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412B1 -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412B1
KR101184412B1 KR1020120037114A KR20120037114A KR101184412B1 KR 101184412 B1 KR101184412 B1 KR 101184412B1 KR 1020120037114 A KR1020120037114 A KR 1020120037114A KR 20120037114 A KR20120037114 A KR 20120037114A KR 101184412 B1 KR101184412 B1 KR 10118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road surface
composition
mma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태윤
Original Assignee
(주)새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새론테크
Priority to KR102012003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6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2Glass ; Devitrified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반응성 MMA(methyl metacrylate) 수지에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를 용해시켜 제조한 변성 MMA 수지 38~59중량%,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세라믹 골재 또는 유리 비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20~30중량%, 충진제 15~25중량%, 안료 5~15중량% 및 경화제 2~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 반응성 MMA 단독 수지가 지닌 단점을 개선한 변성 MMA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접착성과 내마모성 등 내구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휘도를 개선하면서도, 경화시간이 빨라 시공의 편리성을 현저하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ROAD SURFACE MARKING COMPOSITION USING MODIFIED MMA RESIN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의 문제점인 크랙 발생과 유리알 탈락으로 인한 휘도 저하를 개선하여, 접착성과 내마모성 등 내구성이 우수하고, 경화시간이 빨라 시공의 편리성을 현저하게 개선하면서도 시공 후 신속한 차량통행이 가능토록 한 친환경적인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은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은 도로 표면과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밤길이나 어두운 길에서 빛을 반사하게 하여 도로 표지를 선명하게 해주는 유리 비드와의 부착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또한 경화후 자외선에 의한 황변성과 광택 저하와 같은 경시 변화가 없고 또한 여름철, 겨울철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는 열적안정성이 우수해야 하며,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체 등에 의한 내충격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존 도로노면 표시에 사용되어 지고 있는 수지의 경우에는, 도막의 두께가 얇아 내구성이 떨어지고,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어 왔다. 또한, 내충격성이 떨어져 크랙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그 결과로 탈락현상이 나타나며 유리 비드를 잡아주는 바인더로서의 역할이 미미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휘도 유지가 되지 않아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며 특히, 비오는 날에는 차선의 유무 판단이 어려울 정도로 휘도가 떨어져 운전자에게 상당한 피로감을 안겨 준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더욱이 시공시 건조되는 속도가 늦어 건조시간(20~40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화속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 도로노면 표시용 수지로 사용되어 온 반응성 수지 MMA(methyl metacrylate)는 도로 노면과의 접착 성능이 우수하고 반응성이 우수하여 빠른 시간내 경화되어 빠른 교통개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내충격성이 약하여 지속적인 차량 하중에 의한 크랙이 발생되고 유리알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바인더로서의 역할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경화속도를 높여 시공의 편리성을 개선하면서도, 접착성과 내충격성 등 내구성을 유지하고, 휘도 유지가 가능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여 반응성 MMA 단독 수지가 지닌 단점을 개선한 변성 MMA 수지를 제조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착성과 내마모성 등 내구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휘도를 개선하면서도, 경화시간이 빨라 시공의 편리성을 현저하게 개선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응성 MMA(methyl metacrylate) 수지에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를 용해시켜 제조한 변성 MMA 수지 38~59중량%,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세라믹 골재 또는 유리 비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20~30중량%, 충진제 15~25중량%, 안료 4~15중량% 및 경화제 2~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성 MMA수지는 반응성 MMA 수지 30~45중량%에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 8~14중량%를 용해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벤톤, 실리카, 탄산마그네슘, 탈크, 황산바륨, 수산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제는 농도 50%인 과산화 벤조일(benzoyl per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지면을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한 소지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은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를 반응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용해시켜 제조한 변성 MMA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경화성이 우수하고 특히 저온 경화성이 우수하여 시공시 영하의 온도에서도 빠른 경화속도를 나타내어 겨울철 시공에도 차량의 빠른 개방을 가져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 조건이 우수하고 내수성이 뛰어나 습도에 대해 민감하지 않아 작업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은 변성 MMA 수지에 의하여 신율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강인성을 부여함으로써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차량의 하중에 의한 지속적인 충격에도 기계적 물성을 그대로 유지하여 크랙발생을 억제하며, 유리 비드의 바인더로서 기능이 우수하여 유리 비드의 탈락을 막아 오랜 시간 휘도를 유지할 수 있어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자외선에 따른 변색이 없어 내후성이 우수하고 시인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공극 내부 침투성이 우수하여 피착제와 일체화되는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내구성이 뛰어나 재도장이 필요없게 되므로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반응성 MMA(methyl metacrylate) 수지에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를 용해시켜 제조한 변성 MMA 수지 38~59중량%,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세라믹 골재 또는 유리 비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20~30중량%, 충진제 15~25중량%, 안료 4~15중량% 및 경화제 2~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성 MMA 수지는 반응성 MMA 수지 30~45중량%에, 합성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 성질을 가지고 유연성 및 신율 등의 좋은 특성을 보유한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Amine Terminated Epoxy Prepolymer) 폴리우레아 수지 8~14중량%를 용해시켜 제조함으로써, 상기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에 의하여 접착성과,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적인 변성 MMA 수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성 MMA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반응성 MMA 수지는, 조성물의 접착 및 경화성을 부여하는 메인 수지로써 도장면에 대한 내구성, 내후성 등의 주된 기능을 부여하는 바, 30~45중량%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중량%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접착 및 바인더 효과가 미비하고, 45중량% 초과일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조성물의 함량이 적어져서 원하고자 하는 물성의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만들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성 MMA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는, 조성물의 신율 및 인장 강도 등 강인성을 부여하여 크랙발생 억제 및 유리알 탈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를 폴리우레아 분자 구조 내에 도입한 수지이다. 이를 상기 반응성 MMA 수지에 용해시켜 변성 MMA 수지를 제조하도록 함으로써 도로노면 표시 용도에 따른 물성의 차별화 및 최적화를 가져오게 한 것이다. 이러한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가 8 중량%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강인성 및 크랙 방지 효과가 미비하고, 14 중량% 초과일 경우 점도 상승을 초래하고, 상대적으로 다른 조성물의 함량이 적어져서 원하는 물성의 도로노면 표시용 도료를 만들 수가 없게 되므로, 8~14중량%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폭시 프리폴리머는 말단기가 아민기로 형성되어 있고, 이관능성 에폭시 수지와, 분자량이 50 내지 250이고 관능기가 2개인 아민을 60 내지 80℃에서 2시간 동안 유지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디아민 60~80중량%와, 폴리옥시프로필렌 트리아민 20~4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비스페놀 A형 타입의 에폭시 수지(예: YD-128(국도화학)) 80~90중량%, Non-halogen 난연 에폭시 수지(예: KDP-555MC80(국도화학)) 10~20중량%를 혼합한 에폭시 수지 100중량%를 60~80℃에서 2시간 동안 유지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민 말단 에폭시 프리폴리머 100중량%에 대하여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12M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중에서 선택된 1종 내지 1종 이상이 혼합된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3~10중량%를 투입하여 교반 속도를 천천히 하여 반응온도 60~80℃에서 2시간 유지시킴으로써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세라믹 골재 또는 유리 비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은 미끄럼 방지 기능 및 재귀반사효과를 부여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20~30중량%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재귀 반사 효과 및 미끄럼 저항 기능이 떨어지고, 30중량%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세라믹 골재 또는 유리비드의 과함유로 인하여 시공시 작업성이 저하되고, 도막의 두께가 높이 도포되어 경제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20~30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세라믹 골재로는 규석(SiO2)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그 크기는 대략 1~5mm정도의 것이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3~5mm정도가 좋다. 규석은 그 입자의 크기가 거의 균일하며, 모스 경도가 6.5~7.5정도로 경도면에서도 강하고 변색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먼지가 적고 접착성이 양호하여 노면에 미끄럼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비드는 야간 시에 운전자가 미끄럼 저항을 높여야 하는 위험구간에서 빛을 발하여 도포면을 쉽게 식별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 페놀수지,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변성 멜라민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치수 안정성, 작업성 향상, 칙소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시공시 조도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로는 벤톤,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황산바륨, 수산화 알루미늄 중 1종 내지 1종 이상의 혼합물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치수 안정성 및 점도의 저하를 가져와 흐름성으로 인하여 도로노면 표시 도료로서 일정한 형태를 만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25중량%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에는 칙소 상승에 의한 작업성 저하 및 내충격성 저하 등의 영향을 가져오므로 15~25중량%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도로노면의 표시에 있어서 색상 구현 및 시인성 유지의 목적으로 필요한 색상을 선택하여 도로노면에 착색하도록 하는 것으로 황색, 백색 또는 청색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안료의 함량이 4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구현하고자 하는 도로노면의 표시 색상을 나타내지 못할 우려가 있고, 안료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상승으로 인한 작업성 및 경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만, 색상에 따라 사용되는 착색안료의 함량이 상이할 수 있다. 백색은 도로 노면 표시에 있어 수지 자체의 색상이 있기 때문에 황색보다 색의 구현에 더 많은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로는 과산화물을 사용하는데, 계절별 온도에 따라 함량을 조절하되, 2 중량% 미만일 경우 경화 속도 지연 및 시편 물성의 강도가 빠른 시간 내에 구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6 중량% 초과일 경우 가사 시간이 짧아져 작업성 저하를 가져오므로 2~6 중량% 범위 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소지면을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한 소지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은 상기한 원료들을 혼합한 프리믹스(pre-mix) 형태의 조성물로 제조되므로, 상기와 같이 롤러, 갈퀴, 스프레이 등으로 1회 시공하여 도로노면에의 도포가 완료되고, 경화시간이 수분 이내로 짧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할 경우 작업 공기 단축 및 인건비 감소를 가져와 경제성 및 시공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로노면 표시 작업시 2액형 고온 고압의 스프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작업할 경우에는 혼합 충돌시의 스프레이 분사기의 압력은 1500~2500 psi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압력이 1500psi 보다 낮아질 때에는 Mixing 불량으로 미경화로 인한 물성저하의 문제점이 있고, 압력이 2,500psi 보다 높아지면 평활한 도장면을 얻을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혼합충돌시의 수지의 온도는 50~8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가 50℃ 이하가 될 경우에는 혼합충돌시 믹싱 불량의 문제점이 생기고, 온도가 80℃ 이상이 되면 반응속도가 빨라져 평활한 도장면을 얻을 수가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반응성 MMA 수지 40중량%,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 10중량%, 자체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세라믹 골재 및 유리 비드 24중량%, 충진제 18중량%, 안료 6중량% 및 경화제 2중량%로 이루어지는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반응성 MMA 수지 42중량%,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 8중량%, 자체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세라믹 골재 및 유리 비드 25중량%, 충진제 18중량%, 안료 6중량%, 경화제 3중량%로 이루어지는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반응성 MMA 수지 41중량%,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 11중량%, 자체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세라믹 골재 및 유리 비드 22중량%, 충진제 17중량%, 안료 6중량%, 경화제 2중량%로 이루어지는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반응성 MMA 40중량%,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 5중량%, 자체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세라믹 골재 및 유리 비드 18중량%, 충진제 28중량%, 안료 9중량%, 경화제 1중량%로 이루어지는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반응성 MMA 38중량%,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 16중량%, 자체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세라믹 골재 및 유리 비드 17중량%, 충진제 25중량%, 체질 안료 2중량%, 경화제 2중량%로 이루어지는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반응성 MMA 55중량%,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 8중량% 자체 재귀반사 기능 세라믹 골재 및 유리알 15중량%, 충진제 12중량%, 체질 안료 8중량%, 경화제 2중량% 이루어지는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조성물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단위: 중량%).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반응성 MMA 40 42 41 40 38 55
아민 말단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10 8 11 5 16 8
세라믹 골재 및 유리 비드 24 25 22 18 17 15
충진제 18 18 17 28 25 12
안료 6 6 6 9 2 8
경화제 2 2 3 1 2 2
<시험 방법 및 시험 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시료를 충분히 혼합시켜 도포면에 시공한 다음,
KS F 2375(노면의 미끄럼 저항성 시험방법)에 의거 제작한 휠 트렉킹 공시체를 이용하여 미끄럼 저항성을 측정하였고, KS C 7613(휘도측정방법)에 따라 휘도계(LS-100, MINOLTA)를 이용하여 휘도 성능을 측정하였다.
도포된 구간은 부산 및 경남 양산 일반도로 구간에 4구간으로 구분하여 시험도포하여 시공성을 평가하였고, 시험 도포한 도로노면 표시 포장구간을 12개월간(2009년 9월~2010년 9월) 관찰하여 유리 비드의 탈락여부, 변색, 부착상태 및 크랙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 우수, ○ : 양호, X : 불량).
평가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미끄럼저항성(BPN) 59 60 59 48 45 42
휘도(cd/m 2 ) 152 154 150 120 115 100
건조시간(분) 12 10 10 20 13 15
작업성 X X X
변색
(개월)
4
8 X
12 X
부착상태
(개월)
4
8
12 X
크랙발생
(개월)
4
8 X X
12 X X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휘도 면에 있어서는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공과 관련하여, 작업성에 있어서는 비교예 1내지 3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경화속도가 10분 내외로 매우 단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내구성과 관련하여 4개월 단위로 1년간 시험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변색이나, 세라믹 골재 및 유리비드의 부착상태, 크랙의 발생정도 등에 있어서 모두 우수한 물성을 보였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변색 정도에 있어서는 우수하나, 세라믹 골재 및 유리비드의 부착상태, 크랙의 발생정도에 있어서 8개월이 지나자 그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세라믹 골재 및 유리비드의 부착상태는 우수하나, 변색의 정도나 크랙의 발생정도에 있어서는 4개월 정도만 도료의 물성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변색의 정도는 우수한 물성을 가지나 크랙의 발생정도에 있어서는 그 물성이 4개월 이상 지속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은 도로도면에 접착시 침투성이 우수하여 노면과 일체화되고, 세라믹 골재 및 유리 비드를 잡아주는 바인더 기능이 우수하여 세라믹 골재 및 유리 비드의 탈락을 방지하여 오래도록 미끄럼 방지 기능과 휘도를 유지하고, 내충격성이 뛰어나 차량의 하중에 의한 지속적인 충격에도 기계적 물성을 그대로 유지하여 크랙 발생을 억제하며, 자외선에 따른 변색이 없어 내후성이 우수하고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고, 시공에 있어서도 경화성이 뛰어나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반응성 MMA(methyl metacrylate) 수지에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를 용해시켜 제조한 변성 MMA 수지 38~59중량%,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세라믹 골재 또는 유리 비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20~30중량%,
    충진제 15~25중량%,
    안료 4~15중량% 및
    경화제 2~6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변성 MMA수지는 반응성 MMA 수지 30~45중량%에 아민 말단의 에폭시 프리폴리머 폴리우레아 수지 8~14중량%를 용해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벤톤, 실리카, 탄산마그네슘, 탈크, 황산바륨, 수산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농도 50%인 과산화 벤조일(benzoyl per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5. 소지면을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한 소지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20037114A 2012-04-10 2012-04-10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84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114A KR101184412B1 (ko) 2012-04-10 2012-04-10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114A KR101184412B1 (ko) 2012-04-10 2012-04-10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412B1 true KR101184412B1 (ko) 2012-09-20

Family

ID=4711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114A KR101184412B1 (ko) 2012-04-10 2012-04-10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4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894B1 (ko) * 2013-10-11 2014-02-19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조성물,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시공방법
KR101443892B1 (ko) * 2013-12-31 2014-09-23 설태윤 속건성, 시공성 및 재귀반사비드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74029B1 (ko) 2018-09-21 2019-04-30 주식회사 퍼블릭아이디 도로 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표시선 시공방법
KR102177882B1 (ko) 2020-05-07 2020-11-12 전영애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변성 폴리우레아계 친환경 도로차선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196705B1 (ko) 2020-04-14 2020-12-30 정한구 유리알 부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친환경 도로차선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307085B1 (ko) * 2020-10-16 2021-09-29 김보석 블랙아이스 구간 사고예방을 위한 상온식 포장방식과 도트방식을 결합한 블랙아이스존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55031A (ko) 2022-05-02 2023-11-10 에코리엔트샤인 (주) 돌출 및 후막형 노면표시를 위한 상온경화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및 후막형 노면표시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93Y1 (ko) 2006-11-10 2007-12-07 세이프로드 주식회사 반응성수지를 이용한 도로차선구조물.
KR100937181B1 (ko) * 2009-07-27 2010-01-19 (주)새론테크 자전거 전용 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93Y1 (ko) 2006-11-10 2007-12-07 세이프로드 주식회사 반응성수지를 이용한 도로차선구조물.
KR100937181B1 (ko) * 2009-07-27 2010-01-19 (주)새론테크 자전거 전용 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894B1 (ko) * 2013-10-11 2014-02-19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조성물,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포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시공방법
KR101443892B1 (ko) * 2013-12-31 2014-09-23 설태윤 속건성, 시공성 및 재귀반사비드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74029B1 (ko) 2018-09-21 2019-04-30 주식회사 퍼블릭아이디 도로 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표시선 시공방법
KR102196705B1 (ko) 2020-04-14 2020-12-30 정한구 유리알 부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친환경 도로차선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177882B1 (ko) 2020-05-07 2020-11-12 전영애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변성 폴리우레아계 친환경 도로차선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307085B1 (ko) * 2020-10-16 2021-09-29 김보석 블랙아이스 구간 사고예방을 위한 상온식 포장방식과 도트방식을 결합한 블랙아이스존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55031A (ko) 2022-05-02 2023-11-10 에코리엔트샤인 (주) 돌출 및 후막형 노면표시를 위한 상온경화형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및 후막형 노면표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412B1 (ko) 변성 mma 수지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US8342700B2 (en) Wear and impact resistant reflective road lane markers
KR100937181B1 (ko) 자전거 전용 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US10703916B2 (en) High content polyamide hot-applied thermoplastic composition
KR102159619B1 (ko) 젖은 노면에서 재귀반사성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노면 표지
KR102078141B1 (ko) 점도가 제어된 논슬립 특성을 갖는 도로 도포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A517380924B1 (ar) ختم راتنجي تفاعلي لعلامات بلاستيكية باردة منخفضة التلوث
KR102356065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도로 노면 표시 조성물
KR20090128748A (ko) 에스테르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한 스프레이 가능한 상온경화형 차선 및 특수구역표시용 도료 조성물
KR20180036827A (ko) 무황변 폴리아스파틱 우레아 함유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건물의 내외부 표면의 코팅 공법
KR102559304B1 (ko)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42207B1 (ko) 노면 표지용 축광도료 조성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96705B1 (ko) 유리알 부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친환경 도로차선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1490443B1 (ko) 도로 표지용 폴리우레아 조성물
KR101206309B1 (ko) 도막형성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도로 표시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70115B1 (ko) 도로용 수성 아크릴 에폭시 도료 조성물
KR101663051B1 (ko) 고내구성을 갖는 속경화형 철재용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48963B1 (ko) 에폭시-폴리우레아 하이브리드 수지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KR102431542B1 (ko) 내구성 및 미끄럼방지 효과가 우수한 포장재 조성물
KR102482273B1 (ko)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KR102476339B1 (ko) 수막현상을 최소화한 고내구성 도로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43892B1 (ko) 속건성, 시공성 및 재귀반사비드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88816B1 (ko) 미끄럼 방지 기능과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표시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KR101241795B1 (ko) 미끄럼 방지 바닥재의 시공 방법
KR101232032B1 (ko) 도로표지용 우천형 축광 반사 비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