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748B1 -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748B1
KR101185748B1 KR1020110054983A KR20110054983A KR101185748B1 KR 101185748 B1 KR101185748 B1 KR 101185748B1 KR 1020110054983 A KR1020110054983 A KR 1020110054983A KR 20110054983 A KR20110054983 A KR 20110054983A KR 101185748 B1 KR101185748 B1 KR 101185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antistatic
panel
coating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민
Original Assignee
신우폴리텍스주식회사
현대건설주식회사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폴리텍스주식회사, 현대건설주식회사,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폴리텍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8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static elec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등의 승강기 벽체를 구성하는 하이그로시 판넬에 대전방지 특성을 부여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승강기용 하이그로시 판넬은, 최외층에 자외선 경화형 코팅 도막층이 형성되되, 상기 코팅 도막층 조성은, 5~20wt%의 양이온 대전방지제와, 2~15 wt%의 이미다졸린 (imidazoline)계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0.5~10wt%의 표면개질 첨가제와, 광개시제와 레벨링제 및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3~ 6wt% 함유되고,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성 올리고머와 다관능성 모노머 및 반응성 모노머로 이루어진 잔여 베이스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하이그로시 판넬에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하여 승강기의 운행 중 정전기 방전에 의한 전자부품의 파손으로 인한 승강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한편 판넬 표면에 내오염성 및 자기 세정능력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HIGH-GROSSY PANEL FOR ELEVATOR WITH ANTISTATIC PROPERT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등의 승강기 내,외장 벽체를 구성하는 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광택성 수지가 표면 코팅된 고광택(high grossy) 패널의 코팅 도막층에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하여 승강기의 운행 중 정전기 방전에 의한 전자부품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운행 중 빈번하게 반복되는 금속제 도어의 개폐동작이나 케이지나 발판의 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기계적인 마찰의 결과로 마찰부 주의의 금속제 판넬 상에 높은 전하밀도가 생성된다. 그리고, 승강기 탑승자자가 화학섬유가 섞인 의복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 옷감 사이의 마찰에 의해서 대전이 일어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대전된 물체 사이에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인체에서 도체로, 또는 대전물체에서 인체로 방전이 일어나서 인체 내로 전류가 흐르는 전격현상이 초래된다.
이와 같은, 전격현상은 인체에 치명적인 충격으로 작용하지는 않더라도, 그로 인한 2차적 재해의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며, 전격에 의한 순간적인 불쾌감이나 공포감이 유발됨은 피할 수 없다.
한편,승강기는 다중시설물 특성상 많은 사람의 왕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기계구조물 자체의 연속되는 이동으로 인해서 대전이 누적 형성되는바, 이때 승강기 내부 또는 주의의 공기 중에서 브라운 운동을 하는 미세입자들 중에서 상기와 같이 대전된 상태의 승강기 표면상에 도달되는 입자는 더욱 활성화되어 승강기의 내,외부 판넬의 표면에 입자 유인(ESA)되어 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흡착 먼지는 물리적인 힘을 가해서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바, 특히 승강기 내부의 판넬 이음부나 천정 부위 등에 누적되는 부유물의 상당 부분은 인체의 피부각질, 머리카락 및 땀샘 분비물 등과 같은 단백질로서 이들이 먼지와 혼합되는 경우 유해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할 수 있는 오염원으로서 전염성 질병의 감염 매개처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유입 오염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필터가 구비된 송풍기를 포함하는 케이지 내부 순환청정 시스템이나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제전기(Ion Blower)를 설치하고 있는데, 문제는 이들 설비는 천정 부위에 위치함에 따라 천정부 바로 아래쪽 영역의 공기에 대해서만이 세정이나 대전방지 기능이 발휘될 뿐으로서 케이지 내부 영역 전체에 걸쳐 제 기능을 발휘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으며, 이에 더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잦은 개폐 역시도 상기 설비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일부의 경우에 있어서는 자외선 살균등을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하여 자외선 살균선 조사를 통한 흡착 오염원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도 하나, 탑승자의 얼굴이나 눈 부위 등의 약한 피부가 과량의 살균선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결막염이나 각막염을 초래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일단 승강기 내부에 흡착된 오염원은 화학 세정액을 수세미 등에 묻혀서 제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케이지 내부 청소작업시에 이음매나 굴곡부에 위치하는 오염원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며, 승강기의 스테인레스 스틸제 판넬이나 투명 수지코팅된 하이그로시 판넬의 표면을 수세미로 문지르는 과정에서 스크래치에 의한 표면 손상이나 의장면의 탈색이 초래되거나 잔류 세정액에 의한 승강기 내부 설비의 녹 발생이 유발될 우려가 높다.
이에 더하여, 승강기의 운행 중에 강한 정전유도 현상이나 정전기 방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승강기를 구성하고 있는 전자부품이나 소자가 강한 전계나 방전에 의한 노이즈로 인해서 파손되거나 오동작을 초래하여 승강기의 안전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정전기 방전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건축물이나 각종 기계장치나 설비의 내,외장재 표면에 대전방지 코팅층을 형성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승강기와 관련한 대전방지 코팅층이 적용되고 있는 예로는, 칼라강판이나 프린트 강판 소재의 표면에 유기화합물의 유기계 도료, 에멀젼 및 수분산성 수성계 도료를 10 ~ 30㎛ 두께로 도포하여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기술을 들 수 있다.
즉, 종래 칼라 강판에 대한 대전방지 코팅층 형성은, 전도성 고분자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에 탄소나노튜브, TiO2 코팅 산화철, 나트륨(Na), 마그네슘(Mg), 칼륨(K), 칼슘(Ca), 스칸듐(Sc),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g), 코발트(Co), 철(Fe), 구리(Cu), 아연(Zn), 갈륨(Ga),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 (Cu), 스트론튬(Sr), 지르코늄(Zr), 니오븀(Nb) 또는 몰리브덴(Mo)을 혼합 첨가하여 얻어진 조성물을 피착체 표면에 도포하여 대전방지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칼라 강판은 그 두께가 0.8mm 이하이기 때문에 1.6~2.1mm 의 두께규격이 요구되는 엘리베이터용 강판 소재로 적용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과 함께 대전방지 코팅층을 구성하는 고분자 특성이 약해서 충격 및 스크래치에 쉽게 손상 또는 파괴가 일어나며, 자외선 경화방식의 경화 건조시 투과율에 영향을 주어 미경화 및 부착불량의 원인이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의 칼라 강판용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유기계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인체에 유해하다는 지적이 따르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엘리베이터용 내장 판넬의 한 형태로서, 금속 판체의 표면에 요구되는 색감, 질감, 문양 등이 표현되는 베이스코팅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투명수지층을 코팅하여 고광택 특성을 구현한 이른바 하이그로시(high grossy) 판넬이 개발되어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승강기용 하이그로시 판넬에서는 외부충격이나 날카로운 물체의 접촉이 가해지더라도 그러한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한편으로 고광택 표면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충격보호 기능을 갖는 두꺼운 마감 도막층이 요구되는바, 상기 칼라 강판의 대전방지를 위해 적용되는 코팅층의 경우에는 도막의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충격이나 스크래치에도 약하기 때문에 하이그로시 판넬의 대전방지 코팅층으로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기존의 승강기용 판넬에 적용된 하이그로시 코팅층은 높은 전기 절연저항을 갖고 있으며, 접촉대전, 마찰대전, 박리대전 및 유동대전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된 정전기를 흘려버리지 못하고 축적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음으로 해서, 그와 같이 축적된 정전기로 인한 집적회로 칩의 회로단락 및 오작동이 초래되거나 메모리가 파괴되어 승강기 운행시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이어질 우려를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승강기에서 지적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승강기용 하이그로시 패널의 최외층 표면에 대전방지 및 자체정화기능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승강기 운행의 안전성을 제고시키는 한편 위생적이고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술적 목적은, 승강기용 하이그로시 판넬의 표면에 대전방지 자외선 경화형 코팅 도막층을 형성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코팅 도막층은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성 올리고머와 다관능성 모노머 및 반응성 모노머로 이루어진 조성을 베이스 바인더 수지로 하여, 여기에 양이온 대전방지제와 대전방지 및 계면활성제 겸용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표면 개질 첨가제가 혼합되어진 조성이다.
상기 베이스 바인더 수지의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성 올리고머와 다관능성 모노머 및 반응성 모노머의 혼합 중량비는 2:4.5:2 정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 대전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대전방지제의 40~90wt%의 범위 내에서 대전방지 성능과 상용성 및 물성요구치에 따라 조절되어 사용되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혼합 대전방지제 전체량의 10~60wt% 범위에서 첨가되어 표면/계면 전하를 중화시키는 대전기능을 발휘하는 한편 도료의 표면에너지를 낮춰서 기포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승강기용 하이그로시 판넬의 코팅 도막층 조성은; 5~20wt%의 양이온 대전방지제와, 2~15wt%의 이미다졸린(imidazoline)계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0.5~10wt%의 표면개질 첨가제와, 광개시제와 레벨링제 및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3~6wt% 함유되고, 잔여 베이스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조성성분의 기능과 성분한정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양이온 대전방지제의 함량이 5wt% 미만으로 되면 대전방지 특성이 발휘되지 않고, 20wt%를 초과하게 되면 대전방지제와 도료의 상용성이 떨어져서 백탁 (haze) 액상으로 되어 경화 후 광택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투명도가 낮아지며 미경화된 도막이 남게 되어 도막의 부착력과 외관 물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다음, 이미다졸린계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섬유연제(fabric softner), 분산제(dispersant), 대전방지제(anti-static agent) 및 유화제(emulsifier) 등의 다기능 용도로 사용되며, 배합 조성물에서는 대전방지 기능과 계면활성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도료의 기포 안정성을 도모하는 한편 접촉각을 낮춰서 평활한 도막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이 2.0wt%를 밑돌게 되면 대전방지 특성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표면장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도막 표면에 기포가 생성되고 레벨링 물성이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그 첨가량이 15wt%를 초과하게 되면 자외선 경화가 어렵고, 도막의 물성에 영향을 미쳐 도막의 균열 및 밀착력 약화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미다졸린계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2~15wt%의 범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표면개질 첨가제의 구체적인 물질로,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Polydimethylsiloxane)이 사용되는바, 이는 분자량이 적은 선형 구조의 변성 실리콘 화합물로서, 하이그로시 도막의 두께가 두꺼워서 도장 후 경화 전 셋팅시 첨가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하이그로시층 상부로 부상하게 되어 도막 층간 부착력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며, 또한 이 첨가제는 비닐, 아미노,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장쇄에 알리파틱 또는 유기 기능기 역할을 함과 아울러 실리콘 원자에 메틸 치환기를 부분 치환시켜 효과를 발휘하게 하는데 표면 마찰계수에 영향을 주어 표면장력의 저하 및 표면유동성의 개선을 도모하는 한편 도막표면의 슬립성, 내긁힘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키고, 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 세정능력 (self cleaning)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표면개질 첨가제의 함량이 0.5wt%에 미치지 못하게 되면 상기의 여러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과정 중에 밀도와 표면장력의 차이로 인해 버나드셀이나 오렌지필과 같은 불균일한 도막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보조첨가제로서의 광개시제, 레벨링제 및 자외선 흡수제는 목적에 따라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첨가하되, 3~6wt%의 첨가범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도료는, 크롬 및 아연도금된 전기아연도금 강판, 용융아연 도금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등의 판금성형된 승강기용 도어, 승강기 내부 판넬 및 에스컬레이트 등을 비롯한 도장처리 후 판금가공이 가능한 평판 강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도료는 침지코팅, 롤러코팅, 커튼 플로 코터, 다이코팅 또는 에어리스 스프레이코팅 등의 방법을 통해서 상기의 적용대상 강판 표면 상에 코팅되어 진다.
한편, 기존의 하이그로시 강판은, 전처리된 강판 소지에 밀착성, 내약품성, 내구성 및 내식성 부여를 위한 열건조 소부 공정을 수행한 후에 문양이나 패턴을 부여하기 위한 공정으로서의 다양한 문양이나 패턴이 인쇄된 열전사지를 열전사하여 20~100㎛ 두께의 베이스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는바, 이러한 베이스코팅층 위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료가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코팅 도막층은, 도료의 점도를 1000~9000(mPas/25℃)로 조정하여, 상기 언급된 도장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자외선(UV) 조사량 500~ 1300mJ/㎠, 도막두께 100~ 300㎛로 형성되도록 하는바, 이때 내스크래치성, 내오염성 및 자기세정 등의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표면저항값을 102 ~1012Ω/sq 정도의 낮은 값으로 조정할 수 있음으로 해서 우수한 영구 대전방지 효과와 먼지흡착 방지 및 자체 정화기능을 비롯한 도장표면 손상방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도 도막층의 형성시 그 도막의 두께가 100㎛ 미만으로 되면 대전방지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300㎛ 초과시에는 도막 층간 부착력의 약화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경화단계에서 자외선 조사량이 500mJ/㎠ 미만이면 광경화 효과를 거둘 수 없고, 1300mJ/㎠ 초과시에는 도막에 크랙이 발생됨과 아울러 부착력의 약화가 초래된다.
본 발명은 승강기용 하이그로시 판넬의 표면에 대전방지 코팅 도막이 형성됨으로써 브라운 운동에 의해 활성화된 미세입자 먼지들이 하이그로시 판넬의 표면에 유인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축적된 대전에 의해 승강기 제어 및 안전장치 기능의 회로단락 및 오작동, 메모리칩 파괴 등이 방지되어 승강기의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은 낮은 표면 저항값을 나타내어 먼지의 흡착방지 및 자체정화 기능을 발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이그로시 판넬은 대전방지 코팅층 형성용 도료 중에 첨가된 표면개질 첨가제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에 의해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도막표면의 수접촉각을 낮추어 물로 도막표면 세척시 오염원을 스스로 세정하게 하는 자기 세정기능(self-cleaning)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이그로시 판넬의 베이스코팅층 위에 상도 도막으로 형성되는 대전방지 코팅층의 두께가 충분히 두껍고 또한 내스크래치 특성을 보유함에 따라 그 아래쪽의 베이스코팅층에 대한 확실한 보호 및 하이그로시 판넬 고유의 고광택 특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차원의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1에 기초하여 승강기용 자외선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제 조성물을 마련하였다. 하도, 중도 및 인쇄코팅(베이스코팅층)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친 시편의 표면에 상기 코팅제 조성물을 커튼 플로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시켰다.
이어서, 40~70℃의 온도에서 80초 동안 적외선(IR) 셋팅 후, 80W/cm 수은램프 2개와 메탈할라이드 램프 1개를 광원으로 하여, 조사거리 15cm, 컨베이어 속도 5m/min, 자외선(UV) 조사량 800mJ/㎠로 280㎛의 도막 두께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조성물 성분(wt%)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성 올리고머
CN9004(SARTOMER)
difunctional aliphatic urethane acrylate

20

20

20

20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성 모노머
SR-355(SARTOMER)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30

30

30

30
SR-9035(SARTOMER)
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15

15

15

15
반응성 모노머 SR-214(SARTOME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20

20

20

20
광개시제 alpha-hydroxy-ketones & bland(CIBA) 5 5 5 5

대전방지제
JI 65(중일유화)
양이온 대전방지제

6.5

5.5

6.5

-
IMQ85(애경정밀화학)
대전 및 계면활성제(이미다졸린)

3

4

3

-
표면개질 첨가제 폴리디메틸실록산(WACKER) 0.5 0.5 - -
상기 표1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 및 비교예 시편에 대한 물성시험 결과는 아래의 표3에 나타나 있다. 표2는 표면 고유저항값에 따른 대전특성 및 적용예를 보인 것이다.
먼저, 시험조건은 아래와 같이 하였다.
(1) 광택도는 BYK GARDNER 광택도계를 사용하였으며, JIS Z 8741(1) 광택도 측정방법을 적용하였다.(60° gloss meter)
(2) 경도는 JIS K-5400의 연필 경도법에 따라 하이그로시 경화된 코팅층에 미쯔비시(Mitsubishi) 연필 종류별(H, 2H, 3H, 4H, 5H)로 측정하였다.
(3) 부착력 측정은 ISO 2409의 도료 접착력 시험법에 따라 코팅 도막층 간격이 2mm가 되도록 10줄씩 가로, 세로로 줄을 긋고 접착테이프를 붙인 다음 접착테이프를 떼어냈을 때 남아있는 도막 숫자를 평가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4) 내오염성 시험은 적색 립스틱 러빙(Lipstick Rubbing)하고, 24시간 경과 후 아세톤으로 지웠을 때 잔류여부를 평가하는 KS M 382에 따랐다.
(5) 내스크래치성 시험은 도료와 바니시-긁힘 KS M ISO 1518:2002 시험법을 기준으로 해서 측정하였으며, 끝이 반구형인 바늘로 긁었을 때 바늘이 소지 (substrate)에 직접 닿도록 하며 1kg의 하중을 바늘에 가하여 10회 왕복 후 10점 척도로 표시하였다. 육안으로 확실한 자국이 표시될 경우 1점, 자국이 희미하게 보일 경우 5점, 자국이 전혀 보이지 않을 경우 10점 기준으로 하였다.
(6) 대전성 측정은 도막 표면 고유저항 측정범위가 104 ~1012Ω/sq인 메가옴 메터기(ST-3, SIMCO)로 전극간 간격을 일정하게 시편을 놓아 측정치의 평균값을 정산하고, 측정시간 변화에 따라 미세한 차이 값을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읽었다. (경화 후 1일 경과 측정)
표면고유저항(Ω) 대전현상 목적 적용예
10e13 대전하가 축적된다 절연 절연재료
10e12~10e13 대전한다 정적 상태에의 장해방지 먼지 방지
10e10~10e12 대전하지만 곧 감쇠 동적 상태에의 장해방지 필름, 섬유제조공정
10e8 ~10e10 대전하지 않는다 대전방지,전자기기보호, 축전방지 IC 패키지
10e7 ~10e8 대전하지 않는다 전도성 부가 정전기록지용 도전체
10e6 ~10e3 전혀 대전하지 않음 전자차폐용 코팅,클린룸용 바닥재 전극(ITO grass)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

도막물성
외관 ? ? ?
광택도 105 110 104 110
부착력 100/100 100/100 100/100 90/100


성능평가
표면경도 3H 3H 2H 2H
내스크래치성 10 10 5 1
내오염성 ? ? ×
표면저항(Ω/sq) 108 109 108 1013
상기 표3에서, ?는 매우 양호, ○는 양호, ×는 불량을 나타낸다.
상기 표3의 물성시험 결과를 통해서, 양이온 대전방지제가 성능평가 대상 물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보조적인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표면저항 효과가 더욱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시편들의 경우, 내마모성(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하고, 두꺼운 도막 두께를 지님에 따라 외부 물체와의 접촉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도막 자체가 충격을 흡수하여 내부의 베이스코팅층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도막의 흠 발생시 하이그로시층을 운행 중에도 보수가능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시편의 경우 영구적인 대전방지 기능을 발휘하여 미세입자들이 하이그로시 판넬의 표면에 유인 흡착되는 것이 방지되는 정전기 방전 현상이 근원적으로 방지되어 승강기 구동이나 제어용 전자기기나 회로의 오동작이 초래되거나 갑자기 운행이 정지되는 폐해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Claims (6)

  1. 승강기용 하이그로시 판넬에 자외선 경화형 코팅 도막층이 형성되되, 상기 코팅 도막층 조성은, 5~20wt%의 양이온 대전방지제와, 2~15wt%의 이미다졸린 (imidazoline)계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0.5~10wt%의 표면개질 첨가제와, 광개시제와 레벨링제 및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3~6wt% 함유되고,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성 올리고머와 다관능성 모노머 및 반응성 모노머로 이루어진 잔여 베이스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대전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대전방지제의 40~90wt%이고,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혼합 대전방지제 전체량의 10~6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인더 수지의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성 올리고머와 다관능성 모노머 및 반응성 모노머의 혼합 중량비는 2:4.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도막층의 두께는 10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도막층의 표면저항은 102 ~1012Ω/sq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6. 승강기용 하이그로시 판넬에 자외선 경화형 코팅 도막층이 형성되되, 상기 코팅 도막층 조성은, 5~20wt%의 양이온 대전방지제와, 2~15wt%의 이미다졸린 (imidazoline)계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광개시제와 레벨링제 및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3~6wt% 함유되고, 아크릴레이트계 다관능성 올리고머와 다관능성 모노머 및 반응성 모노머로 이루어진 잔여 베이스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KR1020110054983A 2011-06-08 2011-06-08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KR101185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983A KR101185748B1 (ko) 2011-06-08 2011-06-08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983A KR101185748B1 (ko) 2011-06-08 2011-06-08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5748B1 true KR101185748B1 (ko) 2012-09-25

Family

ID=4711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983A KR101185748B1 (ko) 2011-06-08 2011-06-08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514B1 (ko) * 2019-03-29 2019-10-10 김구현 관리유지가 용이한 승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344B1 (ko) 1990-06-17 1999-06-01 고헤 야마다 대전(帶電)방지매트
JP2008127483A (ja) 2006-11-22 2008-06-05 Japan Carlit Co Ltd:The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導電性樹脂成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344B1 (ko) 1990-06-17 1999-06-01 고헤 야마다 대전(帶電)방지매트
JP2008127483A (ja) 2006-11-22 2008-06-05 Japan Carlit Co Ltd:The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導電性樹脂成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514B1 (ko) * 2019-03-29 2019-10-10 김구현 관리유지가 용이한 승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7514B (en) Stainproof, waterproof sheet
JP4673224B2 (ja) 水性被覆材及びこれを用いた塗膜、並びに塗膜の形成された塗装物
US20100009170A1 (en) Conductive Floor Covering
TWI745472B (zh) 硬塗積層膜、圖像顯示裝置及具有硬塗積層膜之物品
JP5653884B2 (ja) 紫外線・近赤外線遮断水性塗料、該塗料からなる塗膜が形成された遮熱処理ガラス及び該塗料を用いた窓ガラスの遮熱処理方法
WO2012049886A1 (ja) 耐環境機能性難燃ポリマー部材および衛生機能性難燃ポリマー部材
CN103547645A (zh) 包括压敏粘合粘接剂层的防飞散构件
US8287946B2 (en) Coating process for forming films containing ultraviolet- or infrared-screening agents
JP2006231540A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シート
DE102019006762A1 (de) Glaslaminat, Frontplatte für Anzeigen und Anzeigevorrichtung
JP2004346201A (ja) 水性塗料組成物、抗菌性部材及び塗膜形成方法
JP2004346202A (ja) 水性塗料組成物、抗菌性部材及び塗膜形成方法
JP6046436B2 (ja) 防汚塗膜の形成方法及び防汚塗装物
KR101185748B1 (ko) 승강기용 대전방지 하이그로시 판넬
JP5743281B2 (ja) 建築板
KR20160049168A (ko) Uv 경화형 무광 도료 조성물, 이를 적용한 데코시트 및 데코시트 제조방법
WO2013011947A1 (ja) 透明粘接着剤層付飛散防止部材
DE202005021689U1 (de) Hydrophilierende Beschichtung mit erhöhter mechanischer und thermischer Stabilität sowie deren Verwendung
JP6797511B2 (ja) 水性赤外線・紫外線遮蔽コーティング剤、及びこれを利用した赤外線・紫外線遮蔽処理方法
KR20180017387A (ko) 축광 광고물 부착 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축광 광고물 부착 방지시트
JP6048067B2 (ja) 帯電防止機能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系化粧シート
JP2016150329A (ja) 光触媒層を有する有機系基材
JP6780941B2 (ja) 透明樹脂積層体
JP2014012770A (ja) 透明粘接着剤層付透明飛散防止部材
KR102113445B1 (ko) 은나노졸을 이용한 항균성 유지력이 우수한 싱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