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125B1 -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125B1
KR101184125B1 KR1020110105933A KR20110105933A KR101184125B1 KR 101184125 B1 KR101184125 B1 KR 101184125B1 KR 1020110105933 A KR1020110105933 A KR 1020110105933A KR 20110105933 A KR20110105933 A KR 20110105933A KR 101184125 B1 KR101184125 B1 KR 101184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izing
waste
fluid
diapers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구
김창기
Original Assignee
김창기
박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기, 박선구 filed Critical 김창기
Priority to KR102011010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6Applying radiation such as microwave, IR, UV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6Solid fuel fired boi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재활용 시스템은 병원에서 사용하여 배출된 폐기저귀가 수용되며 마그네트론을 통해 상기 폐기저귀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기; 및, 상기 수분제거기를 통해 건조된 폐기저귀를 연료로 가동되어 상기 병원의 난방을 행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Reusing System and Method of used- Disposable Diapers}
본 발명은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저귀를 사용해 병원 또는 요양소의 난방을 하는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요양소에서는 환자나 노인들이 사용한 많은 양의 폐기저귀들이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폐기저귀들은 매립이나 소각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대부분이 처리되고 있다.
매립은 폐기저귀를 땅에 단순히 묻는 방법으로, 매립지 인근에는 매립된 폐기저귀로 인해 악취, 해충 등이 발생하며 침출수로 인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 등 대기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소각에 의한 방법은 매립에 비해 많은 이점을 갖고 있으나, 소각시 수분이 많이 포함된 폐기저귀는 수분으로 인해 소각이 잘 되지 않고, 소각시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및 세균으로 인해 작업자의 건강이 상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폐기저귀가 배출되는 병원이나 요양소에서는 폐기저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폐기물처리업체에 폐기저귀의 양에 따라 폐기저귀 처리비용을 지급하고 있으며, 병원의 난방을 위해서는 별도의 난방에너지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수분이 포함된 폐기저귀를 매립함으로써 발생되는 토양오염의 문제, 수분이 포함된 폐기저귀의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 문제, 병원이나 요양소의 폐기물처리비용 문제 등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폐기저귀 처리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병원이나 요양소로부터 배출된 폐기저귀를 연료화하여 병원이나 요양소의 난방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기저귀 재활용 시스템은 병원에서 사용하여 배출된 폐기저귀가 수용되며 마그네트론을 통해 상기 폐기저귀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기; 및, 상기 수분제거기를 통해 건조된 폐기저귀를 연료로 가동되어 상기 병원의 난방을 행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제거기는, 상기 마그네트론이 장착되는 제거기본체; 및 상기 폐기저귀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거기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마그네트론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로 상기 폐기저귀의 수분을 제거하는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제거기는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를 제외한 상기 캐비티의 벽면에는 상기 마그네트론이 다수 개가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분제거기와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분제거기에서 상기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유체를 공급받아 탈취 및 제균하는 탈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취기본체; 상기 탈취기본체에 구비되며 탈취대상의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관; 상기 유체와 혼합되면서 상기 탈취기본체 내부에서 상기 유체에 대한 탈취를 수행하는 탈취액; 및 상기 탈취액에 의해 탈취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제거기는, 상기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유체를 상기 탈취기로 이송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은 상기 탈취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탈취기는, 상기 배기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탈취기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흡기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에 상기 탈취액을 분사하는 탈취액분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관은 상기 탈취기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탈취기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탈취액분사유닛과 상기 흡기관 사이에 배치되는 타공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는, 상기 탈취액분사유닛에 의해 분사되어 상기 탈취기본체의 하부로 이동한 탈취액을 상기 탈취액분사유닛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탈취액분사유닛을 연결하는 순환배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는 상기 수분제거기로부터 상기 흡기관으로 상기 유체를 강제적으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흡기관에 장착되는 유체이송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액은 상기 탈취기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흡기관은 상기 유체가 상기 탈취액에 직접 공급되도록 상기 탈취기본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탈취액에 잠겨지도록 상기 탈취기본체에 결합되는 타공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은 상기 탈취기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탈취기는, 상기 탈취액이 상기 배기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탈취기본체에 형성된 배수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는, 상기 탈취기본체에 수용된 탈취액을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탈취기본체에 결합되는 교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폐기저귀의 재활용 방법은 a) 병원에서 배출되어 수거된 폐기저귀를 수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된 폐기저귀를 연료로 사용해 보일러를 가동하여 병원을 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폐기저귀를 제거기 본체에 수용하는 단계; 및, a-2) 상기 폐기저귀로부터 마이크론을 통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고주파 전기장 안에서 물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 상기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유체를 탈취 및 제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 c-1) 상기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단계; c-2) 탈취액이 분사되는 단계; c-3) 상기 유체와 상기 분사된 탈취액과 혼합되면서 악취가 제거되고, 세균이 박멸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 c-1) 상기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단계; 및, c-2) 상기 유입된 유체가 탈취기 본체에 수용된 탈취액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탈취 및 제균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1) 단계에서 상기 유입된 유체는 상기 탈취액과의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타공판을 지나면서 입자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병원으로부터 배출되는 폐기저귀를 연료화하여 보일러를 가동함으로써 병원의 난방을 하기 때문에, 기존의 폐기저귀 처리를 위한 처리비용을 없앨 수 있고, 병원의 난방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자원을 재활용하여 환경보호에 도움이 되는 측면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을 이용하여 폐기저귀의 수분을 빠르게 제거하여 폐기저귀를 빠르게 연료화할 수 있고, 따라서, 보일러 가동시 폐기저귀가 용이하게 연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기저귀의 수분제거시 발생되는 유체의 냄새, 세균을 제거하여 청정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재활용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분제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수분제거기의 캐비티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분제거기에 일 형태의 탈취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탈취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수분제거기에 다른 형태의 탈취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탈취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저귀 재활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저귀 재활용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폐기저귀 재활용 시스템은 병원(또는 요양소)에서 배출되는 폐기저귀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폐기저귀를 연료화하는 수분제거기(100), 수분이 제거된 폐기저귀를 연소시켜 병원을 난방하는 보일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분제거기(100)는 폐기저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연소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폐기저귀를 건조시킨다. 일반적으로 수분을 건조시키는 방법에는 히터에 의한 가열 방식이 고려될 수 있으나 히터는 물체를 전반적으로 가열하므로 폐기저귀의 수분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수분제거기(100)는 마그네트론(160)을 통해 폐기저귀의 수분을 직접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magnetron)은 자전관(磁電管)이라고도 하며,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고주파 전기장 안에서 물분자를 진동시켜 발열을 유도한다.
따라서 마그네트론(160)을 구비하는 수분제거기(100)는 폐기저귀의 수분을 직접적으로 진동 발열시킴으로써 수분을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다.
수분제거기(100)는 보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마그네트론(160)이 장착되는 제거기본체(110)와, 폐기저귀가 수용되면서 수분이 제거되는 공간인 캐비티(150)와, 캐비티(150)를 개폐하는 도어(120)와, 수분제거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기본체(110)는 많은 양의 폐기저귀를 수용하면서 폐기저귀들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큰 규모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퀴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거기본체(110)의 상부에는 폐기저귀로부터 증발된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덕트(112)가 구비될 수 있다.
캐비티(150, cavity)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기본체(110)의 내부 영역에서 폐기저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캐비티(15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육면체 형상의 내부공간일 수 있다. 캐비티(150)는 마그네트론(160)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로 폐기저귀의 수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수분제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캐비티(150)를 개폐하는 도어(120)를 제외한 캐비티(150)의 벽면에는 마그네트론(160)이 다수 개가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티(150)의 3개의 측벽마다 각각 3개의 마그네트론(160)들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수분제거기(100)에 수용된 폐기저귀의 상태에 따라 수분제거 시간을 조절하거나 동작/정지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창, 시작버튼, 종료버튼, 컨트롤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수분제거기(100)는 폐기저귀를 캐비티(150)에 수용하고, 마그네트론(160)으로 고주파를 발생시켜 수분을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발열을 유도함으로써 폐기저귀의 수분을 빠른 시간에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수분이 제거된 폐기저귀는 보일러(200)에 공급되어 연료로 사용된다.
보일러(200)는 병원에 설치된 난방 배관(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일러(200)는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로 물을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나 온수를 발생시키는 난방 배관을 순환시키는 통상의 보일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일러(200)는 수분제거기(100)에서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된 폐기저귀를 연료로 사용하여 폐기저귀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 에너지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발생시키고, 상기 온수를 병원에 설치된 난방 배관(미도시)을 통해 순환시킴으로써, 병원을 일정온도로 난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분제거기(100)를 통해 병원에서 배출되어 버려지는 폐기저귀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된 폐기저귀를 사용해 보일러(200)를 가동함으로써 병원의 난방을 한다. 즉, 일반적으로 매립 또는 소각해 처리되는 병원의 폐기저귀를 재활용하여 병원 난방을 위한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자원을 재활용하여 환경보호에 도움되는 측면이 있다.
아울러, 병원은 폐기저귀를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처리비용을 없애 병원의 운영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병원 난방을 위한 보일러의 연료를 폐기저귀로 사용함으로써 병원의 난방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수분제거기(100)는 폐기저귀로부터 수분을 증발하여 악취를 포함한 증발기체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수분제거기(100)에 수용된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풍기는 수분입자, 세균, 증발기체 등의 물질을 통칭하여 유체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은 수분제거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유체를 제공받아 탈취 및 제균하는 탈취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취기(200)와 수분제거기(100)는 연결배관(P)을 통해 연결되며, 이 경우, 수분제거기(100)는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유체를 탈취기(200)로 강제이송시키기 위한 송풍팬(17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팬(170)은 제거기본체(110)의 배출덕트(112)에 설치되고, 연결배관(P)은 송풍기(170)와 탈취기(200)를 연결한다.
탈취기(200)는 연결배관(P)을 통해 수분제거기(100)에 수용된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유체를 제공받아 탈취 및 제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탈취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탈취기(200)는 탈취기본체(210), 흡기관(220), 배기관(230), 탈취액(w), 배기관(230), 탈취액분사유닛(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탈취기본체(2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드럼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탈취기본체(210)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탈취기본체(210)는 단면이 원형인 드럼 형태를 갖는다.
흡기관(220)은 탈취기본체(210)에 구비되며 탈취 및 제균 대상의 유체가 유입된다. 즉, 흡기관(220)은 도 4와 같이, 연결배관(P)과 결합되면서 폐기저귀에서 발생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흡기관(220)은 탈취기본체(210)의 여러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흡기관(220)은 탈취기본체(210)의 측면 하부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흡기관(220)을 통해 탈취기본체(210)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유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자연스럽게 상승유도될 수 있다.
배기관(230)은 탈취 및 제균이 이루어진 유체로부터 생성된 청정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서, 탈취기본체(2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탈취기본체(210)의 하부에 위치한 흡기관(22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는 탈취기본체(210)의 내부공간에서 상부의 배기관(230)을 통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탈취액(w)은 이러한 유동을 갖는 유체와 혼합되면서 탈취기본체(210) 내부에서 유체에 대한 탈취 및 제균을 수행한다. 여기서, 탈취액(w)은 물일 수도 있으며 탈취, 제균 등을 함께 수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약품을 포함할 수 있다.
탈취액분사유닛(240)은 배기관(230)의 하부에 배치되며 탈취기본체(210)의 상부에서 하부로 탈취액(w)을 분사한다. 따라서 흡기관(220)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탈취액분사유닛(240)에 의해 분사된 탈취액(w)과 혼합되면서 악취가 제거되고, 세균이 박멸될 수 있다.
이때, 흡기관(220)으로 유입되는 유체와 탈취액(w)의 접촉면적을 높이도록 탈취액분사유닛(240)과 흡기관(220) 사이에는 타공판(270)이 배치될 수 있다. 타공판(270)은 탈취기본체(210)의 단면형상처럼 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 개의 통공(271)이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흡기관(220)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타공판(270)의 다수의 통공(271)을 지나면서 작은 크기로 나뉘어지므로 탈취액(w)과의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힐 수 있기 때문에 탈취가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탈취액분사유닛(240)에 의해 분사되어 탈취기본체(210)의 하부로 이동한 탈취액(w)은 점점 양이 늘어나서 탈취기본체(210)의 내부공간에 모두 채워질 수 있다. 탈취액(w)은 흡기관(220)이 잠기지 않도록 흡기관(22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서 수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탈취기(200)는 탈취기본체(210)에 저장되는 탈취액(w)을 다시 탈취액분사유닛(240)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순환펌프(250)는 탈취기본체(210)의 하부에 인접 장착되며, 순환배관(260)을 통해 탈취액분사유닛(24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탈취액(w)은 탈취기본체(100)의 내부공간에서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하면서 탈취 및 제균을 수행할 수 있다.
탈취기본체(210)의 하부에는 장시간 사용한 탈취액(w)을 교환하거나 충전할 수 있는 교환밸브(28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탈취기(200)는 수분제거기(100)에 수용된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유체의 냄새, 세균을 제거하여 청정한 공기를 배기관(230)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수분제거기에 다른 형태의 탈취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탈취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탈취기(200')는 전술한 탈취기(200)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형태의 탈취기(200)에서는 배출덕트(112)와 연결배관(P) 사이에 설치된 송풍팬(170)에 의해 유체가 연결배관(310)을 따라 흡기관(220)으로 이동하면서 탈취기본체(210)로 유입되었다면, 본 실시형태의 탈취기(200')는 유체이송펌프(180)를 구비하여, 유체이송펌프(180)에 의해 강제적으로 흡입되는 방식으로 흡기관(220)은 유체를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이송펌프(180)에 의해 유체가 유입되는 본 실시형태의 탈취기(200')는 전술한 형태의 탈취기(200)의 송풍팬(170)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유체이송펌프(180)는 수분제거기(100)로부터 연결배관(P)을 따라 흡기관(220)으로 유체가 강제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흡기관(220)에 장착된다.
또한, 전술한 형태의 탈취기(200)가 상부에 장착된 탈취액분사유닛(240)으로부터 탈취액(w)을 분사시켜 탈취를 수행한 반면, 본 실시형태의 탈취기(200')는 흡기관(220)으로 흡입되는 유체가 탈취액(w)에 직접 공급되도록 탈취액(w)은 탈취기본체(210)의 내부공간에서 흡기관(220)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잠겨진다.
그리고 다수의 통공(271)이 형성된 타공판(270) 역시 흡기관(220)보다 높은 위치에서 탈취액(w)에 잠겨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탈취기(200')는 유체이송펌프(180)에 의해 흡기관(220)으로 강제적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직접적으로 탈취액(w)과 접촉되면서 탈취 및 제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체는 타공판(270)을 통과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탈취액(w)과의 표면적을 넓혀 탈취가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탈취기(200')는 탈취액(w)이 배기관(23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탈취기본체(210)에 형성된 배수유로(260a)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탈취기본체(210)에 수용된 탈취액(w)을 교환할 수 있도록 탈취기본체(210)에 결합되는 교환밸브(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기(200,200')에 의하면, 수분제거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세균 등 유해물질이 포함된 유체를 정화한 후, 깨끗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여, 환경오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기저귀의 재활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병원에서 배출된 폐기저귀를 수거하고(S10), 수거된 폐기저귀를 수분제거기(100)에 넣은 후(S20), 마이크론(160)을 통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고주파 전기장 안에서 물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폐기저귀의 수분을 증발시킨다(S30).
폐기저귀의 수분 증발시,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포함한 유체는 탈취기(200,200')를 통해 탈취 및 제균된다(S40).
수분제거기(100)를 통해 건조된 폐기저귀는 보일러(200)의 연료로 제공되어 보일러(200)가 가동된다. 보일러(200)는 폐기저귀를 연소시키면서 발생된 열에 의해 온수를 발생시켜, 병원을 난방시킨다(S50).
한편, 본 발명은 단계 S40)에서 탈취기(200,200')의 형태에 따라 제균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탈취기(200) 적용시, 수분제거기(100)에서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된 유체가 탈취기본체(210)로 유입되면, 탈취액분사유닛(240)을 통해 분사되는 탈취액(w)이 유체와 혼합되어 유체가 탈취되고 제균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탈취기(200')의 적용시, 수분제거기(100)에서 페기저귀로부터 발생된 유체가 탈취기본체(210)로 유입되면, 유체가 탈취기본체(210)에 수용된 탈취액(w)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탈취 및 제균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병원에서 버려지는 폐기저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고,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하여 병원을 난방하기 때문에 기존의 폐기저귀 처리비용을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병원의 난방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폐기저귀의 수분 제거시 발생되는 유체를 탈취하고 제균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수분제거기 110 : 제거기본체
120 : 도어 150 : 캐비티
160 : 마그네트론 170 : 송풍팬
180 : 유체이송펌프 200 : 탈취기
210 : 탈취기본체 220 : 흡기관
230 : 배기관 240 : 탈취액분사유닛
250 : 순환펌프 260 : 순환배관
260a : 배수유로 270 : 타공판
280 : 교환밸브 300 : 보일러

Claims (20)

  1. 병원에서 사용하여 배출된 폐기저귀가 수용되며 마그네트론(160)을 통해 상기 폐기저귀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기(100);
    상기 수분제거기(100)를 통해 건조된 폐기저귀를 연료로 가동되어 상기 병원의 난방을 행하는 보일러(300); 및,
    상기 수분제거기(100)와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분제거기(100)에서 상기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유체를 공급받아 탈취 및 제균하는 탈취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제거기(100)는,
    상기 마그네트론(160)이 장착되는 제거기본체(110);
    상기 폐기저귀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거기본체(110)에 구비되며, 상기 마그네트론(160)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로 상기 폐기저귀의 수분을 제거하는 캐비티(150); 및,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12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120)를 제외한 상기 캐비티(150)의 벽면에는 상기 마그네트론(160)이 다수 개가 인접 배치되고,
    상기 탈취기(2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취기본체(210);
    상기 탈취기본체(210)에 구비되며 탈취대상의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관(220);
    상기 유체와 혼합되면서 상기 탈취기본체(210) 내부에서 상기 유체에 대한 탈취를 수행하는 탈취액(W);
    상기 탈취액(W)에 의해 탈취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230); 및,
    상기 수분제거기(100)로부터 상기 흡기관(220)으로 상기 유체를 강제적으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흡기관에 장착되는 유체이송펌프(180);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액(W)은 상기 탈취기본체(210)의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흡기관(220)은 상기 유체가 상기 탈취액(W)에 직접 공급되도록 상기 탈취기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탈취기(200')는, 다수의 통공(271)이 형성되며 상기 탈취액(W)에 잠겨지도록 상기 탈취기본체(210)에 결합되는 타공판(2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230)은 상기 탈취기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탈취기(200')는, 상기 탈취액(W)이 상기 배기관(23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탈취기본체(210)에 형성된 배수유로(26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기(200')는, 상기 탈취기본체(210)에 수용된 탈취액(W)을 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탈취기본체(210)에 결합되는 교환밸브(2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15. a) 병원에서 배출되어 수거된 폐기저귀를 수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된 폐기저귀를 연료로 사용해 보일러를 가동하여 병원을 난방하는 단계; 및,
    c) 상기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유체를 탈취 및 제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폐기저귀를 제거기 본체에 수용하는 단계; 및,
    a-2) 상기 폐기저귀로부터 마이크론을 통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고주파 전기장 안에서 물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
    c-1) 상기 폐기저귀로부터 발생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단계; 및,
    c-2) 상기 유입된 유체가 탈취기 본체에 수용된 탈취액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탈취 및 제균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1) 단계에서 상기 유입된 유체는 상기 탈취액과의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타공판을 지나면서 입자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의 재활용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0105933A 2011-10-17 2011-10-17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184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33A KR101184125B1 (ko) 2011-10-17 2011-10-17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33A KR101184125B1 (ko) 2011-10-17 2011-10-17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125B1 true KR101184125B1 (ko) 2012-09-21

Family

ID=4711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933A KR101184125B1 (ko) 2011-10-17 2011-10-17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1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3023A (en) * 2015-08-13 2017-04-12 Acquascience Ltd Road Fuel Comprising a Histology Solvent
WO2022050080A1 (ja) * 2020-09-03 2022-03-10 不二商事株式会社 乾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335A (ja) 1999-06-16 2000-12-26 Hiroshi Shimizu ダイオキシンを抑制する中小規模の廃棄物燃焼炉装置
JP2008287921A (ja) 2007-05-15 2008-11-27 Saga Univ 加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335A (ja) 1999-06-16 2000-12-26 Hiroshi Shimizu ダイオキシンを抑制する中小規模の廃棄物燃焼炉装置
JP2008287921A (ja) 2007-05-15 2008-11-27 Saga Univ 加熱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3023A (en) * 2015-08-13 2017-04-12 Acquascience Ltd Road Fuel Comprising a Histology Solvent
WO2022050080A1 (ja) * 2020-09-03 2022-03-10 不二商事株式会社 乾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3677C (zh) 灭菌烘干冲洗马桶
KR101184125B1 (ko) 폐기저귀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089363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900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84143B1 (ko) 소각용 폐기물의 수분제거장치
KR101968679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20090070700A (ko) 가정용 음식 쓰레기 건조장치
CN208229139U (zh) 一种家居卫生间专用的消毒装置
KR20190080228A (ko) 모듈형 미세 먼지 및 냄새 제거장치
KR101147225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CN217772229U (zh) 基站和清洁机器人系统
KR200381987Y1 (ko) 의료용 폐기물 처리장치
KR100567794B1 (ko) 자기공진발진기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CN217647125U (zh) 一种能杀菌除臭的垃圾处理装置
JP2516494B2 (ja) 医療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3180354B2 (ja) 生ごみ処理装置の運転方法
KR20090006493U (ko) 가정용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KR100216185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수분제어시스템
KR101896244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JP2010264432A (ja) 臭気不排出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6139758B1 (ja) 分別収集、自己完結処理型便器および屎尿処理方法
KR2010002577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2633869B2 (ja) 食器乾燥機
JP2002361212A (ja) 生ごみ分解消滅機
KR101032756B1 (ko) 폐기저귀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