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943B1 - 온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온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943B1
KR101184943B1 KR20100050143A KR20100050143A KR101184943B1 KR 101184943 B1 KR101184943 B1 KR 101184943B1 KR 20100050143 A KR20100050143 A KR 20100050143A KR 20100050143 A KR20100050143 A KR 20100050143A KR 101184943 B1 KR101184943 B1 KR 101184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asuring
temperature
guid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5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682A (ko
Inventor
임갑수
박영국
조승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50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94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94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파이로미터가 내장되는 측정부 및 측정부를 소재에 근접 위치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는 측정부가 소재에 근접됨으로써, 측정부와 소재 사이의 외란인자를 무시하여 소재에 대한 온도 검출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증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 측정 장치{TEMPERATUR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온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 공정에서 수증기와 같은 외란 인자에도 불구하고 바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의 제조공정은 제선, 제강, 압연으로 이루어진다.
압연공정은 강을 제품에 맞게 늘리거나 얇게 넓히는 것으로서, 압연, 단조 및 주조 등 크게 3가지 방법이 있다.
압연은 강괴 또는 강편과 같은 소재를 회전하는 2개의 롤러 사이에 끼우고 롤러의 간격을 점차 좁히면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소재를 늘리거나 얇게 성형한다.
한편, 열간 압연공정에서 고온의 슬라브를 조압연하면 바가 되고, 이 바를 압연하여 최종 제품인 코일을 생산한다. 이때, 가열로의 관리 및 압연공정을 제어하는데 활용하기 위해 조압연 후의 바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파이로미터와 바 사이에 수증기와 같은 외란인자가 생성되더라도 바의 온도 측정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는 온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파이로미터를 구비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를 상기 소재에 근접 위치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는 상기 소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계되어 상기 이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소재의 상방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측정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측정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측정부를 감싸면서 양측이 개구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측정부와 연계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측정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부에는 측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측정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는 소재에 측정부가 근접됨으로써, 측정부와 소재 사이에 형성되는 외란인자의 영향을 억제하여 소재에 대한 온도 검출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는 측정돌기가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측정부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측정부가 소재에 과도하게 접근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부가 소재에 근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부의 측정돌기가 가이드부의 가이드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부가 소재에 근접될 때 측정부의 측정돌기가 가이드부의 가이드홈부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부가 소재에 근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부의 측정돌기가 가이드부의 가이드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부가 소재에 근접될 때 측정부의 측정돌기가 가이드부의 가이드홈부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1)에는 측정부(10)와 이동부(20)가 구비된다.
측정부(10)에는 파이로미터(11)가 내장된다. 이러한 파이로미터(11)는 압연 대상물인 바와 같은 소재(50)에 비접촉되면서 파장을 검출하여 소재(50)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소재(50)는 이송롤러(51)를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
측정부(10)에는 는 파이로미터(11)와 이를 감싸는 커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측정부(10)는 소재(50)와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며, 고정부(60)에 의해 소재(50)의 상방에 위치된다.
이동부(20)는 측정부(10)를 소재(50)에 근접 위치시킨다. 즉, 소재(50)는 이송롤러(51)를 통해 이송되며, 이동부(20)는 측정부(10)를 소재(50)로 근접 이동시킨다. 따라서, 측정부(10)는 수증기와 같은 외란인자를 극복하고 소재(50)의 온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20)는 고정부(60)와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1)에는 감지부(30)와 제어부(40)가 더 구비된다.
감지부(30)는 소재(5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30)는 이송롤러(51)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50)가 감지위치에 도달되면 이를 제어부(40)에 전송한다.
제어부(40)는 감지부(30)와 연계되어 이동부(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40)의 작동신호에 의해 이동부(20)는 측정부(10)를 소재(50)에 근접시키고, 측정부(10)는 소재(50)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4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20)에는 가이드부(21) 및 구동부(22)가 구비된다.
가이드부(21)는 소재(50)의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측정부(10)를 안내한다. 이러한 가이드부(21)는 고정부(60)에 결합된다.
구동부(22)는 제어부(40)의 신호에 따라 측정부(10)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부(22)의 구동으로 측정부(10)는 소재(50)에 근접되고, 소재(50)에 근접된 측정부(10)는 소재(50)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부(10)가 소재(50)에 근접되어 소재(50)의 온도를 측정하면, 구동부(22)는 측정부(10)가 소재(5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가이드부(21)는 양측이 개구되어 측정부(10)를 감싼다. 따라서 측정부(10)는 가이드부(21)의 내부에서 이동되어 소재(50)에 근접된다.
구동부(22)는 제어부(40)의 신호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고, 측정부(10)와 연계되어 측정부(10)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부(22)로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되고, 그 외 길이가 가변되는 다양한 부품이 채택 가능하다.
가이드부(21)에는 측정부(10)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베어링(23)이 구비된다. 이러한 베어링(23)은 가이드부(21)와 측정부(10)의 마찰을 억제하여 측정부(10)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한다.
측정부(10)에는 측정돌기(15)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부(21)에는 측정돌기(15)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25)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부(25)는 가이드부(2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측정돌기(15)가 가이드홈부(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정부(10)가 이동되면, 측정부(10)의 회전이나 비틀림이 방지된다. 이때, 측정돌기(15)는 가이드홈부(25)의 단부에 걸리므로, 측정부(10)의 과도한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측정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재(50)가 이송롤러(51)에 의해 이동되고, 감지부(30)는 측정부(10)가 소재(50)의 온도를 측정하기 적합한 위치에 소재(50)가 도달되었는지를 감지한다.
감지부(30)가 소재(50)의 도달을 감지하여 제어부(40)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40)는 구동부(22)를 구동시킨다.
구동부(22)가 구동되어 길이가 늘어나면, 이와 연계된 측정부(10)는 소재(50)로 근접되어 소재(50)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부(10)는 소재(50)의 온도를 측정한 후 제어부(40)에 전송하고, 제어부(40)는 구동부(22)를 구동시킨다. 제어부(40)의 신호에 따라 구동부(22)는 길이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측정부(10)는 소재(50)에서 멀어진다.
한편, 가이드부(21)에는 베어링(23)이 구비되므로, 측정부(10)는 베어링(23)과 접촉되어 가이드부(21) 내부를 원활히 이동하게 된다.
이때, 측정부(10)에 구비되는 측정돌기(15)는 가이드부(21)의 가이드홈부(25)에 삽입되므로, 측정부(1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한, 측정돌기(15)가 가이드홈부(25)의 단부에 도달되면 가이드홈부(25)에 걸려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측정부(10)가 과도하게 소재(50)로 근접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측정부 11 : 파이로미터
20 : 이동부 21 : 가이드부
22 : 구동부 23 : 베어링
25 : 가이드홈부 30 : 감지부
40 : 제어부 50 : 소재

Claims (6)

  1. 삭제
  2.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파이로미터를 구비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상기 소재에 근접 위치시키는 이동부;
    상기 소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계되어, 상기 감지부가 상기 소재의 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측정부가 상기 소재에 근접되도록 상기 이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소재의 상방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측정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측정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측정부를 감싸면서 양측이 개구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측정부와 연계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측정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는 측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측정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측정 장치.
KR20100050143A 2010-05-28 2010-05-28 온도 측정 장치 KR101184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0143A KR101184943B1 (ko) 2010-05-28 2010-05-28 온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0143A KR101184943B1 (ko) 2010-05-28 2010-05-28 온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682A KR20110130682A (ko) 2011-12-06
KR101184943B1 true KR101184943B1 (ko) 2012-10-02

Family

ID=4549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0143A KR101184943B1 (ko) 2010-05-28 2010-05-28 온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154B1 (ko) * 2016-10-13 2018-02-21 주식회사 포스코 온도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주조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710B1 (ko) * 2012-05-04 2014-03-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대구경 단결정 성장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성장방법
CN110665975A (zh) * 2019-08-31 2020-01-10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检测器的安装底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498B1 (ko) * 2000-12-26 200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주편용 온도측정기의 렌즈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498B1 (ko) * 2000-12-26 2005-01-13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주편용 온도측정기의 렌즈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154B1 (ko) * 2016-10-13 2018-02-21 주식회사 포스코 온도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주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682A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232B1 (ko) 열연 조압연 공정의 사이드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압연소재 가이드방법
KR101184943B1 (ko) 온도 측정 장치
KR101443089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JP2007144487A (ja) 熱延ダウンコイラーの段差回避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403197B2 (ja) 加熱スラブ転回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システム
KR20140041173A (ko) 압연기용 균열 감지장치
CN206241150U (zh) 一种带有检测功能的钢筋调直机
JP2013128978A (ja) サイドガイド装置およびサイドガイド方法
JP2017538584A (ja) ローラガイド及び素材をガイドする方法
JP2011050991A (ja) 厚板剪断設備、鋼板蛇行制御方法および鋼板蛇行防止方法
KR101204839B1 (ko) 유도전류형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KR101388014B1 (ko) 소재온도 측정장치
KR101277580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3094B1 (ko) 압연스탠드장치
KR101148949B1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JP6008142B2 (ja) 熱延鋼板の巻取り制御方法および巻取り制御装置
KR101443102B1 (ko) 소재 만곡 조정장치
KR101435033B1 (ko) 소재온도조절장치
KR101445861B1 (ko) 쿨링타워의 쿨링챔버 위치조절장치
KR100711411B1 (ko) 열간 압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09994U (ko) 코일 박스의 바 코일 가이드장치
KR101193862B1 (ko) 스트립 속도 측정 장치
KR101277579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552810B2 (ja) スレッディングテーブルおよびその位置制御方法
KR101424480B1 (ko) 슬라브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