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974B1 -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974B1
KR100953974B1 KR1020100005134A KR20100005134A KR100953974B1 KR 100953974 B1 KR100953974 B1 KR 100953974B1 KR 1020100005134 A KR1020100005134 A KR 1020100005134A KR 20100005134 A KR20100005134 A KR 20100005134A KR 100953974 B1 KR100953974 B1 KR 100953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yer
bicycle road
bicycle
polyurethan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헌
Original Assignee
최정헌
주식회사 상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헌, 주식회사 상산 filed Critical 최정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974B1/ko
Priority to PCT/KR2011/0003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9030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원목과 같은 성질의 물성을 유지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함으로써 반탄력(튕겨나오는 힘)이 우수한 경륜장 바닥과 유사한 경도 및 강성을 지녀 자전거 주행시 편안함과 속도감을 줄 수 있는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의 구조는, 기층과 그 상부에 형성된 표층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표층은, 상기 기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주재(主材)와, 경화제를 동시에 분사하여 발포시켜서 형성한 폴리우레탄 폼 층;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 상부에 형성되는 황토혼합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Structure of bicycle road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원목과 같은 성질의 물성을 유지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함으로써 반탄력(튕겨나오는 힘)이 우수한 경륜장 바닥과 유사한 경도 및 강성을 지녀 자전거 주행시 편안함과 속도감을 줄 수 있는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친환경산업, 즉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하여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저탄소 녹색 산업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에 맞춰 교통수단 및 스포츠용으로 자전거 이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우리 정부(지방자치단체)에서도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자전거 전용도로를 많이 설치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시공된 대부분의 자전거 전용도로는 표면에 고무칩을 포설하여 자전거가 주행하면서 도로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도로면에서 배수가 잘 되도록 하는 점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다.
지금까지의 대표적인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으로, 공개특허 제2002-72499호에는 잔골재 또는 규사 70∼80중량부 및 분쇄한 폐타이어고무칩 10∼30중량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하부 지지층에 폐우레탄 칼라 고무칩을 주성분으로 하는 상부 탄성층으로 구성되는 투수성 탄성 포장재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고, 특허 제718545호에는, 골재층의 상부에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를 도포하여 바닥층을 형성하고, 바닥층의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며, 접착제층의 상부에 PP, PVA,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섬유보강재와 고무입자가 혼합된 고무칩시트를 형성하고, 고무칩시트의 상부에 합성수지층을 형성하여 구성한 섬유보강재가 첨가된 고무칩 시트를 이용한 바닥재용 시트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자전거 도로의 투수성을 좋게 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 전용도로의 필수 요건인 자전거 주행시 안락감과 속도감을 함께 줄 수 있는 도로로서는 부적합하다.
자전거 주행시 안락감과 속도감을 함께 주기 위한 자전거 전용도로의 바닥재로서의 요건은, 바닥재가 습기를 먹지 않고 갈라짐이나 뒤틀림 등 변형이 적으며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일정한 반탄력(튕겨나오는 힘)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반탄력은 자전거 주행시 순발력을 증진시켜 준다. 또한 자전거 도로의 바닥면은 평탄해야 하는데, 평탄성은 자전거 운전자가 주행시 편안함을 느끼게 해준다.
이와 같은 요건을 모두 갖춘 자전거 전용도로 바닥재의 최상의 재료는 고온 처리된 원목, 원목 중에서도 삼나무(일본명 : 스기목)를 꼽고 있다. 예를 들면 경륜경기장의 트랙은 모두 고온 처리된 원목으로 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온 처리된 원목은 구입과 시공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 기간도 길고 유지 보수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원목과 유사한 경도 및 강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구비하여 적절한 반탄력과 경질성의 탄성층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고, 이러한 필요에 따라 원목 대신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기술이 출현하였는데, 출현된 기술 중의 하나가 공개특허 제2005-95109호 "충격 흡수능 및 미끄럼 방지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트랙 및 이의 시공방법"인데, 상기 기술은 트랙을 경도가 서로 다른 폴리우레탄층을 4층으로 구분하여 시공한 것으로, 육상 트랙에는 사용할 수 있지만 경륜 트랙이나 자전거 전용도로에는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기층면 위에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진 폴리우레탄층을 4개 층을 각각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 기간도 길고 시공작업도 복잡하며 유지 보수에도 많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원목과 유사한 경도 및 강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구비하고, 습기를 먹지 않고 갈라짐이나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적으며 외부 힘이 가해지면 적절한 반탄력을 유지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과 황토를 사용함으로써 경륜장 트랙과 같이 자전거 주행시 편안함과 속도감을 줄 수 있는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의 구조는, 기층과 그 상부에 형성된 표층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표층은, 상기 기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주재(主材)와, 경화제를 동시에 분사하여 발포시켜서 형성한 폴리우레탄 폼 층;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 상부에 형성되는 황토혼합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은, 자전거 도로를 시공할 바닥면에 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층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폼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의 상부에 황토혼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폼 층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70∼80중량%,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5∼10중량%, 실리카 1∼5중량%, 핵제 1∼5중량% 및 물질(정포제, 촉매, 발포제, 발색제가 혼합된 물질) 10∼15중량%를 포함하는 주재(主材)와; 70∼80중량%의 폴리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20∼30중량%의 프리폴리머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분자량 200∼300의 단분자 2∼3가 폴리올 : 분자량 400∼500의 단분자 3∼4가 아민폴리올 : 이소시아네이트 = 0.5∼1 : 0.5∼1 : 8∼9 의 중량비로 반응시킨 것)를 혼합한 경화제를 발포기에서 동시에 분사하여 발포시켜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황토혼합층은 황토 60∼80중량%와 아크릴계 수지 18∼35중량% 및 2∼7중량%의 EPDM 분말을 포함하여 교반시킨 후 분사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는, 천연 원목과 유사한 경도 및 강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구비하고, 습기를 먹지 않고 갈라짐이나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적으며 외부 힘이 가해지면 적절한 반탄력을 유지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 층을 기층면 위에 형성하고 그 상부에 황토혼합층을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시공되는 폴리우레탄 폼 층이 하부의 기층면에 흡착되고, 황토혼합층도 폴리우레탄 폼 층과 일체화되기 때문에 온도에 따른 변형이 적어 내한성과 내열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미끄러짐이 없고 도로면의 평탄성 유지는 물론 경륜장 트랙의 바닥면과 같이 자전거 주행시 편안함과 속도감을 줄 수 있으며 시공 비용도 저렴해서 자전거 전용도로의 최적 요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폴리우레탄 폼이 기층면에 스며드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의 황토혼합층에 그루브를 형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도로는 노상(路床) 위에 기층(基層)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표층을 형성하여 시공되는데, 기층은 쇄석을 주로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시멘트 콘크리트나 아스콘으로도 많이 시공하고 있다. 기층 상부에는 10∼15㎜ 두께의 표층만이 형성되기 때문에 표층을 시공할 바닥면 즉 기층의 표면 정리는 완벽한 자전거 도로의 시공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전체 시공의 완성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주의 깊게 실시되지 않으면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표층을 시공하기 전에 기층 표면의 수평 여부, 이물질의 존재 여부, 아스콘 덩어리나 시멘트 분진 혹은 몰탈 등과 같은 물질이 있는지 등을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의 가장 큰 특징은 기층(10) 상부에 형성되는 표층의 구조인데, 본 발명의 표층은 폴리우레탄 폼 층(20)과 그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황토혼합층(30)으로 구성된다. 표층은 두께가 10∼15㎜ 정도로, 하부에 위치하는 폴리우레탄 폼 층(20)의 두께가 8∼10㎜ 정도이고, 그 상부의 황토혼합층(30)의 두께가 2∼5㎜ 정도이면 자전거 전용도로로서의 모든 물성치를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폼 층(20)은 시공 현장에서 액상의 주재(主材)와 경화제를 미리 교반하여 각각 별도의 탱크에 보관하였다가 시공현장에 설치한 발포기에서 노즐을 통해 동시에 분사하여 발포 및 경화시켜서 형성한다. 주재와 경화제는 액상 상태에서 분사되기 때문에 기층(10) 표면에 스며들면서 흡착되어 일체화되기(도 2 참조) 때문에 기층면과의 접착강도가 매우 커져서 기층면과 그 상부에 형성되는 표층이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를 시험한 결과 표층과 기층의 접착강도가 20℃에서 12㎏/㎠ 이상으로 KS M 3006에서 규정하고 있는 이상의 강도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탄성재 도로는, 탄성재를 기층 상부에 시공하기 위하여 접착제로서 프라이머를 사용하는데, 프라이머는 액상 상태의 강력한 접착력이 있는 물질로 고상(固相)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상하의 물질을 접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아무리 접착력이 강한 물질이라고 해도 물성이 다른 두 물질 사이에서 온도와 습도의 지속적인 변화에 따라 두 물질에 나타나는 변화가 다르므로 접착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기층면에 공극이 존재하는데, 프라이머는 기층의 공극을 완전하게 메우지 못하고 액상(液相)의 프라이머가 고상으로 물성이 변화하면서 그 부피가 축소되기 때문에 기층면의 공극은 더 생기게 되어, 결국 공극 사이에 수분이 생기게 되고 열에 의해 발생된 CO2 등은 상부와의 접착력에 손상을 주게 되어 접착력이 약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는 상기와 같은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주재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70∼80중량%,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5∼10중량%, 실리카 1∼5중량%, 폴리우레탄 폼 형성시 기포(cell)의 크기를 미세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핵제 1∼5중량% 및 물질(정포제, 촉매, 발포제, 발색제가 혼합된 물질) 10∼15중량%로 구성된 것이다.
정포제는 발포시 폴리우레탄 폼의 균일한 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며, 촉매는 반응속도를 조절해 주고, 발포제는 발포시 기포(cell)를 만들어 내는 기능을 하는 물질이며, 발색제는 색을 내기 위한 물질로 폴리우레탄 폼의 용도, 특성 및 가공조건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해서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물질들은 폼을 생성할 때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들이어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물질의 투입하는 양을 줄이고 요구하는 물성치를 내기 위하여 다른 물질을 투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경화제는 70∼80중량%의 폴리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20∼30중량%의 프리폴리머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것인데, 상기 프리폴리머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는 분자량 200∼300의 단분자 2∼3가 폴리올 : 분자량 400∼500의 단분자 3∼4가 아민폴리올 : 이소시아네이트 = 0.5∼1 : 0.5∼1 : 8∼9 의 중량비로 반응시킨 것이다.
황토혼합층(30)은 황토 60∼80중량%와 아크릴계 수지 18∼35중량% 및 2∼7중량%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분말를 교반시킨 후 분사하여 형성하며, EPDM 분말은 황토혼합층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첨가되는 이중합성고무의 일종이다. 황토혼합층(30)은 폴리우레탄 폼 층(20)이 경화되기 전에 폴리우레탄 폼 층(20)의 상부에 곧바로 분사시켜서 형성하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폼 층(20)과 황토혼합층(30)이 완전히 일체화되어 하나의 표층을 형성하게 된다.
황토혼합층(30)의 표면에는 미세한 유리구슬인 글라스비드(glass beads)를 살포함으로써, 야간에 주변의 불빛이나 자전거 헤드라이트로부터 빛을 받으면 반사되어 자전거 운전자의 인지능력을 향상시켜 야간 주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색상을 내기 위하여 염료나 안료를 첨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곡선구간, 고가교량, 해안도로, 급커브 또는 경사면 등과 같이 자전거 도로가 설치되는 장소의 여건에 따라 조향성과 주행안정성이 필요한 구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황토혼합층(30) 표면에 복수의 그루브(groove)(3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자전거 도로를 시공할 바닥면에 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층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폼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의 상부에 황토혼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시공하며, 상기 황토혼합층을 형성하고 난 후에 황토혼합층의 상부에 글라스비드를 살포하는 단계 또는 그루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폴리우레탄 폼 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미리 교반시킨 액상의 주재(主材)와 경화제를 각각 별도의 탱크에 보관하였다가 시공현장에 설치된 발포기에서 노즐을 통해 기층의 상부에 동시에 분사하여 발포 및 경화시키는 단계인데, 이때 주재와 경화제는 무게비로 1:1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재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70∼80중량%,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5∼10중량%, 실리카 1∼5중량%, 폴리우레탄 폼 형성시 기포(cell)의 크기를 미세하게 만드는 기능을 하는 핵제 1∼5중량% 및 물질(정포제, 촉매, 발포제, 발색제를 혼합한 물질) 10∼15중량%를 포함하는 재료를 40∼60℃의 반응로에서 미리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혼합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은 마지막에 발포제를 집어넣어서 혼합하려면 발포제를 투입하기 전에 액의 온도를 30℃ 미만으로 냉각하여 투입하여야 한다.
경화제는 70∼80중량%의 폴리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20∼30중량%의 프리폴리머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시공 현장에 설치한 발포기의 탱크에 투입하는데, 상기 프리폴리머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는 분자량 200∼300의 단분자 2∼3가 폴리올 : 분자량 400∼500의 단분자 3∼4가 아민폴리올 : 이소시아네이트 = 0.5∼1 : 0.5∼1 : 8∼9 의 중량비로 반응시킨 것이다.
발포기에서 서로 다른 탱크에 투입 보관된 액상의 주재와 경화제는 동일한 중량비로 분사시켜서 폴리우레탄 폼 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분사시키고 나서 1시간 이내에 경화되기 때문에 별도의 긴 양생기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사로 인하여 보행자나 자동차의 통행에 불편을 주는 일이 없다.
황토혼합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황토 60∼80중량%와 아크릴계 수지 18∼35중량% 및 2∼7중량%의 EPDM 분말을 포함한 재료를 교반시켜 폴리우레탄 폼이 경화되기 전에 폴리우레탄 폼 층 위에 분사하는 단계인데, 폴리우레탄 폼이 경화되기 이전에 황토혼합층의 재료를 분사하므로 경계면에서 이들 재료가 혼합되면서 반응하여 일체화되면서 경화되게 된다. 황토혼합층의 재료에는 색상을 내기 위하여 염료나 안료를 첨가할 수도 있으며, EPDM 분말은 황토혼합층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황토혼합층을 형성하고 난 다음, 황토혼합층이 경화되기 전에 황토혼합층의 표면에는 미세한 유리구슬인 글라스비드를 살포함으로써, 자전거 운전자의 야간 주행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그루브(groove)나 문양 등을 표시하는 마감 작업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항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항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기층
20 : 폴리우레탄 폼 층
30 : 황토혼합층
31 : 그루브(groove)

Claims (12)

  1. 기층과, 그 상부에 형성된 표층으로 된 자전거 도로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층은,
    상기 기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주재(主材)와, 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된 경화제를 동시에 분사하여 발포시켜서 형성한 폴리우레탄 폼 층;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 상부에 형성되는 황토혼합층;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는,
    70∼8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5∼10중량%의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1∼5중량%의 실리카;
    1∼5중량%의 핵제;
    정포제, 촉매, 발포제, 발색제가 혼합된 10∼15중량%의 물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70∼80중량%의 폴리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0∼30중량%의 프리폴리머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
    를 혼합한 것인데, 상기 프리폴리머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는, 분자량 200∼300의 단분자 2∼3가 폴리올 : 분자량 400∼500의 단분자 3∼4가 아민폴리올 : 이소시아네이트 = 0.5∼1 : 0.5∼1 : 8∼9 중량비로 미리 반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혼합층은, 황토 60∼80중량%와 아크릴계 수지 18∼35중량% 및 2∼7중량%의 EPDM 분말을 포함하여 교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혼합층 표면에 글라스비드(glass beads)가 더 살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자전거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황토혼합층 표면에 복수의 그루브(groove)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의 구조.
  7. 자전거 도로를 시공함에 있어서,
    자전거 도로를 시공할 바닥면에 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층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폼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의 상부에 황토혼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거쳐서 시공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70∼80중량%,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5∼10중량%, 실리카 1∼5중량%, 핵제 1∼5중량% 및 물질(정포제, 촉매, 발포제, 발색제가 혼합된 물질) 10∼15중량%를 혼합한 주재(主材)와;
    70∼80중량%의 폴리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20∼30중량%의 프리폴리머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분자량 200∼300의 단분자 2∼3가 폴리올 : 분자량 400∼500의 단분자 3∼4가 아민폴리올 : 이소시아네이트 = 0.5∼1 : 0.5∼1 : 8∼9 중량비로 미리 반응시킨 것)를 혼합한 경화제;
    를 발포기에서 동시에 분사하여 발포시켜서 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혼합층을 형성하고 난 후에, 황토혼합층의 상부에 글라스비드를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와 경화제는, 발포기의 서로 다른 탱크에 보관했다가 동일한 중량비로 동시에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혼합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황토 60∼80중량%와 아크릴계 수지 18∼35중량% 및 2∼7중량%의 EPDM 분말을 포함한 재료를 교반시킨 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는, 40∼60℃의 반응로에서 미리 교반시켜서 발포기의 탱크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
KR1020100005134A 2009-05-01 2010-01-20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53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0360 WO2011090303A2 (ko) 2010-01-20 2011-01-18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8670 2009-05-01
KR1020090038670 2009-05-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974B1 true KR100953974B1 (ko) 2010-04-21

Family

ID=4222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134A KR100953974B1 (ko) 2009-05-01 2010-01-20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9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59B1 (ko) 2012-03-12 2012-05-24 최정헌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256283B1 (ko) 2011-02-18 2013-04-18 최정헌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299419B1 (ko) * 2010-08-12 2013-08-29 주식회사 씨씨티연구소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방법
CN104452583A (zh) * 2014-11-04 2015-03-25 江苏中路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复合抗滑磨耗层、制备方法及用途
KR101872498B1 (ko) *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나노 표면보호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의 표면 보호를 위한 시공방법
US11015302B2 (en) * 2016-03-11 2021-05-25 Polytex Sportbelage Produktions-Gmbh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ducing a polyurethane sports flooring
KR102572673B1 (ko) * 2023-06-23 2023-08-31 주식회사 올림피아 폐폴리우레탄을 재활용한 육상트랙용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상트랙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096A (ko) * 2004-07-20 2006-01-31 이영규 탄성 포장재를 이용한 바닥면 시공방법
KR20060105944A (ko) * 2005-04-02 2006-10-12 김인중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KR20090030472A (ko) *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그린켐 기능성 탄성 포장층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096A (ko) * 2004-07-20 2006-01-31 이영규 탄성 포장재를 이용한 바닥면 시공방법
KR20060105944A (ko) * 2005-04-02 2006-10-12 김인중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KR20090030472A (ko) *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그린켐 기능성 탄성 포장층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419B1 (ko) * 2010-08-12 2013-08-29 주식회사 씨씨티연구소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방법
KR101256283B1 (ko) 2011-02-18 2013-04-18 최정헌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148059B1 (ko) 2012-03-12 2012-05-24 최정헌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 및 구조
CN104452583A (zh) * 2014-11-04 2015-03-25 江苏中路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复合抗滑磨耗层、制备方法及用途
US11015302B2 (en) * 2016-03-11 2021-05-25 Polytex Sportbelage Produktions-Gmbh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ducing a polyurethane sports flooring
KR101872498B1 (ko) *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나노 표면보호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의 표면 보호를 위한 시공방법
KR102572673B1 (ko) * 2023-06-23 2023-08-31 주식회사 올림피아 폐폴리우레탄을 재활용한 육상트랙용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상트랙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974B1 (ko)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10392509B2 (en) High-grade asphalt composition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108024A (ko) 복합 포장 구조물
US20090308009A1 (en) Composite Material Roofing Structure
KR102020039B1 (ko)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1647296B1 (ko) 교통체증 저감형 도로 보수용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784455B1 (ko) 다양한 용도의 바닥부재 및 그 제조방법
CN103964751A (zh) 一种环氧砂浆桥面薄层铺装材料及其施工方法
CN107337992A (zh) 桥面防水材料及利用其的桥面防水施工方法
KR101045361B1 (ko)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WO2011090303A2 (ko) 자전거 도로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526414B1 (ko) 칼라 논슬립 바닥 포장재
KR100573432B1 (ko) 간이도로 포장재 및 그를 이용한 간이도로 포장방법
KR100631328B1 (ko) 플라스틱 수지칩을 포함하는 탄성포장재
KR100938212B1 (ko) 보행로 포장재 조성물
KR102250270B1 (ko) 교량 및 콘크리트 도로의 수밀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체 조성물
KR101110703B1 (ko) 건축용 탄성블럭
KR101091774B1 (ko) 미끄럼 방지용 자전거, 자동차 또는 보행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KR19990073697A (ko) 잔 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WO2008043994A1 (en) Intermediates for preparation of polymeric compositions
KR101715935B1 (ko) 친환경 탄성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4204424B2 (ja) 多孔質弾性舗装材及びその多孔質弾性舗装材を用いた多孔質弾性舗装用パネルの作製方法
KR101641688B1 (ko) 중온 개질아스팔트콘크리트 및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체
KR101256283B1 (ko)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 및 구조
KR101148059B1 (ko) 자전거 도로의 시공방법 및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