승객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에서 뉴스를 선택하거나 미디어 추천부에서 뉴스를 승객에게 추천하였고 뉴스가 열차가 정차하는 정차역이 속한 지역에서 제작된 지역 뉴스들의 복수 개의 조합일 때, 열차의 행선지 순서에 따라 각각의 지역 뉴스의 재생순서를 배정하되, 지역 뉴스의 총 재생 합산시간이 승객의 열차 탑승시간을 넘지 않도록 해당 지역까지의 열차 이동 소요 시간을 비교하여 그 이동 소요 시간의 대소에 따라 각 지역 뉴스를 차등적으로 조절, 즉 삭제 편집 내지 재생을 종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울역을 출발한 열차가 20분 후 수원 도착, 그로부터 30분 후 천안 도착, 1시간 후 대전 도착이고, 수원 지역 뉴스 재생 시간이 30분, 천안 지역 뉴스 재생 시간이 30분, 대전 지역 뉴스 재생시간이 30분이라면 수원-천안-대전 지역 뉴스 순으로 재생순서를 프로그래밍하되 수원 지역 뉴스는 수원에 열차가 도착하기 전에 종료되도록 10분 가량 삭제 편집하거나 수원에 열차가 도착하였을 때 강제로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더불어 위치 기반 프로그래밍 수단(161b)에서는 특정 지역의 뉴스를 삭제 편집하는 기준은 다양한 계산 방식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제 1 정차역을 지나 제 2 정차역에 열차가 도착하기 이전에 제 1 정차역에 관련된 지역 뉴스가 종결되도록 하는 공통적인 목적을 가진다.
이러한 위치기반 프로그래밍 수단의 기능, 즉 지역 뉴스의 재생 시간 설정 방식은 상기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는바, GPS를 통해 제 1 정차역에서 제 2 정차역의 중간 위치에 열차가 이르렀다는 것을 판단하였을 때 이 시점을 제 1정차역에서 제작한 지역 뉴스의 종결 시점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즉, 열차가 제 1,2 정차역의 중간 지점에 이르렀을 때 제 1 지역에 대한 지역 뉴스를 종결하고 이어서 제 2 지역의 지역 뉴스를 재생하도록 하여, 특정 위치의 열차 도달 시점에 따라 지역 뉴스의 재생 시점과 종결점을 설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컨텐츠 재생시간 조절부(16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추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굳이 승인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였는데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시간이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보다 길 경우 안내 시점으로부터 하차 예정 시간까지의 시간에 맞추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고배속으로 상향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컨텐츠 재생시간 조절부(162)는 승객의 탑승 시간이 70분이나 승객이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기본 재생 시간이 90분인 경우 승객은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후반 20분은 승객이 보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안내 메시지 제공 수단(162a)과 속성 재생 수단(16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 메시지 제공수단(162a)은 재생장치(50)의 디스플레이 패널(51)을 통해 특정 주기에 따라 승객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잔여 재생시간과 승객의 하차 예정 시간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안내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1배속 이상으로 재생하는 시작점이 되는 것인바, 승객은 일정 주기로 제공되는 복수 개의 안내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속성 재생 수단(162b)은 복수 회수의 안내 메시지 제공 시점 중 승객이 선택한 안내 메시지 제공 시점으로부터 승객의 하차 예상 시간과 미디어 컨텐츠의 잔여 재생시간을 계산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완료 시각이 승객의 하차 시각과 일치하도록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고배속으로 상향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안내 메시지의 제 1 시점에서 승객의 도착 시간이 30분 남았는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간은 60분이 남았고, 안내 메시지의 제 2 시점에서 도착 시간이 15분 남았는데 재생 시간은 45분이 남았을 경우 승객이 제 1 시점을 선택하면 그 시점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재생속도는 2배속으로 상향 조절되고, 만일 제 2 시점을 승객이 선택하면 그 시점으로부터 1.5배속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속도를 상향 조절한다.
즉, 이러한 컨텐츠 재생시간 조절부(162)는 승객이 미처 자신이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부 감상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속성이라도 해당 멀티미디어 재생속도를 상향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향 조절하도록 하고, 더불어 안내 메시지를 통해 스스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속도가 몇 배속으로 상향 조절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컨텐츠 재생시간 조절부(162)는 정속(1배속) 재생이 중요한 음악보다 뉴스 내지 영화와 같은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보다 적합하다.
본 발명의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제어모듈(170)은 열차 서버(30)에 구비되어 자신이 예약한 좌석에 승객이 착석하였을 경우에만 멀티미디어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승객이 좌석에서 자리를 벗어났을 때에는 자동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일시 정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증 정보 제공부(171) 및 승객 인증부(172) 및 재생 정지 제어부(173)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승객의 인증 기능은 우선 승객에게 인증 정보를 부여하고 이를 읽고 판독할 수 있는 기능을 재생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인증 정보 제공부(171)는 승차권에 승객 인증 정보를 함께 수록하는 것으로, 승차권 발행 모듈과 연동하여 승객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별도로 제공 가능한 승객 카드에 인증 정보를 수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승차권을 승객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출력하면서 승차권의 일 측에 2차원바코드와 같은 형태로 인증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고, 승객 카드를 통한 인증 방식은 승개 카드 자체에 수록되어 있는 승객의 아이덴티티 정보가 인증 정보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승객 인증부(172)는 재생장치(50)에 별도로 제공되는 판독부(59)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특정 승객이 인증된 경우 비로소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재생 기능을 활성 처리하거나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으로, 여기서 판독부(59)는 승차권에 부여된 바코드(승객 인증 정보를 수록)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기이거나 승객 카드의 마그네틱 바에 수록된 승객 인증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카드 리더기일 수 있다.
이러한 승객 인증 기능은 입석을 선택한 일반 승객이 자리가 빈 특정 좌석에 임의적으로 앉아 해당 좌석을 예약하여 후속 역에서 탑승 예정인 승객이 예약하거나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승객 자신이 선택 또는 예약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자신이 해당 좌석에 앉았을 경우에만 재생되도록 하여 열차 내에서 보다 질적으로 우수한 미디어 재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인식을 승객에게 부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좌석에 장착된 중량 감지 센서를 통해 재생장치의 재생 제어를 실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재생 정지 제어부(173)는 승객이 좌석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재생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 또는 일시정지를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중량 감지 센서(57)와 재생 제어 수단(173a)을 구비한다.
중량감지 센서(57)는 승객이 착석하는 좌석에 설치되어 특정 중량(성인 또는 어린이의 평균 몸무게에 해당하는 중량 기준치가 내장되어 이를 판단할 수 있음)이 인식되었을 경우 착석 정보를 생성하고 특정 중량이 인식된 이후 갑자기 인식이 되지 않았을 때(승객이 좌석에서 일어났을 때) 착석 부재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생 제어 수단(173a)은 착석 부재 정보가 중량 감지 센서(57)로부터 전달되었을 때 재생장치(50)에서 재생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고, 착석 정보가 중량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었을 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러한 재생 제어 기능은 승객이 화장실을 가거나 기타 용무로 잠시 좌석을 비웠을 때 승객이 수동으로 제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재생장치(50)의 재생 및 일시 정지를 실행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상품 구매 모듈은 열차 서버 및 로컬 제어 서버에 구비되어 열차가 지나가는 특정 지역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승객이 중간에 내리지 못하여도 자신이 지나가는 지역의 특산품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역 상품 구매모듈(180)은 구체적으로 재생 시점 결정부(181), 광고 컨텐츠 선택부(182), 광고 컨텐츠 출력부(183), 상품 구매부(184), 상품 수령 가능 위치 체크부(185), 상품 수령 지역 선택부(186), 구매 상품 정보 처리부(187)를 포함한다.
재생 시점 결정부(181)는 열차 서버(30)의 GPS와 연동하여 특정 역에 열차가 근접하였을 때를 상품 홍보를 위한 광고 컨텐츠를 재생장치에서 출력하는 시점, 즉 재생시점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특정 역에 열차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열차가 A 역에 도착하기 10분 전에 해당하는 위치 내지 A역에서 30km 이전 위치와 같이 특정 역에 이르기 전의 일정 지점을 미리 선정하여 이를 광고 컨텐츠 출력 지점으로 DB 처리하여 열차 서버에 저장한 다음 열차가 이 광고 컨텐츠 출력 지점에 이르렀다는 것을 GPS를 통해 인식하였을 때 광고 컨텐츠를 출력할 준비를 갖추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재생장치(30)에서 배너 내지 서브 화면으로 광고 컨텐츠를 항시적으로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 승객이 거부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지역 상품을 홍보하기 적합한 위치, 즉 지역 상품의 출처인 지역에 열차가 근접하였을 때를 기점으로 해당 지역에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 컨텐츠 선택부(182)는 상기 재생 시점 결정부(181)에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라는 신호를 전송받았을 때 로컬 제어 서버(20)로부터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광고 컨텐츠를 전송받은 광고 컨텐츠 중 해당 지역에 관계된, 즉 해당 지역 상품에 관한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광고 컨텐츠라 함은, 지역 상품을 특성은 물론 지역 상품을 홍보할 수 있는 동영상, 음원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컨텐츠로서 이는 지역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자로부터 로컬 제어 서버(20)가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열차 서버(30)와 공유하고 더불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광고 컨텐츠는 재생장치(50)에서 디스플레이가 되어 승객에게 지역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매체로서, 이러한 광고 컨텐츠는 원활한 저장 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열차가 출발하기 전에 열차 서버(30)가 열차가 출발하기 전에 열차가 지나가는 정차역 각각의 로컬 제어 서버(20)들로부터 미리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 컨텐츠에 등장하는 지역 상품은 지역 특산물(예를 들어 천안 호두과자, 경주빵 등)은 물론 서비스(부산 내 호텔 정보, 마사지 정보)일 수 있으며, 특히 지역 상품의 경우 다른 지역에서 구하기 힘들거나 싱싱한 농수산물과 같은 것이 존재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출력부(183)는 재생장치(50)를 통해 상기 광고 컨텐츠 선택부(182)에서 선택된 광고 컨텐츠를 출력(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재생장치(50)에서 동영상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상황에서 출력될 광고 컨텐츠 역시 동영상인 경우에는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잠시 중단하고 광고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승객에게 짜증이나 반발을 야기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광고 컨텐츠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중인 화면의 일 측에서 배너 또는 PIP를 이용한 서브 화면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상품 구매부(184)는 광고 컨텐츠를 확인한 승객이 해당 광고에 등장하는 지역 상품에 관심을 갖았을 때 해당 승객을 대상으로 지역 상품 구매를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품 구매부에 의한 상품 구매 방식은 다음과 같은 기능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품 구매부(184)의 제 1 기능은 재생장치(50)에 별도로 구비된 호출부(58)를 통해 승무원을 호출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다. 즉, 재생장치(50)는 호출부(58)를 구비하여 호출부(58)에 제공되는 버튼을 승객이 누르면 승객을 식별할 수 있는 좌석 식별정보가 승무원이 소지한 수신부에 전달이 된다.
승무원이 소지한 수신부는 소형 단말 형태로 이루어져 재생장치(50)의 호출부(58)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호출부(58)를 통해 전송된 좌석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좌석 식별정보는 승객이 착석한 객실 번호 및 좌석 번호를 수록한 것으로, 승무원은 이 좌석 식별번호를 통하여 해당 승객에게 찾아가 상품 주문을 받고 휴대용 결제 단말기를 통해 결제를 한 다음 상품을 직접 승객에게 전달하거나 승객이 원하는 배송지로 배송 예약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품 구매부(184)의 제 2 기능은 재생 장치(50)에서 직접 상품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재생 장치(50)(디스플레이 패널)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졌을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재생장치(50)에서 제공되는 구매 아이콘을 승객이 클릭하면 결제 창으로 화면이 변환되면서 상품 결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품 결제 단계로 접어들었을 때에는, 상품 구매부(184)는 재생 중이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자동으로 일시 정지 되도록 하는 기능을 겸비하여 상품 결제에 집중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흐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후, 상품 결제에 대한 정보, 즉 상품 구매 정보는 우선 열차 서버(30)에 전송된 다음 열차 서버(30)에서 해당 지역 상품의 판매를 관할하는 로컬 제어 서버(20)로 전송하여 로컬 제어 서버(20)에서 구매된 지역 상품을 준비하게 할 수 있다.
상품수령 가능 위치 체크부(185)는 구매되거나 구매 예정인 지역 상품의 수령 가능 위치를 파악하여 재생장치(50)의 디스플레이 패널(51)을 통해 구매되거나 구매 예정인 지역 상품의 수령 가능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품 수령 가능 위치는 열차 내, 상품을 구매한 승객이 내리는 목적지인 하차역, 승객이 입력한 특정 주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안 호두과자를 구매한 승객 있을 경우, 상품 수령 가능 위치 체크부는 천안 호두과자의 준비 상황, 즉 천안 호두과자가 열차 내에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 아니면 천안역에서 호두과자를 열차에 실어야하는지 여부, 승객의 하차역에 미리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 준비상황이 길거나 승객의 요청에 따라 수 일 이후 고객이 입력한 특정 주소로 배송해야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이와 같은 상황을 디스플레이 패널(51)을 통해 보여주도록 한다.
이러한 지역 상품의 준비 상황은 상품 구매 이전에 미리 승객에게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여 승객이 상품 수령 가능 위치를 확인한 다음 해당 지역 상품을 구매할지 여부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 상태 내지 신선도, 상품 준비 시간 등에 따라 미리 지역 상품이 보관되는 장소 등을 미리 설정하여 이를 승객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품 수령 지역 선택부(186)는 승객이 결제한 상품을 수령할 위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품 수령 위치는 상기 상품 수령 가능 위치 체크부(185)에서 결정한 위치, 즉 열차 내, 도착지, 승객이 입력한 특정 주소일 수 있다.
만일 상품 수령 가능 위치가 복수 개일 경우에는 승객이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가 있다.
구매 상품 정보 처리부(187)는 상기 상품 수령 지역 선택부(186)에서 선택한 상품 수령지 및 상품 명칭을 포함한 상품 수령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승무원의 수신기 및 로컬 제어 서버(20)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여 승객에게 구매 상품을 전달할 준비를 갖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역 상품 수령 장소가 열차 내일 경우는 상기 상품 구매부(184)에서 구매한 지역 상품이 열차 내에 미리 준비가 되거나 중간 정차역에서 전달을 받을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승무원이 소지한 수신부로 상품 준비 신호를 송신하여 승무원이 해당 지역 상품을 직접 승객에게 전달하거나 열차 서버(30)에 상품 준비 신호를 전달하면 열차 서버(30)가 해당 상품이 준비되어 있는 지역(정차역)에 위치한 로컬 제어 서버(20)에 다시 이 상품 준비 신호를 전달하여 열차가 해당 역에 정차하였을 때 이 지역 상품을 열차에 실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서울역에서 탑승한 승객이 부산역에 하차하는데 그 승객이 천안 호두과자를 주문하였고 열차 내에 천안 호두과자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열차 서버가 천안역의 로컬 제어 서버(20)로 상품 준비 신호를 전송하여 천안역의 근무원이 열차가 천안역에 정차하였을 때 열차에 승객이 주문한 천안 호두과자를 싣고 열차 내 승무원이 이를 승객에게 전달할 수가 있다.
특히, 로컬 제어 서버(20)에서 상품을 준비하였다가 상품 준비 신호가 열차 서버(30)로부터 전달되었을 때 해당 열차에 해당 지역 상품을 싣는 경우는 지역 상품의 신선도가 보장되어야 하는 경우이거나 생산/재배/제조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싱싱한 제품을 승객에게 전달해야 할 때 특히 유용하다.
또한 지역 상품 수령 장소가 하차역인 경우에는 결제한 지역 상품이 승객의 하차역에 미리 준비가 된 경우로서, 승객에게 하차역의 특정 장소에서 수령이 가능하다는 통보 메시지를 제생장치(50)를 통해 전달함과 함께 승객 하차역의 로컬 제어 서버(20)에 상품 준비 신호를 전달하여 상품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지역 상품 수령 장소가 승객이 입력한 특정 주소인 경우에는 상품 준비 신호를 해당 주소에 인접한 로컬 제어 서버(20)로 상품 준비 신호를 전송하여 택배, 우편 등의 방법으로 해당 주소로 지역 상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지역 상품 구매모듈(180)은 열차를 탑승한 승객에게 지역 상품을 홍보할 뿐 아니라 직접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이 내리지 않고 지나쳐가는 정차역에서 관할하는 질 좋고 싱싱하며 신선한 지역 상품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광고 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는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컨텐츠 구성 모듈(190)은 열차 서버(30)에 구비되는 것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장치(50)에서 재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함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형태도 판단하여 재생장치(50)에서 재생될 광고 컨텐츠를 차등 구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광고 컨텐츠 구성모듈(19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여부 판단부(191),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종류 판단부(192), 광고 컨텐츠 구성부(193), 동시화면 구성부(194)로 이루어져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여부 판단부(191)는 광고 컨텐츠를 재생할 시점에 재생장치(50)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광고 컨텐츠의 종류 내지 구성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전제 기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종류 판단부(192)는 재생장치(50)에서 재생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즉,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음원만 출력되는지 여부, 영상만 출력되는지 여부, 음원/영상이 동시에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는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할 때 그 파일의 헤더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속성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구성부(193)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종류 판단부(192)에서 판단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종류와 다른 종류의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장치(50)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종류'라 함은 미디어 포맷, 즉 음원, 영상(음원 수록/음원 미수록)과 같은 포맷을 의미한다.
즉, 재생장치(5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음악일 경우에는 이와 다른 종류인 영상(음원이 없는 영상이 바람직) 종류에 해당하는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고,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음원 없는 영상인 경우에는 광고 컨텐츠는 음원으로 이루어진 종류를 선택하여 재생장치(50)에서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하나의 지역 상품에 관련된 내용을 수록한 광고 컨텐츠가 여러 종류로 제작될 필요가 있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광고 컨텐츠 서버(21) 내지 재생장치 관리 서버(34)에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따른다.
동시화면 구성부(194)는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음원과 영상이 모두 포함된 종류의 동영상인 경우에 동시에 화면을 구성함과 함께 재생 음량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화면 구성 수단(194a)과 음향 구성 수단(194b)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면 구성 수단(194a)은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제공하여 두 개의 화면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51)에서 동시에 제공하는 것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메인 화면으로, 광고 컨텐츠를 메인 화면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화면으로 구성하여 서브 화면을 메인 화면의 일 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때, 서브 화면의 위치는 서브 화면 위치 조절 수단을 통하여 승객에 의해 결정 또는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재생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서브 화면으로 출력되는 광고 컨텐츠를 승객이 클릭하면 메인 화면과 서브 화면이 교체,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서브 화면으로 출력되고 광고 컨텐츠가 메인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승객이 광고 컨텐츠를 클릭하였다는 것은 관심을 표방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화면으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품 광고 집중도를 승객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음향 구성 수단(194b)은 역시 PIP 기능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광고 컨텐츠 중에서 메인 화면으로 출력되는 컨텐츠가 서브 화면으로 출력되는 컨텐츠보다 큰 소리로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물론 두 가지의 컨텐츠 소리가 출력될 때 승객이 짜증을 느낄 수도 있어 재생장치(50)에서 제공되는 메뉴 화면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컨텐츠의 소리를 MUTE 상태, 즉 비활성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광고 컨텐츠 구성모듈(190)은 광고 컨텐츠를 재생장치(50)에서 출력하고자 할 때 멀티미디어 컨텐츠와의 충돌을 조절하여 승객에게 보다 편안한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특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커뮤니티 제공모듈(200)은 메인 제어 서버(10)와 연동되어 열차 서버(30)에 구비된 상태에서 열차에 탑승한 승객 간에 영상 채팅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재생장치(50)에 제공된 캠(53)과 연동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채팅 승인부(201), 채팅 실행부(202), 승객 기록 확인부(203), 승객 매칭부(204), 승객 연결부(205)로 구성된다.
채팅 승인부(201)는 재생장치(50)에 구비된 메뉴에서 채팅 아이콘을 제공하고 승객이 이를 선택하였을 때 카메라(53)가 활성 처리되면서 채팅창을 오픈(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픈된 채팅창에서는 채팅 대기 중인 승객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채팅 실행은 특정 승객 영상을 지정하여 채팅을 요청할 때 채팅이 수락되도록 하며 이러한 구체적 기능은 공지되어 있는 영상 채팅과 유사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채팅 실행부(202)는 승객 상호 간에 채팅을 허락할 대 별도의 채팅창을 활성 처리하여 채팅을 실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옆 좌석에 방해되지 않도록 서로 영상을 보면서 키보드를 이용한 텍스트 채팅 기능을 구비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은 일반적인 영상 채팅 기능의 일환으로, 특별히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관심이 없어 같은 열차에 탑승한 승객 간에 편안한 대화를 원하는 승객에게 재미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서로 모르는 사람 간에 채팅을 할 때 해당 승객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없어 막상 채팅을 수락하기 어렵거나 특히 여자인 경우 상대가 남자일 때 그 두려움이 더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신뢰도를 얻을 수 있는 승객을 선별하여 채팅 연결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승객 기록 확인부(203)는 승객의 열차 이용에 대한 빈도와 주기, 시간대에 따라 승객의 신뢰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승객의 행선지와 해당 행선지의 탑승 빈도수, 탑승 시간대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록한 일명 '승객 탑승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메인 제어 서버(10)에서 승차권 발행 모듈(120)을 통해 승객이 승차권을 구매하였을 때 승객에 대한 승객 탑승 정보가 기록되는데 승객 기록 확인부(203)는 메인 제어 서버(10)와 연동되어 이러한 승객 탑승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수단을 통하여 승객 탑승 정보를 생성한다.
승객 탑승 정보는 예를 들어 000 고객은 2011년 1~12월까지 서울-부산을 14회 이용하였고, 서울역 탑승 시간은 9시 20분- 1회, 9시-3회, 8시 30분-5회...와 같고 1월 탑승 2회, 2월 탑승 1회....와 같이 탑승 시간, 주말 이용 5회, 평일 이용 9회...등과 같이 특정 시간대에 따른 탑승 빈도수, 열차 승차역과 하차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승객 탑승 정보를 통하여, 승객이 주로 출퇴근용으로 열차를 이용하는지 여부, 단순 탑승에 해당하는지 여부, 여행이 주목적인지 여부를 개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고 특히 단순히 승객이 직접 열차 탑승목적을 직접 입력하였을 대보다 여행 목적이거나 출퇴근 목적임을 객관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승객 매칭부(204)는 상기 승객 기록 확인부(203)에서 생성한 승객 탑승 정보에 수록된 특정 기간 내 행선지와 탑승 시간대, 탑승 빈도수가 일치하거나 일치도가 높은 열차에 탑승한 다른 승객을 검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승객 매칭부(204)에서 승객은 검색 조건의 일치도를 직접 설정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일치도가 80% 이상, 90% 이상과 같이 상기 조건에 대한 유사 정도를 설정할 수가 있다.
이러한 일치도의 퍼센테이지는 탑승 시간대 및 탑승 빈도수 등의 범위에 따라 조절 가능하고 이 탑승 시간대, 탑승 빈도수 등을 파라미터(독립 변수 내지 팩터)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방식과 같은 통계 처리 방식에 의하여 일치도를 퍼센테이지와 같은 수치로서 산출할 수가 있다.
승객 연결부(205)는 상기 승객 매칭부(204)에서 검색한 승객과 채팅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검색된 승객에 대해 커뮤니티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고 상대 승객이 이를 수락할 경우 채팅창이 활성화되어 채팅이 실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커뮤니티 제공모듈(200)은 특정 승객의 신뢰도, 일상생활 패턴에 따라 상호 부합하는 승객을 찾아 서로 커뮤니티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거나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메인 제어 서버 11: DB 서버
12: 웹 서버 13: 모바일 서버
14: 승차권 발행 서버 20: 로컬 제어 서버
21: 광고 컨텐츠 서버 22: 상품 담당 서버
30: 열차 서버 31: 열차 정보 관리 서버
32: 승객 정보 관리 서버 33: 상품 판매 관리 서버
34: 재생 장치 관리 서버 50: 재생 장치
51: 디스플레이 패널 52: 키보드
53: 캠(카메라) 54: 보조장치 연동부
55: 이동통신단말기 연동부 56: 메뉴 선택부
57: 중량 감지 센서 58: 호출부
59: 판독부
110: 회원 가입모듈 111: 기본 정보 입력부
112: 관심 정보 입력부 120: 승차권 발행모듈
121: 승차정보 입력부 122: 승차권 결제부
123: 탑승시간 산출부 130: 미디어 컨텐츠 예약모듈
131: 추천부 132: 선택부
133: 미디어 컨텐츠 준비부 140: 좌석 지정모듈
141: 관심정보 매칭부 142: 승차정보 매칭부
143: 매칭 결과 제시부 150: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
151: 기본 재생부 152: 시간 확인부
153: 미디어 추천부 154: 미디어 승인부
160: 미디어 컨텐츠 구성 모듈 161: 컨텐츠 프로그래밍부
161a: 우선순위 프로그래밍 수단 161b: 위치기반 프로그래밍 수단
162: 컨텐츠 재생시간 조절부 162a: 안내 메시지 제공수단
162b: 속성 재생수단 170: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제어모듈
171: 인증정보 제공부 172: 승객 인증부
173: 재생 정지 제어부 173a: 재생 제어 수단
180: 지역 상품 구매모듈 181: 재생 시점 결정부
182: 광고 컨텐츠 선택부 183: 광고 컨텐츠 출력부
184: 상품 구매부 185: 상품수령 가능 위치 체크부
186: 상품 수령 지역 선택부 187: 구매 상품 정보 처리부
190: 광고 컨텐츠 구성모듈 191: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여부 판단부
192: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종류 판단부 193: 광고 컨텐츠 구성부
194: 동시화면 구성부 194a: 화면 구성 수단
194b: 음향 구성 수단 200: 커뮤니티 제공모듈
201: 채팅 승인부 202: 채팅 실행부
203: 승객 기록 확인부 204: 승객 매칭부
205: 승객 연결부

Claims (20)

  1.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승객의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가입을 하되, 승객에게 선호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종류와 장르를 입력받아 이를 통해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회원 가입 모듈;
    열차 탑승을 위한 승차 정보를 승객에게 입력받아 승차권을 발행하는 승차권 발행모듈;
    열차 내 구비되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한 열차 서버와 연동이 된 것으로서, 열차 내에서 승객이 착석한 좌석 각각에 장착된 상태로 승객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재생장치;
    상기 재생장치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통해 상기 관심정보와 일치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와 장르를 승객에게 검색 및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재생장치에서 재생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승차권 발행모듈은,
    상기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 중 승객의 목적지 도착시간에서 출발지 탑승시간을 빼어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을 산출하는 탑승시간 산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은,
    상기 열차 서버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에서 상기 열차 탑승 시간에 일치하는 재생 시간을 갖고 상기 관심 정보와 동일한 종류 및 장르를 가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하여 승객에게 추천하는 미디어 추천부와,
    상기 추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승객의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추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장치에서 재생하는 미디어 승인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열차 서버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에서 상기 열차 탑승 시간에 일치하는 재생 시간을 갖고 상기 관심 정보와 동일한 종류 및 장르를 가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승객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 목록으로 제공하는 추천부와,
    상기 승차권 발행모듈을 통해 승차권을 발행한 승객에게 상기 컨텐츠 검색 목록 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 요청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재생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미디어 컨텐츠 준비부로 구성된 미디어 컨텐츠 예약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승객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상기 재생장치를 원격 재생 조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연동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승차권을 발행한 승객을 대상으로 상기 관심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다른 승객을 검색하는 관심정보 매칭부와,
    승차권을 발행한 승객을 대상으로 상기 승차 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다른 승객을 검색하는 승차정보 매칭부 및,
    상기 관심정보 매칭부와 승차정보 매칭부에서 각각 검색된 승객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승객을 추출하고, 추출된 승객이 지정한 좌석의 옆자리를 승차권을 발행 중인 승객에게 제시하여, 상기 승차권을 발행 중인 승객의 수락 여부에 따라 승차권을 발행 중인 승객의 좌석을 지정하는 매칭 결과 제시부로 이루어진 좌석 지정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가입 모듈은,
    상기 관심정보에 더하여 승객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심 순위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에 의해 승객에게 선택되거나 상기 미디어 추천부에서 추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복수 개일 때, 상기 관심 순위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순서를 배정하되,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총 재생시간이 승객의 열차 탑승 시간과 일치하거나 짧도록 상기 재생순서의 오름차순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재생순서에서 순차적으로 제외하는 우선순위 프로그래밍 수단을 구비한 미디어 컨텐츠 구성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에 의해 승객에게 선택되거나 상기 미디어 추천부에서 추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열차의 복수 개의 정차역이 속한 지역 뉴스들이고,
    상기 시스템은,
    열차의 행선지 순서대로 상기 지역 뉴스들의 재생순서를 배정하되, 각 지역 뉴스의 총 재생 시간이 상기 열차 탑승 시간을 넘지 않도록 각 지역들까지의 열차 이동 소요 시간을 비교하여 각 이동 소요 시간의 대소에 따라 각 지역 뉴스가 상기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시간을 차등 배정하는 위치 기반 프로그래밍 수단을 구비한 미디어 컨텐츠 구성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에 의해 승객에게 선택되거나 상기 미디어 추천부에서 추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열차의 복수 개의 정차역이 속한 지역 뉴스들이고,
    상기 시스템은,
    열차의 행선지 순서대로 상기 지역 뉴스들의 재생순서를 배정하되, 열차의 GPS를 통해 제 1 정차역에서 제 2 정차역의 중간 위치에 열차가 도달 여부를 인식하고 그 시점에 제 1 정차역이 속한 지역 뉴스의 재생을 종결 처리한 다음 제 2 정차역에 해당하는 지역 뉴스를 재생하는 위치 기반 프로그래밍 수단을 구비한 미디어 컨텐츠 구성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제공모듈에서 승객이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시간이 승객의 상기 열차 탑승 시간보다 길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도중에, 승객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잔여 재생시간과 승객의 하차 예정 시간을 특정 주기에 따라 복수 회수로 상기 재생장치를 통해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안내 메시지 제공 수단과,
    복수 회수의 안내 메시지 제공 시점 중 승객이 선택한 안내 메시지 제공 시점으로부터의 승객의 하차 예정 시간과 미디어 컨텐츠의 잔여 재생시간을 계산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완료 시각이 승객의 하차 시각과 일치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상향 조절하는 속성 재생 수단
    으로 이루어진 컨텐츠 재생시간 조절부를 구비한 미디어 컨텐츠 구성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바코드 리더기 및 카드 리더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판독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바코드 형태로 상기 승차권에 승객 인증정보를 제공하거나 승객에게 추가로 제공되는 승객 카드의 마그네틱 바에 승객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인증정보 제공부와,
    상기 승객 인증정보를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하여 승객 인증을 하였을 때 상기 재생장치의 재생 기능을 활성 처리하는 승객 인증부를 구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제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가 설치된 좌석에는 중량 감지 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좌석에서의 중량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중량 감지 센서에서 착석 정보와 착석 부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중량 감지 센서에서 착석 부재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재생장치에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고, 상기 착석 부재 정보 전송 이후 상기 중량 감지 센서에서 착석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일시 정지 상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 처리하는 재생 정지 제어부를 구비한 미디어 컨텐츠 재생 제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는 카메라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재생장치의 카메라를 통하여 열차 내 다른 승객과의 영상 채팅 기능을 제공하는 커뮤니티 제공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제공모듈은,
    상기 승차권 발행모듈과 연동되어 승객의 열차 탑승 빈도수, 열차 행선지, 열차 탑승 시간대를 수록한 승객 탑승 정보를 생성하는 승객 기록 확인부와,
    열차 내 다른 승객의 승객 탑승 정보에 대한 상호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승객 탑승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승객을 검색하는 승객 매칭부 및,
    상기 승객 매칭부에서 검색된 승객의 승인에 의해 상기 검색된 승객과 영상 채팅 기능을 실행하는 승객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21123A 2012-02-29 2012-02-29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190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23A KR101190543B1 (ko) 2012-02-29 2012-02-29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23A KR101190543B1 (ko) 2012-02-29 2012-02-29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679A Division KR20130099784A (ko) 2012-07-11 2012-07-11 지역 상품 구매 기능을 포함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543B1 true KR101190543B1 (ko) 2012-10-18

Family

ID=4728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123A KR101190543B1 (ko) 2012-02-29 2012-02-29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54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757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 예측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535204B1 (ko) * 2013-03-26 2015-07-10 주식회사 크리소스 열차 내의 정보 제공 시스템
WO2017095852A1 (en) * 2015-11-30 2017-06-08 Faraday & Future Inc. Infotainment based on vehicle navigation data
WO2022074558A1 (en) * 2020-10-05 2022-04-14 Aviation Nutrition Network Investment Holding LTD System and method for passenger ordering system integrated with third party vendors
CN114598686A (zh) * 2022-03-04 2022-06-07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5g网络的轨道交通车辆影视系统及车辆
KR20230054619A (ko) * 2020-06-08 2023-04-25 이지현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651503B1 (ko) 2023-01-19 2024-03-27 쿠팡 주식회사 콘텐츠 다운로드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1455A (ja) 2001-09-20 2003-04-04 Hitachi Ltd 鉄道利用者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6323667A (ja) * 2005-05-19 2006-11-30 Hitachi Ltd 列車内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電子チケット及び発券装置
KR100819483B1 (ko) * 2006-06-13 2008-04-08 (주) 쎔스 열차 영상 제공시스템
JP2010253979A (ja) 2009-04-21 2010-11-11 Hitachi Ltd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の列車側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の列車側装置、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の地上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1455A (ja) 2001-09-20 2003-04-04 Hitachi Ltd 鉄道利用者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6323667A (ja) * 2005-05-19 2006-11-30 Hitachi Ltd 列車内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電子チケット及び発券装置
KR100819483B1 (ko) * 2006-06-13 2008-04-08 (주) 쎔스 열차 영상 제공시스템
JP2010253979A (ja) 2009-04-21 2010-11-11 Hitachi Ltd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の列車側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の列車側装置、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の地上側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04B1 (ko) * 2013-03-26 2015-07-10 주식회사 크리소스 열차 내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78757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 예측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85839B1 (ko) * 2013-12-31 2020-03-06 주식회사 케이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 예측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WO2017095852A1 (en) * 2015-11-30 2017-06-08 Faraday & Future Inc. Infotainment based on vehicle navigation data
US11023515B2 (en) 2015-11-30 2021-06-01 Faraday & Future Inc. Infotainment based on vehicle navigation data
KR20230054619A (ko) * 2020-06-08 2023-04-25 이지현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593834B1 (ko) * 2020-06-08 2023-10-24 이지현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WO2022074558A1 (en) * 2020-10-05 2022-04-14 Aviation Nutrition Network Investment Holding LTD System and method for passenger ordering system integrated with third party vendors
CN114598686A (zh) * 2022-03-04 2022-06-07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5g网络的轨道交通车辆影视系统及车辆
CN114598686B (zh) * 2022-03-04 2024-05-17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5g网络的轨道交通车辆影视系统及车辆
KR102651503B1 (ko) 2023-01-19 2024-03-27 쿠팡 주식회사 콘텐츠 다운로드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543B1 (ko)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US20220036405A1 (en)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entertainment content
EP3712832A1 (en)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entertainment content
US9245303B2 (en) On-board vessel entertainment system
JP6762060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00167699A1 (en) Event management and coordination platform
CN103270768B (zh) 用于基于社交网络共享tv广播内容的方法和服务器,以及用于接收基于社交网络共享tv广播内容的服务的方法和装置
CN110969279A (zh) 机会偏好收集与应用
US201601892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US201202903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related incentives
AU2012216415A1 (en) Personalized travel experience with social media integration
US117483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argeted media content
US9213949B1 (en) Technologies for live entertaining and entertainment trending
US9659102B1 (en) Event application
KR20200073420A (ko) 차량의 음성 인식 기능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7086319B1 (ja) クーポン配布装置、クーポン配布システムおよびクーポン配布方法
KR20130099784A (ko) 지역 상품 구매 기능을 포함하는 열차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070088878A (ko) 정보 교류 기능을 가진 단말기, 이를 이용한 정보 교류서버시스템 및 방법
JP2012249764A (ja) 映画館で鑑賞した映画を再視聴させる映画再視聴提供システム及び映画再視聴サービス提供方法
WO2014148229A1 (ja) 番組再生装置
CN113450177A (zh) 信息提供系统、装置及其控制方法、服务器、记录介质
US9020937B2 (en) Personal greeting/information/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201900209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atial content creation/management and music sharing on a social platform
JP2023137848A (ja) ルートコンテンツ配信装置、ルート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ルート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KR20070093686A (ko) 정보 교류 기능을 가진 단말기, 이를 이용한 정보 교류서버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