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375B1 -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375B1
KR101185375B1 KR1020100013048A KR20100013048A KR101185375B1 KR 101185375 B1 KR101185375 B1 KR 101185375B1 KR 1020100013048 A KR1020100013048 A KR 1020100013048A KR 20100013048 A KR20100013048 A KR 20100013048A KR 101185375 B1 KR101185375 B1 KR 101185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road
repair
prim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168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00013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3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02Apparatus for preparing and placing the materials and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7Vehicle decelerating or arresting surfacings or surface arrangements, e.g. arrester beds ; Escape roads, e.g. for steep descents, for sharp be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자보수할 기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를 도로면의 상피와 함께 파쇄하여 다수개의 함몰부가 엠보형태로 이루어지는 엠보싱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엠보싱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및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 85~95중량%와 경화제 5~15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프라이머 상에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결함을 비교적 쉽고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으므로, 하자보수비용이 절감되고, 하자보수를 위한 도로 폐쇄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도로의 폐쇄로 인한 운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DEFECTING AND RECONSTRUCTING METHOD OF NON-SLIP PAVEMENT}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에 하자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미끄럼 방지 포장재를 걷어냄과 동시에 도로면의 미끄럼 방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재시공하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끄럼 방지 포장이란 노면의 미끄럼 저항이 낮아진 곳, 도로의 평면 및 종단 선형이 불량한 곳 등에서 포장면의 미끄럼 저항력을 높여 주어 자동차의 제동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포장의 기능은 미끄럼 저항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곳이나 도로선형이 불량한 구간에서 표면에 신재료를 추가하거나 도로 표면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포장의 미끄럼 저항을 높여 자동차의 안전 주행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미끄럼 방지 포장은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 운행을 도모하는 부수적인 기능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도포 표면에 신재료를 추가하는 형식으로는, 개립도 마찰층을 형성하는 방식, 슬러리실을 형성하는 방식, 수지계 표면처리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표면의 재료를 제거하는 형식으로는, 그루빙을 형성하는 방식, 숏 블라스팅하는 방식, 노면 평삭을 하는 방식이 있다.
이중에서 수지계 표면처리 방식은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미끄럼 방지 포장 형식으로, 일반적으로 미끄럼 방지시설 또는 미끄럼 방지 포장이라 하면 이 형식을 말하고 있다. 수지계 표면처리 방식으로는, 프라이머 도포→액상 도포→규사 살포→코팅하는 방식, 프라이머 도포→액상 도포→넌스립 효과 생성→코팅하는 방식, 액상 도포→넌스립 효과 생성하는 방식, 프라이머 도포→액상 도포→세라믹 골재 살포→코팅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지계 표면처리 방식으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의 (a)는 도로(1)의 일정 구간에 미끄럼 방지 포장재(3)를 일정하게 시공하는 방식이고, 도 1의 (b)는 도로(1)의 일정 구간에 미끄럼 방지 포장재(3)를 띠 형태로 시공하는 방식이다. 즉, 도 1의 (b)과 같은 형식은 주로 1m 또는 3m를 시공하고, 각각 3m 또는 6m를 띄우는 1-3방식, 3-6방식 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엄밀하게 구분하여 말하면 미끄럼방지 포장 띠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미끄럼 방지 포장재(3)는 장기간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재해 또는 노후로 일부 또는 전부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결함이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결함 부위만을 부분적으로 보수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보수한 부분은 기시공된 부분과 시공두께가 다르거나 결합도가 떨어져서 도로면의 평활도가 저하되거나 하자보수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함이 전체적으로 발생한 경우나 부분적으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기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를 제거하고 재시공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면삭기(5)를 이용하여 미끄럼 방지 포장재를 완전히 제거하여야 하고, 그 후에 도로면에 미끄럼 방지 포장을 재시공하는 순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재시공을 위해 미끄럼 방지 포장재를 걷어내야 함으로써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비용이 증대되고, 특히 재시공을 위해 도로를 폐쇄하여야 하는데, 폐쇄 시간이 증가하면 도로를 사용하는 운행자의 불편이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한 하자보수가 쉬우면서도 신속하게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결함을 비교적 쉽고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에 일부 또는 전부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이러한 결함을 보수하면서 미끄럼 방지 효과가 보다 우수한 미끄럼 방지 포장을 시공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자보수할 기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를 도로면의 상피와 함께 파쇄하여 다수개의 함몰부가 엠보형태로 이루어지는 엠보싱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엠보싱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및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 85~95중량%와 경화제 5~15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프라이머 상에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라이머는 0.2~3㎜ 두께로 도포하고 1.5시간 이상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경화제는 2~5㎜ 두께로 도포하고 1시간 이상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함몰부는 상기 엠보싱면에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일정한 크기로 함몰되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에 의하면, 기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결함을 비교적 쉽고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으므로, 하자보수비용이 절감되고, 하자보수를 위한 도로 폐쇄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도로의 폐쇄로 인한 운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에 일부 또는 전부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이러한 결함을 보수하면서 미끄럼 방지 효과가 보다 우수한 미끄럼 방지 포장을 시공할 수 있어, 하자보수를 위한 시공을 하면서도 보다 향상된 성능을 갖는 미끄럼 방지 포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마찰력 확보가 매우 중요한 구간으로 분류되는, 설계 속도 60㎞/h 이상인 도로의 교통신호 또는 횡단보도 접근부, 도시 지역도로의 교통신호, 횡단보도 또는 비슷한 위험개소의 접근부, 및 5% 이상의 내리막 경사에서 곡선 반경이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값보다 작게 설계된 곳 등에서는 최소요구 마찰계소로 77BPN 이상이 요구된다. 여기서 단위로 사용된 BPN(British Pendulum Number)은 미끄럼 마찰저항을 BPT(British Pendulum Tester)를 이용하여 정량화한 값으로 이 값이 클수록 마찰력이 큼을 나타낸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시공하는 경우 100BPN 이상을 확보할 수 있고, 이는 상기 설계치를 충분히 충족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미끄럼 방지 포장재에 비해 20% 이상의 미끄럼 마찰저항을 향상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수지계 표면처리 방식으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미끄럼 방지 포장재에 결함이 발생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함을 보수하기 위한 면삭기에 의한 시공방식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단계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쇄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파쇄단계를 통해 생성되는 엠보싱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면 상에 프라이머 및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프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물을 도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단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쇄기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파쇄단계를 통해 생성되는 엠보싱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면 상에 프라이머 및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프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물을 도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은, 하자보수할 미끄럼 방지 포장재(20)와 작업 대상 도로(10)를 파쇄기(30)를 통해 파쇄하는 단계로부터 개시된다. 즉, 도로면에 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20)는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어 빗물의 침투나 자동차로부터 받는 하중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파손될 수 있는데, 이렇게 일부가 파손되어 하자보수가 필요한 미끄럼 방지 포장재(20)가 시공된 도로(10)를 상기 미끄럼 방지 포장재(20)와 함께 파쇄기(30)로 파쇄하는 것이다.
이때 파쇄기(30)에 의해 미끄럼 방지 포장재(20)의 전부가 파쇄됨과 아울러, 도로(10)의 상피 또한 파쇄된다. 따라서 미끄럼 방지 포장재(20)가 파손되어 도로면이 노출된 부분과, 미끄럼 방지 포장재(20)가 남아 있는 부분이 모두 동일한 형태로 파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파쇄단계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쇄기(30)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파쇄기(3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로면을 파쇄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파쇄기(30)의 구동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방식(예를 들면, 유압식 구동방식 또는 전동식 구동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쇄기(30)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비트(31)가 형성되고, 상기 비트(31)는 파쇄기(30)의 길이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와 비트가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함몰부(41)의 폭이나 깊이는 동일 열에서의 비트(31)의 크기 및 길이, 파쇄기(30)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트(31)는 파쇄기(30)의 회전시에 미끄럼 방지 포장재(20)와 도로면을 파쇄하기 용이하도록 회전방향으로 굽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파쇄기(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엠보싱면을 형성하기 위한 기구의 일례로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에서의 파쇄단계는 다른 기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단계 S10).
그리고 파쇄단계 다음에는 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도로의 상피와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잔해를 청소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쇄단계를 통해 엠보싱면(40)에 형성된 다수개의 함몰부(41)는 그 자체로 도로면을 통과하는 차량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파쇄기(30)에 의해 형성된 함몰부(41)에 대해서는 별도의 다짐공정을 수행하기 곤란하고, 상기 함몰부(41)가 형성된 엠보싱면은 파쇄기에 의한 타격에 의해 약화되어 있으므로, 상기 엠보싱면을 구성하는 도로 입자를 서로 결속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프라이머 도포단계(단계 S20) 및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와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의 도포단계(단계 S30)를 추가적으로 실시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프라이머 도포단계에서는 프라이머(50)를 상기 엠보싱면(40)에 0.2~3㎜ 두께로 도포하고, 대략 1.5시간 이상 경화시킨다. 상기 프라이머(50)는, 아스팔트 포장 노면이나 골재와의 부착성이 좋고, 고무, 철제레끼 등으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점성을 가짐과 함께,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구성, 내수성, 내유성 및 내약품성이 좋아야 한다. 또한 프라이머(50)는 아스팔트의 변형 및 기후 조건에 적응할 수 있도록 탄성도가 크고, 경화시간은 6℃ 이상의 대기온도에서 자연 양생시 1.5시간 이상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프라이머(50)의 도포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한 한정이 없으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략 0.2~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단계 S20).
다음으로, 상기 프라이머(50) 상에는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 85~95중량%와 경화제 5~1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60)이 도포된다. 이때 상기 혼합물(60)은 대략 2~5㎜ 두께로 도포되고 대략 1시간 이상 경화시켜야 한다. 상기 혼합물(60)은 함몰부가 형성된 엠보싱면(40)이 자동차로부터 받는 하중 및 충격으로 크랙(crack) 발생, 탈락 또는 함몰되지 않는 우수한 내구성 등의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게 함과 아울러, 상기 함몰부(41)에 의한 차량의 미끄럼 방지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단계 S30).
이와 같이 함몰부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100BPN 이상의 미끄럼 마찰저항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력 확보가 매우 중요한 구간에서 요구되는 최소요구 마찰계소로 77BPN 보다도 현저히 큰 마찰저항을 얻을 수 있고, 기존의 미끄럼 방지 포장재에 비해 20% 이상의 미끄럼 마찰저항을 향상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시공된 도로면의 미끄럼 방지 포장재(20)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에 대해서 주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미끄럼 방지 포장재가 시공되어 있지 않은 도로면에도 바로 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0 : 도로 20 : 미끄럼 방지 포장재
30 : 파쇄기 31 : 비트
40 : 엠보싱면 41 : 함몰부
50 : 프라이머 60 : 혼합물

Claims (4)

  1. 기시공된 도로면의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자보수할 기시공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를 도로면의 상피와 함께 파쇄하여 다수개의 함몰부가 엠보형태로 이루어지는 엠보싱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엠보싱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및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수지 85~95중량%와 경화제 5~15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프라이머 상에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엠보싱면에 격자형으로 배치되고 일정한 크기로 함몰되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0.2~3㎜ 두께로 도포하고 1.5시간 이상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경화제는 2~5㎜ 두께로 도포하고 1시간 이상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4. 삭제
KR1020100013048A 2010-02-11 2010-02-11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KR101185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48A KR101185375B1 (ko) 2010-02-11 2010-02-11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48A KR101185375B1 (ko) 2010-02-11 2010-02-11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68A KR20110093168A (ko) 2011-08-18
KR101185375B1 true KR101185375B1 (ko) 2012-10-05

Family

ID=4492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048A KR101185375B1 (ko) 2010-02-11 2010-02-11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3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870B1 (ko) 2005-04-02 2006-11-06 김인중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KR100885749B1 (ko) 2008-06-24 2009-02-27 (주)알엔씨 열방사 기능을 갖는 도로 포장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870B1 (ko) 2005-04-02 2006-11-06 김인중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KR100885749B1 (ko) 2008-06-24 2009-02-27 (주)알엔씨 열방사 기능을 갖는 도로 포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68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o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epoxy modified open-graded porous asphalt concrete
US100412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adway maintenance and repair
KR101323022B1 (ko) 콘크리트 도로용 신축줄눈 파손부의 보수방법
Wada Bituminous pavement failures
JP4070288B2 (ja) タイヤ騒音試験用ドラム
Li et al. Evaluation of pavement surface friction treatments.
Wu et al. Influencing factors and mechanism for the attenuation of the skid resistance for bauxite clinker-asphalt mixtures
KR101185375B1 (ko)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Segundo et al. Surface rehabilitation of Portland cement concrete (PCC) pavements using single or double surface dressings with soft bitumen, conventional or modified emulsions
Smith et al. Microsurfacing usage guidelines
KR102179705B1 (ko) 도로구조물용 신축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Chen et al. Field performance with state-of-the-art patching repair material
GB2522518A (en) High friction Surface coating
JPH06240615A (ja) 弾性路面敷板と弾性路面敷板の敷設方法
WO2016019933A1 (en) Method of anti-skid adaptation of wearing course of the roadway
Harvey et al. Performance of two overlay strategies under heavy vehicle simulator trafficking
CN111411557A (zh) 一种环氧防滑磨耗材料及其施工方法
RU2719840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износостойкости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слоя дорожного полотна
Greer Stone Mastic Asphalt–A review of its noise reducing and early life skid resistance properties
KR101335606B1 (ko) 강재 톱날형 콘크리트 타설 신축이음부 보수 공법
EP0127470A2 (en) Method for constructing durable skid-resistant surface layers on roads
KR20040005735A (ko) 콘크리트 바닥판 교면포장 및 기존 콘크리트 포장의덧씌우기용 폴리에스터 콘크리트 시공방법
JP2014163069A (ja) 駐車場の舗装構造
JP3020592B2 (ja) 弾性路面敷板
Zarrin et al. Design of roller compacting concrete pa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