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700B1 -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700B1
KR101189700B1 KR1020120062448A KR20120062448A KR101189700B1 KR 101189700 B1 KR101189700 B1 KR 101189700B1 KR 1020120062448 A KR1020120062448 A KR 1020120062448A KR 20120062448 A KR20120062448 A KR 20120062448A KR 101189700 B1 KR101189700 B1 KR 101189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unit
unit structure
shap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섭
Original Assignee
한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단한 치수입력으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방법 및 그 설계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방법은,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에서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 중 설계하고자 하는 단위구조물이 선택되는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을 제공하는 기본형상 제공단계; 상기 제공된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에서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 대한 치수를 입력하기 위한 치수입력용 블랭크(blank)를 제공하는 블랭크 제공단계; 상기 치수입력용 블랭크를 통해 치수를 입력받는 치수입력단계; 상기 입력받은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의 치수에 따라 상기 단위구조물의 형상, 개수, 사이즈, 배치를 조정하는 조정단계; 및 상기 조정이 완료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제공하는 최종형상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BELT CONVEYOR STRUCTURE,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단한 치수 입력만으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자동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그리고 그 설계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은 제품의 생산, 운반, 조립 등의 많은 라인에서 각종 부품을 운반하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은 세부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미세한 부분까지 정확하게 설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종래에는 도면설계자가 수작업으로 설계도면을 작성함으로써 설계도면을 완성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고 설계도면에서 작은 실수라도 발생하는 경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구동시 심각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형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설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대형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경우 규모가 크기 때문에 치수에 맞게 대형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작성하기는 여전히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벨트컨베이어의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을 모두 결합한 상태에서 설계하기 때문에 설계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상에서 각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에서 간단한 치수입력을 통해 원하는 형상의 단위구조물을 자동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별로 설계를 수행하고, 설계가 완성된 다수의 단위구조물을 서로 결합하여 완성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벨트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방법을 수행하는 설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방법은,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에서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 중 설계하고자 하는 단위구조물이 선택되는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을 제공하는 기본형상 제공단계; 상기 제공된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에서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 대한 치수를 입력하기 위한 치수입력용 블랭크(blank)를 제공하는 블랭크 제공단계; 상기 치수입력용 블랭크를 통해 치수를 입력받는 치수입력단계; 상기 입력받은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의 치수에 따라 상기 단위구조물의 형상, 개수, 사이즈, 배치를 조정하는 조정단계; 상기 조정이 완료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제공하는 최종형상 제공단계; 상기 제공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과 기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과의 결합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결합조건에 따라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서의 결합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이 완료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형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이때, 상기 기본형상 제공단계는, 다수의 단위구조물의 종류가 저장된 단위구조물종류DB에서 상기 선택된 단위구조물의 종류를 검색하는 단계; 다수의 단위구조물의 형상이 저장된 단위구조물형상DB에서 상기 검색된 단위구조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형상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형상을 상기 선택된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본형상 제공단계는 상기 단위구조물의 정면, 우측면, 좌측면, 배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세부형상을 제공하고, 상기 블랭크 제공단계는 상기 단위구조물의 세부형상마다 치수입력용 블랭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방법은, 상기 블랭크 제공단계의 이후에, 상기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에 대한 변형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변형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을 변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단계는, 상기 단위구조물에서 점, 선분, 원호의 작성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작성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위구조물에 점, 선분, 원호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방법을 수행하는 설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장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에서 설계하고자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를 위한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설계하고자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에 대한 종류 및 형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부;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에 따른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프로그램 실행명령에 따라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 실행부를 제어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 설계 프로그램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으로 표시부에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에서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 대한 치수를 입력하기 위한 치수입력용 블랭크(blank)를 제공하고, 상기 치수입력용 블랭크를 통해 입력된 치수에 따라 상기 단위구조물의 형상, 개수, 사이즈, 배치를 조정하여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이 제공된 이후에, 상기 제공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과 기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과의 결합조건을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된 결합조건에 따라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서의 결합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결합시켜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형상을 상기 표시부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DB;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DB; 상기 다수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종류를 저장하는 벨트컨베이어구조물종류DB; 상기 다수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형상을 저장하는 벨트컨베이어구조물형상DB; 상기 다수의 단위구조물의 종류를 저장하는 단위구조물종류DB; 및 상기 다수의 단위구조물의 형상을 저장하는 단위구조물형상DB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단한 치수입력만으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자동으로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 도중에 즉석에서 오류체크 및 이에 대한 수정이 가능하고, 설계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설계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구조물의 일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구조물의 완성된 설계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 프로그램은 입력부(110), 데이터베이스(database:DB)(120), 프로그램 실행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에 의해 구동된다.
입력부(110)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를 위한 각종 데이터나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10)는 키버튼, 터치패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를 위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 실행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및 단위구조물의 치수 등을 입력하거나 각종 항목의 선택, 데이터의 추가, 이동, 삭제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시 해당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 중 설계하고자 하는 단위구조물을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은 예컨대, 공지의 캐드(CAD)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특정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를 위하여 별도로 제작된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0)는 설계하고자 하는 다수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및 이들 각각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에 대한 종류 및 형상을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20)는 도 2에 그 구성이 나타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120)는 프로그램DB(121), 데이터DB(122), 벨트컨베이어구조물종류DB(123), 벨트컨베이어구조물형상DB(124), 단위구조물종류DB(125), 단위구조물형상DB(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그램DB(121)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데이터DB(122)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벨트컨베이어구조물종류DB(123) 및 벨트컨베이어구조물형상DB(124)는 설계하고자 하는 다수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종류 및 형상을 각각 저장한다. 또한, 단위구조물종류DB(125) 및 단위구조물형상DB(126)는 다수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단수의 단위구조물의 종류 및 형상을 각각 저장한다.
프로그램 실행부(130)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특히, 이러한 프로그램 실행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실행명령에 따라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각종 데이터 및 명령에 따라 해당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140)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에 따른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C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한 입력부(110)와 표시부(140)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패드의 경우 화면을 터치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그 화면에 각종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프로그램 실행명령에 따라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 실행부(130)를 제어하고, 특히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예:치수, 결합조건, 변형 등)에 따라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및 단위구조물에 대한 조정, 표시, 변형, 결합 등을 수행한다. 이로써,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및 단위구조물에 대한 설계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방법은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 상에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프로그램 실행명령에 따라 제어부(150)에서 프로그램 실행부(130)를 제어하여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한다(S101). 이러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입력부(110)를 통해 설계하고자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이 선택된다(S103). 이후, 해당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 중 설계하고자 하는 단위구조물이 선택된다(S105).
상기한 선택과정(S105)에 의해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이 표시부(140)에 제공된다(S107). 이때,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 제공단계(S107)에서는 다수의 단위구조물의 종류가 저장된 단위구조물종류DB(125)에서 상기 선택된 단위구조물의 종류를 검색하고, 다수의 단위구조물의 형상이 저장된 단위구조물형상DB(126)에서 상기 검색된 단위구조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형상을 검색한 후, 그 검색된 형상을 상기 선택된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으로 표시부(140)에 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과 함께 해당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 대한 치수를 입력하기 위한 치수입력용 블랭크(blank)가 제공된다(S109). 이러한 치수입력용 블랭크는 해당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단위구조물의 형상, 사이즈, 개수, 위치 등을 설정하기 위한 치수가 입력되는 입력창이다. 이때, 해당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 제공단계는 그 단위구조물의 정면, 우측면, 좌측면, 배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세부형상을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각 단위구조물의 세부형상마다 치수입력용 블랭크를 표시부(14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어서, 치수입력용 블랭크를 통해 치수를 입력받는다(S111).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블랭크 제공단계(S109)의 이후에, 해당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에 대한 변형요청을 입력받으면 그 해당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을 변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단위구조물의 형상을 임의로 변경하거나, 해당 단위구조물에서 특별히 어느 부분을 수정할 때 적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 대한 치수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치수에 따라 해당 단위구조물의 형상, 개수, 사이즈, 배치 등을 조정한다(S113). 이로써, 조정이 완료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제공하게 된다(S115). 여기서, 상기 조정단계(S113)는 해당 단위구조물에서 점, 선분, 원호의 작성요청을 입력받고, 그 입력된 작성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단위구조물에 점, 선분, 원호를 작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 선분, 원호의 작성은 표시부(140)에 제공된 단위구조물의 형상에서 작업자가 추가로 설계하고자 할 때 각종 도면을 직접 작성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에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제공한 이후에 다른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서로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먼저, 상기한 S115 단계에서 제공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과 기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조건을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는다(S201). 이러한 결합조건은 예컨대, 제1 단위구조물과 제2 단위구조물을 어떻게 결합시킬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이다. 이들 제1 및 제2 단위구조물은 설계하고자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단위구조물로서, 각 단위구조물을 서로 적절히 결합함으로써 해당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최종적으로 설계하도록 한다. 이어, 입력된 결합조건에 따라 제어부(150)에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다른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서의 결합위치에 위치시킨다(S203). 이후, 그 결합위치에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결합시켜(S205), 그 결합이 완료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형상을 표시부(140)에 제공한다(S207).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구조물의 일 예시도이다.
도 5에서는 일례로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 중 거더(girder)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설계하고자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중 거더의 단위구조물을 선택하면 도 5와 같이 거더의 기본형상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거더의 상면(51), 정면(52), 하면(53)이 제공된다. 물론, 다른 실시 예에서 배면, 좌측면, 우측면도도 함께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거더의 기본형상에서는 치수입력용 블랭크(54)가 제공된다. 작업자는 해당 치수입력용 블랭크(54)에 거더의 최종형상에 따른 치수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치수입력용 블랭크(54)에 치수가 입력되면 도 6과 같이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구조물에 대한 설계도면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도 5에 도시된 거더의 상면(51), 정면(52) 및 하면(53)별로 단위구조물의 설계도면이 완성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단위구조물의 설계도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에 대해 치수입력용 블랭크(54)에 설계하고자 하는 최종형상에 따른 치수를 입력함으로써 그 입력된 치수에 맞게 자동으로 완성된 설계도면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은 많은 산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대형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은 미세부분까지 정확히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대형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별로 간단한 치수입력을 통해 정확하고 빠르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설계시간을 단축하고 설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분야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10 : 입력부 120 : 데이터베이스
130 : 프로그램 실행부 140 : 표시부
150 : 제어부

Claims (10)

  1.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에서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 중 설계하고자 하는 단위구조물이 선택되는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을 제공하는 기본형상 제공단계;
    상기 제공된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에서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 대한 치수를 입력하기 위한 치수입력용 블랭크(blank)를 제공하는 블랭크 제공단계;
    상기 치수입력용 블랭크를 통해 치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치수에 따라 상기 단위구조물의 형상, 개수, 사이즈, 배치를 조정하는 조정단계;
    상기 조정이 완료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제공하는 최종형상 제공단계;
    상기 제공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과 기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과의 결합조건을 입력받는 입력단계; 및
    상기 입력된 결합조건에 따라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서의 결합위치에 위치시키는 위치단계; 및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결합시켜 상기 결합이 완료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형상을 제공하는 구조물 제공단계; 를 포함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형상 제공단계는,
    다수의 단위구조물의 종류가 저장된 단위구조물종류DB에서 상기 선택된 단위구조물의 종류를 검색하는 단계;
    다수의 단위구조물의 형상이 저장된 단위구조물형상DB에서 상기 검색된 단위구조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형상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형상을 상기 선택된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형상 제공단계는 상기 단위구조물의 정면, 우측면, 좌측면, 배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세부형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랭크 제공단계는 상기 단위구조물의 세부형상마다 치수입력용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제공단계의 이후에,
    상기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에 대한 변형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변형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을 변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단계는,
    상기 단위구조물에서 점, 선분, 원호의 작성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작성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단위구조물에 점, 선분, 원호를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방법.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방법을 수행하는 설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8.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에서 설계하고자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를 위한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설계하고자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구조물에 대한 종류 및 형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부;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에 따른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실행된 벨트컨베이어 설계 프로그램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위구조물의 기본형상 및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에 대한 치수입력용 블랭크(blank)를 제공하고 상기 치수입력용 블랭크를 통해 입력된 치수에 따라 상기 단위구조물의 형상, 개수, 사이즈, 배치를 조정하여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공된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과 기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과의 결합조건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결합조건에 따라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의 결합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단위구조물의 최종형상을 결합시켜 완성한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형상을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DB;
    상기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DB;
    상기 다수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종류를 저장하는 벨트컨베이어구조물종류DB;
    상기 다수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형상을 저장하는 벨트컨베이어구조물형상DB;
    상기 다수의 단위구조물의 종류를 저장하는 단위구조물종류DB; 및
    상기 다수의 단위구조물의 형상을 저장하는 단위구조물형상D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구조물 설계장치.
  10. 삭제
KR1020120062448A 2012-06-12 2012-06-12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18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448A KR101189700B1 (ko) 2012-06-12 2012-06-12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448A KR101189700B1 (ko) 2012-06-12 2012-06-12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700B1 true KR101189700B1 (ko) 2012-10-11

Family

ID=4728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448A KR101189700B1 (ko) 2012-06-12 2012-06-12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247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휴엔시스템 섹션을 기반으로 한 구조물 모델링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830A (ja) * 2004-03-30 2005-10-13 Toshiba Elevator Co Ltd 建築検討システム
KR100535314B1 (ko) * 2003-04-22 2005-12-08 오용준 건축 철골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제작도면의 자동 생성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314B1 (ko) * 2003-04-22 2005-12-08 오용준 건축 철골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제작도면의 자동 생성방법 및 시스템
JP2005284830A (ja) * 2004-03-30 2005-10-13 Toshiba Elevator Co Ltd 建築検討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247A (ko)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휴엔시스템 섹션을 기반으로 한 구조물 모델링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11274B1 (ko) * 2015-03-18 2017-03-13 주식회사 휴엔시스템 섹션을 기반으로 한 구조물 모델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4630B2 (ja) スケジュール作成支援装置および方法
EP3178618A1 (en) Offline teaching device
CN104636025B (zh) 一种参数输入方法及系统
US10534347B2 (en) Control device for machine tool
JP2014194656A (ja) 溶接線情報設定装置、プログラム、自動教示システム、および溶接線情報設定方法
US10994359B2 (en) Setting assistance device, setting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KR20120085420A (ko)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공 형상 입력 장치 및 방법
US9235912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mage display control program
US94548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prscribe an area in an image
US20170160716A1 (en) Numerical controller
KR101189700B1 (ko) 벨트컨베이어 구조물의 설계장치 및 설계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US7439990B2 (en) Surface select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230061878A (ko) 자동 용접 장치
US9372563B2 (en) Editing on a touchscreen
US20210141513A1 (en) Program development support device, program development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6022394B2 (ja) 作業経路情報設定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作業経路情報設定方法
JP6510949B2 (ja) スケジュール修正支援装置および方法
JP2009301410A (ja) 設計支援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709584B2 (en) User interface development assistance device, user interface development assist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8023108A (ja) 電子棚札
JP5781251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用画面データ編集装置
KR102207536B1 (ko)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 및 이를 활용한 방법
US119666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resume
JP2010181937A (ja) 設計支援システム及び設計支援方法
JP202216517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プログラム生成方法、物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