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094B1 -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094B1
KR101189094B1 KR1020120065661A KR20120065661A KR101189094B1 KR 101189094 B1 KR101189094 B1 KR 101189094B1 KR 1020120065661 A KR1020120065661 A KR 1020120065661A KR 20120065661 A KR20120065661 A KR 20120065661A KR 101189094 B1 KR101189094 B1 KR 10118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manhole
entry
sew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곤
신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to KR102012006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맨홀에 설치되어 오수관의 협작물를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맨홀의 하부에 설치되는 오수관과, 오수관의 일단에 설치되는 유입프레임과, 양단이 오픈된 육면체 상자 형상으로 하면이 나머지 3면(상면, 양측면)보다 일단의 길이가 작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타단에 설치되어 본체의 타단을 막는 것으로 일단이 본체의 하면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출입판과,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본체의 일단을 막는 것으로 일단이 본체의 하면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출입하판과 양측면이 본체의 양측면 일단 상부에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되 일단이 제2출입하판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제2출입상판으로 구성되는 제2출입판과, 일단이 맨홀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맨홀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일단이 본체의 양측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본체가 가이드레일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있는 가이드부재 및 본체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인양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인양줄로 구성되되, 본체가 자중에 의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맨홀 하부로 내려갈때 유입프레임에 의해서 제2출입하판과 제2출입상판이 떨어지면서 제2출입하판은 본체 내부로 회전해서 들어가고, 제2출입상판은 본체 위로 슬라이딩되어 올라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 A collection device for a waste of a soil pipe }
본 발명은 맨홀에 연결된 오수관에 설치되어 오수관을 통해 이동된 협작물를 포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을 통해 유출되는 협잡물 오염물은 가정에서부터 유입되는 생활하수에 포함되는 음식찌꺼기와 물에 분해되지 않는 기타의 고형물질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오염원은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수시로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 혹은 계절 간 배출량의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정량화하기 어려우기 때문에 지형 등에 영향을 받게 된다.
소규모 하수용 맨홀펌프장에서는 자연 유하에 의한 하수의 유입량이 최대가 되도록 맨홀 하부 가까이에 유입관로를 설치하여야 하나 하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의 제거가 곤란하여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맨홀 상부에 유입관로와 협작물을 제거하기 위한 포집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면 맨홀에 집수되는 오수량이 많지 않다. 따라서 설계상 일정지역에 일정하수가 유입되는 유입량이 정해져 있는데 상기와 같은 이유로 설계된 집수량을 맞추기 위해서는 그 만큼 맨홀을 많이 시공해야 함으로 공사비가 많이 들고, 많은 수의 맨홀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모되고 있다.
또한 맨홀 상부에 포집장치가 오랜기간 방치되는 경우 부피가 너무 커지고 단단해져 지상으로 들어올리기가 쉽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에서 협작물을 포집할 수 있는 장치를 맨홀 하부에 설치하여 맨홀의 용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하고, 협작물이 수중에 있도록 하여 협작물이 말라 버려 단단해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맨홀에 설치되어 오수관의 협작물를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맨홀의 하부에 설치되는 오수관과, 오수관의 일단에 설치되는 유입프레임과, 양단이 오픈된 육면체 상자 형상으로 하면이 나머지 3면(상면, 양측면)보다 일단의 길이가 작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타단에 설치되어 본체의 타단을 막는 것으로 일단이 본체의 하면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출입판과,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본체의 일단을 막는 것으로 일단이 본체의 하면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출입하판과 양측면이 본체의 양측면 일단 상부에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되 일단이 제2출입하판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제2출입상판으로 구성되는 제2출입판과, 일단이 맨홀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맨홀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일단이 본체의 양측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본체가 가이드레일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있는 가이드부재 및 본체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인양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인양줄로 구성되되, 본체가 자중에 의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맨홀 하부로 내려갈때 유입프레임에 의해서 제2출입하판과 제2출입상판이 떨어지면서 제2출입하판은 본체 내부로 회전해서 들어가고, 제2출입상판은 본체 위로 슬라이딩되어 올라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수중착탈식 포집장치로 맨홀의 하부에 설치되어 맨홀의 용량을 늘리 수 있어 기존 공법대비 맨홀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시공비가 적게 들고 유지비가 적게 든다.
둘째, 본 발명은 수중에 설치된 포집장치로 포집된 협작물이 오랜기간 방치되도 딱딱하게 굳지 않아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1은 기존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가 맨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원발명의 협작물 포집장치가 맨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도2의 오수관과 포집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상세도이다.
도4는 도3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협작물 포집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기존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가 맨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원발명의 협작물 포집장치가 맨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은 도2의 오수관과 포집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상세도이다.
도4는 도3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원발명의 협작물 포집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은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맨홀에 설치되어 오수관의 협작물를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맨홀(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오수관(100)과, 오수관(100)의 일단에 설치되는 유입프레임(200)과, 양단이 오픈된 육면체 상자 형상으로 하면이 나머지 3면(상면, 양측면)보다 일단의 길이가 작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본체(300)와, 본체(300)의 타단에 설치되어 본체(300)의 타단을 막는 것으로 일단이 본체(300)의 하면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출입판(400)과, 본체(300)의 일단에 설치되어 본체(300)의 일단을 막는 것으로 일단이 본체(300)의 하면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출입하판(510)과 양측면이 본체(300)의 양측면 일단 상부에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되 일단이 제2출입하판(510)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제2출입상판(520)으로 구성되는 제2출입판(500)과, 일단이 맨홀(50)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맨홀(50)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체(300)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레일(600)과,일단이 본체(300)의 양측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본체(300)가 가이드레일(60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600)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이드홈(710)이 있는 가이드부재(700) 및 본체(300)를 가이드레일(600)을 따라 인양할 수 있도록 본체(3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인양줄(800)로 구성되되, 본체(300)가 자중에 의해서 가이드레일(600)을 따라 맨홀(50) 하부로 내려갈때 유입프레임(200)에 의해서 제2출입하판(510)과 제2출입상판(520)이 떨어지면서 제2출입하판(510)은 본체(300) 내부로 회전해서 들어가고, 제2출입상판(520)은 본체(300) 위로 슬라이딩되어 올라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맨홀(50)은 유입되는 협잡물의 제거가 곤란하여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맨홀(50) 상부에 유입관로와 협작물을 제거하기 위한 포집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면 맨홀(50)에 집수되는 오수량이 많지 않다. 따라서 설계상 일정지역에 일정하수가 유입되는 유입량이 정해져 있는데 상기와 같은 이유로 설계된 집수량을 맞추기 위해서는 그 만큼 맨홀(50)을 많이 시공해야 함으로 공사비가 많이 들고, 많은 수의 맨홀(50)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모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발명된 본원발명은 수중에 설치되어 들어오는 협작물을 포집할 수 있게 제작되어 맨홀(5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원발명에 의하여 집수량이 큰 맨홀(50)을 시공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의 포집장치(10)는 도2에 도신된 바와 같이, 수중에 설치될 수 있게 제작되어 맨홀(50) 하부에 설치된 오수 유입관에 설치됨으로 인해 많은 량의 오수를 저장할 수 있는 맨홀(50)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포집장치(10)가 수중에 있기 때문에 협작물들이 마르거나 하지 않아서 나중에 밖으로 배출하기가 용이하다.
오수관(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협작물이 오수와 함께 운반되는 관으로 맨홀(50) 하부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설치된다. 오수관(100)은 오수관(100)에 사용되는 통상의 관이 사용된다.
유입프레임(200)은 오수관(100) 일단에 설치되어 포집장치(10)에 협작물이 용이하게 들어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유입프레임(200)은 오수관(100) 일단에 설치되어 협작물이 포집장치(10)에 용이하게 들어가게 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상면이 하면보다 큰 상자 형상을 하고 있다.
오수관(100)의 협작물 포집장치(1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0), 제1출입판(400), 제2출입판(500), 가이드부재(70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300)는 양단이 오픈된 육면체 상자 형상으로 하면이 나머지 3면(상면, 양측면)보다 일단의 길이가 작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본체(300)는 양단이 오픈된 육면체 형상에서 하면의 일단이 일부 잘려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체(300)는 포집장치(10)의 외관을 이루는 부재이다. 본체(300)의 상면 타단에는 자석(900)이 설치되어 있어 제1출입판(400)의 타단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출입판(400)은 본체(300)의 타단에 설치되어 본체(300)의 타단을 막는 것으로 일단이 본체(300)의 하면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출입판(400)은 일단이 본체(300)의 하면 타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타단은 본체(300)의 상면 타단에 붙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다. 즉 제1출입판(400)은 타단과 본체(300)의 상면 타단이 붙었다 떨어졌다 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석(900)이 설치된다. 지상으로 올려진 포집장치(10)에서 제1출입판(400)을 오픈하는 방법으로 포집장치(10)에 포집된 협작물을 용이하게 밖으로 꺼낼 수 있다.
제2출입판(500)은 제2출입상판(520)과 제2출입하판(5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출입하판(510)은 본체(300)의 일단에 설치되어 본체(300)의 일단을 막는 것으로 일단이 본체(300)의 하면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출입하판(510)은 본체(300)가 뒤에서 설명하는 가이드레일(600)을 따라서 하강할 때 마치 유입프레임(200)이 제2출입하판(510)을 본체(300) 안쪽으로 미는 것 같은 작용을 하여 제2출입하판(510)의 타단이 본체(300) 내부로 들어가고, 본체(300)가 가이드레일(600)을 따라 상승할 때는 본체(300) 내부로 들어갔던 제2출입하판(510)의 타단이 밖으로 복원되어 나온다. 제2출입상판(520)은 양측면이 본체(300)의 양측면 일단 상부에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되 일단이 제2출입하판(510) 타단에 결합되어 있다. 제2출입상판(520)은 본체(300)가 뒤에서 설명하는 가이드레일(600)을 따라서 하강할 때 제2출입하판(510)을 치고 올라온 유입프레임(200)에 의해서 본체(300) 위로 미끄러지듯 올라가고, 본체(300)가 가이드레일(600)을 따라 상승할 때는 올라갔던 제2출입상판(520)이 미끄러지듯 자중에 의해서 내려오면서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 제2출입하판(510)과 결합된다. 제2출입상판(520)과 제2출입하판(510)의 결합은 자석(900)이 사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외부의 힘에 의해서 떨어졌다 붙었다 할 수 있는 결합이다. 즉, 제2출입상판(520)과 제2출입하판(510)의 결합은 제2출입상판(520) 일단과 제2출입하판(510) 타단에 설치된 자석(900)에 의하여 결합된다.
본원발명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0)가 자중에 의해서 가이드레일(600)을 따라 맨홀(50) 하부로 내려갈때 유입프레임(200)에 의해서 제2출입하판(510)과 제2출입상판(520)이 떨어지면서 제2출입하판(510)은 본체(300) 내부로 회전해서 들어가고, 제2출입상판(520)은 본체(300) 위로 슬라이딩되어 올라가도록 하여 생긴 공간에 유입프레임(200)의 일부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즉 본체(300)가 떨어지면서 유입프레임(200)을 통과할 때 유입프레임(200)이 제2출입하판(510)을 본체(300) 내부로 밀고 제2출입상판(520)을 위로 밀어 올려 유입프레임(200) 일부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유입프레임(200)이 들어가는 것이다.
포집장치(10)의 본체(300), 제1출입판(400), 제2출입판(500)는 오수관(100)의 협작물을 포집하고 오수를 흘려보낼 수 있으면 어떠한 재료나 형태가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철망이 사용된다.
가이드부재(700)는 일단이 본체(300)의 양측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본체(300)가 뒤에서 설명하는 가이드레일(60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600)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이드홈(710)이 있다. 가이드부재(700)는 본체(300)의 양측면 일측에 고정되는데 자세하게는 양측면에 하나씩 또는 두개씩 설치되어 본체(300)가 안전하고 용이하게 가이드레일(600)을 따라 움직이게 한다. 가이드부재(700)는 본체(300)가 가이드레일(600)을 따라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으나 간단하게 판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가이드홈(710)은 가이드레일(600)의 형상에 따라 홈이 변형될 수 있는데 가이드레일(600)이 하나의 둥근 봉 형태이면 가이드홈(710)은 반원 형상의 홈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레일(600)은 일단이 맨홀(50)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맨홀(50)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체(300)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이격거리는 본체(300)에 가이드부재(700)가 설치되는 공간만큼 이격된다. 또한 가이드레일(600)은 포집장치(10)가 자중에 의해서 맨홀(50) 하부로 떨어질 때 유입프레임(200)이 제2출입하판(510)을 안으로 밀고 제2출입상판(520)을 위로 올릴 수 있도록 맨홀(50)의 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맨홀(50) 벽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는 유입프레임(200)의 크기와 포집장치(10)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가이드레일(600)은 포집장치(10)가 맨홀(50) 상 하부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주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봉이 사용된다.
인양줄(800)은 본체(300)를 가이드레일(600)을 따라 인양할 수 있도록 본체(3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다. 인양줄(800)은 본체(300)를 들어 올릴 수 있으면 다양한 줄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포집장치
50 : 맨홀
100 : 오수관
200 : 유입프레임
300 : 본체
400 : 제1출입판
500 : 제2출입판
510 : 제2출입하판 520 : 제2출입상판
600 : 가이드레일
700 : 가이드부재 710 : 가이드홈
800 : 인양줄
900 : 자석

Claims (4)

  1. 맨홀에 설치되어 오수관의 협작물를 포집하는 장치에 있어서,
    맨홀(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오수관(100);
    상기 오수관(100)의 일단에 설치되는 유입프레임(200);
    양단이 오픈된 육면체 상자 형상으로 하면이 나머지 3면(상면, 양측면)보다 일단의 길이가 작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본체(300);
    상기 본체(30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300)의 타단을 막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본체(300)의 하면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출입판(400);
    상기 본체(30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300)의 일단을 막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본체(300)의 하면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출입하판(510)과 양측면이 상기 본체(300)의 양측면 일단 상부에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제2출입하판(510)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제2출입상판(520)으로 구성되는 제2출입판(500);
    일단이 맨홀(50)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맨홀(50)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300)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레일(600);
    일단이 상기 본체(300)의 양측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300)가 상기 가이드레일(60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600)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이드홈(710)이 있는 가이드부재(700); 및
    상기 본체(300)를 상기 가이드레일(600)을 따라 인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3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인양줄(800)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300)가 자중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레일(600)을 따라 상기 맨홀(50) 하부로 내려갈때 상기 유입프레임(200)에 의해서 상기 제2출입하판(510)과 상기 제2출입상판(520)이 떨어지면서 상기 제2출입하판(510)은 상기 본체(300) 내부로 회전해서 들어가고, 상기 제2출입상판(520)은 상기 본체(300) 위로 슬라이딩되어 올라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입상판(520)과 상기 제2출입하판(510)의 결합은 상기 제2출입상판(520) 일단과 상기 제2출입하판(510) 타단에 설치된 자석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입판(400)의 타단과 상기 본체(300)의 상면 타단이 자석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1출입판(400)의 타단이 상기 본체(300)의 상면 타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0), 상기 제1출입판(400), 상기 제2출입판(500)은 철망으로 되어 있는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KR1020120065661A 2012-06-19 2012-06-19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KR101189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661A KR101189094B1 (ko) 2012-06-19 2012-06-19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661A KR101189094B1 (ko) 2012-06-19 2012-06-19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094B1 true KR101189094B1 (ko) 2012-10-10

Family

ID=4728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661A KR101189094B1 (ko) 2012-06-19 2012-06-19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0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097B1 (ko) 2014-07-03 2014-11-19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소류사 포집장치
KR101876357B1 (ko) * 2018-03-19 2018-07-09 (주)태광수지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KR101876279B1 (ko) * 2017-12-20 2018-07-09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맨홀용 하수관로 협잡물 제거장치
KR101876365B1 (ko) * 2018-03-20 2018-07-09 (주)태광수지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292A (ja) 2001-02-20 2002-08-28 Sekisui Chem Co Ltd 空中下水配管の溜ます
JP2003253745A (ja) 2002-03-06 2003-09-10 Ito Tekko Kk 集水系統における流量調整装置
JP2012021386A (ja) 2010-07-16 2012-02-02 Ibaraki Public Corp 下水道マンホール用スクリー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292A (ja) 2001-02-20 2002-08-28 Sekisui Chem Co Ltd 空中下水配管の溜ます
JP2003253745A (ja) 2002-03-06 2003-09-10 Ito Tekko Kk 集水系統における流量調整装置
JP2012021386A (ja) 2010-07-16 2012-02-02 Ibaraki Public Corp 下水道マンホール用スクリー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097B1 (ko) 2014-07-03 2014-11-19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소류사 포집장치
KR101876279B1 (ko) * 2017-12-20 2018-07-09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맨홀용 하수관로 협잡물 제거장치
KR101876357B1 (ko) * 2018-03-19 2018-07-09 (주)태광수지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KR101876365B1 (ko) * 2018-03-20 2018-07-09 (주)태광수지 스크린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094B1 (ko) 오수관의 협작물 포집장치
KR101208359B1 (ko)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CN204079419U (zh) 一种井盖开启装置
US20140154006A1 (en) Retrofit Catch Basin for use in Storm Water Management Practice
KR101128069B1 (ko) 노면 우수배수용 친환경 구조물
CN207176873U (zh) 一种杂物拦截雨水检查井
KR101538322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용 제진기
KR101038806B1 (ko) 오수용 맨홀
KR101403502B1 (ko) 스크린 일체형 펌프 게이트 장치
KR101024536B1 (ko)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KR101902615B1 (ko) 하수관로의 협잡물처리 스크린장치
CN208963832U (zh) 一种侧挂垃圾桶垃圾站
CN107724429B (zh) 一种具有自动开关的窨井盖
CN216379874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结构
JP4315605B2 (ja) マンホール立て坑内設置の中間ステージ
KR100627572B1 (ko) 하수 맨홀 쓰레기 제거 장치
KR101067725B1 (ko) 환경친화형 리프트식 어도
CN104818763A (zh) 一种防堵型窨井盖组件
CN211523157U (zh) 一种河道生态保护环境修复装置
CN210887545U (zh) 一种泵站垃圾打捞的新型装置
CN211499024U (zh) 一种环保厕所雨水收集装置
CN203985596U (zh) 一种网箱养殖抽提污水转运水箱
CN113006251A (zh) 一种折叠抬升式且易清理的排水篦子
KR101007104B1 (ko) 무동력 하수관거 자동 세척장치
CN202969552U (zh) 一种雨水井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