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703B1 -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703B1
KR101186703B1 KR1020100058955A KR20100058955A KR101186703B1 KR 101186703 B1 KR101186703 B1 KR 101186703B1 KR 1020100058955 A KR1020100058955 A KR 1020100058955A KR 20100058955 A KR20100058955 A KR 20100058955A KR 101186703 B1 KR101186703 B1 KR 10118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makgeolli
chamber
guide ro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833A (ko
Inventor
고민선
Original Assignee
고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민선 filed Critical 고민선
Priority to KR1020100058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70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B67C3/242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engaging with bottle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67C3/2637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comprising a liquid valve opened by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filling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노즐에 끼워넣는 과정에서 실린더 내부의 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막걸리액만 상기 용기 내부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서 챔버에 저장된 것 이상의 막걸리액이 용기 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킴으로서 항상 정량의 막걸리액을 용기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한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DEVICE FOR INJECTING RICE WINE}
본 발명은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로 항상 정량의 막걸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주로는 곡주라고도 일컬어지는 막걸리(탁주)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막걸리는 백미(白米)를 증자시킨 전분질 원료에 곰팡이류를 인위적으로 번식시킨 입국을 사용하여 전분질을 당화시키고 효모를 투여하여 발효시킨 밑술을 제조하고, 제조된 밑술에 물, 입국을 투여하여 1단 담금 시킨 후, 다시 물과 증자된 쌀을 투여하여 2단 담금시킨 후, 숙성시켜 고운 체로 걸러 내면 막걸리 원액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막걸리는 영양분이 풍부할 뿐 아니라 특유의 감칠맛과 시원한 맛을 느낄 수 있어 고된 작업 후 농부들의 갈증을 덜어주는 농주(農酒)로서 많이 애용되는 민속 고유의 술로 인체에 유해성이 가장 적은 술로 판명되고 있다.
한편, 근래 들어서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막걸리를 용기에 자동으로 주입시켜 상품의 대량화를 추구하고 있는 추세이나, 종래 막걸리 주입장치는 용기 내부로 정량의 막걸리를 정확히 주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 내부의 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막걸리액만 용기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정량의 막걸리액을 용기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한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에 있어서, 막걸리액이 저장된 저장탱크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막걸리액을 저장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안내홀이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실린더의 안내홀에 끼워지며 용기의 밀림압력에 따라 상기 안내홀을 타고 승강동작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막걸리액을 상기 피스톤의 내부 유로로 통과시키는 통과구멍과, 상기 피스톤의 아래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승하며 상기 가이드봉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노즐헤드를 외부로 노출시키며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의 유로로 공급된 막걸리액을 통과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노즐헤드의 노출된 외경을 통해 막걸리액을 용기로 공급하는 안내파이프와, 상기 실린더의 챔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을 타고 상승하며 상기 챔버의 출구를 개방시키는 하부스풀 및 상기 하부스풀과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하부스풀의 상승동작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링의 관통공을 폐쇄시키는 상부스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를 노즐에 끼워넣는 과정에서 실린더 내부의 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막걸리액만 상기 용기 내부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서 챔버에 저장된 것 이상의 막걸리액이 용기 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킴으로서 항상 정량의 막걸리액을 용기에 주입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의 주입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를 노즐에 끼워넣는 과정에서 실린더 내부의 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막걸리액만 상기 용기 내부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서 챔버에 저장된 것 이상의 막걸리액이 용기 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킴으로서 항상 정량의 막걸리액을 용기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한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한편, 하기에서 기술될 정량 주입장치는 막걸리에 대하여 대표하여 기술할 것이나, 이외에 알갱이가 들어 있는 음료(예를 들어 식혜, 쥬스)를 정량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것에도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의 내부구조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100)는 일정량의 막걸리액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탱크(200) 바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정량의 막걸리액을 용기(300)로 주입시키는 수단으로서, 크게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가이드봉(11)과 피스톤(30) 그리고 노즐헤드(4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10)는 저장탱크(200)의 바닥에 브라켓(12)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통체 형태로 상단은 개방(14)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챔버(16)와, 상기 챔버(14)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안내홀(1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챔버(16)에는 저장탱크(200)에 저장되어 있는 막걸리액이 저장되어 지고, 상기 안내홀(18)에는 피스톤(30)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실린더(10)의 개방된 상단에는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막걸리액을 통과시키는 관통공(26a)이 형성된 링(26)이 결합되고, 상기 링(26)의 관통공(26a)은 후술하는 상부스풀(24)의 상승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챔버(16)로 공급되는 막걸리액의 공급량을 제어받게 된다.
상기 실린더(10)의 챔버(16)에는 상, 하부스풀(24, 20)이 각각 배치된다. 상기 상, 하부스풀(24, 20)은 상기 실린더(10)를 관통하고 있는 가이드봉(11)의 외경에 스프링(22)을 사이에 두고 끼워지며 챔버(16)로 막걸리액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챔버(16)에 저장된 막걸리액을 피스톤(30)의 유로(32)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스풀(24)은 피스톤(30)의 동작으로 하부스풀(20)이 승강 동작하면 상기 스프링(22)을 통해 하부스풀(20)의 압력을 전달받아 위로 승강하며 전술한 링(26)의 관통공(26a) 하단 주연부에 밀착되며 링(26)의 관통공(26a)을 폐쇄시키게 되며, 이러한 상부스풀(24)의 동작에 따라 챔버(16)로는 더 이상의 막걸리액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상기 하부스풀(20)은 챔버(16)의 출구(16a)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피스톤(30)이 승강 동작하면 이때의 압력으로 들려지며 상기 챔버(16)의 출구(16a)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피스톤(30)은 상기 실린더(10)의 안내홀(18)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유로(32)가 형성되고, 그 상단 둘레에는 챔버(16)에 저장되어 있는 막걸리액을 상기 유로(32)로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들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30)의 아래에는 내부로 상기 피스톤(30)의 유로(32)와 연결하여 통하는 구멍(40)이 형성된 안내파이프(3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안내파이프(38)는 그 일단은 상기 피스톤(30)에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은 전술한 가이드봉(11)의 끝단에 형성된 노즐헤드(42)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기(300)의 누름압력으로 상기 피스톤이 승강 동작하면 같이 연동하여 승강하며 상기 노즐헤드(42)의 외경을 외부로 노출시켜 막걸리액을 외부, 즉 용기로 토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30)의 외경에는 스프링(36)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36)은 용기(300)의 누름압력이 해지되고 나면 상기 피스톤(30)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막걸리를 공급할 때, 먼저 챔버(16)로 공급되는 막걸리를 정지한 상태에서, 챔버(16)에 저장된 막걸리를 용기로 공급토록 함으로서 정량의 막걸리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스풀(20)과 상기 피스톤(30) 사이에는 공간(60)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300)의 밀림압력에 따라 상기 피스톤(30)이 승강할 때, 상기 공간(60)이 가지는 거리만큼 가이드봉(11)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스풀(20)을 제외한 상기 상부스풀(24)만 스프링(22)의 텐션력으로 승강하며 상기 링(26)의 관통공(26a)을 폐쇄시킴으로서 챔버 내부로 더 이상의 막걸리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30)이 공간(60)을 지나 상기 하부스풀(2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300)의 밀림압력으로 계속 승강하게 되면 상기 하부스풀(20)은 상기 피스톤(30)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챔버(16)의 출구(16a)를 개방시키게 됨으로서 챔버에 저장되어 있는 정량의 막걸리를 용기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봉(11)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봉(11)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브라켓(12)의 내부 상단에 접촉되며 상기 가이드봉(11)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13)를 설치하여 피스톤(30)이 하부스풀(20)에 접촉되고 나면 상기 스토퍼(13)가 가이드봉(11)의 승강을 제한하여 피스톤(30)만 승강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피스톤(30)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봉(11_에 용기(300)를 끼워넣은 다음, 상기 용기(300)를 일정압력으로 일차 밀어올리게 되면 피스톤(30)은 용기(300)의 압력으로 실린더(10)의 안내홀(18)을 타고 위로 승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챔버(16)의 출구(16a)를 폐쇄하고 있는 하부스풀(20)을 밀어올리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하부스풀(20) 위에 스프링(22)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는 상부스풀(24)은 상기 하부스풀(20)의 압력으로 상승하며 링(26)의 관통공(26a) 하단을 폐쇄시키게 되며, 따라서 실린더(10)의 챔버(16) 내부로 더 이상의 막걸리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다음, 도 4에서와 같이 가이드봉(11)에 끼워져 있는 용기(300)를 재차 밀어올리게 되면 피스톤(30)은 용기(300)의 압력으로 계속적으로 승강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피스톤(3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안내파이프(38) 역시 승강하며 가이드봉(11)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노즐헤드(42)의 외경을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 피스톤(30)의 계속적인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피스톤(3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34)들이 실린더(10)의 챔버(16)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챔버(16)에 저장되어 있는 막걸리액은 상기 통과구멍(34)을 통해 피스톤(30)의 내부 유로(32)로 유입된 후, 상기 피스톤(32)의 유로(32)와 연결하여 통하는 안내파이프(38)의 구멍(40)을 통과한 다음, 상기 안내파이프(38)의 상승동작으로 외부로 노출된 노즐헤드(42)의 외경을 통해 배출되며 용기(300) 내부로 주입되어 진다.
즉, 상기한 주입과정을 통해 용기(300)에는 항상 실린더(10)의 챔버(16)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막걸리액만 공급받게 됨으로서, 항상 정량의 막걸리액을 용기(300)로 주입할 수 있게 된다.
10: 실린더 16: 챔버
18: 안내홀 20: 하부스풀
24: 상부스풀 30: 피스톤
32: 유로 34: 통과구멍
38: 안내파이프 40: 구멍
42: 노즐헤드

Claims (1)

  1.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에 있어서,
    막걸리액이 저장된 저장탱크(200)에 브라켓(12)으로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막걸리액을 저장하는 챔버(16)와, 상기 챔버(16)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안내홀(18)이 각각 형성된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가이드봉(11)과;
    상기 실린더(10)의 안내홀(18)에 끼워지며 용기(300)의 밀림압력에 따라 상기 안내홀(18)을 타고 승강 동작하는 피스톤(30)과;
    상기 피스톤(3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3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챔버(16)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16)에 저장되어 있는 막걸리액을 상기 피스톤(3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32)로 통과시키는 통과구멍(34)과;
    상기 피스톤(30)의 아래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3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승하며 상기 가이드봉(11)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노즐헤드(42)를 외부로 노출시키며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30)의 유로(32)로 공급된 막걸리액을 통과시키는 구멍(40)이 형성되어 상기 노즐헤드의(42) 노출된 외경을 통해 막걸리액을 용기(300)로 공급하는 안내파이프(38)와;
    상기 실린더(10)의 챔버(16)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봉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3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챔버(16)의 출구(16a)를 개방시키는 하부스풀(20) 및 ;
    상기 하부스풀(20)과 스프링(22)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봉(11)에 끼워진 상태에서 피스톤(30)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실린더(10)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링(26)의 관통공(26a)을 폐쇄시키는 상부스풀(24)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스풀(20)과 상기 피스톤(30) 사이에는 공간(60)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300)의 밀림압력에 따라 상기 피스톤(30)이 승강할 때, 상기 공간(60)이 가지는 거리만큼 가이드봉(11)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스풀(20)을 제외한 상기 상부스풀(24)만 스프링(22)의 텐션력으로 승강하며 상기 링(26)의 관통공(26a)을 폐쇄시키도록 하며;
    상기 피스톤(30)이 상기 하부스풀(2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300)의 밀림압력으로 계속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스풀(20)은 상기 피스톤(30)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챔버(16)의 출구(16a)를 개방시키게 되며;
    상기 가이드봉(11)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봉(11)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브라켓(12)의 내부 상단에 접촉되며 상기 가이드봉(11)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13)가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30)의 외경에는 상기 피스톤(30)의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6)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
KR1020100058955A 2010-06-22 2010-06-22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 KR10118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955A KR101186703B1 (ko) 2010-06-22 2010-06-22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955A KR101186703B1 (ko) 2010-06-22 2010-06-22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833A KR20110138833A (ko) 2011-12-28
KR101186703B1 true KR101186703B1 (ko) 2012-09-27

Family

ID=4550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955A KR101186703B1 (ko) 2010-06-22 2010-06-22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7725A1 (zh) * 2016-01-05 2017-07-13 深圳瀚星翔科技有限公司 注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368B1 (ko) * 2023-01-31 2023-04-13 이경옥 음료용 알갱이 막힘 방지용 충진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7725A1 (zh) * 2016-01-05 2017-07-13 深圳瀚星翔科技有限公司 注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833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907270U (zh) 一种培养载体结构
KR101186703B1 (ko) 막걸리 정량 주입장치
JP2008068614A5 (ko)
CN101485542A (zh) 饮料机以及用于饮料机的开口设备的穿孔构件
KR101906979B1 (ko) 비드 토출용 펌프 용기
CN208047615U (zh) 一种植物自动浇水装置
KR101284549B1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0426428Y1 (ko)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JP2016101980A (ja) 液体窒素充填装置。
KR102020212B1 (ko)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CN204409357U (zh) 喷雾器
CN102100164A (zh) 一种花盆
KR20120084157A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CN207483344U (zh) 一种可修正液位的计量阀
CN206963424U (zh) 一种花盆
CN208192864U (zh) 饮料胶囊组件及饮品酿造组件
KR200400180Y1 (ko) 수목의 압력식 수간 주입기
CN205670987U (zh) 一种茶树用水肥喷施装置
KR200259205Y1 (ko) 액정량주입장치
KR100850972B1 (ko) 뒤영벌의 먹이 바 제조장치
JP2020175160A (ja) カクテルコップ
CN219546690U (zh) 用于富氢气泡水制备的灌装设备
CN211196696U (zh) 一种草本酵素原液配料灌装机
CN209473136U (zh) 一种可自动补水的花盆
CN206375880U (zh) 一种高压射流式酒体醇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