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212B1 -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212B1
KR102020212B1 KR1020170120714A KR20170120714A KR102020212B1 KR 102020212 B1 KR102020212 B1 KR 102020212B1 KR 1020170120714 A KR1020170120714 A KR 1020170120714A KR 20170120714 A KR20170120714 A KR 20170120714A KR 102020212 B1 KR102020212 B1 KR 10202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discharge pipe
pipe
moisture barrier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140A (ko
Inventor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7012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2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의 배출이 완료됨과 동시에 사료배출관의 출구를 폐쇄시켜 사료저장통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한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공급기의 습기차단장치에 있어서,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에 구비되며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배출관, 상기 사료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사료 공급수단, 상기 사료배출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사료 공급수단의 동작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관 및 상기 사료배출관과 상기 사료공급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사료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상기 사료공급관으로 통과시키되, 상기 사료배출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사료배출관의 직경 보다 크게 성형되어, 상기 사료공급관에서 올라오는 습기가 상기 사료배출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습기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Moisture interrupter in feeder}
본 발명은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공급관을 통해 사료배출관으로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여 사료저장통 내부의 사료가 응고 및 변질되지 않도록 한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 소, 개 등과 같은 가축은 각 개체별로 사료를 먹는 량이 다르고 또, 체격조건이나 체중 등, 성장시기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다르며, 이에 상응하도록 적정량의 사료를 급여하게 된다. 특히, 돼지의 경우 임신 초기 내지는 중기, 말기, 분만 전/후, 비유기, 비유말기, 임신대기기간 등에 따라 사료의 급여량이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연령별, 산차별, 임신 기간별로 체중을 조절함으로써, 건강한 새끼 돼지를 많이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적정량의 사료 및 식수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종래의 선행기술에 따른 사료공급장치로는 평판 위에 쌓인 사료를 스크레이퍼로 긁어서 사료받침대로 추락시키는 방식 또는, 스크류를 따라 이송 공급하는 방식 등이 있으나, 사료의 이송 및 공급량이 불균일하여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2014년 07월 17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4-0090350 호(명칭: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료저장통에 담긴 사료가 하부 사료공급관체를 통해 먹이통에 제한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 배출구에 개폐구가 결합되며 개폐구의 내측에 축 결합된 계량컵이 외측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간 회전하면서 사료를 정량씩 제한적으로 방출시켜 상기의 먹이통에 공급하게 되는 사료공급수단이 구비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된다.
선행기술의 사료배출관은 그 하단은 개폐구의 동작으로 개방 및 폐쇄 동작하더라도 개폐구와 사료배출관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기 마련이며, 이러한 틈새로 사료공급관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가 침투하여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를 응고시키게 되고, 응고된 사료는 변질되어 신선도가 떨어져 가축이 이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습기로 인해 사료가 굳게 되면서 굳은 사료로 인해 원할한 사료배출이 어렵게 되면서 정상적인 사료 공급이 되지 않아 정량의 사료를 가축에게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4-0090350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공급관을 통해 사료배출관으로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여 사료저장통 내부의 사료가 응고 및 변질되지 않도록 한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공급기의 습기차단장치에 있어서,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에 구비되며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배출관, 상기 사료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사료 공급수단, 상기 사료배출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사료 공급수단의 동작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관 및 상기 사료배출관과 상기 사료공급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사료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상기 사료공급관으로 통과시키되, 상기 사료배출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사료배출관의 직경 보다 크게 성형되어, 상기 사료공급관에서 올라오는 습기가 상기 사료배출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습기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습기차단판의 하단에는 상기 습기차단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기차단판의 하단에는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안내관이 연장되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사료공급관에 지지되어 있는 가이드포스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습기차단판의 하강 동작을 가이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료공급관의 상단에는 확장관이 설치되고, 상기 확장관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사료를 통과시키는 통과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기차단판의 하단에는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사료배출관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습기차단판의 동작을 가이드하며, 상기 샤프트의 외경에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료공급기의 습기차단장치에 있어서,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에 구비되며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배출관, 상기 사료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사료 공급수단, 상기 사료배출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사료 공급수단의 동작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관, 상기 사료배출관과 상기 사료공급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사료배출관의 출구를 밀폐한 상태에서 사료의 무게로 하강하며 상기 사료배출관의 출구를 개방시키는 습기차단판 및 상기 습기차단판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사료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바에 연결되어 상기 습기차단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료공급기의 습기차단장치에 있어서, 사료저장통,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에 구비되며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배출관, 상기 사료배출관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사료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관, 상기 사료저장통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사료받침대의 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로프의 당김 동작에 따라 상기 사료받침대를 개방한 상태에서 자중으로 하강하며 사료받침대의 출구를 폐쇄시키는 사료개폐추 및 상기 사료배출관과 상기 사료공급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사료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상기 사료공급관으로 통과시키되, 상기 사료배출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사료배출관의 직경 보다 크게 성형되어, 상기 사료공급관에서 올라오는 습기가 상기 사료배출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습기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료공급관을 통해 사료배출관으로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여 사료저장통 내부의 사료가 응고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습기차단판을 사료배출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사료배출관의 직경 보다 크게 성형하거나 혹은 사료의 무게로 습기차단판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사료배출관의 출구를 개방시켜 사료를 배출시키도록 하되, 사료의 배출이 완료됨과 동시에 스프링의 텐션력으로 습기차단판이 자동 상승하며 사료배출관의 출구를 폐쇄시키도록 함으로서 사료저장통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사료의 응고로 인한 사료의 변질 그리고 사료의 배출이 방해받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공급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습기차단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습기차단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기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기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기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 예의 사료공급수단에 구성되는 습기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기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기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료공급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습기차단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습기차단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 받침대(40)로 사료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공급시키는 유닛으로서 사료저장통(10), 사료배출관(20) 및 사료공급관(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사료저장통(10)은 원통 혹은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상, 하단은 개방시켜 구성하고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1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사료배출관(20)은 상기 사료저장통(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사료저장통(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사료공급관(30)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사료배출관(20)의 내부에는 사료공급수단(50)이 설치된다. 상기 사료공급수단(50)은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로 구성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사료배출관(20)의 내부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사료배출관(20)의 내부를 통과한 사료는 상기 사료배출관(20)의 하단 출구를 통해 아래의 사료공급관(30)으로 배출되어 진다. 한편, 상기한 사료공급수단(50)은 언급한 구조 외에 블레이드나 스크류 방식 또는 개폐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함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상기 사료공급관(30)은 상기 사료배출관(20)의 아래에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그 하단은 사료받침대(40)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사료배출관(20)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상기 사료받침대(40)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사료공급관(30)의 상단에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습기차단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습기차단장치에 대하여 여러 가지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습기차단장치는 습기차단판(60), 가이드포스트(66), 지지플레이트(68) 및 스프링(7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습기차단판(60)은 콘 형상으로 상단(60a)에서 하단(60b)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부(62)를 가지도록 성형하여, 상기 사료배출관(20)의 하단 출구 주위면에 밀착 및 밀착 해지되어 진다.
상기 습기차단판(60)은 상기 사료배출관(20)의 출구(22) 주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료공급수단(50)의 동작으로 사료저장통(10)에 저장된 사료가 사료배출관(20)의 내부로 투입되면 이때의 사료 무게로 인해 하강하며 사료배출관(20)의 출구를 개방시켜 사료를 사료배출관 아래의 사료공급관(30)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사료배출관(20)의 내부로 투입된 사료의 배출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습기차단판(60)은 스프링(72)의 텐션력에 의해 상승하며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사료배출관(20)의 출구(22)를 밀폐시켜 사료받침대(40)로 투입된 식수와 같은 것들에서 발생한 습기가 사료배출관(2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상기 습기차단판(60)의 하단에는 안내관(64)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안내관(64)은 전술한 가이드포스트(66)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습기차단판(6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포스트(66)를 타고 승, 하강하며 습기차단판(60)의 동작을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포스트(66)는 상기 습기차단판(60)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로서 그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66)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68)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68)는 사료공급관(30)의 상단,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료공급관(3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확장관(32)의 내부 경사턱(34)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포스트(66)를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지지플레이트(68)를 사료공급관(30)의 확장관(32)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표하여 기술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사료공급관(30)의 상단에 확장관(32)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사료공급관(30)의 내부에 지지플레이트(68)를 직접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확장관(32)과 사료공급관(30)의 내경은 사료가 하강할 수 있도록 습기차단판(60)의 외경 보다 큰 직경을 가져야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8)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7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통과구멍(70)은 습기차단판(60)의 하강 동작으로 개방된 사료배출관(20)의 출구(22)를 통해 배출된 사료를 아래의 사료공급관(30)으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스프링(72)은 상기 안내관(64)의 내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습기차단판(60)의 하강 동작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습기차단판(60)으로 가해지는 사료의 무게가 없어짐과 동시에 상기 습기차단판(60)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기차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습기차단장치는 습기차단판(160), 고정관(162), 샤프트(164) 및 스프링(166)으로 구성한다.
상기 습기차단판(160)은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콘 형상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부를 가지도록 성형하여, 사료의 무게로 하강 그리고 스프링(166)의 텐션력으로 승강 동작하며 상기 사료배출관(20)의 하단 출구(22) 주위면에 밀착 및 밀착 해지하며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고정관(162)은 사료배출관(20)과 사료공급관(30) 사이에 위치하는 관으로서 그 하단 주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16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관(162)은 습기차단판(160)과 샤프트(164)를 지지해주고, 상기 습기차단판(160)의 동작으로 사료배출관(20)의 출구(22)에서 배출된 사료를 상기 통과구멍(163)을 통해 사료공급관(30)으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샤프트(164)는 일단은 상기 습기차단판(160)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관(162)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습기차단판(160)의 승, 하강 동작에 따라 함께 상, 하 이동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166)은 상기 샤프트(164)와 상기 고정관(162)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샤프트(164)의 상, 하 이동을 탄력 지지하며 하강 동작한 습기차단판(160)을 초기 상태로 자동 복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관(162)은 관체 외에도 샤프트와 습기차단판을 사료배출관의 하단에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구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기차단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습기차단장치는 사료배출관(20)의 하단 출구(22) 아래에 습기차단판(260)을 설치하되, 상기 습기차단판(260)의 상단에 스프링(262)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262)의 타단은 사료배출관(20) 내부에 설치된 지지바(264)에 연결 구성하여, 상기 습기차단판(260)을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습기차단판(260)은 사료배출관(20)의 출구(22)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사료의 무게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사료배출관(20)의 출구를 개방시키게 되고, 또한 사료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스프링(262)의 텐션력으로 상승하며 초기상태로 복귀해 사료배출관(20)의 출구를 밀폐시켜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게 된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에서 다른 사료 공급수단에 구성되는 습기차단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사료공급수단을 구동모터와 블레이드로 하지 않고, 수동개폐장치인 사료개폐추(350)의 상, 하 작동으로 사료저장통(10) 내부로 저장된 사료가 사료배출관(20)을 통해서 배출되는 구성으로써 통상의 경우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사료공급관(30)으로 부터 올라오는 습기나 축사 내부의 습기가 사료배출관(20) 내부로 스며들어 사료저장통(10) 내부의 사료를 굳게 한다. 그리하여 사료배출관(20) 하단과 사료공급관(30) 사이에 습기차단판(60)을 설치하여 사료의 원할한 배출이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는 사료배출관(20)과 상기 사료공급관(30) 사이에 위치하며 사료배출관 출구를 밀폐하지 않고 항상 사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습기차단판(460)을 포함하되, 상기 습기차단판(460)은 상기 사료배출관(20)의 하단 출구(22) 아래에 일정거리 떨어지게 위치한 상태에서 사료공급수단(50)의 동작으로 사료가 사료배출관(20)으로 배출되게 되며, 배출된 사료는 습기차단판(460)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며 사료를 아래의 사료공급관(30)을 통해 사료받침대(20)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습기차단판(460)의 아래에는 상기 습기차단판(460)을 확장관(32)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플레이트(468)를 설치하되, 별도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을 설치하지 않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즉, 도 8의 습기차단판(460)은 사료의 무게로 하강 및 스프링의 텐션력으로 승강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플레이트(468)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료배출관(20)의 하단 출구(22) 아래에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여 사료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상기 습기차단판(460)의 직경은 상기 사료배출관(2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습기차단판(460)의 직경을 상기 사료배출관(20)의 직경 보다 크게 제작하여 아래의 사료공급관(30)을 통해 올라오는 습기가 사료배출관(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기차단판(460)은 원뿔 단면 형태로 성형할 수 있고, 도 9에서와 같이 원판의 단면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습기차단판(460, 560)의 형상이 다양하게 구현된다 하더라도 습기차단판(460, 560)의 직경은 사료배출관(2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더 크게 성형하여야만 습기가 사료배출관(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10: 사료저장통 20: 사료배출관
30: 사료공급관 40: 사료받침대
50: 사료공급수단 60: 습기차단판
62: 경사면부 64: 안내관
66: 가이드포스트 68: 지지플레이트
70: 통과구멍 72: 스프링

Claims (7)

  1. 삭제
  2. 사료가 담겨지는 사료저장통과,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에 구비되어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배출관과, 상기 사료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사료 공급수단과, 상기 사료 공급수단의 동작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관과, 상기 사료배출관과 사료공급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사료공급관에서 올라오는 습기가 상기 사료배출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습기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통상의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단판의 하단에는 상기 습기차단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습기차단판의 하단에는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안내관이 연장되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사료공급관에 지지되어 있는 가이드포스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습기차단판의 하강 동작을 가이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관의 상단에는 확장관이 설치되고, 상기 확장관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사료를 통과시키는 통과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5. 사료가 담겨지는 사료저장통과, 상기 사료저장통의 하단에 구비되어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배출관과, 상기 사료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사료 공급수단과, 상기 사료 공급수단의 동작으로 상기 사료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료받침대로 공급하는 사료공급관과, 상기 사료배출관과 사료공급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사료공급관에서 올라오는 습기가 상기 사료배출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습기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통상의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습기차단판의 하단에는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사료배출관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습기차단판의 동작을 가이드하며;
    상기 샤프트의 외경에 스프링이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70120714A 2017-09-19 2017-09-19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KR10202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714A KR102020212B1 (ko) 2017-09-19 2017-09-19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714A KR102020212B1 (ko) 2017-09-19 2017-09-19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40A KR20190032140A (ko) 2019-03-27
KR102020212B1 true KR102020212B1 (ko) 2019-11-04

Family

ID=6590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714A KR102020212B1 (ko) 2017-09-19 2017-09-19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130B1 (ko) * 2020-12-29 2024-04-08 박성철 자동급이장치 및 자동급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4Y1 (ko) * 2005-08-04 2005-11-08 송민석 가축용 사료 공급장치
KR200427801Y1 (ko) * 2006-07-14 2006-09-29 안광덕 가축사료 급이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212B1 (ko) 2013-01-07 2015-01-13 이창현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KR101794667B1 (ko) * 2015-04-09 2017-11-07 이창현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735009B1 (ko) * 2015-07-17 2017-05-12 이창현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4Y1 (ko) * 2005-08-04 2005-11-08 송민석 가축용 사료 공급장치
KR200427801Y1 (ko) * 2006-07-14 2006-09-29 안광덕 가축사료 급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40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600B1 (ko) 실험동물의 건강상태 체크가 용이한 실험동물 사육용케이지
US8302563B2 (en) Sow feeder
KR102020212B1 (ko) 사료공급기의 습기 차단장치
CN106804443B (zh) 升降式猪饲料投料装置
US20070289539A1 (en) Apparatus for feeding swine and piglets
KR101590448B1 (ko) 사료의 정량 자동 공급장치
CN209824784U (zh) 一种宠物自动喂食装置
KR101735009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1720792B1 (ko) 원활한 사료 공급이 가능한 사료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2213371B1 (ko) 개폐볼 덮개와 이것을 이용한 축산용 사료 계량통
RU2555573C2 (ru) Кормушка для домашней птицы
CN114946682B (zh) 一种智能猪食槽及其使用方法
KR102252085B1 (ko) 사료 계량통
KR101923115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CN2772219Y (zh) 自动喂食器
CN108040903A (zh) 一种羊舍用自动给料装置
KR101573265B1 (ko) 사료급이기의 사료 토출장치
CN211210942U (zh) 一种仔猪饲料精准饲喂装置
CN212035442U (zh) 一种家禽养殖自动喂料装置
CN211631358U (zh) 一种农业养殖用的自动投食器
US2811288A (en) Feeder for livestock
CN219844526U (zh) 一种防止干料饲料霉变的干湿饲喂料槽
CN219352761U (zh) 一种使用方便的喂食槽
KR200316988Y1 (ko) 양돈용 사료 공급기
CN110547212A (zh) 一种饲料定量下料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