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347B1 -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347B1
KR101184347B1 KR1020100076119A KR20100076119A KR101184347B1 KR 101184347 B1 KR101184347 B1 KR 101184347B1 KR 1020100076119 A KR1020100076119 A KR 1020100076119A KR 20100076119 A KR20100076119 A KR 20100076119A KR 101184347 B1 KR101184347 B1 KR 101184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unition
hot air
opening
supply pipe
mol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845A (ko
Inventor
최원석
홍호연
손현석
Original Assignee
엔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3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F42B33/06Dismantling fuzes, cartridges, projectiles, missiles, rockets or bom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6Warfare materials, e.g.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측면에는 탄약의 기폭(起爆)으로 인해 생성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1)이 연결되고, 하측면에는 고온을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제 1열풍공급관(12)이 연결되고, 배출관(11)과 제 1열풍공급관(12)의 사이에는 탄약을 공급하기 위한 탄약공급관(13)이 연결되는 열기폭로(10);와, 상기 열기폭로(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탄약공급관(13)을 통해 낙하되는 탄약을 상부면에 안착시키며, 제 1열풍공급관(12)으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기폭되는 탄약을 용융탄두납과 탄피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개폐판(21)을 갖는 개폐부(20);와, 상기 개폐부(20)의 하부에 연결되고, 개폐판(21)의 저면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제 2열풍공급관(31)이 연결되는 호퍼(30); 및 상기 호퍼(30)의 하부에 연결되어 기폭에 의해 분리된 용융탄두납과 탄피를 각각 분리 저장하는 저장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A HOT DETONATION DISPOSAL SYSTEM FOR AMMUNITION}
본 발명은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하기 쉽도록 열기폭로와, 개폐부와, 호퍼 및 저장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직립된 단일 공간 형태로 구성되고, 열기폭로의 내부에 다수의 배플을 구비함으로써, 공급되는 열풍의 맴돌이 현상에 의해 데드존(Dead Zone) 구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폭에 필요한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열풍을 직접 공급하고 배플을 통해 열풍을 순환시킴으로써, 탄약 기폭 시 발생하는 고농도의 CO, H2를 폭발한계농도 이하로 열풍과 혼합시켜 2차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고열로 인해 용융된 탄두용융납과 탄피를 분리 수거하여 저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약은 탄두와 탄피 및 탄두를 강한 압력으로 밀어내기 위하여 탄피의 내측에 화약을 투입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폐탄약은 탄두와 탄피 및 화약을 별도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방법이 가장 이상적이다.
하지만 폭발성질을 갖진 화약의 분리가 대단히 어렵고 위험함으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탄약에 내장된 화약의 폭발력을 견딜수 있는 압력관의 내측에 탄약을 투입하여 가열함으로써 압력관의 내측에서 탄약의 화약을 터트려 연소시키고 탄피와 탄두 및 납 등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실탄소각장치(실용신안등록제 20-0204533호)가 등록된 바 있다.
즉 종래의 실탄소각장치는 회전하는 압력관의 내측에 탄약을 투입하여 압력관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탄약에 내장된 화약을 터트려 화약을 연소시키고 분리된 탄두와 탄피는 압력관의 내측에 형성된 스크류에 걸리게 하여 압력관이 회전함으로써 압력관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 측으로 밀려서 배출되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실탄소각장치는 매우 복잡하고 규모의 장치가 매우 커서 제작비용이 많이 들며, 이로 인해 협소한 장소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폭에 의한 소음이 너무 크기 때문에 사용자의 고막 손상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실탄소각장치는 기폭을 유도하는 구간이 짧아 최종처리 후 배출되는 탄약 중 불발탄이 배출되는데, 여기서 불발탄은 탄약 기폭시 기폭에 의한 폭압으로 기폭 되지 않은 탄약이 기폭 구간 밖으로 튕겨나가 발생 된다. 이에 따라 안전한 기폭을 위하여 탄의 체류시간을 길게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하기 쉽도록 열기폭로와, 개폐부와, 호퍼 및 저장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직립된 단일 공간 형태로 구성되고, 열기폭로의 내부에 다수의 배플을 구비함으로써, 공급되는 열풍의 맴돌이 현상에 의해 데드존(Dead Zone) 구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폭에 필요한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열풍을 직접 공급하고 배플을 통해 열풍을 순환시킴으로써, 탄약 기폭 시 발생하는 고농도의 CO, H2를 폭발한계농도 이하로 열풍과 혼합시켜 2차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고열로 인해 용융된 탄두용융납의 납 고임 현상을 방지하여 장치의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더불어 탄두용융납과 탄피를 분리 수거할 수 있어 금속의 재사용이 편리한 구조의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상측면에는 탄약의 기폭(起爆)으로 인해 생성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1)이 연결되고, 하측면에는 고온을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제 1열풍공급관(12)이 연결되고, 배출관(11)과 제 1열풍공급관(12)의 사이에는 탄약을 공급하기 위한 탄약공급관(13)이 연결되는 열기폭로(10);와, 상기 열기폭로(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탄약공급관(13)을 통해 낙하되는 탄약을 상부면에 안착시키며, 제 1열풍공급관(12)으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기폭되는 탄약을 용융탄두납과 탄피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개폐판(21)을 갖는 개폐부(20);와, 상기 개폐부(20)의 하부에 연결되고, 개폐판(21)의 저면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제 2열풍공급관(31)이 연결되는 호퍼(30); 및 상기 호퍼(30)의 하부에 연결되어 기폭에 의해 분리된 용융탄두납과 탄피를 각각 분리 저장하는 저장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열기폭로(10) 및 호퍼(30)는 충격흡수를 위해 2개의 금속플레이트(P)와, 상기 각 금속플레이트(P)의 사이에 개재된 세라믹울(W)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플레이트(P)는 알루미늄합금 및 스테인레이스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열기폭로(10)는 내주연에 지그재그 형태로 부착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배플(14)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배플(14)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판(21)은 회전축(213)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개폐되며, 원주면에는 기폭에 의해 분리된 용융탄두납을 배출하기 위한 반원 형상의 배출공(211)이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4발명에서, 상기 개폐판(21)은 용융탄두납을 일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2.5°내지 3.5°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개폐판(21)의 상부면에는 용융탄두납을 가이드하기 위한 선형의 가이드홈(212)이 다수 형성되되, 상기 각 가이드홈(212)은 개폐판(21)의 기울기 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기울기 방향의 중심부로 집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저장부(40)는 용융탄두납을 저장시키기 위해 호퍼(30)의 연직 하방 상에 위치되는 제 1챔버(41)와, 상기 제 1챔버(41)의 측면에 위치되어 탄피를 저장하는 제 2챔버(42)와, 용융탄두납은 통과시켜 제 1챔버(41)로 유도하고, 탄피는 상기 제 2챔버(42)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챔버(41)의 상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호퍼(30)와 제 2챔버(42) 상에 통로를 형성시키는 타공판(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탄약공급관(13)은 탄약을 배플(14)의 상부로 유도하기 위해 열기폭로(10)의 내부로 부분 돌출되고, 낙하 되는 탄약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9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8발명에서, 상기 탄약공급관(13)으로는 열기폭로(10)의 내부 열에 있어 탄약의 기폭을 방지하기 위해 탄약과 함께 압축공기가 분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는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하기 쉽도록 열기폭로와, 개폐부와, 호퍼 및 저장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직립된 단일 공간 형태로 구성되고, 열기폭로의 내부에 다수의 배플을 구비함으로써, 공급되는 열풍의 맴돌 현상에 의해 데드존(Dead Zone) 구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폭에 필요한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풍을 직접 공급하고 배플을 통해 열풍을 순환시킴으로써, 탄약 기폭 시 발생하는 고농도의 CO, H2를 폭발한계농도 이하로 열풍과 혼합시켜 2차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기폭로와 호퍼는 2개의 금속플레이트의 사이에 세라믹울을 내장시킨 밀폐구조로 열효율은 증대시키고 기폭소음은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열로 인해 용융된 탄두용융납의 납 고임 현상을 방지하여 장치의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더불어 탄두용융납과 탄피를 분리 수거할 수 있어 금속의 재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개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개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하기 쉽도록 열기폭로와, 개폐부와, 호퍼 및 저장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직립된 단일 공간 형태로 구성되고, 열기폭로의 내부에 다수의 배플을 구비함으로써, 공급되는 열풍의 맴돌 현상에 의해 데드존(Dead Zone) 구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폭에 필요한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열풍을 직접 공급하고 배플을 통해 열풍을 순환시킴으로써, 탄약 기폭 시 발생하는 고농도의 CO, H2를 폭발한계농도 이하로 열풍과 혼합시켜 2차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고열로 인해 용융된 탄두용융납과 탄피를 분리 수거하여 저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열기폭로(10)와, 상기 열기폭로(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개폐부(20)와, 상기 개폐부(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호퍼(30)와, 상기 호퍼(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저장부(40)로 구성되어 직립된 단일 공간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열기폭로(10)는 원통형의 밀폐된 구조로 탄약 기폭 시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열기폭로(10)는 상측면에는 탄약의 기폭(起爆)으로 인해 생성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1)이 연결되고, 하측면에는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제 1열풍공급관(12)이 연결되고, 배출관(11)과 제 1열풍공급관(12)의 사이에는 탄약을 공급하기 위한 탄약공급관(13)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열기폭로(10)는 내주연에 지그재그 형태로 부착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배플(14)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배플(14)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배플(14)은 제 1열풍공급관(12)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을 맴돌이 시킴에 따라 데드존(Dead Zone) 구간을 최소화하여 열기폭로(10)의 내부온도를 급속히 올리기 위함이다.
또한 제 1열풍공급관으로 직접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각 배플(14)을 통해 구획되는 각 존(Zone)의 온도 차이에 의해 열풍을 순환시킴으로써, 탄약 기폭 시 발생하는 고농도의 CO, H2를 폭발한계농도 이하로 열풍과 혼합시켜 2차 폭발을 방지할 있다.
또한 상기 각 배플(14)은 후술되는 탄약공급관(13)을 통해 낙하 되는 탄약의 충격을 완화시켜 탄약이 개폐판(21)의 상부로 원활히 안착될 수 있게 하며, 더불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통해 낙하 되는 탄약이 배플(14)의 상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겸한다.
상기에서 배플(14)이 한개 설치된 경우에는 탄약공급관(13)과, 제 1열풍공급관(12)의 사이에 배치시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2개가 설치될 경우에는 배출관(11)과 탄약공급관(13)의 사이와, 탄약공급관(13)과 제 1열풍공급관(12)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약공급관(13)은 탄약을 배플(14)의 상부로 유도하기 위해 열기폭로(10)의 내부로 부분 돌출되되, 낙하 되는 탄약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탄약공급관(13)은 하부에 배치된 배플(14)의 상부면까지 부분 돌출 연장되어 하향 경사에 의해 탄약을 배플(14)의 상부면까지 안내한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상기 배플(14)의 상부면으로 낙하된 탄약은 배플(14)의 경사에 의해 개폐판(21)의 상부로 충격을 완화하면서 안착 되는 구조이다.
한편 탄약공급관(13)은 열기폭로(10)의 내부에 부분 돌출됨으로써, 탄약의 기폭 타격지점에 대해 입구를 사각화하여 기폭되는 탄약의 파편이 탄약공급관(13)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탄약공급관(13)은 하단의 배플(14) 상부에 배치되어 열풍의 직접적인 유입이 방지됨으로써, 탄약의 투입중에 기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약공급관(13)으로는 열기폭로(10)의 내부 열에 있어 탄약의 기폭을 방지하기 위해 탄약과 함께 압축공기가 분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개폐부(20)는 상기 열기폭로(10)의 하부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20)는 탄약공급관(13)을 통해 낙하되는 탄약을 상부면에 안착시키며, 제 1열풍공급관(12)으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기폭되는 탄약을 용융탄두납과 탄피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개폐판(21)을 갖는 구조이다.
여기서 개폐판(21)은 회전축(213)에 연결되는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며, 탄약 기폭 후 탄피는 개폐판(21)을 개방하여 배출시키고, 기폭에 의해 탄두가 용융된 용융탄두납은 개폐판(21)을 폐쇄한 상태에서 원주면에 형성된 반원 형상의 배출공(211)을 통해 배출시키는 구조이다.
상기에서 배출공(211)은 개폐판(21)의 상부면으로 안착된 탄약이 고온의 열풍에 의해 기폭되어 용융된 용융탄두납만을 배출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21)은 용융탄두납을 일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2.5°내지 3.5°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구조이다.
또한 개폐판(21)의 기울기가 2.5°이하이면, 용융탄두납이 배출공(211)을 통해 배출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3.5°이상이면, 개폐판(21)의 상부면에 안착된 탄피나 탄약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배출공(211)을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추가적으로 상기 개폐판(21)의 기울기는 제 2열풍공급관(31)의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형성하여 제 2열풍공급관(31)으로 납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폐판(21)의 상부면에는 용융탄두납을 가이드하기 위한 선형의 가이드홈(212)이 다수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각 가이드홈(212)은 개폐판(21)의 기울기 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기울기 방향의 중심부로 집중되는 형상이다. 즉, 기폭에 의해 용융된 용융탄두납은 가이드홈(212)을 따라 기울기 방향으로 유도되어 납 고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용융탄두납을 어느 일부분으로 집중시켜 배출공(211)을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호퍼(30)는 개폐부(20)의 하부에 연결되고, 개폐판(21)의 저면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제 2열풍공급관(31)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 2열풍공급관(31)은 개폐판(21)에 안착된 탄약이 기폭될 수 있도록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제 2열풍공급관(31)을 통해 공급된 열풍은 개폐판(21)의 저면을 가열하는 동시에 개폐판(21)의 외주면에 타공된 배출공(211)으로 열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개폐판(21)의 상부 공간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열기폭로(10) 및 호퍼(30)는 충격흡수를 위해 2개의 금속플레이트(P)와, 상기 각 금속플레이트(P)의 사이에 개재된 세라믹울(W)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금속플레이트(P)는 알루미늄합금 및 스테인레이스 및 크롬몰리브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측에 배치되는 금속플레이트(P)를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하고, 내측에 배치되는 금속플레이트(P)는 내식성이 증대되고, 열팽창 및 열전도가 감소될 수 있도록 스테인레이스(STS316) 또는 크롬몰리브덴강 중 어느 하나를 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열기폭로(10)의 내부 및 호퍼(30)의 내부 온도가 외부온도에 의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탄약의 기폭에 의한 방음, 방습 및 충격분산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저장부(40)는 상기 호퍼(30)의 하부에 연결되어 기폭에 의해 분리된 용융탄두납과 탄피를 각각 분리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저장부(40)는 용융탄두납을 저장시키기 위해 호퍼(30)의 연직 하방 상에 위치되는 제 1챔버(41)와, 상기 제 1챔버(41)의 측면에 위치되어 탄피를 저장하는 제 2챔버(42)와, 용융탄두납은 통과시켜 제 1챔버(41)로 유도하고, 탄피는 상기 제 2챔버(42)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챔버(41)의 상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호퍼(30)와 제 2챔버(42) 상에 통로를 형성시키는 타공판(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타공판(43)은 호퍼(30) 상에서 제 1챔버(41)와 제 2챔버(42)를 구획시켜, 탄피는 타공판(43)을 통해 제 2챔버(42)로 유도하고, 용융탄두납은 타공판(43)을 통과시켜 제 1챔버(41)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의 작동도이다.
먼저 도 4과 같이, 탄약이 탄약공급관(13)으로 투입되면, 상기 탄약은 탄약공급관(13)의 하향 경사구조에 의해 배플(14)의 상부면까지 안내되어 낙하 된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상기 배플(14)의 상부면으로 낙하된 탄약은 배플(14)의 하향 경사에 의해 쌓이지 않고 개폐판(21)의 상부로 충격이 완화되면서 안착 된다.
이 후 도 5와 같이, 제 1열풍공급관(12) 및 제 2열풍공급관(31)을 통해 열풍이 공급된다.
그리고 제 1열풍공급관(12)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하향 경사진 배플(14)에 의해 상부로 방향으로 유도되지 않고 일정시간 동안 맴돌이 현상에 의해 체류하여 열기폭로(10)의 내부온도를 탄약의 기폭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또한 제 2열풍공급관(31)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개폐판(21)의 저면을 가열하는 동시에 개폐판(21)의 외주면에 타공된 배출공(211)으로 열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개폐판(21)의 상부 공간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 후 열기폭로(10)의 내부 온도가 500℃~600℃ 까지 15분간 유지되면 개폐판(21)의 상부에 안착된 탄약은 기폭되어 탄두와 탄피가 분리된다.
이 때 상기 탄두는 열기폭로(10)의 내부 온도에 의해 용융되어 용융탄두납 상태로 변환되고, 이렇게 변환된 용융탄두납은 개폐판(21)의 기울기에 의해 가이드홈(212)을 따라 기울기 방향으로 유도되어 배출공(211)을 통해 호퍼(30)로 낙하된다.
호퍼(30)로 낙하되는 용융탄두납은 도 6과 같이, 타공판(43)을 통과하여 제 1챔버(41)로 저장된다.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개폐판(21)의 상부에 탄피만 남게 되면, 개폐판(21)은 구동수단(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213)을 회전시켜 개폐판(21)을 개방하게 되고, 개폐판(21)의 개방에 의해 상기 탄피는 호퍼(30)로 낙하 된다.
낙하 되는 탄피는 타공판(43)을 통해 제 2챔버(42)로 유도되어 용융탄두납과는 별도로 저장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열기폭로 11: 배출관
12: 제 1열풍공급관
13: 탄약공급관
14: 배플
20: 개폐부 21: 개폐판 211: 배출공
212: 가이드홈 213: 회전축
30: 호퍼 31: 제 2열풍공급관
40: 저장부 41: 제 1챔버
42: 제 2챔버
43: 타공판
P: 금속플레이트 W: 세라믹울
100: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Claims (9)

  1. 상측면에는 탄약의 기폭(起爆)으로 인해 생성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1)이 연결되고, 하측면에는 고온을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제 1열풍공급관(12)이 연결되고, 배출관(11)과 제 1열풍공급관(12)의 사이에는 탄약을 공급하기 위한 탄약공급관(13)이 연결되는 열기폭로(10);
    상기 열기폭로(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탄약공급관(13)을 통해 낙하되는 탄약을 상부면에 안착시키며, 제 1열풍공급관(12)으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기폭되는 탄약을 용융탄두납과 탄피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개폐판(21)을 갖는 개폐부(20);
    상기 개폐부(20)의 하부에 연결되고, 개폐판(21)의 저면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제 2열풍공급관(31)이 연결되는 호퍼(30); 및
    상기 호퍼(30)의 하부에 연결되어 기폭에 의해 분리된 용융탄두납과 탄피를 각각 분리 저장하는 저장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폭로(10) 및 호퍼(30)는 충격흡수를 위해 2개의 금속플레이트(P)와, 상기 각 금속플레이트(P)의 사이에 개재된 세라믹울(W)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폭로(10)는 내주연에 지그재그 형태로 부착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배플(14)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배플(14)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21)은 회전축(213)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개폐되며, 원주면에는 기폭에 의해 분리된 용융탄두납을 배출하기 위한 반원 형상의 배출공(211)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21)은 용융탄두납을 일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2.5°내지 3.5°범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21)의 상부면에는 용융탄두납을 가이드하기 위한 선형의 가이드홈(212)이 다수 형성되되, 상기 각 가이드홈(212)은 개폐판(21)의 기울기 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기울기 방향의 중심부로 집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40)는 용융탄두납을 저장시키기 위해 호퍼(30)의 연직 하방 상에 위치되는 제 1챔버(41)와, 상기 제 1챔버(41)의 측면에 위치되어 탄피를 저장하는 제 2챔버(42)와, 용융탄두납은 통과시켜 제 1챔버(41)로 유도하고, 탄피는 상기 제 2챔버(42)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챔버(41)의 상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호퍼(30)와 제 2챔버(42) 상에 통로를 형성시키는 타공판(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약공급관(13)은 탄약을 배플(14)의 상부로 유도하기 위해 열기폭로(10)의 내부로 부분 돌출되고, 낙하 되는 탄약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서,
    상기 탄약공급관(13)으로는 열기폭로(10)의 내부 열에 있어 탄약의 기폭을 방지하기 위해 탄약과 함께 압축공기가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KR1020100076119A 2010-08-06 2010-08-06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KR101184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19A KR101184347B1 (ko) 2010-08-06 2010-08-06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19A KR101184347B1 (ko) 2010-08-06 2010-08-06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845A KR20120013845A (ko) 2012-02-15
KR101184347B1 true KR101184347B1 (ko) 2012-09-20

Family

ID=4583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119A KR101184347B1 (ko) 2010-08-06 2010-08-06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84U (ko) * 2016-09-30 2018-04-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레어 점화시스템의 펠렛 회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780B1 (ko) * 2014-12-23 2015-07-09 김상범 폐 탄피 처리장치
KR101582428B1 (ko) * 2014-12-23 2016-01-04 김상범 폐 탄피 처리시스템
CN111551089A (zh) * 2020-06-02 2020-08-18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一种弹药销毁装置
CN112284198A (zh) * 2020-11-20 2021-01-29 河北博森光电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环保的爆炸物焚毁系统
CN113175849B (zh) * 2021-04-02 2022-08-19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能驱动流体内部悬浮气泡径向运动的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3419A1 (de) 1997-11-04 1999-05-14 Mgc-Plasma Ag Explosionsbeständige reaktionskammer und verfahren zur entsorgung sprengstoffhaltiger objek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3419A1 (de) 1997-11-04 1999-05-14 Mgc-Plasma Ag Explosionsbeständige reaktionskammer und verfahren zur entsorgung sprengstoffhaltiger objek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84U (ko) * 2016-09-30 2018-04-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레어 점화시스템의 펠렛 회수장치
KR200494475Y1 (ko) * 2016-09-30 2021-10-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레어 점화시스템의 펠렛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845A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347B1 (ko) 탄약 열기폭 처리장치
US58845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ing and suppressing explosive detonations
CN1178717C (zh) 容纳并抑制炸药爆炸的方法和装置
CN205825051U (zh) 一种电加热弹药火工品烧毁炉
US8178744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militarize small caliber ammunition
US936651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militarize munition energetics
CN104501669A (zh) 一种涡轮保险引信吹风起爆一体装置
CN104525549B (zh) 汽车安全气囊气体发生器快速销毁装置
RU2461793C1 (ru) Бронекамера для взрывных работ
CN104525550B (zh) 汽车安全气囊气体发生器连续销毁装置
CN210464247U (zh) 一种子弹销毁装置
CN204286251U (zh) 一种废弃汽车安全气囊气体发生器销毁装置
RU2757765C1 (ru) Взрывная камера для утилизации неразборных и трудноразборных окончательно снаряженных малокалиберных боеприпасов
KR200494475Y1 (ko) 플레어 점화시스템의 펠렛 회수장치
RU280407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твё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RU2467282C1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боеприпас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120884B2 (ja) 加熱爆破炉用の砲弾又は爆弾の装入用スペーサー容器
US1549896A (en) Furnace por burning explosive charges prom puses and percussion caps op
KR200204533Y1 (ko) 실탄 소각장치
CN204276499U (zh) 汽车安全气囊气体发生器安全销毁装置
RU2100764C1 (ru) Боевая часть осколочно-фугасного действия реактивного снаряда
RU2055302C1 (ru) Способ уничтожения артиллерийских боеприпасов
RU2169334C2 (ru) Реактивная броня, способ ее испытания и стенд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20170119043A (ko) 무빙 그레이트형 목재 펠릿 버너
UA16194U (en) Effective utilizer of military st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