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170B1 - Application of under pinning method in remodeling - Google Patents
Application of under pinning method in remodel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7170B1 KR101187170B1 KR1020120028909A KR20120028909A KR101187170B1 KR 101187170 B1 KR101187170 B1 KR 101187170B1 KR 1020120028909 A KR1020120028909 A KR 1020120028909A KR 20120028909 A KR20120028909 A KR 20120028909A KR 101187170 B1 KR101187170 B1 KR 1011871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existing
- foundation
- micropile
- pill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8—Foundations inserted underneath existing building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기초 또는 지중 보를 천공하여 마이크로파일을 설치하고 가설용 경사기둥을 설치하고, 기존 기초를 연장기둥으로 활용하거나 기존 기둥을 연장하여 라멘골조로 활용하여 기존 기둥의 축력이 경사기둥과 마이크로 파일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지반으로 전달되도록 하며, 신설 기초와 하부의 신설 기둥 공사를 완료 후 가설로 설치한 경사기둥과 마이크로 파일을 철거하여 축 하중이 신설 기둥을 따라 하부의 신설 기초로 전달되게 하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amen frame and an inclined pillar to be transmitted to the micro pile as a ramen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micro pile by drilling an existing foundation or underground beam, and to install a hypothetical slope pillar. By using existing foundations as extension pillars or extending existing pillars as ramen frames, the axial force of the existing pillars can be transmitted to the ground stably through slope pillars and micro piles. After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inclined pillar and the micro pile installed as a hypothesis,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using the inclined column and the foundation extension pillar as a ramen frame that transfers the axial load to the micro pile to transfer the axial load along the new pillar to the new foundation. It is about a method.
최근 아파트 및 리모델링 과정에서 상부 건축물을 그대로 두고 하부의 지하구조물을 수직증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은 대부분 평면 확장에 의한 수평증축과 상부 1~3개 층 규모의 수직증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지하 수직 하향증축은 지하층의 용도변경을 위해 추진하거나, 공동주택의 경우 지하 주차장 확보를 위해 진행된다. 건물 하부에 지하층을 하향증축 하는 것은 기존 건축물의 안전성에 대한 부담으로 쉽게 공사를 계획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기존건물 하부에 지하실을 증축하는 경우 기존 기초가 손상되지 않도록 사전에 기초 주변을 강화하고 기초 주변만 굴토하는 소극적인 방법이 간혹 사용되고 있었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ertically expanding underground structures in the lower part of the apartment and the remodeling process. Most of the remodeling of existing buildings mainly consists of horizontal expansion by planar expansion and vertical expansion of 1 ~ 3 floors. Underground vertical extension is undertaken to change the use of the basement floor or to secure underground parking lots in the case of apartment houses. Downgrading the basement below the building is often difficult to plan due to the safety of the existing building. Therefore, when the basement is expanded below the existing building, the surrounding area is strengthened in advance so that the existing foundation is not damaged. And passive way to vomit only around the foundation was sometimes used.
그러므로 현재는 파이프피트 또는 지하 통로 등 기초를 피하여 부분적으로 기초보다 깊게 굴토하는 경우에만 사용되고 기초 하부를 전면적으로 굴토하는 예는 별로 없다.Therefore, it is currently used only to dig deeper than the foundation, such as pipe feet or underground passages, and there are few examples of thorough excavation of the lower foundation.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72958호 "마이크로파일 및 트러스를 이용한 기초구조, 및 주위구조물과 인접한 곳에서 이의 시공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지중에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이크로파일(MP); 상기 마이크로파일(MP) 상부에 설치되는 기초판트러스(BT); 상기 기초판트러스(BT)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철골(CH); 및, 상기 기둥철골(CH)과 기초판트러스(BT) 각각에 타설되는 기둥콘크리트(CC)와 기초판콘크리트(BC);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초판트러스(BT)가 상기 기둥철골(CH)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상기 다수개의 마이크로파일(MP) 각각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일 및 트러스를 이용한 기초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기존벽체(OW) 및 기존기초(OB)를 그대로 존치시키고, 별도로 신축된 기둥, 벽체 및 기초를 구성하여 기존벽체(OW) 및 기존기초(OB) 하중의 전달에서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기존 기초의 하부 전체를 굴토하는 방식이 아니고 기존벽체(OW)를 존치시키고 별도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 건물의 전체를 굴토할 수 없었으며,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기존 건물의 하중과 신설 구조물의 하중을 분리시키도록 하여 시공이 어렵고 경제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1092758, "basic structure using a micropile and trus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n the vicinity of the surrounding structure" (Patent Document 1). In the background art, a plurality of micro piles (MP) installed in a line in the ground as shown in FIG. A base plate truss (BT) installed above the micropile (MP); A column steel frame (CH) installed vertically on the base plate truss (BT); And, pillar concrete (CC) and foundation plate concrete (BC), which are placed on each of the pillar steel frame (CH) and the base plate truss (BT), wherein the foundation plate truss (BT) is the pillar steel frame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asic structure using a micropile and a truss, wherein the loads transmitted from CH) are uniformly distribu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piles MP. However, the background art is to leave the existing wall (OW) and the existing foundation (OB) as it is, and to construct a separate stretched pillars, walls and foundation to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transmission of the existing wall (OW) and existing foundation (OB) load It is not a way to dig the entire lower part of the existing foundation in such a way that the existing wall (OW) is to be left to form a separate structure. Therefore, the whole of the existing building could not be excavated, and by installing a separate structure to separate the load of the existing building and the load of the new structu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is difficult and economic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건물을 보존한 상태에서 기둥 등을 통하여 전해지는 상부하중을 효과적으로 하부의 다수개의 마이크로파일에 균등하게 전달하는 마이크로파일 및 경사기둥을 이용한 기초구조를 제공하여 기존 건물의 수직하향증축을 용이하게 하여, 기존 건물 하부에 지하를 수직증축하는 경우 기존 기초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기초 주변만 굴토하는 소극적인 방법이 아닌 기초 하부를 전면적으로 굴토하여 종래보다 시공성, 구조적 안전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 기초를 기존 기둥의 연장기둥으로 활용하거나 기존 기둥을 연장하여 기존 기둥에서 신설 기둥을 통하여 신설 기초로 연속시킬 수 있으며, 연장기둥에 신설 보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굴토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하며 신설 보 상부에 신설 슬래브로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토압에 저항하고 하부구조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asic structure using a micropile and an inclined pillar to effectively transfer the upper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pillars, etc. in the state of preserving the existing building to a plurality of micropile of the lower part effectively It is easy to vertically expand the existing building by providing the basement.In case of vertically expanding the basement under the existing building, it is possible to make full use of the existing foundation, but to excavate the entire lower part of the foundation rather than the passive method of digging only around the foundation. It can secure structural safety and economy. The existing foundation can be used as an extension pillar of an existing column, or an existing pillar can be extended to continue from the existing column to a new foundation through a new column. To provide a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amen frame with a slope column and a base extension column that are used as a new slab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to effectively resist earth pressure an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ubstructure. There is this.
본 발명은 (a) 기존 기둥 및 기존 기둥과 결합된 상부 보 주변을 보강하는 단계; (b) 기존 기초 또는 지중 보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마이크로파일을 설치하는 단계; (c) 기존 기둥(10)과 마이크로파일(30)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경사기둥(31)을 설치하는 단계; (d) 기존 기초 주변을 굴토하는 단계; (e) 기존 기둥 하부의 기둥 하부 기초만 존치시켜 연장 기둥을 형성하도록 기존 기초를 제거하는 단계; (f) 존치된 연장 기둥의 외부를 철판으로 감싸 보강하여 기존 기둥을 연장하는 단계; (g) 존치된 연장 기둥에 철골 보를 설치하는 단계; (h) 지반을 굴토하는 단계; (i) 지반을 굴토하여 노출된 마이크로파일을 상호 연결하도록 브레이싱을 설치하는 단계; (j) 상기 (h)와 (i) 단계를 기초가 설치될 저면까지 반복하여 지반의 굴토 및 브레이싱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 (k) 굴토된 지반의 하부에 신설 기초를 설치하고, 신설 기둥 및 슬래브를 설치를 반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골조를 완성하는 단계; (l) 브레이싱 및 마이크로파일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reinforcing the existing column and the upper beam surrounding the existing column; (b) installing a plurality of micropiles through existing foundation or underground beams; (c) installing the
또한, 상기 (e)(f)(g)의 단계를 기존 기초를 완전히 제거하고(e'), 기존 기둥의 하부에 기존 기둥을 연장하도록 철판으로 연장하여 결합하고,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장 기둥을 제작하여 기존 기둥을 확장하고(f'), 연장 기둥에 철골 보를 설치하는 단계(g')로 바꾸어 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s of (e) (f) (g) to completely remove the existing foundation (e '), to extend to the bottom of the existing column to combine the extension to the iron plate to extend, and to cast high-strength concrete extension pillar It can be constructed by expanding the existing column (f '), and by changing to the step (g') to install a steel beam on the extension column.
또한, 마이크로파일 상부와 경사기둥이 만나는 부위에 기존 기둥 주변으로 격자형상을 이루도록 경사기둥을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철골 보를 설치하는 단계(g)에서 보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토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the inclined column to form a lattice shape around the existing pilla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micropile upper part and the inclined column meet, and the deck plate at the top of the beam in the step (g) of installing the steel beam It is to provide a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clined column and the foundation extension column as a ramen frame to deliver micro piles that can effectively resist soil pressure by installing concrete.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은 기존 건물을 보존한 상태에서 기둥 등을 통하여 전해지는 상부하중을 효과적으로 하부의 다수개의 마이크로파일에 균등하게 전달하는 마이크로파일 및 경사기둥을 이용한 기초구조를 제공하여 기존 건물의 수직하향증축을 용이하게 하여, 기존 건물 하부에 지하를 수직증축하는 경우 기존 기초를 연장기둥으로 활용하거나 기존 기둥을 연장하여 라멘골조로 활용하여 기존 기둥의 축력이 경사기둥과 마이크로 파일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지반으로 전달되도록 하며, 기존 기초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기초 주변만 굴토하는 소극적인 방법이 아닌 기초 하부를 전면적으로 굴토하여 종래보다 시공성, 구조적 안전성 및 경제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clined column and the foundation extension pillar as a ramen frame to deliver the micro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stores the upper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pillar in the state of preserving the existing building to the plurality of micropiles at the bottom. By providing a basic structure using micro piles and inclined pillars that are transmitted evenly, it is easy to vertically expand existing buildings.In the case of vertical extension of the basement under existing buildings, the existing foundations can be used as extension pillars or existing columns It utilizes as a ramen frame so that the axial force of the existing column can be transmitted to the ground stably through the sloped column and the micro pile. Excellent in structural safety and economy And it is.
또한, 기존 기초를 기존 기둥의 연장기둥으로 활용하거나 기존 기둥을 연장하여 기존 기둥에서 신설 기둥을 통하여 신설 기초로 연속시킬 수 있으며,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활용하여 굴토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하며 신설 보 상부에 신설 슬래브로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토압에 저항하고 하부구조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foundation can be used as an extension pillar of an existing pillar or an existing pillar can be extended to be continued from the existing pillar to a new foundation through a new pillar. It can be used as a new slab on the upper part of the new beam to effectively resist earth pressure and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ubstructur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의 제 1 실시예의 시공순서도,
도 2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의 제 2 실시예의 시공순서도,
도 3a는 기존 건물의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기존 건물을 보강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존 기둥 보강부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싱을 이용한 마이크로파일의 보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본 발명의 주위구조물과 인접한 곳에서 마이크로파일 및 트러스를 이용한 기초구조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construction sequence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clined column and the foundation extension pillar to be delivered to the micro pile as a ramen frame;
2 is a construction sequence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vertically downwardly enlarged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amen frame and an inclined pillar and a base extension pillar to be transmitted to a micropile;
3a is a plan view of an existing building,
3b is a plan view of a state reinforcing an existing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existing column reinforcemen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einforcement of the micropile using brac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asic structure using a micropile and truss in the vicinity of the conventional surroun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presented are illustrative for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은 기존 기초(20)를 천공하여 마이크로파일(30)을 박고 가설용 경사기둥(31)을 설치하면 기존 기둥(10)의 축력이 경사기둥(31)과 마이크로 파일(30)을 통하여 지반(50)에 전달된다. 또한 신설 기초(NB)와 하부의 신설 기둥(NC) 공사를 완료 후 가설로 설치한 경사기둥(31)과 마이크로 파일(30)을 철거하면 축 하중이 신설 기둥(NC)을 따라 하부의 신설 기초(NB)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clined pillar and the foundation extension pillar to be delivered to the micro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amen frame, the existing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clined pillar and the foundation extension pillar to be delivered to the micro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s a ramen fr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의 제 1 실시예의 시공순서도이다.1 is a construction sequence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clined column and the foundation extension pillar to be delivered to the micro pile as a ramen frame.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기존 기둥(10) 및 기존 기둥(10)과 결합된 상부 기존 보(12) 주변을 보강한다(a).As shown in Figure 1a, first reinforces around the existing
보강은 철판(11)을 덧대어 보강하여 안정성 확보 및 가설재로 사용되는 경사기둥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The reinforcement is to reinforce the
기존 기둥(10) 및 기존 기둥(10)과 결합된 상부 보 주변의 외측면을 치핑(chipping)한 후 철판(11)으로 기존 기둥(10)의 외측면을 감싼 후 그라우팅하여 완성하다. 기존 기둥(10)의 보강시에 상부 보와 접하는 부분도 같이 철판으로 보강한다. 이는 기존 기둥(10)을 보강하고 보강된 기존 기둥(10)의 상단부에서 각 마이크로파일(30)로 경사기둥(31)을 설치하여 기존 기둥(10)에 전달되는 하중을 마이크로파일(30)로 균등하게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Chipping the outer surface around the upper column coupled to the existing
도 1b(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기존 기둥(10)의 보강 이후에는 기존 기초(20) 또는 지중 보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마이크로파일(30)을 설치한다(b).As shown in FIG. 1B (a), after the reinforcement of the existing
이는 마이크로파일(30)이 기존 기둥(30)에 작용하는 축력을 하부로 전달하기 위해서이다.This is to transmit the axial force acting on the existing
마이크로파일(30)의 설치는 기존 기초(20) 또는 지중 보를 관통하도록 하부로 천공을 하여 설치하는데, 천공은 우선 기존 기초(20) 또는 지중 보에서 기존 기둥(10)의 둘레로 방사형의 대칭으로 다수개의 천공공을 형성하도록 천공작업을 실시한다.The installation of the
천공공은 마이크로파일(30)이 설치되는 위치를 정하는 곳이며 마이크로파일(30)이 다수개가 관입되어야 하는데, 기존 기둥(10)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마이크로파일(30)로 균등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기존 기둥(10)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기존 기초(20)를 관통하여 천공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 기둥(10)을 중심으로 4방향으로 2개씩 쌍을 이루어 평면상 팔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였으며, 쌍을 이루는 2개의 마이크로파일의 폭은 이후 설치될 보(40)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외측부로 대칭하는 마이크로파일(3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이크로파일(30)의 설치 개수와 설치형태는 현장 상황 및 허용지내력 등을 반영하여야 하며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이 가능하지만 기존 기둥(10)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마이크로파일(30)로 균등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반드시 대칭된 형태를 가져야 한다.Perforation is the place to determine the location where the
설계심도까지 천공완료 후 SLIME을 물 또는 공기로 제거하여 천공공밖으로 씻어낸다. 천공작업이 끝난 이후에는 천공공으로 케이싱을 근입한 이후에 마이크로파일(30)을 삽입한다.After drilling is completed to the design depth, the SLIME is removed with water or air and washed out of the drilling. After the drilling operation is finished, the
마이크로파일(30)의 삽입 이후에는 그라우팅 작업을 하는데, 천공공의 하부로부터 그라우팅 작업을 실시한다. 그라우팅 작업시 밀실하고 균질한 그라우팅이 되도록 연속적인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며, 천공 상부에서 오버플로우(over flow) 될 때까지 수행한다. After inserting the
그라우팅 작업 이후에는 두부를 정리하고 마이크로파일(30)의 상단부에 정착판을 설치하여 마이크로파일(30)의 설치를 완료한다.After grouting, the tofu is cleaned and the fix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icropile 30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마이크로파일(Micro Pile)은 기존의 말뚝기초공법의 적용이 어려운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제한된 지역에서 구조물의 기초공법 또는 부력(Up-Lift Force)대항공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마이크로 파일은 에폭시 코팅 처리된 나선형 강봉(Thread Bar)이 하중력을 전달하며, 강봉 삽입 후 시멘트 그라우트로 강봉과 일체화시키고 강봉의 연결은 정착 너트 또는 커플러(Coupler)를 사용한다. 지하층 터파기 공사 중 상부의 고정하중과 시공하중을 견디기 위해서 마이크로 파일의 내력은 100tf을 확보하도록 하며, 마이크로 파일의 나선형 강봉(Thread Bar)은 65mm, 케이싱(Casing)은 200mm를 사용하고 시공 중 침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이크로 파일의 저면을 풍화암까지 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icro pile is applied as the basic construction method or the up-lift force aerospace method in a narrow or restricted area where the existing pile foundation method is difficult to apply. In the micro pile, epoxy coated spiral bars transfer loads, and after rod insertion, the rod is integrated with cement grout and the rod is connected using a fixing nut or coupler. In order to withstand the fixed and construction loads of the upper part during the excavation of the basement, the pile capacity of the micro pile is secured to 100 tf.The micro pile's spiral bar is 65 mm and the casing is 200 mm. It is desirable to incorporate the bottom of the micropile into weathered rock in order to minimize it.
건축 구조물은 상부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하층 기둥을 통해 기초로 전달되는 힘의 전달과정이 필요하며, 각 층에 작용하는 하중은 슬래브를 통해 작은 보와 큰 보를 거쳐 각 층의 기둥으로 전달되고 최하층 기둥을 통해 기초를 지나 지반으로 힘이 전달된다. 본 발명은 지반에 힘을 직접 전달하는 지내력기초의 시공방법이며, 수직증축을 하기 위해서는 상부에 작용하는 축하중을 기존 기초(20)가 아닌 마이크로파일(30)을 매개체로 이용하여 직접 기반암까지 전달한다. 마이크로파일은 강봉과 내부 모르타르를 통해 상부에 작용하는 축하중을 지반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게 된다.The building structure requires the transfer of force through which the load acting on the superstructure is transferred to the foundation through the lowermost column, and the load acting on each layer is transmitted to the pillars of each floor through the small beam and the large beam through the slab and the lowest floor. Pow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pillars through the foundation and into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method of bearing strength to directly transfer the force to the ground, in order to vertically extend the jungjung acting on the upper portion using the
도 1b(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기존 기둥(10)과 마이크로파일(30)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경사기둥(31)을 설치한다(c).As shown in Figure 1b (b), there is then installed an
경사기둥(31)은 기존 기둥(10) 주변 보와 마이크로파일(30) 상부에 접합한 철판을 연결하여 기존 기둥(10)에 작용하는 축력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축력전달 구조체로서의 역할을 한다.The
마이크로파일(30)은 최하층의 지중에 기존 기초(20)를 관통하여 다수개가 설치되며, 허용지내력에 따라 개수 및 치수 조절이 가능하다. 경사기둥(31)은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상부의 한 곳에서 받아 다수개의 마이크로파일(30) 각각의 상부에 효과적으로 균등하게 나누어 전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A plurality of
경사기둥(31)은 사각형의 강봉, H형강, I형강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기둥(10) 및 마이크로파일(30) 상단부와의 연결은 용접이나 볼트결합 등 통상의 접합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기둥(31)을 설치하면 기존 건물의 하중을 기존 기초(20)에서 경사기둥(31)을 통하여 별도로 설치된 다수의 마이크로파일(30)로 전이시켜 지반에 전달되기 때문에, 기존 건물의 하부에 지하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또한 신설 기초(NB)와 신설 기둥(NC) 공사를 완료 후 가설로 설치한 경사기둥(31)을 철거하면 축하중이 신설 기둥(NC)을 따라 하부의 지내력기초로 전달되게 된다. 상부의 축하중을 마이크로 파일(30)에 직접 전달하기 위해 하중경로인 경사기둥(31)을 최대한 기존 기둥(10)의 상부 구조물에 밀착시켜 결합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new foundation (NB) and the new pillar (NC)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도 1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기둥(31) 설치시에, 마이크로파일(30) 상부와 경사기둥(31)이 만나는 부위에 기존 기둥(10) 주변으로 격자형상을 이루도록 경사기둥(31)을 연결하는 보강부재(32)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b (c), when the
보강부재(32)는 사각형의 강봉, H형강, I형강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사기둥(31) 와의 결합은 용접이나 이음판을 이용한 볼트결합 등 통상의 다양한 접합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기둥(31) 설치 이후에는 기존 기초(20)를 원활하게 절단하기 위하여 기존 기초(20) 주변의 지하층 중앙부의 바닥과 지중보를 제거하고 대략 500~1,000m 정도 굴토한다(d).As shown in Figure 1c,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도 1c(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둥(10) 하부의 기둥 하부 기초만 존치시켜 연장 기둥(20a)을 형성하도록, 기존 기초 중 기둥 하부의 기초만을 존치시키고 기존 기초(20)를 모두 제거한다(e).As shown in FIG. 1C (b), only the base of the lower part of the existing foundation and the existing
기존 기초(20)의 절단면적은 기존 기둥(10)과 동일한 단면을 유지하도록 제거하여 기존 기둥(10)을 연장한 연장기둥이 되도록 한다.The cutting area of the existing
도 1c(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존치된 연장 기둥(20a)의 외부를 철판(21a)으로 감싸 보강한다(f).As shown in Figure 1c (b), and then wrappe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extension pillar (20a) that is retained by the iron plate (21a) to reinforce (f).
연장 기둥(20a)의 외측면을 철판(21a)으로 보강하고, 연장 기둥(20a)와 철판(21a) 사이의 공극에는 에폭시 등을 충전한다. 이와 같이, 연장 기둥(20a)를 보강하여 슬래브 형성을 위한 철골 보(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도 1d(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존치된 연장 기둥(20a)에 철골 보(40)를 설치한다(g).As shown in FIG. 1D (a), the
이는 연장 기둥(20a)와 철골 보(40)로 구성된 라멘골조가 형성되어 토압에 저항하고, 골조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연장 기둥(20a)를 기존 기둥(10)의 연장으로 사용하여 기둥 보 골조시스템으로 구성하기 위해서이다. 철골 보(40)는 상기 연장 기둥(20a)의 외측면의 철판(21a)에 이음판(22) 등을 이용하여 웨브와 결합한다.It is a ramen frame consisting of an
상기 철골 보(40)를 설치하는 단계(g)에서 보(40)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41)를 설치하고 콘크리트(42)를 타설하는 단계가 추가되도록 하여, 추가적으로 토압에 저항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탑다운 공법 적용 하기 위하여 슬래브를 타설할 수도 있다.In the step (g) of installing the
이후, 도 1d(b)와 도 1d(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지하골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반(50)을 굴토하고(h), 지반이 굴토되어 노출된 마이크로파일(30)을 상호 연결하도록 브레이싱(33)을 설치한다(i).Then, as shown in Figure 1d (b) and Figure 1d (c), to excavate the
도 3a는 기존 건물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기존 건물을 보강한 상태의 평면도이다.Figure 3a is a plan view of an existing building, Figure 3b is a plan view of the state reinforcing the existing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후,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와 (i) 단계를 기초가 설치될 저면까지 반복하여 지반의 굴토 및 브레이싱 설치를 완료(j)하여 지하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터파기 작업을 완료한다.Then, as shown in Figure 1e, repeating the steps (h) and (i) to the bottom on which the foundation is to be installed to complete the pit soil and bracing installation of the ground (j) to the trench work for forming the underground frame To complete.
도 1f(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터파기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는 굴토된 지반의 하부에 신설 기초(NB)를 설치하고, 신설 기둥(NC) 및 슬래브를 설치를 반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골조를 완성한다(k). As shown in Figure 1f (a), after completing the excavation work as described above, the new foundation (NB)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ed ground, the new pillar (NC) and the slab is repeated to install the concrete (K) to complete the basement frame by pouring
신설 기초(NB)는 기존 기초(20)를 대신하는 것으로 신설 기둥(NC)이 기존 기둥(10)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기존 기둥(10)에 전달된 하중이 신설 기둥(NC) 및 신설 기초(NB)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new foundation (NB) replaces the existing
도 1f(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신설 기둥(NC) 및 신설 기초(NB)를 설치하여 지하골조를 완성한 이후에는 브레이싱(33) 및 마이크로파일(30)을 제거하여 수직증축을 완성한다(l).As shown in Figure 1f (b), after completing the underground frame by installing the new pillar (NC) and the new foundation (NB) as described above to remove the bracing 33 and the
최하층에 기초배근을 하고 기초를 타설하여 신설 기초(NB)를 완성한다. 이후 나머지 잔연공정은 기존 골조공사와 동일하게 신설 기둥(NC)과 보, 슬래브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존 구조체까지 반복공사를 실시한다.Base reinforcement at the lowest level and placing foundation to complete new foundation (NB). Afterwards, the remaining residual process is repeated with the existing structure by installing new pillars (NC), beams, slabs and placing concrete in the same way as the existing frame construction.
공사가 종료되면, 기존 기둥(10)에 전달되는 하중은 신설 기초(NB)로 전달되기 때문에 더 이상 마이크로파일(30)은 기존 기둥(10)에서의 하중 전달의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거하고, 파이크로파일(30)의 주변 오프닝 구간을 보수하여 완료한다.When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since the load transmitted to the existing
도 2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의 제 2 실시예의 시공순서도이다.Figure 2 is a construction sequence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clined column and the foundation extension pillar to be delivered to the micro pile as a ramen frame.
상기에 설명된 제 1 실시예의 시공방법과 거의 동일하나, 제 1 실시예에서는 기존 기초(20)에서 연장 기둥(20a)만 존치하고(e), 연장 기둥(20a)의 외부를 철판(21a)으로 감싸 보강하고(f), 기존 기초(20)를 제거하여 존치된 연장 기둥(20a)에 철골 보(40)를 설치하였지만(g), 제 2 실시예에서는 나머지 단계는 동일하지만, 기존 기초(20)를 완전히 제거하고(e'), 기존 기둥(10)의 하부에 기존 기둥을 연장하도록 철판(21b)으로 연장하여 결합하고,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장 기둥(20b)을 제작하여 기존 기둥(10)을 확장하고(f'), 연장 기둥(20b)에 철골 보(40)를 설치하는 단계(g')에서 차이가 난다.Almost the same a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기존 기둥(10) 및 기존 기둥(10)과 결합된 상부 기존 보(12) 주변을 보강한다(a).As shown in Figure 2a, first reinforces around the existing
도 2b(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기존 기둥(10)의 보강 이후에는 기존 기초(20) 또는 지중 보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마이크로파일(30)을 설치한다(b).As shown in Figure 2b (a), after the reinforcement of the existing
도 2b(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기존 기둥(10)에서 관입된 마이크로파일(30)의 상단부로 경사기둥(31)을 설치한다(c).As shown in Figure 2b (b), and then install the
도 2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기둥(31) 설치시에, 마이크로파일(30) 상부와 경사기둥(31)이 만나는 부위에 기존 기둥(10) 주변으로 격자형상을 이루도록 경사기둥(31)을 연결하는 보강부재(32)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b (c), when the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기둥(31) 설치 이후에는 기존 기초(20)를 원활하게 절단하기 위하여 기존 기초(20) 주변의 지하층 중앙부의 바닥과 지중보를 제거하고 대략 500~1,000m 정도 굴토한다(d).As shown in Figure 2c,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도 2c(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둥(10) 하부의 기존 기초(20)를 모두제거한다(e').As shown in Figure 2c (b), to remove all the existing
도 2c(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기존 기둥(10)의 하부에 기존 기둥을 연장하도록 철판(21b)으로 연장하여 결합하고, 철판(21b) 내부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장 기둥(20b)을 제작하여 기존 기둥(10)을 확장한다.As shown in Figure 2c (b), after extending to the lower plate of the existing
철판(21b)은 기존 기둥(10)의 외부를 보강한 철판(11)의 하부에 연결하여 연장한다. 철판(21b)의 연장은 기존 기둥(10)과 동일한 단면을 유지하도록 하여 기존 기둥(10)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후 상기 철판(21b)의 내부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장 기둥(20b)을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연장 기둥(20b)의 제작으로 기존 기둥(10)의 하부에 연장 기둥(20b)이 기존 기둥(10)을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reafter, high-strength concrete is poured into the inside of the
이와 같이, 기둥 연장 기둥(20b)을 보강하여 슬래브 형성을 위한 철골 보(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steel beams 40 for slab formation by reinforcing the
도 2d(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존치된 연장 기둥(20b)에 철골 보(40)를 설치한다(g').As shown in Figure 2d (a), the
상기 철골 보(40)를 설치하는 단계(g')에서 보(40)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41)를 설치하고 콘크리트(42)를 타설하는 단계가 추가되도록 하여, 추가적으로 토압에 저항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탑다운 공법 적용 하기 위하여 슬래브를 타설할 수도 있다.In the step (g ') of installing the
이후, 도 2d(b)와 도 2d(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지하골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반(50)을 굴토하고(h), 지반이 굴토되어 노출된 마이크로파일(30)을 상호 연결하도록 브레이싱(33)을 설치한다(i).Then, as shown in Figure 2d (b) and 2d (c), to excavate the ground (50) to form a basement frame in the lower (h), the ground is excavated to expose the
이후,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와 (i) 단계를 기초가 설치될 저면까지 반복하여 지반의 굴토 및 브레이싱 설치를 완료(j)하여 지하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터파기 작업을 완료한다.Then, as shown in Figure 2e, repeating the steps (h) and (i) to the bottom on which the foundation is to be installed to complete the pit excavation and bracing installation of the ground (j) to the trench work for forming the underground frame To complete.
도 2f(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터파기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는 굴토된 지반의 하부에 신설 기초(NB)를 설치하고, 신설 기둥(NC) 및 슬래브를 설치를 반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골조를 완성한다(k). As shown in Figure 2f (a), after completing the excavation work as described above, the new foundation (NB)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ed ground, the new pillar (NC) and the slab is repeated to install the concrete (K) to complete the basement frame by pouring
신설 기초(NB)는 기존 기초(20)를 대신하는 것으로 신설 기둥(NC)이 기존 기둥(10)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기존 기둥(10)에 전달된 하중이 신설 기둥(NC) 및 신설 기초(NB)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new foundation (NB) replaces the existing
도 2f(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신설 기둥(NC) 및 신설 기초(NB)를 설치하여 지하골조를 완성한 이후에는 브레이싱(33) 및 마이크로파일(30)을 제거하여 수직증축을 완성한다(l).As shown in Figure 2f (b), after completing the underground frame by installing the new pillar (NC) and the new foundation (NB) as described above, the bracing 33 and the
도 3a는 기존 건물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기존 건물을 보강한 상태의 평면도이다.Figure 3a is a plan view of an existing building, Figure 3b is a plan view of the state reinforcing the existing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기존 도 3a에서의 평면도에서 기존 보와 기존 기초(20)가 제거가 되고, 도 3b에 도시한 상태로 보강한 형태가 된다.Existing beams and existing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기존 건물을 보강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기존 기둥 보강부의 상세도이다.Figure 3b is a plan view of the state reinforcing the existing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existing column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기둥(31)과 마이크로파일(30) 상부의 접합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추력(수평력)은 각 경사기둥(31)과 마이크로파일(30)의 지점을 연결하는 격자 보 즉, 우물정자 형태로 연결하여 경사기둥(31)을 일체화시켜 안정성을 증대시킨다.As shown in FIGS. 3B and 4, the thrust (horizontal force) that may be generat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싱을 이용한 마이크로파일의 보강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하부에 지하골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반(50)을 굴토하고(h), 지반이 굴토되어 노출된 마이크로파일(30)을 상호 연결하도록 브레이싱(33)을 설치(i)시에, 브레이싱(33)은 마이크로파일(30)이 기존 기둥(1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기둥(10)의 중심에서 동일 거리에 있는 마이크로파일(30)을 각각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한다. 브레이싱(33)의 설치는 사선 및 직선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시 반드시 기존 기둥(10)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하여 설치된 마이크로파일(30)의 안정성을 도모한다.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einforcement of the micropile using brac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지하층 증축을 위해서 굴토를 너무 깊게 하면 노출되는 마이크로파일(30)의 길이가 길어져서 구조가 불안정하고 좌굴의 위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씩 굴토하고 지반이 굴토되어 노출된 마이크로파일(30)을 상호 연결하도록 브레이싱(33)을 설치하는 것이다.마이크로파일(30)이 세장한 부재이고 굴토장비가 가설 기둥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굴토를 1.5m 이내로 하고 좌굴을 방지하도록 수직 간격 1.0m 이내로 브레이싱(33)을 마이크로파일(3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공 중 건물 전체의 안전성 확보와 국부적인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구를 구분하여 깊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안에서 밖으로 시공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pit is made too deep for the basement extension, the length of the exposed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 기존 기둥
11, 21 : 철판
12 : 기존 보
20 : 기존 기초
20a, 20b : 연장 기둥
30 : 마이크로파일
31 : 경사기둥
32 : 보강부재
33 : 브레이싱
40 : 철골 보
41 : 데크플레이트
42 : 콘크리트
50 : 지반
NC : 신설 기둥
NB : 신설 기초10: existing pillar
11, 21: iron plate
12: existing beam
20: Existing Foundation
20a, 20b: extension pillar
30: microfile
31: slope pillar
32: reinforcing member
33: bracing
40: steel beam
41: Deck Plate
42: concrete
50: ground
NC: New Column
NB: New Foundation
Claims (6)
(b) 기존 기초(20) 또는 지중 보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마이크로파일(30)을 설치하는 단계;
(c) 기존 기둥(10)과 마이크로파일(30)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경사기둥(31)을 설치하는 단계;
(d) 기존 기초(20) 주변을 굴토하는 단계;
(e) 기존 기둥(10) 하부의 기둥 하부 기초만 존치시켜 연장 기둥(20a)을 형성하도록 기존 기초(20)를 제거하는 단계;
(f) 연장 기둥(20a)의 외부를 철판(21a)으로 감싸 보강하여 기존 기둥(10)을 연장하는 단계;
(g) 연장 기둥(20a)에 철골 보(40)를 설치하는 단계;
(h) 지반(50)을 굴토하는 단계;
(i) 지반(50)을 굴토하여 노출된 마이크로파일(30)을 상호 연결하도록 브레이싱(33)을 설치하는 단계;
(j) 상기 (h)와 (i) 단계를 기초가 설치될 저면까지 반복하여 지반의 굴토 및 브레이싱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
(k) 굴토된 지반의 하부에 신설 기초(NB)를 설치하고, 신설 기둥(NC) 및 슬래브를 설치를 반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골조를 완성하는 단계;
(l) 브레이싱(33) 및 마이크로파일(30)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a) reinforcing the perimeter of the upper beam coupled with the existing column 10 and the existing column 10;
(b) installing a plurality of micropiles 30 through the existing foundation 20 or underground beams;
(c) installing the inclined column 31 to connect the existing colum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micropile 30;
(d) excavating around the existing foundation 20;
(e) removing the existing foundation 20 so that only the pillar foundation under the existing pillar 10 is present to form the extension pillar 20a;
(f) extending the existing pillars 10 by wrapping and reinforcing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illars 20a with the iron plate 21a;
(g) installing the steel beams 40 on the extension pillars 20a;
(h) excavating the ground 50;
(i) installing the bracing 33 to pit the ground 50 to interconnect the exposed micropile 30;
(j) repeating the steps (h) and (i) to the bottom on which the foundation is to be installed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soil pile and bracing:
(k) installing a new foundation (NB) in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ed ground, repe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new columns (NC) and slabs, and pouring concrete to complete the underground frame;
(l) bracing (33) and the micropile (30) removing step;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clined column and the base extension pillar to be delivered to the micropi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men frame.
상기 경사기둥(31)을 설치하는 단계(c)에서 마이크로파일(30) 상부와 경사기둥(31)이 만나는 부위에 기존 기둥(10) 주변으로 격자형상을 이루도록 경사기둥(31)을 연결하는 보강부재(32)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c) of installing the inclined column 31, a reinforcement for connecting the inclined column 31 to form a lattice shape around the existing column 10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micropile 30 and the inclined column 31 meet.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clined pillar and the foundation extension pillar to be transmitted to the micro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installation member 32 as a ramen frame.
상기 철골 보(40)를 설치하는 단계(g)에서 보(40)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41)를 설치하고 콘크리트(42)를 타설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step (g) of installing the steel beam 40, the deck plate 4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40, and the step of pouring concrete 42 is inclined to transfer to the micropile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column and foundation extension column as ramen frame.
(b) 기존 기초(20) 또는 지중 보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마이크로파일(30)을 설치하는 단계;
(c) 기존 기둥(10)과 마이크로파일(30)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경사기둥(31)을 설치하는 단계;
(d) 기존 기초(20) 주변을 굴토하는 단계;
(e') 기존 기초(20)를 제거하는 단계;
(f') 기존 기둥(10)의 하부에 기존 기둥을 연장하도록 철판(21b)으로 연장하여 결합하고, 철판(21b) 내부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장 기둥(20b)을 제작하여 기존 기둥(10)을 연장하는 단계;
(g) 연장 기둥(20b)에 철골 보(40)를 설치하는 단계;
(h) 지반(50)을 굴토하는 단계;
(i) 지반(50)을 굴토하여 노출된 마이크로파일(30)을 상호 연결하도록 브레이싱(33)을 설치하는 단계;
(j) 상기 (h)와 (i) 단계를 기초가 설치될 저면까지 반복하여 지반의 굴토 및 브레이싱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
(k) 굴토된 지반의 하부에 신설 기초(NB)를 설치하고, 신설 기둥(NC) 및 슬래브를 설치를 반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골조를 완성하는 단계;
(l) 브레이싱(33) 및 마이크로파일(30)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a) reinforcing the perimeter of the upper beam coupled with the existing column 10 and the existing column 10;
(b) installing a plurality of micropiles 30 through the existing foundation 20 or underground beams;
(c) installing the inclined column 31 to connect the existing colum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micropile 30;
(d) excavating around the existing foundation 20;
(e ') removing the existing foundation 20;
(f ') extends and combines with the iron plate 21b to extend the existing column to the lower part of the existing column 10, and casts high-strength concrete inside the iron plate 21b to produce the extension column 20b to produce the existing column 10 E);
(g) installing the steel beams 40 on the extension pillars 20b;
(h) excavating the ground 50;
(i) installing the bracing 33 to pit the ground 50 to interconnect the exposed micropile 30;
(j) repeating the steps (h) and (i) to the bottom on which the foundation is to be installed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soil pile and bracing:
(k) installing a new foundation (NB) in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ed ground, repe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new columns (NC) and slabs, and pouring concrete to complete the underground frame;
(l) bracing (33) and the micropile (30) removing step;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clined column and the base extension pillar to be delivered to the micropi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men frame.
상기 경사기둥(31)을 설치하는 단계(c)에서 마이크로파일(30) 상부와 경사기둥(31)이 만나는 부위에 기존 기둥(10) 주변으로 격자형상을 이루도록 경사기둥(31)을 연결하는 보강부재(32)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step (c) of installing the inclined column 31, a reinforcement for connecting the inclined column 31 to form a lattice shape around the existing column 10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micropile 30 and the inclined column 31 meet.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clined pillar and the foundation extension pillar to be transmitted to the micro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installation member 32 as a ramen frame.
상기 철골 보(40)를 설치하는 단계(g)에서 보(40)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41)를 설치하고 콘크리트(42)를 타설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일로 전달하는 경사기둥과 기초부 연장 기둥을 라멘골조로 이용한 수직하향증축 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In the step (g) of installing the steel beam 40, the deck plate 4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40, and the step of pouring concrete 42 is inclined to transfer to the micropile Vertical downward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column and foundation extension column as ramen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909A KR101187170B1 (en) | 2012-03-21 | 2012-03-21 | Application of under pinning method in remodel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909A KR101187170B1 (en) | 2012-03-21 | 2012-03-21 | Application of under pinning method in remodel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7170B1 true KR101187170B1 (en) | 2012-09-28 |
Family
ID=4711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8909A KR101187170B1 (en) | 2012-03-21 | 2012-03-21 | Application of under pinning method in remodel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7170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6528B1 (en) | 2013-12-26 | 2015-11-05 | 대림산업 주식회사 | Basement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structure |
JP2016191191A (en) * | 2015-03-30 | 2016-11-10 | 株式会社熊谷組 | Reinforcing structure for existing pile foundation |
KR102173798B1 (en) * | 2020-06-24 | 2020-11-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Load transfer apparatus using brace-type supports and horizontal tensioning device, and foundation strengthening method therewith |
WO2021002534A1 (en) * | 2019-07-04 | 2021-01-0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Preload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load and foundation reinforcement method using same |
KR102500803B1 (en) * | 2022-04-14 | 2023-02-16 | 이인영 | Method to Construction an underground tunnel in a Struc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28850A (en) | 2005-05-27 | 2006-12-07 | Takenaka Komuten Co Ltd | Method for reinforcing bending proof stress of upper end part of foundation pile or upper and lower end part of column of existing structure |
KR100926323B1 (en) | 2009-03-13 | 2009-11-12 | 황기수 | Constructing method for extension of underground |
JP2010150818A (en) | 2008-12-25 | 2010-07-08 | Daiho Constr Co Ltd | Pneumatic caiss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KR101072958B1 (en) | 2011-05-18 | 2011-10-12 | 삼성물산 주식회사 | Foundation structure using the micropile and trus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a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places that it is adjacent to |
-
2012
- 2012-03-21 KR KR1020120028909A patent/KR10118717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28850A (en) | 2005-05-27 | 2006-12-07 | Takenaka Komuten Co Ltd | Method for reinforcing bending proof stress of upper end part of foundation pile or upper and lower end part of column of existing structure |
JP2010150818A (en) | 2008-12-25 | 2010-07-08 | Daiho Constr Co Ltd | Pneumatic caiss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KR100926323B1 (en) | 2009-03-13 | 2009-11-12 | 황기수 | Constructing method for extension of underground |
KR101072958B1 (en) | 2011-05-18 | 2011-10-12 | 삼성물산 주식회사 | Foundation structure using the micropile and trus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a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places that it is adjacent t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6528B1 (en) | 2013-12-26 | 2015-11-05 | 대림산업 주식회사 | Basement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structure |
JP2016191191A (en) * | 2015-03-30 | 2016-11-10 | 株式会社熊谷組 | Reinforcing structure for existing pile foundation |
WO2021002534A1 (en) * | 2019-07-04 | 2021-01-0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Preload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load and foundation reinforcement method using same |
CN112449661A (en) * | 2019-07-04 | 2021-03-05 | 韩国建设技术研究院 | Preloading device for adjusting load and method for reinforc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
KR102173798B1 (en) * | 2020-06-24 | 2020-11-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Load transfer apparatus using brace-type supports and horizontal tensioning device, and foundation strengthening method therewith |
KR102500803B1 (en) * | 2022-04-14 | 2023-02-16 | 이인영 | Method to Construction an underground tunnel in a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4796B1 (en) | Top-down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concrete column member as temporary bridge column | |
JP2008013926A (en) | Existing building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 |
KR100967497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 |
KR101187170B1 (en) | Application of under pinning method in remodeling | |
KR20130006420A (en) | Method of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to be newly built | |
KR102084829B1 (en) | Top-down method using precast-concrete colum | |
CN106245927A (en) | A kind of frame structure building underground that is applicable to increases method and the building of layer | |
KR100313720B1 (en) | Composit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CN108316670B (en) | Steel pipe underpinning construction method under existing building foundation | |
KR101467147B1 (en) | Subway platform construction method using semi-rigid connection | |
KR102286225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busing PC integrating method without support | |
KR101296857B1 (en) | Underground structure having slab beam with enhanced bearing power against earth pressure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same | |
KR101054696B1 (en)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with slurry wall retained by slab diaphragm effect | |
CN114134931B (en) | Reverse construction method for developing basement structure of existing building | |
JP2000352296A (en) | Method o constructing passage just under underground structure | |
CN113417300A (en) | Slope support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625115B1 (en) | downward reinforced-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emporary assistant columns | |
KR100967496B1 (en) | Device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 |
JPH0684690B2 (en) | Building basement extension method | |
KR102021496B1 (en) |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by the method | |
JP7275844B2 (en) | WALL-LIK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LIKE STRUCTURE | |
KR20070052109A (en) | Down-ward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slabs and retaining walls by the slim-type composit floor system consisted of the architectural conposit deep deck and unsymmetric h-beam without preliminary wall-attached support beams and sub-beams of the floor | |
KR101222348B1 (en) | The Supporting Structure and Pressing device of Underground Structure | |
CN115198787B (en) | Steel tube column type tower crane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cover-excavation reverse construction method | |
CN111411791A (en) | Existing foundation upper and lower column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expanding underground sp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