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767B1 - 패키지 - Google Patents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767B1
KR101188767B1 KR1020100064779A KR20100064779A KR101188767B1 KR 101188767 B1 KR101188767 B1 KR 101188767B1 KR 1020100064779 A KR1020100064779 A KR 1020100064779A KR 20100064779 A KR20100064779 A KR 20100064779A KR 101188767 B1 KR101188767 B1 KR 101188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curved surface
package
bent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574A (ko
Inventor
타케노리 이토우
켄이치 후쿠다
키요시 코바야시
노부나리 우시오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6804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412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68047A external-priority patent/JP5041253B2/ja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시의 작업성이 우수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릴용 패키지는 측부(20)와 측부(30)를 구비한다. 측부(30)는 수지 성형체의 절곡 부위(51)를 통해 측부(20)의 단부로부터 기립되어 측부(20)와 함께 콘덴서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50)을 규정한다. 측부(20)에는 측부(20)의 표면(22a)으로부터 함몰되는 오목부(66)가 성형된다. 측부(30)에는 측부(30)의 표면(32a)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61)가 성형된다. 볼록부(61)는 수지 성형체를 절곡 부위(51)에 의해 절곡했을 때에 오목부(66)에 감합된다.

Description

패키지{PACKAG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성형 가공된 수지 성형체로 조립되고,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패키지 또는 수지로부터 성형되고, 전자 부품을 탑재한 테이프가 감기는 릴을 수용하기 위한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패키지에 관해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9-309522호 공보에는 조립이나 개방, 절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그 반복 내구성이 우수하며, 절첩된 상태가 콤팩트하고, 또한 그 상태의 유지를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행할 수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시트 성형체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트 성형체는 직사각형 바닥면부와, 그 각 변에 절곡선을 통해 연이어 설치된 측면부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부의 양측에 절곡선을 통해 연이어 설치된 연결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편에는 감합자부(嵌合雌部)가 형성되고, 측면부에는 감합자부에 감합되는 감합웅부(嵌合雄部)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5-187026호 공보에는 자원의 유효 이용에 의한 환경 부하의 경감을 꾀하고, 지분(紙粉)이 발생될 우려가 없는 릴 곤포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릴 곤포 시트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부재로 이루어진다. 릴 곤포 시트에는 그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겹쳐진 상태의 릴의 일부를 덮는 커버부와, 힌지부가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9-30952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5-187026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상품 배달용 상자로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성형체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시트 성형체를 조립하는 경우, 측면부를 절곡선에 의해 절곡함으로써 직사각형 바닥면부와, 그 네 모서리로부터 기립되는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상자 형상을 얻는다. 또한, 연결편을 절곡선에 의해 절곡하고, 감합자부와 감합웅부를 서로 감합시킴으로써 이웃하는 측면부끼리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시트 성형체에 있어서는 그 조립시에 측면부의 절곡 공정, 연결편의 절곡 공정 및 감합자부와 감합웅부의 감합 공정의 3단계의 작업이 필요로 된다. 이 때문에 조립시의 작업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전자 부품 등을 수용한 캐리어 테이프가 감긴 릴의 곤포에 수지제의 릴 곤포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릴 곤포 시트는 지분이 발생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클린룸화가 꾀해진 공장 내에 가지고 들어갈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이러한 릴 곤포 시트는 공장에 반입될 때의 수송시나 릴이 사용되는 실장 공정의 현장 등에 있어서 릴을 수용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안정적으로 탑재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릴 곤포 시트는 릴의 일부를 덮는 커버부가 릴의 형상에 입각한 만곡 형상을 갖기 때문에 릴을 곤포한 상태에서 원기둥 형상의 외관이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수송시나 실장 공정의 현장에서 릴 곤포 시트가 굴러 릴의 곤포가 풀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조립시의 작업성이 우수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는 성형 가공된 수지 성형체로 조립되고,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패키지이다. 패키지는 제 1 측부와, 제 2 측부를 구비한다. 제 2 측부는 수지 성형체의 절곡 부위를 통해 제 1 측부의 단부로부터 기립되어 제 1 측부와 함께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수용 공간을 규정한다. 제 1 측부에는 수용 공간측에 배치되는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오목부가 성형된다. 제 2 측부에는 수용 공간측에 배치되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가 성형된다. 볼록부는 수지 성형체를 절곡 부위에 의해 절곡했을 때에 오목부에 감합된다. 제 2 측부는, 제 1 측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기립되고 볼록부가 성형된 제 1 부분 및 제 1 측부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기립되고, 볼록부가 성형되는 제 2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수용 공간의 외측에서 볼때, 볼록부는 제 2 측부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제 1 측부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만곡면을 포함하고, 제 1 만곡면에 의해 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및 제 1 만곡면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절곡 부위를 향해 평면상으로 연장되는 제 1 평면부를 가진다. 제 2 측부는, 수지 성형체를 절곡한 상태에서 제 1 만곡면의 연장 상에 배치되는 제 2 만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만곡면에 의해 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 및 제 2 만곡면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절곡 부위를 향해 평면상으로 연장되고, 수지 성형체를 절곡한 상태에서 제 1 평면부와 겹쳐지는 제 2 평면부를 가진다. 오목부 및 볼록부는 각각 제 1 평면부 및 제 2 평면부에 성형된다. 볼록부 및 제 2 평면부의 경계를 따라 선상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렇게 구성된 패키지에 의하면 수지 성형체를 절곡 부위에 의해 절곡함으로써 제 2 측부가 제 1 측부의 단부로부터 기립되는 형상을 얻음과 동시에 볼록부를 오목부에 감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패키지의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측부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제 1 측부의 단부로부터 일으키도록 해서 패키지를 조립하는 공정을 상정한 경우에 조립 작업자의 손가락을 제 2 측부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볼록부에 배치하여 볼록부를 오목부에 감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패키지의 조립시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성형체를 절곡 부위에 의해 절곡함으로써 릴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만곡면 및 제 2 만곡면이 연결되어 있는 형상을 얻음과 동시에, 제 1 평면부와 제 2 평면부를 겹치면서 볼록부를 오목부에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오목부 및 볼록부는 절곡 부위에 이웃하여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패키지에 의하면 절곡 부위를 지점으로 해서 볼록부를 오목부에 용이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용 공간에는 전자 부품을 수납한 테이프가 감기는 릴이 배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패키지에 의하면 릴을 수용하기 위한 패키지를 조립할 때 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만곡면 및 제 2 만곡면에는 각각 제 1 만곡면 및 제 2 만곡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오목부는 제 1 측부의 표면에 개구면을 형성한다. 볼록부는 제 2 측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단에 돌출단을 갖는다. 오목부는 절곡 부위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이 개구면으로부터의 깊이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볼록부는 제 2 측부의 표면과 돌출단 사이의 위치에서 오목부의 개구폭보다 큰 폭을 갖는다. 볼록부는 그 위치로부터 돌출단을 향해 폭이 서서히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패키지에 의하면 볼록부가 오목부의 개구폭보다 큰 폭을 갖기 때문에 볼록부를 오목부에 의해 강고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부가 그 돌출단을 향해 폭이 서서히 감소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볼록부를 오목부에 원활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패키지의 조립시의 작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 1 측부와 제 2 측부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볼록부는 오목부보다 고강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패키지에 의하면 저강성의 오목부를 고강성의 볼록부에 의해 확장시키면서 볼록부를 오목부에 감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발명의 효과)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시의 작업성이 우수한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릴을 수용한 상태의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 중의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분해 조립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화살표(VI)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 중의 VII-VII선 상에 걸친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 중의 2점쇄선(VIII)에 의해 둘러싸인 범위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 중에 나타내는 릴용 패키지의 조립도이다.
도 10은 도 8 중의 X-X선 상에 걸친 수지 성형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 중의 XI-XI선 상에 걸친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 중의 릴용 패키지를 다른 자세로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 중에 나타내는 릴용 패키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 중의 2점쇄선(XIV)에 의해 둘러싸인 범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 중의 XV-XV선 상에 걸친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 중의 릴용 패키지의 리사이클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7은 도 16 중의 S30의 공정에서 얻어지는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 중의 S40의 공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에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가 붙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릴을 수용한 상태의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는 복수매의 릴(200)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이다.
릴(200)은 원반 형상을 갖는다. 릴(200)에는 테이프가 감겨 있고, 그 테이프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콘덴서가 수납되어 있다. 복수매의 릴(200)은 각 릴(200)의 축이 서로 일치하도록 겹쳐진 상태에서 릴용 패키지(10)에 수용된다.
릴용 패키지(10)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들면 릴용 패키지(10)는 콘덴서가 제조되는 공장과, 릴(200)의 납품처이며, 콘덴서가 사용되는 공장과의 사이를 오고 가는 배달용 상자로서 사용된다.
또한, 릴(200)에 수납되는 부품은 콘덴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덕터나 저항, 센서류 등의 전자 부품이어도 좋다.
[릴용 패키지(10)의 전체 구조]
우선, 릴용 패키지(10)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릴용 패키지(10)는 측부(20), 측부(30) 및 측부(4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측부(30) 및 측부(40)는 각각 측부(20)의 양단으로부터 기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부(30) 및 측부(40)는 각각 측부(20)의 양단으로부터 대략 90°의 각도로 기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부(30)와 측부(40)는 서로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측부(20)는 측부(30)의 일측단과 측부(40)의 일측단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부(20)와 측부(30)와 측부(40)로 둘러싸인 위치에는 릴(2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50)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50)을 사이에 두고 측부(2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수용 공간(50)으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56)는 측부(30)의 타측단과 측부(40)의 타측단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릴(200)은 개구부(56)를 통해 수용 공간(50)에 출입된다.
측부(20), 측부(30) 및 측부(40)는 각 측부의 구성 부위로서 각각 수용 공간(50)에 있어서 릴(2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 지지부(31) 및 지지부(41)를 갖는다.
지지부(21)는 만곡면(21a)을 갖는다. 만곡면(21a)은 소정 폭을 가지면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1) 및 지지부(41)는 각각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을 갖는다.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은 만곡면(21a)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은 만곡면(21a)의 연장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이 만곡면(21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연속해서 연결되어 있다. 만곡면(31a)과 만곡면(41a) 사이는 개구부(56)에 의해 분단되어 있다.
릴(200)은 만곡면(31a), 만곡면(21a) 및 만곡면(41a)에 의해 세방향으로부터 파지됨으로써 수용 공간(50) 내에서 지지되어 있다.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면(21a),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의 중심으로 중심축(101)이 연장된다고 상정한 경우에 중심축(101)과, 수용 공간(50) 내에 지지되는 릴(200)의 축이 겹쳐진다.
또한, 만곡면(21a)과,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 사이에 각각 간극이 형성되어도 좋고, 이 경우이어도 만곡면(21a)과,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에 의해 파지된 릴(200)을 수용 공간(50) 내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부(20), 측부(30) 및 측부(40)는 각 측부의 구성 부위로서 각각 가장자리부(26), 가장자리부(36) 및 가장자리부(46)를 더 갖는다.
가장자리부(26)는 만곡면(21a)의 축 방향{중심축(10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21)의 양단으로부터 연결되고, 만곡면(21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부(36)는 만곡면(31a)의 축 방향{중심축(10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31)의 양단으로부터 연결되고, 만곡면(31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부(46)는 만곡면(41a)의 축 방향{중심축(10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41)의 양단으로부터 연결되고, 만곡면(41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릴용 패키지(10)는 외부로부터 수용 공간(50)을 시인 가능한 정도의 투명한 수지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수용 공간(50)에 수용된 릴(200)의 매수 등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릴용 패키지(10)의 조립 구조]
도 1 중의 릴용 패키지(10)는 성형 가공된 수지 성형체로 조립되어 있다. 이어서, 릴용 패키지(10)의 조립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 중의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분해 조립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화살표(VI)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본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 중의 VII-VII선 상에 걸친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는 수지 성형체(15)로 조립되어 있다. 수지 성형체(15)를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측부(30), 측부(20) 및 측부(40)는 예시한 순서대로 일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수지 성형체(15)에 성형 가공되어 있다. 수지 성형체(15)는 측부(20, 30, 40)의 배열 방향과 길이 방향이 일치하고, 측부(20, 30, 40)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과 폭 방향이 일치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시를 갖는다.
수지 성형체(15)에는 측부(20)와 측부(30) 사이에 위치해서 절곡 부위(51)가 형성되어 있다. 수지 성형체(15)에는 측부(20)와 측부(40) 사이에 위치해서 절곡 부위(52)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 부위(51) 및 절곡 부위(52)는 수지 성형체(15)가 갖는 대략 직사각형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절곡 부위(51) 및 절곡 부위(52)는 그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절단된 경우에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지 성형체(15)는 절곡 부위(51) 및 절곡 부위(52) 각각에 있어서 절곡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곡 부위(51) 및 절곡 부위(52)의 형상은 수지 성형체(15)를 반복하여 절곡할 수 있게 하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측부(20), 측부(30) 및 측부(40)는 각 측부의 구성 부위로서 각각 평면부(32), 평면부(22) 및 평면부(42)를 더 갖는다.
수지 성형체(15)를 평면적으로 봐서 평면부(32)가 지지부(31)와 절곡 부위(51)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부(22)가 지지부(21)와 절곡 부위(5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평면부(22)가 지지부(21)와 절곡 부위(52)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부(42)가 지지부(41)와 절곡 부위(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도 7 중의 2점쇄선(VIII)에 의해 둘러싸인 범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 중에 나타내는 릴용 패키지의 조립도이다.
또한, 수지 성형체(15)는 측부(30), 측부(20) 및 측부(40)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이하, 대표적으로 도 6~도 9 중에 나타내는 측부(20) 및 측부(30)의 절곡 위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도 5 중에 나타내는 측부(20) 및 측부(40)의 절곡 위치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6~도 9를 참조하여 평면부(32)는 만곡면(31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3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절곡 부위(51)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32)는 지지부(31)의 단부와 절곡 부위(51) 사이에서 평면상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22)는 만곡면(21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2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절곡 부위(51)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22)는 지지부(21)의 단부와 절곡 부위(51) 사이에서 평면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32)와 평면부(22)는 절곡 부위(51)에 인접해서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32)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면(31a)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22)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면(21a)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릴용 패키지(10)를 전개한 상태(도 8 중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평면부(32)와 평면부(22)는 절곡 부위(51)에서 대략 90°의 각도로 교차되어 있다.
평면부(32)는 표면(32a)과, 표면(32a)의 반대측에 면하는 표면(32b)을 갖는다. 평면부(22)는 표면(22a)과, 표면(22a)의 반대측에 면하는 표면(22b)을 더 갖는다. 표면(32a) 및 표면(22a)은 릴용 패키지(10)를 조립한 상태(도 9 중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수용 공간(50)측에 배치된다. 표면(32b) 및 표면(22b)은 릴용 패키지(10)를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수용 공간(50)의 외측의 공간에 배치된다. 릴용 패키지(10)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표면(32a)과 표면(22a)은 서로 마주보게 되도록 배치된다.
수지 성형체(15)를 절곡 부위(51)에 의해 절곡함으로써 측부(20)의 단부로부터 측부(30)가 기립되는 릴용 패키지(10)의 형상이 얻어진다. 이 때, 평면부(32)와 평면부(22)가 서로 겹쳐짐과 아울러, 만곡면(31a)이 만곡면(21a)으로부터 연속해서 연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평면부(32)와 평면부(22)가 서로 겹쳐짐으로써 측부(20)와 측부(30)가 교차되는 각도가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에 있어서는 수지 성형체(15)에 볼록부(61)및 오목부(66)가 성형되어 있다. 볼록부(61)는 수용 공간(50)측에 배치되는 측부(30)의 표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면부(32)의 표면(32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6)는 수용 공간(50)측에 배치되는 측부(20)의 표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면부(22)의 표면(22a)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1) 및 오목부(66)는 각각 절곡 부위(51)에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61)와 오목부(66)는 절곡 부위(51)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일렬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1)와 오목부(66)는 절곡 부위(51)로부터의 거리가 거의 동일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세트의 볼록부(61) 및 오목부(66)가 절곡 부위(51)의 연신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지 성형체(15)에는 1세트의 볼록부(61) 및 오목부(66)가 성형되어도 좋고, 3 이상의 세트의 볼록부(61) 및 오목부(66)가 성형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지 성형체(15)를 절곡 부위(51)에 의해 절곡하고, 평면부(32)와 평면부(22)를 서로 겹치면 볼록부(61)가 오목부(66)에 자동적으로 감합된다. 마찬가지로 수지 성형체(15)를 도 5 중의 절곡 부위(52)에 의해 절곡하고, 평면부(42)와 평면부(22)를 서로 겹치면 평면부(42)에 성형된 볼록부(61)가 평면부(22)에 성형된 오목부(66)에 자동적으로 감합된다. 이것에 의해 측부(20)와, 측부(20)의 양단으로부터 기립되는 측부(30) 및 측부(40)가 고정되고, 수지 성형체(15)가 도 1 중의 릴용 패키지(10)에 조립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에 의하면 수지 성형체(15)를 절곡 부위(51) 및 절곡 부위(52)에 의해 절곡하는 1액션으로 릴용 패키지(1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부(30) 및 측부(40)에 성형된 볼록부(61)는 각각 수용 공간(50)의 외측의 공간에서 봐서 평면부(32) 및 평면부(42)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이 때문에 릴용 패키지(10)의 조립시, 작업자는 볼록부(61)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63)(도 8을 참조)에 손가락을 삽입하면서 화살표(10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20)의 양단으로부터 측부(30) 및 측부(40)를 들어올리도록 해서 수지 성형체(15)를 절곡 부위(51) 및 절곡 부위(52)에 의해 절곡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절곡 부위(51) 및 절곡 부위(52)를 지점으로 해서 볼록부(61)를 오목부(66)에 용이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61) 및 오목부(66)가 측부(20)와, 측부(30) 및 측부(40)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코너부는 원반 형상의 릴(200)을 수용함에 있어서 빈 스페이스가 되기 때문에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하여 측부(20)와 측부(30) 및 측부(40)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 중의 X-X선 상에 걸친 수지 성형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수지 성형체(15)에 성형되는 볼록부(61) 및 오목부(66)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오목부(66)는 평면부(22)의 표면(22a)에 개구면(67)을 형성한다. 볼록부(61)는 평면부(32)의 표면(32a)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단에 돌출단(62)을 갖는다. 오목부(66)는 절곡 부위(51)의 연신 방향{도 10 중의 화살표(102)로 나타내는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B1)이 개구면(67)으로부터의 깊이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1)는 평면부(32)의 표면(32a)과 돌출단(62) 사이의 위치에서 오목부(66)의 개구폭(B1)보다 큰 폭(B2)을 갖는다. 볼록부(61)는 그 폭(B2)을 갖는 위치로부터 돌출단(62)을 향해 폭이 서서히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테이퍼부(64)를 갖는다. 볼록부(61)는 돌출단(62)에 있어서 개구폭(B1)보다 작은 폭(B3)을 갖는다.
성형 가공된 수지 성형체(15)로 조립되는 릴용 패키지(10)에 있어서는 평면부(22)로부터 더 함몰된 성형된 오목부(66)는 그 두께가 얇게 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평면부(32)를 돌출시켜 성형된 볼록부(61)는 마찬가지로 두께가 얇게 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테이퍼부(64)의 경사가 개시되는 절곡된 부분(103)이 리브 형상이 되어 볼록부(61)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평면부(32)에는 도 5 및 도 8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61)의 강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홈(65)이 성형되어 있다. 홈(65)은 표면(32a)으로부터 함몰되고, 평면부(32)와 볼록부(61)의 경계를 따라 선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볼록부(61)는 오목부(66)보다 고강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는 두께가 얇은 오목부(66)를 고강성의 볼록부(61)에 의해 확대시키면서 볼록부(61)를 오목부(66)에 갑합한다. 그 결과, 오목부(66)에 대한 볼록부(61)의 압입 구조가 얻어져 측부(20)와 측부(30)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64)는 볼록부(61)를 오목부(66)에 감합할 때의 도입부가 되기 때문에 상기 압입 구조에 관계없이 볼록부(61)를 오목부(66)에 보다 원활하게 감합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61)를 오목부(66)에 강고하게 감합하는 구조로서 볼록부(61)를 돌출단(62)에 근접할수록 큰 폭을 갖는 형상으로 성형하거나 오목부(66)를 개구면(67)에 근접할수록 개구폭을 작게 해서 성형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역테이퍼 구조를 채용하면 수지 성형체(15)의 보관시나 반송시 등, 다수매의 수지 성형체(15)를 적층하는 경우에 볼록부(61)끼리 또는 오목부(66)끼리를 적층 방향의 상하에서 감합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61) 및 오목부(66)를 상기 압입 구조로 함으로써 보관시나 반송시에 있어서의 수지 성형체(15)의 스태킹(stacking)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가장자리부의 구조]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에 형성된 가장자리부(26, 36, 46)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도 3 중의 XI-XI선 상에 걸친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가장자리부(26)는 지지부(21)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고, 만곡면(21a)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장자리부(26)는 대략 180° 절곡되고, 만곡면(21a)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가장자리부(26)는 지지부(21)보다 만곡면(21a)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부(26)는 만곡면(21a)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선단에 선단부(27)를 갖는다. 지지부(2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선단부(27)는 도 1 중의 중심축(101)에 평행한 가상 상의 평면(73a)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21a)의 축 방향에서 본 경우에 선단부(27)는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가장자리부(26)는 지지부(21)보다 만곡면(21a)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플랜지부(105)와, 지지부(21)보다 만곡면(21a)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다리부(106)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05)는 수용 공간(50)에 배치된 릴(200)의 만곡면(21a)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규제한다. 다리부(106)는 릴용 패키지(10)를 지지하는 다리로서 사용된다.
도 12는 도 3 중의 릴용 패키지를 다른 자세로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가장자리부(36) 및 가장자리부(46)는 가장자리부(26)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선단부(27)에 대응하는 선단부(37) 및 선단부(47)를 각각 갖는다. 선단부(37)는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부(27)의 일측단에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다. 선단부(47)는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부(27)의 타측단에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다.
선단부(27)는 절곡 부위(51) 및 절곡 부위(52)와 함께, 평면(73a)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1)는 선단부(27)보다 만곡면(21a)의 반경 방향 내측에 깊숙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37)는 절곡 부위(51) 및 후술하는 절곡 부위(91)와 함께, 평면(73b)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1)는 선단부(37)보다 만곡면(31a)의 반경 방향 내측에 깊숙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47)는 절곡 부위(52) 및 후술하는 절곡 부위(91)와 함께, 평면(73c)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1)는 선단부(47)보다 만곡면(41a)의 반경 방향 내측에 깊숙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1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56)가 연직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릴용 패키지(10)를 탑재하는 경우, 가장자리부(26)가 지지부(21)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자리부(26)를 패키지 지지용 다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2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56)가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릴용 패키지(10)를 탑재하는 경우, 가장자리부(36)가 지지부(31)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자리부(36)를 패키지 지지용 다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2 중에 나타내는 자세와는 상하 반대로 릴용 패키지(10)를 탑재하는 경우, 가장자리부(46)가 지지부(41)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자리부(46)를 패키지 지지용 다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에 있어서는 패키지가 탑재되는 자세에 맞춰 가장자리부(26), 가장자리부(36) 또는 가장자리부(46)가 패키지 지지용의 다리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반송시에는 릴용 패키지(10)를 도 1 중의 형태로 별도의 상자에 수용하고, 콘덴서를 사용하는 공장에서는 릴용 패키지(10)를 도 12 중에 나타내는 형태로 선반에 설치하는 등, 릴용 패키지(10)를 탑재하는 자세가 바뀌는 경우가 있도 항상 안정적인 탑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릴(200)을 지지하는 지지부(21, 31, 41)는 선단부(27, 37, 47)보다 내측에 깊숙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부(21, 31, 41)와, 릴용 패키지(10)를 탑재하는 탑재면이 접촉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릴용 패키지(10)의 수송시에 발생되는 진동이 지지부(21)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릴(200)에 수납된 콘덴서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릴의 탈락 방지 구조]
이어서, 수용 공간(50)에 배치된 릴(20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릴(200)은 둘레 방향과 연결되어 연장되는 만곡면(31a), 만곡면(21a) 및 만곡면(41a)에 의해 세방향으로부터 파지 됨으로써 수용 공간(50) 내에서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만곡면(31a), 만곡면(21a) 및 만곡면(41a)이 개구부(56)에 의해 분단되는 각도(α)가 180°보다 작아지도록 지지부(21, 31, 41)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각도(α)는 160°<α<180°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지지부(31) 및 지지부(41)는 릴(200)의 인출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6)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도 4 및 도 7을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구부(56)의 개구폭이 릴(200)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용 공간(50) 내에 지지된 릴(200)이 개구부(56)를 통해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측부(20)와 측부(30) 및 측부(40)는 볼록부(61)와 오목부(66)의 감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릴용 패키지(10)는 개구부(56)의 개구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유연한 탄성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56)의 개구폭이 릴(200)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릴용 패키지(10)를 적절하게 휘게 함으로써 릴(200)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 중에 나타내는 릴용 패키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도 1 중에 나타내는 릴용 패키지(10)와 비교하여 측부(20)와, 측부(30) 및 측부(40)가 교차하는 각도를 결정하는 평면부(22), 평면부(32) 및 평면부(42)의 경사 각도가 다르다. 이것에 의해 측부(20)와 측부(30) 및 측부(40)가 각각 90°보다 작은 각도로 교차한다. 그 결과,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이 만곡면(21a)이 진원상으로 연장된 가상선(111)보다 내경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릴용 패키지(10)가 개구부(56)의 개구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다소 휘는 경우가 있어도 수용 공간(50)에 배치된 릴(200)의 외주면과,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릴(200)이 개구부(56)를 통해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 중의 수지 성형체(15)로 성형하는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이 가상선(111)보다 내경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얻어도 좋다.
[릴의 쓰러짐 방지 구조]
릴용 패키지(10)의 사용 형태의 일례로서 공장의 선반 등에 릴용 패키지(10)를 탑재하고, 그 릴용 패키지(10)로부터 1매씩 릴(200)을 인출하여 콘덴서를 사용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에 있어서는 이러한 사용 형태에 있어도 릴(200)이 수용 공간(50) 내에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4는 도 11 중의 2점쇄선(XIV)에 의해 둘러싸인 범위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에 있어서는 지지부(21, 31, 41)에 복수개의 홈(81)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홈(81)은 만곡면(21a, 31a, 41a)으로부터 함몰되고, 만곡면(21a, 31a, 41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복수개의 홈(81)은 만곡면(21a, 31a, 41a)의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복수개의 홈(81)은 만곡면(21a, 31a, 41a)의 전체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홈(81)은 만곡면(21a), 만곡면(31a) 및 만곡면(41a) 사이에서 연속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릴용 패키지(10)에 수용되는 릴(200)의 매수가 적어져도 릴(200)의 외측 가장자리가 홈(81)에 끼임으로써 릴(200)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릴용 패키지의 손잡이 구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에는 릴용 패키지(10)를 운반할 때에 작업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그 손잡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1 중의 XV-XV선 상에 걸친 릴용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5를 참조하여 릴용 패키지(10)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90)를 더 갖는다. 손잡이부(90)는 개구부(56)를 규정하는 지지부(31) 및 지지부(41)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90)에는 작업자의 손가락 끝을 삽입하기 위한 오목부(93)가 성형되어 있다. 오목부(93)는 개구부(56)를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90)와 지지부(31) 및 지지부(41) 사이에는 각각 절곡 부위(91)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 부위(91)는 이미 설명한 절곡 부위(51) 및 절곡 부위(52)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수지 성형체(15)는 절곡 부위(91)에 있어서 절곡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손잡이부(90)는 지지부(31) 및 지지부(41)의 단부에 대하여 절곡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90)에는 가압부(9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부(94)는 오목부(93)의 바닥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94)는 작업자가 손잡이부(90)를 파지하면서 개구부(56)를 향해 경사지게 했을 때에 릴(200)의 외주를 만곡면(21a, 31a, 41a)을 향해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손잡이부(90)를 파지하면서 릴용 패키지(10)를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상자에 채워진 복수개의 릴용 패키지(10)를 그 별도의 상자로부터 인출할 때에는 릴용 패키지(10)를 잡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손잡이부(90)가 보다 유효하게 이용된다.
또한, 손잡이부(90)는 지지부(31) 및 지지부(41)의 단부에 대하여 절곡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에 의한 릴용 패키지(10)의 잡는 법이나 운반시의 릴용 패키지(10)의 자세에 맞춰서 손잡이부(90)의 경사를 무리가 없는 각도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손잡이부(90)를 파지하면서 가압부(94)에 의해 릴(200)의 외주를 가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반시에 있어서의 릴(20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릴용 패키지의 리사이클 공정]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의 제조에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폐재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릴용 패키지(10)는 콘덴서 등의 전자 부품의 제조 공장과, 전자 부품이 사용되는 공장 사이를 오고 가는 배달용 상자로서 사용되고, 반복 사용된다. 이하, 릴용 패키지(10)에 적용되는 리사이클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도 1 중의 릴용 패키지의 리사이클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콘덴서 등의 전자 부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PET 필름이 폐재로서 발생되는 우선, 이 PET 필름을 회수하여 펠릿상으로 재단한다(S10, S20).
도 17은 도 16 중의 S30의 공정에서 얻어지는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이어서 재단한 PET 필름을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시트(130)를 형성한다(S30). 이 때, 릴용 패키지(10)의 대전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PET 필름층(131)의 표면을 덮도록 대전 방지층(132) 및 대전 방지층(133)을 형성한다. 대전 방지의 효과에 추가해서 이 대전 방지층(132, 133)을 형성함으로써 PET 필름층(131)에 부착된 불순물이 시트(130)의 표면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전 방지층은 도 1 중의 수용 공간(50)측에 배치되는 시트 표면에만 형성되어도 좋다.
도 18은 도 16 중의 S40의 공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8을 참조하여 이어서, S30의 공정에서 얻어진 시트(130)를 금형(135)에 설치하고, 시트(130)로부터 도 5 중의 수지 성형체(15)를 성형 가공한다(S40). 이 때, 도 18 중의 화살표(13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135)의 오목부(136)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진공 성형을 사용해도 좋고, 도 18 중의 화살표(13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36) 상에 배치된 시트(130)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우 성형을 사용해도 좋다.
도 16을 참조하여 이어서, 수지 성형체(15)로 도 1 중의 릴용 패키지(10)를 조립한다(S50). 이어서, 릴용 패키지(10)에 릴(200)을 수용한다. 복수개의 릴용 패키지(10)를 별도의 상자에 채우고, 콘덴서가 사용되는 공장을 향해 출하한다(S60).
이어서, 콘덴서가 사용되는 공장에 있어서 릴용 패키지(10)를 설치하고, 릴용 패키지(10)로부터 릴(200)을 1매씩 인출하여 콘덴서의 실장 공정에서 사용한다(S70). 그 후, 사용 후의 릴용 패키지(10)를 분해하여 재차 수지 성형체(15)의 상태로 리턴시킨다(S80). 이 수지 성형체(15)가 적층된 상태로 회수된다. 회수된 수지 성형체(15)가 S50의 패키지의 조립 공정으로 리턴됨으로써 수지 성형체(15)는 복수회 반복해서 사용된다.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의 구조에 대해서 통합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키지로서의 릴용 패키지(10)는 중앙부로서의 측부(20)와, 그 양측에 복수개의 측부로서의 측부(30) 및 측부(40)가 절곡할 수 있게 되는 절곡 부위(51, 52)를 통해 연이어 설치되고, 전자 부품으로서의 콘덴서를 수용하는 패키지이다. 절곡 부위(51, 52)로부터 측부(30, 40)를 절곡하여 중앙부(20)와 함께 콘덴서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50)을 규정한다. 절곡 부위(51, 52)에 면하는 측부(20)의 수용 공간(50)측에는 표면(22a)으로부터 함몰되는 오목부(66)가 형성된다. 절곡 부위(51, 52)에 면하는 측부(30, 40)의 수용 공간(50)측에는 표면(32a, 42a)으로부터 돌출되고, 측부(30, 40)를 절곡했을 때에 오목부(66)와 감합되도록 볼록부(61)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키지로서의 릴용 패키지(10)는 성형 가공된 수지 성형체(15)로 조립되고, 전자 부품으로서의 콘덴서를 수용하기 위한 패키지이다. 릴용 패키지(10)는 제 1 측부로서의 측부(20)와, 제 2 측부로서의 측부(30, 40)를 구비한다. 측부(30, 40)는 수지 성형체(15)의 절곡 부위(51, 52)를 통해 측부(20)의 단부로부터 기립되어 측부(20)와 함께 콘덴서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50)을 규정한다. 측부(20)에는 수용 공간(50)측에 배치되는 표면(22a)으로부터 함몰되는 오목부(66)가 성형된다. 측부(30, 40)에는 수용 공간(50)측에 배치되는 표면(32a, 42a)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61)가 성형된다. 볼록부(61)는 수지 성형체(15)를 절곡 부위(51, 52)에 의해 절곡했을 때에 오목부(66)에 감합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에 의하면 수지 성형체(15)를 절곡 부위(51, 52)에 의해 절곡함으로써 측부(30, 40)가 측부(20)의 단부로부터 기립되는 형상을 얻음과 동시에, 볼록부(61)를 오목부(66)에 감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릴용 패키지(10)의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패키지가 릴을 수용하기 위한 릴용 패키지(10)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패키지를 예를 들면, 전자 부품을 수납한 테이프를 일정 길이마다 되접어 꺾음으로써 다층으로 겹쳐진 꼬불꼬불한 테이프를 수용하는 케이스나 칩 부품을 벌크상으로 수용하는 케이스 등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키지로서의 릴용 패키지(10)는 수지로부터 성형되고, 전자 부품으로서의 콘덴서를 탑재한 테이프가 감긴 릴(200)을 수용하기 위한 패키지이다. 릴용 패키지(10)는 지지부(21, 31, 41)와, 가장자리부(26, 36, 46)를 구비한다. 지지부(21, 31, 41)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만곡면(21a, 31a, 41a)을 갖고, 만곡면(21a, 31a, 41a)에 의해 릴(200)을 지지한다. 가장자리부(26, 36, 46)는 만곡면(21a, 31a, 41a)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26, 36, 46)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결되어 있고, 만곡면(21a, 31a, 41a)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장자리부(26, 36, 46)는 지지부(21, 31, 41)보다 만곡면(21a, 31a, 41a)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릴용 패키지(10)에 의하면 릴(200)을 지지하는 지지부(21, 31, 41)보다 만곡면(21a, 31a, 41a)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장자리부(26, 36, 46)를 형성함으로써 가장자리부(26, 36, 46)를 패키지를 지지하는 다리로서 이용한다. 이것에 의해 릴용 패키지(10)를 안정적으로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릴(200)을 릴용 패키지(10)에 수용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형 가공된 수지 성형체(15)로 조립되는 릴용 패키지(10)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패키지를 용융된 수지 재료를 금형에 흘려 넣어 도 1 중의 릴용 패키지(10)의 형태를 얻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릴용 패키지의 구조를 적당히 조합하여 새로운 패키지를 구성해도 좋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여겨져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은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주로 콘덴서 등의 전자 부품을 공장에 납입할 때의 배달용 상자로서 이용된다.
10: 릴용 패키지 15: 수지 성형체
20, 30, 40: 측부 21, 31, 41: 지지부
21a, 31a, 41a: 만곡면 22, 32, 42: 평면부
22a, 22b, 32a, 32b, 42a: 표면 26, 36, 46: 가장자리부
27, 37, 47: 선단부 50: 수용 공간
51, 52, 91: 절곡 부위 56: 개구부
61: 볼록부 62: 돌출단
63, 66, 93: 오목부 64: 테이퍼부
65, 81: 홈 67: 개구면
73a, 73b, 73c: 평면 76: 돌출부
90: 손잡이부 94: 가압부
103: 절곡된 부분 105: 플랜지부
106: 다리부 130: 시트
131: PET 필름층 132, 133: 대전 방지층
135: 금형 136: 오목부
200: 릴

Claims (18)

  1. 삭제
  2. 성형 가공된 수지 성형체로 조립되고,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패키지로서:
    제 1 측부, 및
    상기 수지 성형체의 절곡 부위를 통해 상기 제 1 측부의 단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 1 측부와 함께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수용 공간을 규정하는 제 2 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측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측에 배치되는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오목부가 성형되고,
    상기 제 2 측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측에 배치되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수지 성형체를 상기 절곡 부위에 의해 절곡했을 때에 상기 오목부에 감합되는 볼록부가 성형되고,
    상기 제 2 측부는, 상기 제 1 측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기립되고 상기 볼록부가 성형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측부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기립되고 상기 볼록부가 성형되는 제 2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을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에서 볼때,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 2 측부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 측부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만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만곡면에 의해 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만곡면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절곡 부위를 향해 평면상으로 연장되는 제 1 평면부를 갖고;
    상기 제 2 측부는,
    상기 수지 성형체를 절곡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만곡면의 연장 상에 배치되는 제 2 만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만곡면에 의해 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2 만곡면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절곡 부위를 향해 평면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지 성형체를 절곡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평면부와 겹쳐지는 제 2 평면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각각 상기 제 1 평면부 및 상기 제 2 평면부에 성형되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제 2 평면부의 경계를 따라 선상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절곡 부위에 이웃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는 전자 부품을 수납한 테이프가 감기는 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만곡면 및 상기 제 2 만곡면에는 각각 상기 제 1 만곡면 및 상기 제 2 만곡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 1 측부의 표면에 개구면을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 2 측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단에 돌출단을 갖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절곡 부위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이 상기 개구면으로부터의 깊이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 2 측부의 표면과 상기 돌출단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오목부의 개구폭보다 큰 폭을 갖고,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단을 향해 폭이 서서히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보다 고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00064779A 2009-07-16 2010-07-06 패키지 KR101188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8046A JP5041252B2 (ja) 2009-07-16 2009-07-16 パッケージ
JPJP-P-2009-168047 2009-07-16
JP2009168047A JP5041253B2 (ja) 2009-07-16 2009-07-16 パッケージ
JPJP-P-2009-168046 2009-07-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001A Division KR101188763B1 (ko) 2009-07-16 2012-05-09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74A KR20110007574A (ko) 2011-01-24
KR101188767B1 true KR101188767B1 (ko) 2012-10-10

Family

ID=434826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779A KR101188767B1 (ko) 2009-07-16 2010-07-06 패키지
KR1020120049001A KR101188763B1 (ko) 2009-07-16 2012-05-09 패키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001A KR101188763B1 (ko) 2009-07-16 2012-05-09 패키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188767B1 (ko)
CN (2) CN102514820B (ko)
TW (1) TWI3993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49B1 (ko) * 2011-10-27 2013-09-06 안광남 부품 포장용 트레이장치
CN107097399A (zh) * 2017-03-13 2017-08-29 东莞市诚利鑫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载带全自动成型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4159U (ko) * 1986-12-09 1988-06-17
JP2005187026A (ja) * 2003-12-26 2005-07-14 Nippo Corp リール梱包シート
JP2008094473A (ja) * 2006-10-16 2008-04-24 Sekisui Plastics Co Ltd 梱包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4769U (ko) * 1976-02-04 1977-08-09
JPS618510U (ja) * 1984-06-23 1986-01-18 宗三郎 足立 容器と蓋体の閉蓋時における掛着部構造
JPH0216772U (ko) * 1988-07-20 1990-02-02
JPH0612374U (ja) * 1992-07-23 1994-02-15 千代田紙工業株式会社 包装用緩衝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4159U (ko) * 1986-12-09 1988-06-17
JP2005187026A (ja) * 2003-12-26 2005-07-14 Nippo Corp リール梱包シート
JP2008094473A (ja) * 2006-10-16 2008-04-24 Sekisui Plastics Co Ltd 梱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14820B (zh) 2014-10-01
CN101955016A (zh) 2011-01-26
CN102514820A (zh) 2012-06-27
KR20110007574A (ko) 2011-01-24
TW201116460A (en) 2011-05-16
CN101955016B (zh) 2012-05-30
KR101188763B1 (ko) 2012-10-10
KR20120069627A (ko) 2012-06-28
TWI399328B (zh)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767B1 (ko) 패키지
JP5041253B2 (ja) パッケージ
US20130062344A1 (en) Packaging box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308390B2 (en) Corrugated packaging box
US7981493B2 (en) Packing buffer member
JP5041252B2 (ja) パッケージ
JP2010228790A (ja) 湾曲した形状の長尺部品のための包装支持材とそれを用いた包装支持体および湾曲部品包装体
CN209956417U (zh) 一种电子产品包装盒
JP3089503U (ja) キャリアテープ梱包体
KR102521095B1 (ko) 손잡이 일체형 박스
CN211336798U (zh) 包装材及包装箱
JP3214042U (ja) コンデンサ用タブ端子の収納容器
JP4909692B2 (ja) 緩衝材シート及び容器入り箱体
JP5248295B2 (ja) ブリスターパック用カバー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ブリスターパック
JPS6344372Y2 (ko)
CN204110505U (zh) 树脂容器
JP3184008U (ja) 梱包材
JPH0542054Y2 (ko)
KR200483615Y1 (ko) 수납상자
KR102095661B1 (ko) 코어용 덮개재 및 필름 롤
TWI424946B (zh) 複合式緩衝包材
JP2002002700A (ja) コンテナ
JP2022045084A (ja) キャリアテープ用梱包箱、並びに、これを用いた梱包体及びキャリアテープの巻回体の梱包方法
KR200271059Y1 (ko) 행거 포장용 포장캡구조
JP3179773U (ja) 仕切板を備えた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