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981B1 - 1050㎫ 인장강도, 320Hv 경도,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1050㎫ 인장강도, 320Hv 경도,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981B1
KR101187981B1 KR1020110006509A KR20110006509A KR101187981B1 KR 101187981 B1 KR101187981 B1 KR 101187981B1 KR 1020110006509 A KR1020110006509 A KR 1020110006509A KR 20110006509 A KR20110006509 A KR 20110006509A KR 101187981 B1 KR101187981 B1 KR 10118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ube
pipe
less
ske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094A (ko
Inventor
박성필
김윤규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9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21D8/1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21D9/085Cooling or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1050Mpa 인장강도, 320Hv 경도,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은, 중량%로, 탄소(C): 0.34 ~ 0.36%, 망간(Mn): 2.50% 이하, 인(P): 0.03% 이하, 황(S): 0.03% 이하, 보론(B): 0.004% 이하,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열처리 강재를 압송관의 외경 폭으로 슬리팅(slitting)하여 스켈프(skelp)를 형성하는 슬리팅 단계; 롤 형태의 스켈프를 풀어주면서 편평도를 조절하고 에지를 연마하는 레벨링 및 에지밀링 단계; 상기 레벨링 및 에지밀링을 거친 스켈프를 다단의 롤로 성형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가공하는 롤 포밍 단계; 상기 롤 포밍을 거친 스켈프의 양단 에지를 용접하여 압송관을 조관하는 압송관 조관 단계; 상기 조관된 압송관을 600 bar 압력으로 콘크리트를 압송하는데 적합하도록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조직으로 열처리 하는 압송관 열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1050㎫ 인장강도, 320Hv 경도,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STEEL PIPE WITH A FUNCTION OF CONVEYING 600bar HIGH-PRESSURE CONCRET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1050Mpa 인장강도, 320Hv 경도,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초고층 건물의 시공 시 콘크리트를 600bar의 고압으로 압송할 수 있도록 내압성 및 내마모성이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콘크리트 압송관은 압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관 부재를 의미한다.
콘크리트는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상층 높이까지 압송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압력을 견뎌낼 수 있는 강관 자체의 기계적 물성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초고층 건물의 시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초고층 건물의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효과적으로 압송할 수 있는 내압성 및 내마모성이 개선된 압송관에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현재까지, 일반 구조용 강종(예: STK490)을 비열처리하여 제작된 압송관 및 고탄 열처리 강종(예: S45C)을 열처리하여 제작된 압송관 등이 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압송관에 비해 더 뛰어난 내압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압송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처리 강재를 효과적으로 열처리함에 따라, 인장강도(TS) 1050MPa 이상, 경도 320Hv 이상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여, 600bar의 압력으로 콘크리트를 압송할 수 있는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을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열처리 강종의 조성비를 올바르게 제시하는 동시에, 목표로 하는 내압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열처리 조건을 제시하여, 초고층 건물의 시공에 적합한 콘크리트 압송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a) 중량%로, 탄소(C): 0.34 ~ 0.36%, 망간(Mn): 2.50% 이하, 인(P): 0.03% 이하, 황(S): 0.03% 이하, 보론(B): 0.004% 이하,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열처리 강재를 압송관의 외경 폭으로 슬리팅(slitting)하여 스켈프(skelp)를 형성하는 슬리팅 단계; (b) 롤 형태의 스켈프를 풀어주면서 편평도를 조절하고 에지를 연마하는 레벨링 및 에지밀링 단계; (c) 상기 레벨링 및 에지밀링을 거친 스켈프를 다단의 롤로 성형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가공하는 롤 포밍 단계; (d) 상기 롤 포밍을 거친 스켈프의 양단 에지를 용접하여 압송관을 조관하는 압송관 조관 단계; (e) 상기 조관된 압송관을 600 bar의 압력으로 콘크리트를 압송하는데 적합하도록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조직으로 열처리 하는 압송관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사상에 따르면, 중량%로, 탄소(C): 0.34 ~ 0.36%, 망간(Mn): 2.50% 이하, 인(P): 0.03% 이하, 황(S): 0.03% 이하, 보론(B): 0.004% 이하,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열처리 강재를 압송관의 외경 폭으로 슬리팅(slitting)하여, 스켈프를 형성하되, 상기 스켈프를 이용하여 조관된 압송관은 600bar의 압력으로 콘크리트를 압송하는데 적합하도록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조직으로 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열처리 강종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퀀칭(quenching) 및 템퍼링(tempering) 열처리를 실시함에 따라, 더 나은 인장강도(TS) 및 경도(Hv)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어, 초고층 건물의 시공에 필요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을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의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열처리 강종의 조성비를 올바르게 제시하는 동시에, 목표로 하는 내압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에 있어서, 열처리 전, 후의 조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직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비교예 1의 조직 사진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및 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은 초고층 건물의 시공 시 콘크리트의 압송에 필요한 내압성 및 내마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탄소 함량이 중량%로 0.34 ~ 0.36%인 중탄 열처리 강재를 이용하여 압송관을 조관 한다.
조관된 압송관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열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인장강도(TS)는 1050MPa 이상, 경도는 320Hv 이상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은 600bar의 내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은, 중량%로, 탄소(C): 0.34 ~ 0.36%, 망간(Mn): 2.50% 이하, 인(P): 0.03% 이하, 황(S): 0.03% 이하, 보론(B): 0.004%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열처리 강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소(C): 0.34 ~ 0.36 중량%
탄소는 후속의 공정에서 열처리 이후에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중요원소로서, 강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오스테나이트 고용을 통해 퀀칭 열처리 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형성시키게 한다.
이러한 탄소는 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마르텐사이트 분율 향상에는 도움이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의 전체 중량에 대해 0.34 ~ 0.36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탄소의 함량이 0.34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 확보에 어려움이 따르며, 탄소의 함량이 0.36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공성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며, 용접성 및 인성이 나빠진다.
망간(Mn): 2.50 중량% 이하
망간은 인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강도를 상승시키는 유효한 원소이다.
특히, 고용강화 원소로서, 강의 경화능을 향상시켜 탄소강의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또한, 망간은 퀀칭 열처리 시, 경화 깊이를 증가시키는데, 다만 지나치게 많은 양이 함유되면 퀀칭 균열이나 변형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의 경우, 망간은 2.50 중량%로 그 함량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2.50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보론(B): 0.004 중량% 이하
보론은 미량의 첨가만으로 경화능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원소이나, 과잉 첨가되면 Fe3B를 형성하여 적열취성을 일으킨다. 따라서,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04 중량% 이하로 제한되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P): 0.03 중량% 이하
인은 강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 원소로서, 강도 및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한 원소이다. 다만, 과잉 첨가되면 충격인성을 크게 저해할 수 있으므로, 그 함량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의 전체 중량에 대해 상기 인의 함량은 0.03 중량% 이하로 제한되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 0.03 중량% 이하
황은 인과 마찬가지로 강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 원소이다.
특히, 이러한 황은 MnS와 같은 유화물계 개재물을 형성하여 강의 인성 및 강도를 크게 저해할 수 있으므로, 그 함량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의 전체 중량에 대해 상기 황의 함량은 0.03 중량% 이하로 제한되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된 열처리 강재는 압송관의 외경 폭으로 슬리팅(slitting)되고, 스켈프(skelp)로 형성된다.
이러한 스켈프는 조관 작업을 거쳐, 비로소 초고층 건물의 시공에 필요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에서 목표로 하는 내압 특성은 600bar이며, 1050MPa 정도의 인장강도(TS) 및 320 Hv 정도의 경도 기준에 해당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시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중량%로, 탄소(C): 0.34 ~ 0.36%, 망간(Mn): 2.500% 이하, 인(P): 0.03% 이하, 황(S): 0.03% 이하, 보론(B): 0.004% 이하,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열처리 강재를 압송관의 외경 폭으로 슬리팅(slitting)하여 스켈프(skelp)를 형성한다(S100).
그 다음으로, 롤 형태 스켈프를 풀어주면서 편평도를 조절하고 에지를 연마하는 레벨링 및 에지밀링이 실시된다(S200).
상기 레벨링 및 에지밀링이 완료되면, 스켈프를 다단의 롤로 성형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가공하는 롤 포밍이 실시된다(S300).
그 다음으로, 롤 포밍을 거친 스켈프의 양단 에지를 용접하여 압송관이 제작된다(S400). 이때, 스켈프의 양단 에지 용접 시 이용되는 용접 방식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전기저항용접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압송관 제작 단계(S400)와, 후술될 압송관 열처리 단계(S500) 사이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압송관의 조관 작업 시, 용접부 표면에 형성되는 비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조관된 압송관은 600bar 압력으로 콘크리트를 압송하기에 적합하도록,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조직으로 열처리된다S500).
이때, 상기 열처리 단계(S500)는, 열처리 전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이었던 압송관의 강도 향상 및 내압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변태시키는 단계이다.
우선 준비된 압송관은 오스테나이트(austenite) 변태점까지 가열하는 노말라이징(normalizing)이 실시된다. 다음으로 가열된 압송관을 급랭시키는 퀀칭(quenching) 단계(S520)가 수행된다. 그 다음으로 급랭된 압송관을 재가열한 후 서냉시키는 템퍼링(tempering) 단계(S540)가 수행된다.
여기서, 압송관의 노말라이징은, 전기저항용접을 통해 조관된 압송관에 대해 용접부 조직을 미세화하고, 압송관 내외면 조직을 균질화를 추구하기 위해 실시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노말라이징을 통해, 압송관은 균일한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조직이 되기까지 가열되어 표준화된 조직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적인 고용 온도인 900 ~ 1000℃까지 가열될 수 있다.
다음으로, 퀀칭 열처리 단계(S520)가 실시된다. 퀀칭(quenching)은, 강의 열처리 방법 중 하나로서, 고온 가열된 강재를 급랭하는 방식으로서 담금질이라 통칭되는 강의 열처리 방법을 말한다.
본 단계에서의 퀀칭 열처리는, 900 ~ 1000℃까지 가열된 압송관을 급냉시키는 데, 바람직하게는 3.6 ~ 4.0 kg/㎠ 압력으로 고압 분사되는 냉각수(예: 물)의 수압을 통해 상기 가열된 압송관을 신속하게 냉각시킨다.
이러한 퀀칭 열처리에 의해, 압송관은 경도는 향상되나, 취성이 나타나게 되므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의 사용 목적에 맞게 내부 응력을 제거하는 템퍼링 열처리 단계(S540)를 실시한다.
이러한 템퍼링 열처리 단계(S540)에서는, 퀀칭 열처리가 이루어진 압송관을 다시 재가열한 후 서냉한다.
그리고 여기서 템퍼링 시의 온도는 640 ~ 660℃인 것이 바람직한데, 압송관의 저온 충격 인성을 향상시키고, 경도 편차를 억제한다.
그리고 이러한 템퍼링 열처리를 통해, 압송관은 열처리 전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에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조직으로 강화되며, 내압성 및 내마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처리 도중 변형이 발생된 압송관에 대하여, 직진도 및 직경 사이즈 교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송관에 대한 직진도 및 직경 사이즈 교정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장비로는, 조관 교정기를 들 수 있으며, 이는 통상 이용되는 장비와 큰 차이점이 없으므로, 해당 장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전 단계를 거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은 600bar의 내압을 견딜 수 있으며, 목표한 인장강도 1050MPa 및 경도 320Hv 기준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후술될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은, 전술된 제조 방법을 통해, 1050MPa의 인장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320Hv의 최소 경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아울러 600bar의 압력으로 콘크리트를 압송하는데 적합하도록 제조된다.
이하, 하기의 [표 1]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비교예 1, 2, 3과 대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표 1]
Figure 112011005291968-pat00001
본 실시예는 탄소 함량이 0.35 중량%인 중탄 열처리 강종을 이용한 것이며, 비교예 1 및 3의 경우 STK 490 유사 강종으로서 비열처리 강종을 이용한 것이며, 비교예 2의 경우 고탄 열처리 강종을 이용한 것이다.
각각의 제품 규격은 개시된 바와 같이 직경 및 두께에서 서로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열처리 전, 후의 조직을 비교 도시한 조직 사진이다.
도 2의 (a)의 경우, 조직 사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페라이트, 펄라이트 조직이 확인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 2의 (a)를 본 발명에 따른 퀀칭 및 템퍼링 열처리 하면, 도 2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조직으로 변태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다음의 [표 2]는 앞서 [표 1]에서 조성 대비된 실시예와 비교예1 각각의 기계적 물성을 비교 도시한 것이다.
[표 2]
Figure 112011005291968-pat00002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 1의 조직 사진은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송관의 조직 사진이며, 도 3의 (b)는 상기 [표 1] 및 [표 2]의 비교예 1의 조직 사진이다.
이러한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와 비교예 1 간의 조직은 서로 다른데, 특히, 도 3의 (a)인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조직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송관의 인장강도는 1050Mpa, 경도는 320Hv로 급격히 상승되었으며, 비교예 1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수압 테스트를 실시해 본 결과,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600bar의 압력으로 콘크리트를 압송하는데 적합하다는 결과를 획득할 수 있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은, 종래 고가의 비열처리 강종(예: STK 490) 또는 고탄 열처리 강종(예: S45C)를 대신하여 중탄 열처리 강종(예: 탄소 중량% 0.34 ~ 0.36)을 이용한다.
그리고 이를 적정 조건으로 퀀칭(quenching) 및 템퍼링(tempering) 열처리를 실시한다.
이로써, 1050Mpa의 인장강도(TS) 및 320Hv의 경도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600bar의 고압 콘크리트 압송에 적합한 내압성 및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0: 슬리팅 단계
S200: 레벨링 및 에지밀링 단계
S300: 롤 포밍 단계
S400: 압송관 조관 단계
S500: 열처리 단계
S520: 퀀칭 단계
S540: 템퍼링 단계

Claims (5)

  1. (a) 중량%로, 탄소(C): 0.34 ~ 0.36%, 망간(Mn): 2.50% 이하, 인(P): 0.03% 이하, 황(S): 0.03% 이하, 보론(B): 0.004% 이하,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열처리 강재를 압송관의 외경 폭으로 슬리팅(slitting)하여 스켈프(skelp)를 형성하는 슬리팅 단계;
    (b) 롤 형태의 스켈프를 풀어주면서 편평도를 조절하고 에지를 연마하는 레벨링 및 에지밀링 단계;
    (c) 상기 레벨링 및 에지밀링을 거친 스켈프를 다단의 롤로 성형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가공하는 롤 포밍 단계;
    (d) 상기 롤 포밍을 거친 스켈프의 양단 에지를 용접하여 압송관을 조관하는 압송관 조관 단계;
    (e) 상기 조관된 압송관을 600bar 압력으로 콘크리크를 압송하는데 적합하도록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조직으로 열처리 하는 압송관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d) 단계에서 조관된 압송관을 오스테나이트(austenite) 변태점까지 가열하는 노말라이징(normalizing) 단계;
    (e-2) 상기 가열된 압송관을 급랭시키는 퀀칭(quenching) 단계; 및
    (e-3) 상기 급랭된 압송관을 재가열한 후 서냉시키는 템퍼링(tempering)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2) 단계에서, 상기 압송관의 퀀칭은 3.4 ~ 3.6 kg/㎠ 압력의 물에 의한 수냉 방식으로 실시되며,
    상기 (e-3) 단계에서, 상기 압송관의 템퍼링은 640 ~ 660 ℃의 온도에서 5 m/min의 속도로 열처리 후, 상온까지 공랭 되는 방식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06509A 2011-01-21 2011-01-21 1050㎫ 인장강도, 320Hv 경도,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KR10118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509A KR101187981B1 (ko) 2011-01-21 2011-01-21 1050㎫ 인장강도, 320Hv 경도,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509A KR101187981B1 (ko) 2011-01-21 2011-01-21 1050㎫ 인장강도, 320Hv 경도,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094A KR20120085094A (ko) 2012-07-31
KR101187981B1 true KR101187981B1 (ko) 2012-10-04

Family

ID=4671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509A KR101187981B1 (ko) 2011-01-21 2011-01-21 1050㎫ 인장강도, 320Hv 경도,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9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733B1 (ko) * 2008-11-19 2009-12-09 주식회사 티엠시 콘크리트 펌프카용 콘크리트 슬러리 이송 파이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733B1 (ko) * 2008-11-19 2009-12-09 주식회사 티엠시 콘크리트 펌프카용 콘크리트 슬러리 이송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094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7554C1 (ru) Толстолистовая сталь для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труб или трубок,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толстолистовой стали для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труб или трубок и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е трубы или трубки
US10767250B2 (en) Thick steel plate for structural pipes or tubes, method of producing thick steel plate for structural pipes or tubes, and structural pipes and tubes
RU2679499C1 (ru) Листовая сталь для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труб или трубок,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листовой стали для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труб или трубок и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е трубы и трубки
WO2015092916A1 (ja) 電縫溶接鋼管
JP6137435B2 (ja) 高強度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216638A1 (ja) ベンド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97767B2 (ja) 低降伏比高強度スパイラル鋼管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2108027A1 (ja) スチーム配管用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81234B2 (ja) 圧縮強度の高いラインパイプの製造方法
KR101188923B1 (ko) 1400㎫ 인장강도, 400Hv 경도, 7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JP6384635B1 (ja) コイルドチュービング用熱延鋼板
KR101197883B1 (ko) 2000㎫ 인장강도, 600Hv 경도, 10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KR101187981B1 (ko) 1050㎫ 인장강도, 320Hv 경도,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KR101197431B1 (ko) 1250㎫ 인장강도, 360Hv 경도, 6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KR101317007B1 (ko)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8054B1 (ko) 850㎫ 인장강도, 270Hv경도, 4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KR101197444B1 (ko) 1600㎫ 인장강도, 500Hv 경도, 800bar 내압 성능으로 개선된 콘크리트 고압 압송관 제조 방법
KR101917436B1 (ko) 내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4026B1 (ko) 소입성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오일 장비용 강 및 그 제조방법
CN108823495B (zh) 一种厚度方向组织均匀的厚板与特厚板及其制备方法
KR20130002205A (ko) 비조질 열연 고탄소강 제조방법
KR20130013545A (ko)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강관 제조 방법
WO2020196214A1 (ja) ラインパイプ用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ライン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17112A (ko) 비열처리형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44120A (ko) 열처리 특성이 우수한 유정용 api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