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281B1 -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 Google Patents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281B1
KR101188281B1 KR1020100035462A KR20100035462A KR101188281B1 KR 101188281 B1 KR101188281 B1 KR 101188281B1 KR 1020100035462 A KR1020100035462 A KR 1020100035462A KR 20100035462 A KR20100035462 A KR 20100035462A KR 101188281 B1 KR101188281 B1 KR 101188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welding
oscillator
eccentric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884A (ko
Inventor
박덕용
이철호
고재원
이경균
Original Assignee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28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16Seam profiling, e.g. weaving, multi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8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30Vibrating holders fo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작업 도중에 토치유닛을 위빙시킴으로써 용접비드의 폭을 넓게 하는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토치유닛이 설치된 선회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특정지점을 기준으로 선회플레이트를 선회 구동시키는 선회구동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OSCILLATOR FOR WELDING APPARTUS}
본 발명은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작업 도중에 토치유닛을 위빙시킴으로써 용접비드의 폭을 넓게 하는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용접장치라 함은 같은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재질의 부재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접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용접장치 중에서 원주방향 용접장치는 용접대상물 및 용접토치를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그 원주방향의 용접선을 따라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용접대상물이 소음기 하우징 및 배기파이프(또는 플랜지) 등과 같이 부재와 부재 사이의 용접선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경우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주방향 용접장치는 그 회전축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식 용접장치와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식 용접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원주방향 용접장치는 용접토치에 의한 비드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으므로 원주방향으로의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에도 가장자리 일부분에 대한 보완용접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그 용접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용접이 어려운 부위에 대한 용접품질의 저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원주방향으로 용접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용접비드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보완용접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그 용접작업성을 간편하게 함과 더불어 용접이 어려운 부분에 대한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접장치의 토치유닛을 위빙시키는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로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토치유닛이 설치되는 선회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특정지점을 기준으로 선회플레이트를 선회 구동시키는 선회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 상면에는 선회기준 샤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선회기준 샤프트의 중심은 선회플레이트의 선회 중심이 되며, 상기 선회기준 샤프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선회플레이트 사이에서 회전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선회구동기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 하면에 설치되고, 외부로 돌출된 출력축을 가진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선회플레이트의 선회운동으로 변환하고, 일단에 장착된 제1장착샤프트 및 타단에 장착되는 제2장착샤프트를 가진 선회가이드;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커플러를 매개로 결합되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장착샤프트의 중심을 상기 출력축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편심시키는 편심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착샤프트는 편심 조절부재 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장착샤프트는 상기 선회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선회가이드는 길이 조절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재는 그 양단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의 각 나사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브라켓의 상부에는 장착면이 형성되고, 장착면의 일단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면의 타단 양측에는 한 쌍의 돌출부가 상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각 돌출부의 측면에는 조절나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심 조절부재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장착면 위에 설치되고, 상기 편심 조절부재의 일단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편심 조절부재의 힌지공 및 장착브라켓의 힌지공에 힌지핀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편심 조절부재는 힌지공을 중심으로 틸팅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편심 조절부재의 타단에는 장착브라켓의 조절나사와 접촉하는 조절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공과 조절부 사이의 중간 지점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편심 조절부재의 체결공에는 상기 제1장착샤프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토치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위빙(weaving)시키면서 원주방향으로 용접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용접비드의 폭을 넓게 하여 후속하는 보완용접을 생략할 수 있고, 또한 용접작업이 어려운 부분에 대한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실레이터가 적용되는 용접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실레이터가 적용되는 용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실레이터의 측면도로서, 도 2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실레이터의 평면도로서, 도 3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화살표 D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 E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가 적용되는 용접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장치는 용접토치(11)를 가진 토치유닛(10), 토치유닛(10)을 좌우방향으로 위빙시키는 오실레이터(20)를 포함한다.
토치유닛(10)은 용접토치(11), 용접토치(11)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12), 홀더(12)의 하부에 설치된 전후진 가이드부(13), 전후진 가이드부(13)의 전후진 작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지지부(14), 전후진 가이드부(13)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실린더(15)를 포함한다.
전후진 실린더(15)의 로드(15a)는 전후진 가이드부(13)의 일측에 연결되고, 이에 전후진 실린더(15)의 로드(15a)가 전후진함에 따라 전후진 가이드부(13)는 지지부(14)의 상면에서 전후진하며, 전후진 가이드부(13)의 전후진에 의해 용접토치(11)가 용접대상물(110, 120)의 용접부분측으로 전후진(도 1의 화살표 F방향)한다. 도 1에서는 용접대상물(110, 120)로서 소음기(110)와 배기파이프(120)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오실레이터(20)는 토치유닛(10)을 좌우방향(토치유닛(10)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즉, 도 1의 화살표 W방향)으로 위빙함으로써 용접토치(11)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비드의 폭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실레이터(2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1), 베이스플레이트(21)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선회플레이트(22), 베이스플레이트(21)의 특정지점을 기준으로 선회플레이트(22)를 선회 구동시키는 선회구동기구(200)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장치의 지지프레임(18)측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21)의 일측 상면에는 선회기준 샤프트(25)가 설치되며, 선회기준 샤프트(25)의 중심은 선회플레이트(22)의 선회 중심이 된다. 즉, 선회플레이트(22)는 베이스플레이트(21)의 선회기준 샤프트(25)를 중심으로 도 2의 화살표 W방향으로 선회작동한다.
선회기준 샤프트(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1)와 선회플레이트(22) 사이에서 회전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선회기준 샤프트(25)의 상측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5a)가 형성되고, 선회기준 샤프트(25)의 돌출부(25a)는 선회플레이트(22)의 저면에 체결구 등을 통해 고정된다. 선회기준 샤프트(25)는 그 상단이 선회플레이트(22)의 일측 저면에 삽입된다.
선회기준 샤프트(25)의 외측에는 하우징(26) 및 베어링(26a, 26b)이 설치되고, 하우징(26) 및 베어링(26a, 26b)에 의해 선회기준 샤프트(25)는 회전지지되며, 하우징(26)은 베이스플레이트(21)의 일측 상면에 체결구 등을 통해 고정된다.
선회구동기구(200)는 베이스플레이트(21)의 선회기준 샤프트(25)를 중심으로 선회플레이트(22)를 선회시키도록 구성된다. 선회구동기구(2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1)의 타측 하면에 설치된 구동모터(210), 구동모터(210)의 회전운동을 선회플레이트(22)의 선회운동으로 변환하는 선회가이드(240), 선회가이드(240)의 일단과 구동모터(210)의 출력축(211)을 연결하는 장착브라켓(220) 및 편심 조절부재(230)를 포함한다.
구동모터(210)는 그 상부에 출력축(211)이 외부로 돌출되고, 이 출력축(211)에는 커플러(212)가 설치된다.
선회가이드(240)는 그 일단에 장착되는 제1장착샤프트(241) 및 그 타단에 장착되는 제2장착샤프트(242)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장착샤프트(241, 242)는 그 하단 각각에 나사부(241a, 242b)가 형성된다.
선회가이드(24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는 장착홈(243, 244)가 형성되고, 각 장착홈(243, 244) 내에는 베어링(241b, 242b)이 각각 설치되며, 각 베어링(241b, 242b)은 제1 및 제2 장착샤프트(241, 242)를 개별적으로 회전지지한다.
한편, 제1장착샤프트(241)의 나사부(241a)는 후술하는 편심 조절부재(230)의 체결공(233)에 결합되고, 제2장착샤프트(242)의 나사부(242a)는 선회플레이트(22)의 일측에 결합된다.
선회가이드(24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재(247)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245, 246)로 구성되고, 조절부재(247)는 그 양단에 나사부(247a, 247b)가 형성되고, 조절부재(247)의 각 나사부(247a, 257b)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245, 246)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조절부재(247)의 나사부(247a, 247b)를 조절함으로써 선회가이드(240)는 그 전체길이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고, 이에 선회가이드(240)의 공차관리를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선회가이드(240)의 선회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장착브라켓(220)의 상면에는 장착면(221)이 형성되고, 장착면(221)의 일단에는 힌지공(221a)이 형성되며, 장착면(221)의 타단 양측에는 한 쌍의 돌출부(221b, 221c)가 상향으로 돌출한다. 각 돌출부(221b, 221c)의 측면에는 조절나사(222, 223)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브라켓(220)의 하단에는 체결돌기(224)가 하향으로 돌출하고, 장착브라켓(220)의 체결돌기(224)는 커플러(212)의 상단에 체결된다.
편심 조절부재(230)는 장착브라켓(220)의 장착면(221) 위에 설치된다. 편심 조절부재(230)는 그 일단에 힌지공(231)이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장착브라켓(220)의 조절나사(222, 223)와 접촉하는 조절부(232)가 형성되며, 힌지공(231)과 조절부(232) 사이의 중간 지점에는 체결공(233)이 형성된다.
이에, 편심 조절부재(230)의 힌지공(231) 및 장착브라켓(220)의 힌지공(221a)에 힌지핀(235)이 설치됨으로써 편심 조절부재(230)는 힌지공(231)을 중심으로 틸팅가능하게 설치된다. 편심 조절부재(230)는 힌지공(231)을 중심으로 틸팅되어 조절부(232)가 일측방향으로 편향되게 조절될 수 있고, 조절부(232)의 양측면이 장착브라켓(220)의 조절나사(222, 223)와 접촉함에 따라 그 편심 조절부재(230)의 조절된 틸팅각이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심 조절부재(230)가 틸팅됨에 따라 편심 조절부재(230)의 체결공(233)은 그 중심(Y)이 구동모터(210)의 출력축(211)의 중심(X)으로부터 일정거리(e) 만큼 편심되고, 편심 조절부재(230)의 체결공(233)에는 제1장착샤프트(241)의 나사부(241a)가 결합되며, 제1장착샤프트(241)의 중심(Y)은 편심 조절부재(230)의 체결공(233)의 중심(Y)과 일치하고, 이에 제1장착샤프트(241)의 중심(Y)은 구동모터(210)의 출력축(211)의 중심(X)으로부터 일정거리(e)로 편심된다. 즉, 선회가이드(240)의 제1장착샤프트(241)는 그 중심(Y)이 구동모터(210)의 출력축(211)의 중심(X)으로부터 일정거리(e) 만큼 편심됨에 따라 선회가이드(240)의 제1장착샤프트(241)는 출력축(211)의 중심(X)을 기준으로 편심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모터(210)가 구동함에 따라 그 출력축(211)은 회전하고, 출력축(211)이 회전하면 편심 조절부재(230) 및 선회가이드(240)의 제1장착샤프트(241)는 그 중심(Y)이 출력축(211)의 중심(X)으로부터 편심되어 있으므로 편심 조절부재(230) 및 선회가이드(240)의 제1장착샤프트(241)는 출력축(211)의 중심(X) 둘레로 편심회전한다. 선회가이드(240)의 제1장착샤프트(241)가 출력축(211)의 중심(X) 둘레로 편심회전함에 따라 선회가이드(240)의 제2장착샤프트(242)는 궤적(Z)를 따라 이동하고, 이에 선회플레이트(22)는 선회기준 샤프트(25)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W방향으로 선회작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실레이터(20)는 토치유닛(10)의 용접토치(11)가 용접대상물(110, 120)의 용접선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용접하는 도중에 토치유닛(10)을 좌우방향으로 위빙함으로써 용접비드의 폭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보완용접을 생략할 수 있고, 또한 용접작업이 어려운 부분에 대한 용접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토치유닛 11: 용접토치
20: 위빙유닛 21: 베이스플레이트
22: 선회플레이트 200: 선회구동기구
210: 구동모터 211: 출력축
220: 장착브라켓 230: 편심조절부재
240: 선회가이드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용접장치의 토치유닛을 위빙시키는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로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토치유닛이 설치되는 선회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특정지점을 기준으로 선회플레이트를 선회 구동시키는 선회구동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 상면에는, 중심이 선회플레이트의 선회중심이 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선회플레이트 사이에서 회전지지되도록 선회기준 샤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선회구동기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 하면에 설치되고, 외부로 돌출된 출력축을 가진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선회플레이트의 선회운동으로 변환하고, 일단에 장착된 제1장착샤프트 및 타단에 장착되는 제2장착샤프트를 가진 선회가이드;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커플러를 매개로 결합되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장착샤프트의 중심을 상기 출력축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편심시키는 편심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착샤프트는 편심 조절부재 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장착샤프트는 상기 선회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가이드는 길이 조절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재는 그 양단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의 각 나사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의 상부에는 장착면이 형성되고, 장착면의 일단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면의 타단 양측에는 한 쌍의 돌출부가 상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각 돌출부의 측면에는 조절나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조절부재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장착면 위에 설치되고, 상기 편심 조절부재의 일단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편심 조절부재의 힌지공 및 장착브라켓의 힌지공에 힌지핀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편심 조절부재는 힌지공을 중심으로 틸팅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편심 조절부재의 타단에는 장착브라켓의 조절나사와 접촉하는 조절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공과 조절부 사이의 중간 지점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편심 조절부재의 체결공에는 상기 제1장착샤프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KR1020100035462A 2010-04-16 2010-04-16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KR101188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462A KR101188281B1 (ko) 2010-04-16 2010-04-16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462A KR101188281B1 (ko) 2010-04-16 2010-04-16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884A KR20110115884A (ko) 2011-10-24
KR101188281B1 true KR101188281B1 (ko) 2012-10-05

Family

ID=4503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462A KR101188281B1 (ko) 2010-04-16 2010-04-16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191B1 (ko) * 2015-07-14 2017-05-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용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191B1 (ko) * 2015-07-14 2017-05-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용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884A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66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lding joints between metal shapes
CN2936524Y (zh) 一种焊枪摆角机构
KR101594423B1 (ko) 레이저 용접용 다목적 지그 장치
KR101880883B1 (ko) 용접부재용 가변 지지장치
KR101188281B1 (ko)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CN101733245A (zh) 一种脱色摇床
KR101222626B1 (ko) 수직 용접장치용 오실레이터
US3859495A (en) Submerged-arc welding machine
KR100814620B1 (ko) 용접용 포지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식 용접장치
US3845271A (en) Oscillating type automatic arc welding apparatus
KR20100119108A (ko) 용접용 듀얼 턴테이블 장치
CN216882510U (zh) 一种铆焊机焊接对齐装置
KR101492143B1 (ko) 진동폭과 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용접용 와이어 고속 진동장치
KR101698340B1 (ko) 토치각도조절이 용이한 파이프 접합용 오비탈 용접장치
US3903391A (en) Oscillating apparatus for arc welding equipment
JP2012170990A (ja) 揺動駆動機構
CN212599576U (zh) 随动焊枪摆动器
JP2659332B2 (ja) 曲管内面の研摩方法と研摩装置
CN217775977U (zh) 基于bim的钢结构焊点校准装置
CN217291017U (zh) 钢板半自动切割-焊接用末端延长平台结构
KR100327871B1 (ko) 고속 필렛 용접 장치
CN117798566B (zh) 一种纵向焊缝双面焊接设备
JP2005096038A (ja) 切断装置
CN102049567B (zh) 切割机及其护罩组件
CN215846445U (zh) 一种激光焊接机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