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870B1 -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870B1
KR100641870B1 KR1020050027796A KR20050027796A KR100641870B1 KR 100641870 B1 KR100641870 B1 KR 100641870B1 KR 1020050027796 A KR1020050027796 A KR 1020050027796A KR 20050027796 A KR20050027796 A KR 20050027796A KR 100641870 B1 KR100641870 B1 KR 10064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fineness
layer
urethane resin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944A (ko
Inventor
김인중
Original Assignee
김인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6267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4187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중 filed Critical 김인중
Priority to KR102005002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87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01C7/356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with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a binder; Aggregate, fillers or other additives for application on or in the surface of toppings having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085Aggregate or filler materials therefor; Coloured reflecting or luminescent additiv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서 걷어낸 콘크리트 블록 및 석재 블록을 그 자리에서 파쇄 하여 포장재의 재료로 활용하고자한 것이고, 걷어낸 그 자리에 다시 채움으로써 폐기할 장소문제를 해결하면서 경제적인 포장재의 시공을 하고자한 것이다. 또한 표층을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와 재생유리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시골길 분위기를 나타내게 한다거나 영롱한 빛을 표출할 수 있어 도심의 삭막함을 정겨운 거리로 만드는 효과를 지닌 구성이다.
다층구조, 복층포장재, 표층

Description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Method for making a multi-layer pavement with crushed concrete block}
도 1은 본 발명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포장재의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포장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포장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포장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재활성골재다짐층 2: 표면처리용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
3: 재생고무칩 4a: 황토포장
4b: 재생유리알포설 4c: 규사,세골재포장
4d: 세라믹칩 5: 표층코팅
본 발명은 폐기처분되는 보도용 콘크리트 블록, 석재 블록 등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탄성포장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도의 바닥재인 콘크리트 블록, 석재 블록이 그 내구연한이 지나 다시 교체해야할 경우 콘크리트 블록, 석재 블록의 폐기처분 문제는 심각하다. 폐기되는 양도 문제이겠지만 폐기할 장소가 없다는 게 더 큰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이를 재활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성과가 없는 것 같다. 기껏해야 골재로서 재활용하는 것이 가장 손쉬운 방법일 것이다. 그러나 골재로서 재활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이를 파쇄하고, 이를 골재의 크기별로 선별해야하기 때문에 그만한 규모의 장비를 갖춘 공장까지 운반해야하는 문제가 뒤따른다.
만약 콘크리트 블록, 석재 블록을 현장에서 분쇄하여 이를 그 자리에 다시 채워 기초 층의 재료로 사용한다면 재활용으로서 이보다 경제적일 수 없을 것이다. 이동 크러샤가 이동한다는 비용이외에 운반비가 전혀 들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바로 이 점에 의해서 착안된 것이다.
즉, 현장에서 콘크리트 블록, 석재 블록을 파쇄 하여 이를 다시 걷어낸 자리에 채워 기초 층의 재료로 사용하고, 그 위에 사용목적에 적합한 포장 층을 형성함 으로써 골치 아픈 문제가 처리되면서 경제적인 재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일조이석의 효과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현장에서 걷어낸 콘크리트 블록 및 석재 블록을 그 자리에서 파쇄 하여 포장재의 재료로 활용하고자함에 첫 번째 목적이 있다. 폐기되어야할 보도용 콘크리트 블록, 석재 블록을 걷어낸 그 자리에 다시 채움으로써 폐기할 장소문제를 해결하고자함에 두 번째 목적이 있다. 폐기되는 블록을 포장 재료로서 재활용하면서 운반비가 전혀 들지 않는 경제적인 포장재를 시공하고자함에 세 번째 목적이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기초층위에 보조 탄성층이나 탄성표층을 적층시켜 다층구조의 탄성포장재를 시공하고자함에 네 번째 목적이 있다.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보도용 콘크리트 블록이나 석재 블록이 있었던 그 하부에는 이미 지면위에 쇄석기층(b)이 마련되어있다. 이와 같이 기존에 마련되어있는 쇄석기층(b)위의 콘크리트 블록이나 석재 블록을 걷어낸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쇄석기층(b)을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이 쇄석기층(b)위에다 콘크리트 블록이나 석재 블록을 현장에서 부순 돌을 깔게 된다.
쇄석기층(b)과 탄성층 사이에 위치되어있는 층을 편의상 탄성 기초층이라 부르기로 한다.
탄성 기초층은 쇄석기층(b)과 탄성층 사이에 위치되어있으므로 쇄석기층(b)에 대하여는 견고한 고정이 필요하면서 탄성층에 대하여는 탄성을 위한 준비가 되 어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탄성 기초층으로서의 요건이 충족되기 위해서 콘크리트 블록이나 석재 블록을 크러샤에 의하여 현장에서 부수어 그 크기를 45mm이하가 되게 하였다. 부순 돌을 콘크리트 블록이나 석재 블록을 걷어낸 자리에 채워놓고 이를 충분하게 다져 재활성 골재 다짐층(1)을 형성한 후 다져진 부순 돌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2)를 뿌리고, 그 다음에 8mm이하의 재생 고무칩(3)을 뿌려 포설한다. 상기 표면 처리용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2)는 재생 고무칩(3)을 흡착ㆍ경화하면서 부순 돌의 움직임과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재생 고무칩(3)은 탄성층에 대하여 탄성을 위한 기초적인 준비를 하게 된다.
탄성 기초층은 재활성 골재 다짐층(1)과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2)와 8mm이하의 재생 고무칩(3)을 뿌려 포설된 층으로 이루어져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시설인 쇄석기층(b)에다 현장에서 파쇄한 부순 돌로서 탄성 기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다 표층을 형성한 후 표층을 코팅(5) 처리하여 마감하는 구성으로 된 포장이다.
8mm이하의 재생 고무칩(3)이 충분히 혼입되어있는 탄성 기초층만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탄성 포장재로서 만족될 수 있다면 탄성 기초층위에다 바로 표층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표층은 칼라와 색상을 고려해 미려한 모양 등이 표출되도록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탄성 포장재이면서 표층만은 시골길을 걷는 것과 같은 아늑함과 편안한 느낌을 들게 한다든지 햇빛을 받아 시각적으로 찬란한 빛깔을 연출되게 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표층을 형성한다면 도시의 삭막한 거리가 정감이 넘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보도나 산책길이 더없이 아름다워 질 것이다.
본 발명의 표층구조는 바로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이다.
부순 돌을 잘 다짐하고 그 표면에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2)를 뿌린 다음, 8mm이하의 재생 고무칩(3)을 뿌려 포설된 탄성 기초층위에다 표층을 형성하되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4a)를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와 믹싱하여 포설한 후 코팅(5)으로 마감처리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이다.
이를 단계별로 나누어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노후된 블록을 걷어내는 단계와, 블록 및 석재를 45mm이하의 크기로 파쇄하는 단계와, 기존 바닥재의 위치에 부순 돌을 채워 넣는 단계와, 부순 돌을 진동 로라 다짐하는 단계와, 그 표면에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를 뿌리는 단계와, 8mm이하의 재생 고무칩을 뿌려 포설하는 단계와,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4a)를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와 믹싱하여 포설하는 단계와, 코팅(5)으로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이다.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4a)가 표층으로 포설되면 시골길을 걷는 것과 같은 아늑함과 편안한 느껴지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4a)대신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재생유리알(4b)로 대체하여도 된다. 세립도를 갖는 유리알은 햇빛이나 불빛에 반사되어 영롱한 빛깔을 띠게 되어 화려한 분위기를 표출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4a)대신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규사 및 세골재(4c)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4a)대신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세라믹칩(4d)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장에서 콘크리트 블록, 석재 블록을 파쇄 하여 이를 다시 걷어낸 자리에 채워 기초 층의 재료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폐기장소가 즉석에서 해결될 뿐 아니라 운반해야하는 번거로움이나 비용이 들지 않게 되어 가장 경제적인 시공의 효과가 있다. 또한 부순 돌을 충분하게 다짐하여 그 표면에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를 뿌리고, 다시 8mm이하의 재생 고무칩을 뿌려 포설한 것이므로 우레탄 계열의 수지는 재생 고무칩을 흡착ㆍ경화하면서 부순 돌의 움직임과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층을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와, 재생유리알과, 그리고 규사 및 세골재로 처리함으로써 시골길 분위기를 나타내거나 영롱한 빛을 표출할 수 있어서 도심의 삭막함을 정겨운 거리로 만드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노후된 블록을 걷어내는 단계와, 블록 및 석재를 45mm이하의 크기로 파쇄하는 단계와, 기존 바닥재의 위치에 부순 돌을 채워 넣는 단계와, 부순 돌을 진동 로라 다짐하는 단계와, 그 표면에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를 뿌리는 단계와, 8mm이하의 재생 고무칩을 뿌려 포설하는 단계와,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를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와 믹싱하여 포설하는 단계와, 코팅으로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대신에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재생유리알을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와 믹싱하여 포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대신에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규사 및 세골재를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와 믹싱하여 포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천연소재인 점토 및 황토알갱이대신에 1mm-20mm 크기의 세립도를 갖는 세라믹칩을 우레탄 수지계열의 혼화제와 믹싱하여 포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KR1020050027796A 2005-04-02 2005-04-02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KR10064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796A KR100641870B1 (ko) 2005-04-02 2005-04-02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796A KR100641870B1 (ko) 2005-04-02 2005-04-02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944A KR20060105944A (ko) 2006-10-12
KR100641870B1 true KR100641870B1 (ko) 2006-11-06

Family

ID=3762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796A KR100641870B1 (ko) 2005-04-02 2005-04-02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8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491B1 (ko) 2008-01-10 2010-09-24 김인중 황토를 이용한 탄성 포장재
KR101185375B1 (ko) 2010-02-11 2012-10-05 김동현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974B1 (ko) * 2009-05-01 2010-04-21 최정헌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11090303A2 (ko) * 2010-01-20 2011-07-28 상산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4166631A (zh) * 2021-11-30 2022-03-11 温州理工学院 一种识别散体材料在外载作用下的流动与破碎机理的试验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491B1 (ko) 2008-01-10 2010-09-24 김인중 황토를 이용한 탄성 포장재
KR101185375B1 (ko) 2010-02-11 2012-10-05 김동현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하자보수 및 재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944A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050B1 (ko) 폐시멘트콘크리트 재생골재를 사용한 아스콘 도로포장방법및 블록제조방법
KR100641870B1 (ko)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JP2007284974A (ja) 土質ブロック
KR100918364B1 (ko) 황토 레미콘을 이용한 경하중 및 자전거 겸용 도로의 시공 방법
KR100836704B1 (ko) 흙 포장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 포장 시공방법
KR100591668B1 (ko) 고 투수탄성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02799B1 (ko) 스포츠용 바닥재 및 그 시공 방법
KR100937223B1 (ko) 포졸란 및 숯을 이용한 투수성 복합포장재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34177B1 (ko) 격자망을 가지는 탄성포장 구조체
JP2529801B2 (ja) 改善された透水性コンクリ―ト舗装の製造方法
KR100406440B1 (ko) 흙을 자재의 일부로 사용하는 시멘트콘크리트도로포장방법 및 시멘트블록 제조방법
JPH0532444A (ja) 透水性舗装用ブロツク
KR100641869B1 (ko)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탄성포장재
KR100662857B1 (ko) 인조화강석 블록,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64560B1 (ko) 활성고령토를 이용한 투수성 무색소 콘크리트 도로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시공방법
JPH08231283A (ja) 透水性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42522B1 (ko) 자연석 표면을 갖는 도로포장방법 및 블록의 제조방법
KR100243568B1 (ko) 표면 투수콘크리트 박층 포장방법
KR100272801B1 (ko) 토양바닥포장방법
KR100740262B1 (ko) 어린이 놀이터 바닥 시공방법
KR200448591Y1 (ko) 황토층이 상면으로 결합된 투수용 블록
KR100451053B1 (ko)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 포장방법
KR100272802B1 (ko)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층 처리방법
KR101057645B1 (ko) 투수 포장재의 표면 강화 처리 방법
KR102624687B1 (ko) 상온형 아스팔트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그리고 상온형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한 블록,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