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407B1 -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 Google Patents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407B1
KR101185407B1 KR1020100097909A KR20100097909A KR101185407B1 KR 101185407 B1 KR101185407 B1 KR 101185407B1 KR 1020100097909 A KR1020100097909 A KR 1020100097909A KR 20100097909 A KR20100097909 A KR 20100097909A KR 101185407 B1 KR101185407 B1 KR 10118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hull
nut
gear
wind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181A (ko
Inventor
조희상
유성선
문종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4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은, 풍력발전기설치선의 선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서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는 레그와, 레그를 선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승강구동부는 중공원통형의 본체 내주면에는 나사부에 상응하는 너트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치형부가 형성되며 복수의 로드에 각각 나사결합 된 복수의 너트형 기어와, 복수의 너트형 기어의 치형부에 치합된 구동기어와,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ELEVATING SYSTEM FOR LEG OF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AND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대체에너지원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이다. 풍력발전은 현재 기술에 의한 대체에너지원 중 가장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풍력발전기의 효율은 풍속이 강하면서 풍향의 변화가 적을수록 높아진다. 해상에서는 바람의 유동을 저하시키는 지형 등에 따른 영향이 적으므로, 해상풍의 평균풍속이 지상풍의 풍속보다 높고 해상풍의 풍량 또한 지상풍의 풍량보다 풍부하다. 특히, 내륙에서 먼 곳의 해상풍일수록 난류의 특성이 작아지므로 풍력발전에 더욱 유리하다.
또한, 풍력발전기를 지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소음 및 미관 등의 제약에 의해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되나, 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이러한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따라서, 현재 대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가 건설되기도 하며, 이를 위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상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풍력발전기설치선(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WTIV)이 파도 및 조류 등과 같은 환경하중의 영향에 의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없을 경우 설치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풍력발전기설치선의 선체에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복수의 레그(leg)를 설치하고, 레그를 하강시켜 선체의 하중이 해저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선체를 해수면 위로 상승시킨 후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레그를 선체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수단으로 유압실린더, 랙(rack) 및 피니언(pinion)의 조합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방법은, 레그에 복수의 핀홀을 형성하고, 이 핀홀에 지지핀을 삽입한 후 지지핀이 유압실린더의 힘에 의해 움직이도록 하여 레그를 선체에 대하여 승강시킨다. 따라서, 선체의 하중을 지지핀이 모두 지지하게 되므로 지지핀을 수시로 점검 및 교체하여야 하며, 유압펌프 및 유압회로 등을 별도로 선체에 구비해야 한다.
랙 기어 및 피니언 기어의 조합을 이용한 방법은, 레그에 길이방향을 따라 랙을 형성하고 선체에 설치된 피니언을 랙에 치합시켜 레그를 승강시킨다. 따라서, 랙 기어 및 피니언 기어의 치합된 부분으로 선체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랙 및 피니언이 충분한 강성 및 강도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랙 기어 및 피니언 기어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레그 승강수단의 규모가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레그 승강수단들은 레그의 승강 정도를 정밀하게 조작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해저면의 미세한 높이차에 정밀하게 대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레그 승강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작동의 정밀성 및 구조적인 견고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풍력발전기설치선의 선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서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는 레그와, 상기 레그를 상기 선체에 대하여 상기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중공원통형의 본체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부에 상응하는 너트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치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로드에 각각 나사결합 된 복수의 너트형 기어와, 상기 복수의 너트형 기어의 상기 치형부에 치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구동기어 또는 상기 구동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너트형 기어가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는 회전각 측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로드 하단부에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너트형 기어를 커버하며 상기 선체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너트형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복수의 로드 하단부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로드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로드가 해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방오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오수단은 신축성 호스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나사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수단과, 상술한 바와 같은 레그 승강시스템을 포함하는, 레그 승강시스템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그 승강시스템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정밀한 조작이 가능하며 견고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풍력발전기설치선의 적재공간이 확장되고 풍력발전기 설치작업의 안전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의 레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 직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의 너트형 기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의 승강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100)의 선체(110)에는 데크(120), 승강시스템 하우징(130), 복수의 레그(150) 및 베이스 플레이트(159)가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체(110)에 구비된 데크(120)에는 해상에 설치될 풍력발전기의 부품 또는 완성품이 적재될 수 있고, 이들을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 윈치, 컨베이어 등과 같은 운반수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레그(150)는 선체(11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설치되고, 레그(150)의 하단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59)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59)는 레그(150)가 선체(110)에 대하여 하강하였을 때 해저면(도시되지 않음)에 접하여 선체(110)의 하중이 해저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선체(110)에는 복수의 레그(150)가 분산 설치되는데, 복수의 레그(150)는 풍력발전기설치선(100)이 해수면 위로 상승되었을 때 선체(110)의 하중이 복수의 레그(150)에 고루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데크(120)에는 복수의 승강시스템 하우징(130)이 분산 설치될 수 있는데, 승강시스템 하우징(130) 내에는 레그(150)를 선체(1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도 3의 200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의 승강구동부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상하방향은 선체(110)가 수면 위에서 평형상태를 유지할 때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한다. 여기서, 나란하다는 것은 수학적이거나 기하학적인 평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인 가공오차 등을 고려한 실질적인 나란함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의 레그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의 레그(150)에는 복수의 로드(151, 151a, 151b)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로드(151, 151a, 151b)는, 복수의 지지바(155, 155a, 155b)에 의해 상측부가 서로 연결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59)에 의해 하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로드(151, 151a, 151b) 외주면에는 나사부(153, 153a, 153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153, 153a, 153b)는 사각나사, 사다리꼴 나사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는 도 1의 Ⅲ-Ⅲ 직선에 따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의 승강구동부(200)에는, 구동수단(210), 구동축(211), 구동기어(212), 회전각 측정수단(219), 너트형 기어(220), 기어 하우징(230) 및 베어링(241, 251)이 포함될 수 있다.
로드(151)는 선체(도 1의 110)의 데크(1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로드(151)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53)가 형성될 수 있는데, 나사부(153)에는 너트형 기어(220)가 나사결합된다. 너트형 기어(22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의 너트형 기어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너트형 기어(220)에는 중공원통형의 본체(221)가 포함된다. 본체(221)의 중공부 내주면에는 너트부(223)가 형성되고, 본체(221)의 외주면에는 치형부(225)가 형성된다.
너트부(223)는 로드(151)의 나사부(153)와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서로 상응하게 형성된다. 치형부(2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21)의 외주면에 평기어의 치형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헬리컬 기어의 치형이 형성될 수도 있다.
설명하지 않은 부호 227은 베어링 안착부(227)로,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로드(151)와 나사결합된 너트형 기어(220)는 데크(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데크(120) 및 너트형 기어(220) 사이에는 베어링(251)이 개재되고, 너트형 기어(220)를 커버하는 기어 하우징(230)과 너트형 기어(220) 사이에는 베어링(241)이 개재될 수 있다.
기어 하우징(230)은 체결부재(231, 231a)에 의해 선체(도 1의 110)의 데크(120) 상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너트형 기어(220)가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너트형 기어(220)는 데크(120) 및 기어 하우징(230)에 의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베어링(241, 251)에 의해 원활히 회전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너트형 기어(220)의 치형부(225)에는 구동기어(212)가 치합될 수 있다. 구동기어(212)는 구동수단(210)의 구동축(211)에 결합되어 구동수단(210)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수단(210)은 기어 하우징(23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수단(210)에 의해 구동기어(212)가 회전하면, 구동기어(212)에 치합된 너트형 기어(220)가 회전하게 되며, 너트형 기어(220)가 회전하면 너트부(223)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로드(151, 151a, 151b)는 지지바(155, 155a, 155b) 및 베이스 플레이트(159)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구동기어(212)에 의해 너트형 기어(220)가 회전하게 되면, 로드(151)의 나사부(153)는 회전하지 않는 반면 너트부(223)는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로드(151)가 선체(도 1의 110)의 데크(120)에 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로드(151)는 구동기어(212)의 회전방향에 따라 데크(120)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구동수단(210)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면 로드(151)의 상승 도는 하강을 조절할 수 있다.
레그(도 2의 15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로드(151, 151a, 151b)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로드(151, 151a, 151b)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레그(도 2의 150)를 선체(도 1의 11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로드(151, 151a, 151b)를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의 승강구동부의 평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기어(212)의 주변에는 복수의 너트형 기어(220, 220a, 220b)가 모두 구동기어(212)에 치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너트형 기어(220, 220a, 220b)는 복수의 로드(151, 151a, 151b)에 각각 나사결합되므로, 구동기어(212)가 회전하면 여기에 치합된 복수의 너트형 기어(220, 220a, 220b)가 모두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수단(210)의 회전력이 구동축(211)을 통하여 구동기어(212)로 전달되어 구동기어(212)가 회전하게 되면, 복수의 로드(151, 151a, 151b)가 모두 선체(도 1의 110)에 대하여 승강된다. 그리고 복수의 로드(151, 151a, 151b)는 구동수단(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체(도 1의 110)에 대하여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로드(151, 151a, 151b)가 선체(도 1의 110)에 대하여 서로 다른 속도로 승강되면 지지바(155, 155a, 155b) 및 베이스 플레이트(159)가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부(도 2의 153, 153a, 153b)가 동일한 피치(pitch)를 갖도록 하고, 너트형 기어(220, 220a, 220b)가 동일한 피치원지름(pitch diameter) 및 동일한 모듈(module)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은 레그(도 2의 150)에 세 개의 로드(151, 151a, 151b)가 포함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로드의 수는 가감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레그에 포함되는 로드의 수는 하나로부터 다수가 될 수 있다.
다만, 로드가 하나일 경우에는 너트형 기어(220)가 회전할 때 레그가 함께 회전하여 선체(도 1의 110)에 대하여 승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로드가 하나일 때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나사부가 형성된 로드의 외주면에 로드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선체에는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고정 설치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로드(151a) 및 로드(151a)에 나사결합된 너트형 기어(220a)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의 결합 및 작동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선체(도 1의 110)의 하중은 로드(151)의 나사부(153), 너트형 기어(220)의 너트부(223) 및 본체(221), 베어링(241) 및 기어 하우징(230)을 통하여 데크(12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하우징(230)은 선체(도 1의 1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조되며, 복수의 체결부재(231, 231a) 또한 기어 하우징(230)을 데크(12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151)로 전해지는 선체(도 1의 110)의 하중은 너트부(223)로부터 나사부(153)로 전달된다. 이때, 너트부(223) 및 나사부(153) 사이에서 하중이 전달되는 면적은, 앞에서 설명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방법의 지지핀 및 핀홀이 접하는 면적이나 랙 및 피니언의 조합을 이용한 방법의 하중 전달면적에 비해 월등히 넓을 수 있다.
따라서, 너트형 기어(220)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의 승강구동부(200)가 점유하는 선체(도 1의 110) 내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너트형 기어(220)의 치형부(225) 및 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212)의 치형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평기어(spur gaer)의 치형일 수도 있고 헬리컬 기어(helical gear)의 치형을 가질 수도 있다.
평기어 치형일 경우에는 제작이 용이하여 비용이 절약되고, 구동기어(212) 및 너트형 기어(220)가 파손되었을 때 교체가 비교적 용이한 장점이 있다. 헬리컬 기어 치형일 경우에는 진동 및 소음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평기어 치형 및 헬리컬 기어 치형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선체(도 1의 110)의 하중은 베어링(241)을 통해서 기어 하우징(230)으로 전달되므로, 베어링(241)은 고하중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너트형 기어(220) 및 베어링(241)이 접하는 베어링 안착부(도 4의 227)가 적절한 면적을 갖도록 제조하여 선체의 하중에 의한 압력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해저면(도시되지 않음)은 평탄한 형상일 수도 있으나, 불균일한 형상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선체(도 1의 110)가 복수의 레그(도 1의 150)에 의해 해저면에 지지될 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저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레그(도 1의 150)가 선체(도 1의 110)에 대하여 하강되어야 하는 깊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깊이의 차이가 미세하게 발생될 수도 있으며, 해저면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풍력발전기(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는 작업 중 복수의 레그(도 1의 150) 중 일부의 하강 깊이를 변경해야 할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레그(도 1의 150)를 정밀하게 승강시킬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복수의 레그(도 1의 150)가 각각 승강된 정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레그(도 1의 150)가 승강된 정도는 로드(151)의 위치가 변경된 정도를 직접 측정하거나, 구동기어(212) 또는 너트형 기어(220)가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은 회전각 측정수단(219)을 이용하여 구동축(211)이 회전된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로드(도 2의 151, 151a, 151b)가 승강된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회전각 측정수단(219)으로는 엔코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각 측정수단(219)은 구동수단(210), 구동기어(212) 및 너트형 기어(도 5의 220, 220a, 220b)에 설치될 수도 있다.
데크(120)의 하측에는 격벽(121, 122)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풍력발전기설치선(도 1의 100)이 운항할 때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레그(도 1의 150)를 최대한 상승시켜 레그(도 1의 150)의 하단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도 1의 159)가 선체(도 1의 11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격벽(121, 122)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레그(도 1의 150)를 상승시켰을 때 레그(도 1의 150)의 하단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도 1의 159)가 수납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해수에는 흙, 모래, 자갈 등 각종 이물질이나 수생식물 등이 부유할 수 있다. 레그(도 1의 150)를 상승시킬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이물질이 로드(151)의 표면에 부착되었다가 나사부(153) 및 너트부(223) 사이에 개재되면, 레그(도 1의 150)를 상승시키지 못하거나 나사부(153) 및 너트부(223)가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구동부(200)에 방오수단(280)을 설치할 수 있다. 방오수단(280)은 로드(151)의 외주면 중 해수와 접촉될 수 있는 부분, 즉 선체(도 1의 110)의 하측으로부터 로드(151)의 하단부까지 로드(151)의 외주면을 감사도록 설치되어, 해수가 로드(151)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오수단(280)으로는 신축성 호스와 같이 로드(151)의 승강에 따라 신축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의 승강구동부(200)는 선체(도 1의 110)에 설치되고, 노즐(261, 271)을 통하여 물을 강력하게 분사할 수 있는 세척수단(260, 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단(260, 270)은 로드(151a)의 외주면을 향하여 물을 강력히 분사함으로써, 나사부(153a)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방오수단(280)은 복수의 로드(151, 151a, 도2의 151b)마다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세척수단(260, 270) 또한 복수의 로드(151, 151a, 도2의 151b)마다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은 구조가 단순화되고 정밀한 조작이 가능하며 견고성이 향상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도 1의 100)의 적재공간이 확장되고 풍력발전기 설치작업의 안전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풍력발전기설치선 110: 선체
120: 데크 130: 승강시스템 하우징
150: 레그 151: 로드
153: 나사부 155: 지지바
159: 베이스 플레이트 200: 승강구동부
210: 구동장치 212: 구동기어
219: 회전각 측정수단 220: 너트형 기어
223: 너트부 225: 치형부
230: 기어 하우징 260: 세척수단
280: 방오수단

Claims (11)

  1. 풍력발전기설치선의 선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서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연결된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는 레그; 및
    상기 레그를 상기 선체에 대하여 상기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중공원통형의 본체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부에 상응하는 너트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치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로드에 각각 나사결합 된 복수의 너트형 기어;
    상기 복수의 너트형 기어의 상기 치형부에 치합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구동기어 또는 상기 구동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너트형 기어가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는 회전각 측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로드 하단부에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너트형 기어를 커버하며 상기 선체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너트형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복수의 로드 하단부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로드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로드가 해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방오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수단은 신축성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나사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
  8. 선체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수단; 및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레그 승강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복수의 로드 하단부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로드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로드가 해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방오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수단은 신축성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나사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그 승강시스템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KR1020100097909A 2010-10-07 2010-10-07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KR10118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909A KR101185407B1 (ko) 2010-10-07 2010-10-07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909A KR101185407B1 (ko) 2010-10-07 2010-10-07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181A KR20120036181A (ko) 2012-04-17
KR101185407B1 true KR101185407B1 (ko) 2012-09-24

Family

ID=4613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909A KR101185407B1 (ko) 2010-10-07 2010-10-07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409B1 (ko) * 2012-06-29 2014-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422238B1 (ko) * 2012-06-29 2014-07-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359654B1 (ko) * 2012-06-29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그 레그 조립방법
KR101434572B1 (ko) * 2012-06-29 2014-08-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장치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CN102704452B (zh) * 2012-07-05 2014-07-02 南通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具有多类型桩腿的超大型自升式风电安装船及其设计方法
KR101454848B1 (ko) * 2013-02-01 2014-10-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탑재되는 레그를 계측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8510B2 (en) 2001-03-29 2007-08-21 Masasuke Kawasaki Systems and methods useful in stabilizing platforms and vessels having platforms and legs
KR100946646B1 (ko) 2009-08-24 2010-03-10 삼보건설기계 주식회사 바지선의 승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8510B2 (en) 2001-03-29 2007-08-21 Masasuke Kawasaki Systems and methods useful in stabilizing platforms and vessels having platforms and legs
KR100946646B1 (ko) 2009-08-24 2010-03-10 삼보건설기계 주식회사 바지선의 승하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181A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407B1 (ko) 레그 승강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KR101399934B1 (ko) 부유식 구조물
JP5727732B2 (ja) 浮体構造物
CN207725581U (zh) 海上漂浮式风电基础结构
CN108146588A (zh) 海上漂浮式风电基础结构
RU2708754C2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KR101313244B1 (ko)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 및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의 승강 방법
CN101402393B (zh) 风力发电机安装专用作业平台
KR20140008591A (ko) 부유식 구조물
JP2022160521A (ja) 洋上作業設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22238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245759B1 (ko) 풍력발전기설치선용 레그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130143355A (ko)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KR102310439B1 (ko) 잭업바지선의 랙앤피니언 타입 잭킹시스템
CN115771595A (zh) 一种新式半潜式升降平台及海上风电吊装方法
KR101954842B1 (ko) 상층 데크가 구비된 부유식 구조물
KR101915022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 발전설비의 설치 방법
KR101711446B1 (ko) 해양 구조물의 지지구조물
KR101415932B1 (ko) 해상 풍력발전기 기초구조물 설치용 작업선
CN219087774U (zh) 一种沉水植物水上种植船
KR101185404B1 (ko) 페어링 정렬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설치선
KR20190071513A (ko) 부유식 구조물의 크레인 시스템
DK3255211T3 (en) Jack-bridge structure
KR101609842B1 (ko) 파력발전장치
GB2540274A (en) Multi-Rotor device with a polygonal structure, for harnessing sea curr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