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211B1 -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211B1
KR101187211B1 KR1020090087291A KR20090087291A KR101187211B1 KR 101187211 B1 KR101187211 B1 KR 101187211B1 KR 1020090087291 A KR1020090087291 A KR 1020090087291A KR 20090087291 A KR20090087291 A KR 20090087291A KR 101187211 B1 KR101187211 B1 KR 101187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hollow portion
hollow
metal wire
p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556A (ko
Inventor
김상호
신일균
이주호
김성현
기병윤
김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09008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2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29Liver
    • A61B2018/00535Biliary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11Metals or alloys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내강의 협착부위에 삽입되어 협착된 부위를 확장시키는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제1중공부와 제2중공부로 이루어진 스텐트에서 제1중공부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도록 금속와이어가 교차되어 형성되고, 제2중공부는 금속와이어가 엮여 형성되되, 제1중공부와 제2중공부는 분리되어, 적어도 하나의 금속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스텐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로써, 스텐트의 제1중공부를 제2중공부와는 달리 금속와이어가 엮여 형성되지 않고, 교차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의 금속와이어 사이가 큰 저항 없이 벌어지기 때문에 벌어진 금속와이어의 사이를 통해 다른 스텐트를 삽입함으로써 간내 담도의 교차부위에 동시에 협착이 발생하였을 때, 협착이 발생된 부위에 손쉽게 스텐트를 삽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스텐트, 담도, 사각형상, y

Description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STENT, STENT ASSEMBLY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 내강의 협착부위에 삽입되어 협착된 부위를 확장시키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조직 등에 의해 인체의 식도, 십이지장 등과 같은 내강에 협착부위가 발생하면, 내강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흐름이 순조롭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텐트(Stent)라 불리는 내강 확장기구를 내강에 삽입하여 협착되어 좁아진 부위의 통로를 확장함으로써, 내강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스텐트는 카테터와 같은 삽입기구를 통하여 내강의 협착부위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협착된 부위에서 스텐트의 자체 탄성에 의해 협착 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된다.
도1은 일반적인 스텐트를 도시한 것으로,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텐 트(10)는 금속와이어(11)를 엮어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스텐트(10)는 피크파트와 밸리파트를 이루도록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된 여러 개의 열이 구비되어 형성되는데, 제1열의 피크파트(11a)와 이웃한 제2열의 밸리파트(11b)가 교차되도록 엮이고, 제2열의 피크파트(11c)와 이웃한 제3열의 밸리파트(11d)가 교차되도록 엮여 전체적으로 메쉬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스텐트(10)를 이용하여 협착된 부위에 삽입함으로써 내강의 통로를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L)의 좌, 우 간관을 통해 담낭(G)으로 이동되는데, 담낭(G)에서 농축된 담즙이 담도(B)를 통해 방출되어 장으로 흘러 들어가는데, 특히, 간(L)내 담도(B)의 교차부위에 협착이 발생하는 경우에 스텐트(10)를 삽입하여 협착된 부위를 넓혀야 한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3721호(스텐트, 이하 선행기술)에서 간(L)내 담도(B)의 교차부위에 삽입할 수 있는 스텐트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위 선행기술에서의 스텐트를 살펴보면, 간(L)내 담도(B)의 교차부위 중 어느 한 쪽에 삽입되는 스텐트의 한 쪽에 공간을 형성하여 스텐트를 제조함으로써, 그 공간을 통해 다른 스텐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선행기술에서 간(L)내 담도(B)의 교차부위 중 어느 한 쪽에 삽입되는 스텐트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다른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공간이 간(L)내 담도(B)의 다른 쪽을 향하도록 스텐트를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위치를 맞추어 스텐트를 삽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내 담도의 교차부위에 동시에 협착이 발생된 경우에 협착된 통로를 확장시키기 위한 시술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스텐트는 금속와이어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1중공부; 상기 제1중공부의 양단에 위치하여, 금속와이어가 엮여 형성된 제2중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공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형성하는 금속와이어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도록 교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중공부와 제2중공부는 분리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중공부는 금속와이어의 피크파트와 밸리파트의 사이에 상기 금속와이어가 교차되어 서로 다르게 연장된 금속와이어로 둘러싸인 사각의 형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중공부는 금속와이어가 피크파트 및 밸리파트를 가지도록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중공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열은 제1피크파트를 형성한 금속와이어가 연장되어 제2피크파트가 형성될 때, 제1피크파트와 제2피크파트의 사이에 둘 이하의 피크파트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중공부와 제2중공부가 분리된 부분을 감싸는 커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중공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나머지 중공의 원통 형상보다 확관(擴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스텐트 조립체는 제1스텐트; 및 상기 제1스텐트의 제1중공부를 형성하는 교차된 금속와이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2스텐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스텐트 제조방법은 중공의 원통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와이어가 다수의 제1피크파트 및 다수의 제1밸리파트를 가지면서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제1열부를 형성하는 A단계; 상기 금속와이어가 다수의 제2피크파트 및 다수의 제2밸리파트를 가지면서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제2열부를 형성하되, 상기 다수의 제2피크파트 및 제2밸리파트의 사이에 상기 금속와이어가 교차되어 서로 다르게 연장된 금속와이어로 둘러싸인 사각의 형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B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에서 생성되는 제1열부와 상기 B단계에서 생성되는 제2열 부는 서로 분리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텐트의 제1중공부를 제2중공부와는 달리 금속와이어가 엮여 형성되지 않고, 교차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의 금속와이어 사이가 큰 저항 없이 벌어지기 때문에 벌어진 금속와이어의 사이를 통해 다른 스텐트를 삽입함으로써 간내 담도의 교차부위에 동시에 협착이 발생하였을 때, 협착이 발생된 부위에 손쉽게 스텐트를 삽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텐트의 제1중공부와 제2중공부를 서로 엮지 않고 분리함으로써, 제1중공부를 통해 다른 스텐트를 삽입할 때, 제1중공부에 움직임이나 형상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제1중공부와 제2중공부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2중공부에는 힘에 대한 영향이 거의 미치지 않아, 본 발명의 스텐트가 미끄러지는 등의 현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잘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스텐트의 제1중공부에서 중공의 원통 형상의 일부를 나머지 중공의 원통 형상보다 확관됨으로써, 다른 스텐트가 본 발명의 스텐트를 관통하여 담도에 삽입될 때, 제1중공부가 눌리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본 발명의 스텐트는 담도에서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중공부(110)는 금속와이어가(w)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와이어(w)가 서로 교차되어 금속와이어(w)의 사이가 쉽게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금속와이어(110)는 니켈-티타늄 합금 등과 같은 형상기억 합금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중공부(120)는 제1중공부(110)의 양단에 위치하고, 금속와이어(w)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제2중공부(120)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w)는 제1중공부(110)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w)와는 달리 금속와이어(w)가 엮여서 형성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금속와이어(w)가 피크파트(120-pp)와 밸리파트(120-vp)를 가지도록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의 형태로 연장되어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피크파트(120-pp1)를 형성한 금속와이어(w)가 연장되어 다시 피크파트(120-pp2)를 형성할 때, 두 피크파트(120-pp1, 120-pp2)의 사이에 두 개의 피크파트(120-pp3, 120-pp4)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열의 제1피크파트(120-pp1)를 형성한 금속와이어(w)가 제1밸리파 트(120-vp1)를 거쳐 다시 제2피크파트(120-pp2)를 형성하면, 제1피크파트(120-pp1)와 제2피크파트(120-pp2)의 사이에는 제3 및 제4피크파트(120-pp3, 120-pp4)가 형성되는데, 이는 금속와이어(w)가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면서 제1열(I)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세 번의 회전을 통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열(I)과 이웃하여 제2열(II)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1열(I)의 밸리파트(120-vp)와 제2열(II)의 피크파트(120-pp)가 서로 교차되도록 엮이면서 제1열(I)과 마찬가지로 금속와이어(w)가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면서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제2중공부(120)는 여러 개의 열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메쉬(Mesh)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를 다른 방향에서 설명하면, 제2중공부(120)의 제1열(I) 및 제2열(II)이 서로 엮이면서 형성된 후 제1열(I)을 살펴보면, 제1열(I)의 피크파트(120-pp)에서 밸리파트(120-vp)로 이어지는 금속와이어(w)는 다른 금속와이어(w)와 두 번의 교차가 이루지면서 이어진다. 이때, 제2열(II)의 피크파트(120-pp)와 제1열(I)의 밸리파트(120-vp)에서 엮이는 과정에서 교차가 이루어진 것은 제외한다.
다음으로, 제1중공부(110)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w)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중공부(120)와 마찬가지로, 금속와이어(w)가 피크파트(110-pp)와 밸리파트(110-vp)를 가지면서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의 형태로 연장되어 하나의 열로 형성된다. 이때, 제1중공부(110)는 제2중공부(120)와는 달리, 하나의 열로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중공부(110)는 하나의 피크파트(110-pp1)를 형성한 금속와이어(w) 가 연장되어 다시 피크파트(110-pp2)를 형성할 때, 두 피크파트(110-pp1, 110-pp2)의 사이에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피크파트(110-pp3, 110-pp4, 110-pp5)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공부(110)의 제1피크파트(110-pp1)를 형성한 금속와이어(w)가 연장되어 제2피크파트(110-pp2)를 형성하면, 제1피크파트(110-pp1)와 제2피크파트(110-pp2)의 사이에는 제3 내지 제5피크파트(110-pp3, 110-pp4, 110-pp5)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1중공부(11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속와이어(w)가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면서 적어도 네 번의 회전을 통해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다른 방향에서 설명하면, 제1중공부(110)를 이루는 열을 살펴보면, 피크파트(110-pp1)에서 밸리파트(110-vp1)로 이어지는 금속와이어(w)는 다른 금속와이어(w)와 적어도 세 번 이상의 교차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금속와이어(w)와 다른 금속와이어(w)가 적어도 세 번 이상의 교차가 이루어져야만 서로 교차된 금속와이어(w)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상기와 같이, 제1중공부(110)가 형성되면, 제1중공부(110)에서 금속와이어(w)의 사이가 벌어지는 곳은 서로 다르게 연장된 네 개의 금속와이어(w)로 이루어진 사각형상(R)이 제1중공부(110)에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이 사각형상(R)이 벌어지면서 다른 스텐트(200)가 사각형상(R)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사각형상(R) 중 하나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크파트(110-pp1)에서 연장되는 금속와이어(w)가 제4밸리파트(110- vp4)로 연장된 것을 제1금속와이어(w1)라 하고, 제1밸리파트(110-vp1)에서 연장된 금속와이어(w)가 제4피크파트(110-pp4)로 연장된 것을 제2금속와이어(w2)라 하며, 그리고 제3피크파트(110-pp3)에서 연장된 금속와이어(w)가 제5밸리파트(110-vp5)로 연장된 것을 제3금속와이어(w3)라 하며, 제3밸리파트(110-vp3)에서 연장된 금속와이어(w)가 제5피크파트(110-pp5)로 연장된 것을 제4금속와이어(w4)라고 한다면, 제1 내지 제4 금속와이어(w1, w2, w3, w4)로 인하여 하나의 사각형상(R)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사각형상(R)은 어떤 피크파트(110-pp)와 밸리파트(110-vp)와도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각형상(R)의 크기가 넓어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사각형상(R)을 통해 다른 스텐트(200)를 삽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사각형상(R)의 크기는 피크파트(110-pp)와 밸리파트(110-vp)와의 사이에 길이가 길어질수록 크기는 커지며, 좀 더 많은 사각형상(R)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피크파트(110-pp1)를 형성한 금속와이어(w)가 연장되어 다른 피크파트(110-pp2)가 형성될 때, 그 두 피크파트(110-pp1, 110-pp2) 사이에 세 개보다 많은 피크파트가 형성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가 서로 엮이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다.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가 서로 엮이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형성됨으로 인해서, 제1중공부(110)에 어떠한 힘이 작용되더라도, 제2중공부(120)에 미치는 힘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텐트(100)에는 다른 스텐트(2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제1중 공부(110)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w)가 교차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스텐트를 시술하는 과정에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도(B)의 한쪽에 본 발명의 스텐트(100)를 삽입하고, 본 발명의 스텐트(100)의 제1중공부(110)에 교차된 금속와이어(w)의 사이로 다른 스텐트(200)를 통과시켜 담도(B)의 다른 쪽에 다른 스텐트(200)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므로 이 과정에서 제1중공부(110)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w)가 벌어지거나 제1중공부(110)의 형상이 변형된다. 이렇게 제1중공부(1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스텐트(100)가 담도(B)에서 미끄러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어서 안 되고, 담도(B)에 잘 고정이 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제2중공부(120)의 형상에는 변형이 최대한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기 때문에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제1중공부(110)에 외력이 가해져 그 형상이 변형되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제2중공부(120)에는 그 힘이 거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제2중공부(120)는 담도(B)의 벽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100)가 담도(B) 등에서 미끄러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를 분리한다는 것은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가 완전히 따로 떨어지는 것은 아니라, 서로 엮여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와이어(w)를 이용하여 일부는 연결되어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100)의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가 분리된 부분을 감싸도록 커버부(13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커버부(130)는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의 분리된 부분과 제1중공부(110) 및 제2중공부(120)를 형성하는 금속와이어(w)의 일부를 감싸면서 중공의 형상을 가지도록 제1 및 제2중공부(110, 12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커버부(130)를 형성하는 방법은 솔벤트 캐스팅(Solvent-Casting) 등에 의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된 스텐트에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30)의 재질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실리콘우레탄공중합체(Silicone-Urethane Copolymer), 실리콘(Silico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터(Polyester), 불소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면서, 특히, 생체적합성이 있으면서 내강에 삽입된 후에 부식되지 않아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양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130)를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의 분리된 부분에 형성하는 것은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가 분리되어, 하나 이상의 금속와이어(w)에 의해서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가 완전히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중공부(110)의 사각형상(R)에는 다른 스텐트의 삽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중공부(110, 120)의 사이에 커버부(130)가 형성되고, 제1중공부(110)의 사각형상(R)에는 커버 부(130)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커버부(130)는 제1 및 제2중공부(110, 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2중공부(120)의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스텐트(100)에서 제1중공부(110)의 사각형상(R)에만 커버부(130)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머지 다른 부분에는 커버부(130)가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한편, 본 발명의 스텐트(100)에서 제1중공부(1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중 일부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부분보다 확관(擴管)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공부(110)의 사각형상(R)이 형성되는 위치를 다른 부분보다 확관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스텐트(100, 설명의 편의상 제1스텐트라 한다)에 다른 스텐트(200, 설명의 편의상 제2스텐트라 한다)가 사각부분(R)을 통하여 삽입될 때, 제2스텐트(200)에 의해서 제1중공부(110)가 눌려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텐트(200)가 제1스텐트(100)에 삽입될 때, 제1중공부(110)의 사각형상(R)을 관통하여 삽입되는데, 이때, 제2스텐트(200)에 의해서 사각형상(R)이 벌어지고, 이로 인하여 금속와이어(w)의 사이가 벌어져 제1중공부(110)를 형성하고 있는 금속와이어(w)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변형된다. 그러면서 제1중공부(110)가 제2스텐트(200)에 의해 중공의 내측으로 눌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제1중공부(110)가 중공의 내측으로 눌리게 되면, 제1중공부(110)가 눌려 담도(B)의 벽과 공간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스텐트(100)가 담도(B)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제1중공부(110)에서 중공의 원통 형상 중 일부를 다른 부분보다 확관시킴으로써, 제1중공부(110)가 제2스텐트(200)에 의해서 눌리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담도(B)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공부(110)의 중앙부분이 확관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1중공부(110)의 양끝, 즉, 제1중공부(110)의 피크파트나 밸리파트가 형성된 부분이 확관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무관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2에 도시된 담도(B)의 교차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텐트(100)에 제2스텐트(200)를 삽입하여 동시에 담도(B)의 교차부위에 스텐트(100, 200)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에 대하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즉, 제1스텐트(100)를 카테터 등의 삽입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담도(B)의 한 쪽에 삽입하고, 제2스텐트(200)를 다시 카테터 등의 삽입기구를 이용하여 제1스텐트(100)의 제1중공부(110)에 형성된 사각형상(R)을 통해 사이를 통해 담도(B)의 다른 쪽에 삽입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R)을 통과한 제2스텐트(200)가 본래의 형상으로 확장되면서 제1스텐트(100)의 사각형상(R)의 사이가 벌어진다. 이는 스텐트를 구성하는 금속와이어(110)가 형상기억 합금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담도(B)에 삽입될 때 압축된 제2스텐트(200)가 삽입이 완료되면 제2스텐 트(200)는 본래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스텐트의 사각형상(R) 사이가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1스텐트(100)의 제1중공부(110)를 통해 제2스텐트(200)가 사각형상(R)으로 삽입될 때, 제1스텐트(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변하지 않고, 제1중공부(110)의 형상만 변형이 일어나며, 제1중공부(110)와 제2중공부(120)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2중공부(120)의 형상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제1스텐트는 스텐트로써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제1스텐트(100)와 제2스텐트(200)의 결합으로 하나의 스텐트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고, 전체적인 형상은 'y'형상이 된다.
한편, 제1중공부(110)의 위치는 제1스텐트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위치는 경우에 따라서 달리하여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도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1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되, 도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100)를 제조하는 제조장치(300)에 대해서 간략히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30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0)와 지지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3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고, 지지핀(320)이 삽입될 수 있는 홈(312)이 형성된다. 그리고 홈(312)은 본체부(310)의 외주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홈(312)에 삽입되는 지지핀(320)이 등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홈(312)은 본체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게 된다.
지지핀(320)은 본체부(310)에 형성된 홈(312)에 결합되는 것으로, 금속와이어(w)가 본체부(310)에 지그재그 형태로 감겨지도록 금속와이어(w)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지지핀(320)이 본체부(310)에 형성된 홈(312)에 삽입된 상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홈(312)에 삽입된 지지핀의 제1열(321)과 이웃한 제2열(322)에는 제1열의 지지핀(321)과 대각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여기서 대각방향은 본체부(310)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제1열의 홈(312)에 삽입된 지지핀들(321)을 포함하는 홀수 열은 본체부(3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제2열의 홈(312)에 삽입된 지지핀들(322)을 포함하는 짝수 열은 본체부(3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제조장치(3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1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8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A단계<S801>
금속와이어(w)를 제1열의 첫 번째 지지핀(321a)의 상단에 감은 상태에서 제2열의 두 번째 지지핀(322b)의 하단에 감고, 다시 제1열의 네 번째 지지핀(321d), 제2열의 다섯 번째 지지핀(322e) 순으로 감아서 금속와이어(110)를 제1열 및 제2열의 지지핀(321, 322)에 모두 감고나면, 금속와이어(110)는 피크파트(120-pp) 및 밸리파트(120-vp)를 가지며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본 발명의 제2중공부(120)에 대한 제1열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금속와이어(w)가 제1피크파트(120-pp1)에서 제1밸리파트(120-vp1)로 연장되는 사이에 다른 금속와이어(w)와 네 번의 교차가 이루면서 금속와이어(w)가 엮인다.
이때, 본 단계가 여러 번 반복되어지면 스텐트(100)의 제2중공부(120)가 복수의 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본 단계가 두 번이 이루어져 제2중공부(120)에 두 개의 열이 형성되도록 한다.
2. B단계<S802>
단계 S801에서 금속와이어(w)를 엮어 제2중공부(120)의 일 측이 완성되면, 제3열의 지지핀들(323)을 건너뛰고, 금속와이어(w)를 제4열의 첫 번째 지지핀(324a)의 상단에 감은 상태에서 제5열의 두 번째 지지핀(325b)의 하단에 감고, 다시 제4열의 다섯 번째 지지핀(324e), 제5열의 여섯 번째 지지핀(미도시) 순으로 감아서 금속와이어(w)를 지지핀의 제4열 및 제5열(324, 325)에 모두 감고 나면, 금속와이어(w)는 제1중공부(110)의 제1피크파트(110-pp1)에서 제4밸리파트(110-vp4)로 연장되면서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제1중공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제1피크파트(110-pp1)에서 제4밸리파트(110-vp4)로 연장되는 금속와이어(w1)는 다른 금속와이어와 세 번의 교차를 이루면서 연장되고, 이때, 다른 금속와이어(w2, w3, w4)에 의해서 사각형상(R)이 형성된다.
즉, 금속와이어(w1, w2, w3, w4)에 의해서 제1중공부(110)에 하나 이상의 사각형상(R)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야 금속와이어(w)의 사이가 벌어져 다른 스텐트(200)가 그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 다음, 다시 단계 S801에서와 같이, 제2중공부(120)에 대한 열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텐트(100)에 대한 제조가 이루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스텐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인체의 담도의 교차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스텐트를 도시한 것으로 평면으로 간략화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스텐트에 커버가 형성된 것을 도신한 것으로 평면으로 간략화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스텐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한 것으로 평면으로 간략화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스텐트에 다른 스텐트가 삽입된 스텐트 조립체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금속와이어가 엮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텐트, 제1스텐트
110: 제1중공부
110-pp1, 110-pp2, 110-pp3, 110-pp4, 110-pp5: 피크파트
110-vp1, 110-vp2, 110-vp3, 110-vp4, 110-vp5: 밸리파트
120: 제2중공부
120-pp1, 120-pp2, 120-pp3, 120-pp4: 피크파트
120-vp1: 밸리파트
w: 금속와이어 R: 사각형상
130: 커버부
200: 제2스텐트
300: 제조장치
310: 본체부
312: 홈
320: 지지핀
321: 제1열 지지핀 322: 제2열 지지핀
323: 제3열 지지핀 324: 제4열 지지핀
325: 제5열 지지핀
L: 간 G: 담낭
B: 담도

Claims (8)

  1. 금속와이어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1중공부;
    상기 제1중공부의 양단에 위치하여, 금속와이어가 엮여 형성된 제2중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공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형성하는 금속와이어의 사이가 벌어질 수 있도록 교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중공부가 담도의 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중공부와 상기 제2중공부는 분리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중공부는 금속와이어의 피크파트와 밸리파트의 사이에 상기 금속와이어가 교차되어 서로 다르게 연장된 금속와이어로 둘러싸인 사각의 형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2중공부는 금속와이어가 피크파트 및 밸리파트를 가지도록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Stent).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공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열은 제1피크파트를 형성한 금속와이어가 연장되어 제2피크파트가 형성될 때, 제1피크파트와 제2피크파트의 사이에 둘 이하의 피크파트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부와 제2중공부가 분리된 부분을 감싸는 커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나머지 중공의 원통 형상보다 확관(擴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7. 제1항, 제4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해당하는 제1스텐트; 및
    상기 제1스텐트의 제1중공부를 형성하는 교차된 금속와이어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2스텐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조립체.
  8. 중공의 원통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와이어가 다수의 제1피크파트 및 다수의 제1밸리파트를 가지면서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제1열부를 형성하는 A단계;
    상기 금속와이어가 다수의 제2피크파트 및 다수의 제2밸리파트를 가지면서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여 제2열부를 형성하되, 상기 다수의 제2피크파트 및 제2밸리파트의 사이에 상기 금속와이어가 교차되어 서로 다르게 연장된 금속와이어로 둘러싸인 사각의 형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B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에서 생성되는 제1열부와 상기 B단계에서 생성되는 제2열부는 서로 분리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KR1020090087291A 2009-09-16 2009-09-16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187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291A KR101187211B1 (ko) 2009-09-16 2009-09-16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291A KR101187211B1 (ko) 2009-09-16 2009-09-16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556A KR20110029556A (ko) 2011-03-23
KR101187211B1 true KR101187211B1 (ko) 2012-10-02

Family

ID=4393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291A KR101187211B1 (ko) 2009-09-16 2009-09-16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480B1 (ko) * 2012-03-19 2013-10-23 주식회사 엠아이텍 플렉서블 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556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3522B2 (en) Self-expandable shape memory alloy st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45763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EP1903984B1 (en)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61713B1 (ko) 가변상태 유지형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가변상태 유지형 스텐트
AU2009217462B2 (en) Wavily deformable st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20480B1 (ko) 플렉서블 스텐트
KR20170084214A (ko) 스텐트 보철
KR20160123011A (ko) 스텐트 제조방법
KR101076721B1 (ko) 스텐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6930A (ko) 스텐트
KR20110064090A (ko) 스텐트
JP6177259B2 (ja)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グラフト
KR101109709B1 (ko)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의 구조
KR101187211B1 (ko)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67019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1965A (ko) 스텐트
KR102428729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61206B1 (ko) 더블 스텐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457629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CN115889619A (zh) 一种胆道支架制造夹具及胆道支架制造方法
KR100320239B1 (ko) 내강확장용스텐트와그제조방법
WO2011043500A1 (ko)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40832B1 (ko) 인체내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와 그 제조 방법
JP7252671B2 (ja) 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作方法
KR200194614Y1 (ko)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