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870B1 - 강연선 롤링 유닛 - Google Patents

강연선 롤링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870B1
KR101183870B1 KR1020100137318A KR20100137318A KR101183870B1 KR 101183870 B1 KR101183870 B1 KR 101183870B1 KR 1020100137318 A KR1020100137318 A KR 1020100137318A KR 20100137318 A KR20100137318 A KR 20100137318A KR 101183870 B1 KR101183870 B1 KR 10118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cutting
module
wire
stran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256A (ko
Inventor
원기철
Original Assignee
원우지티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우지티아이(주) filed Critical 원우지티아이(주)
Priority to KR102010013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8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6Depositing materials in cans or receptacles
    • B65H54/80Apparatus in which the depositing device or the receptacle is rot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 B65H54/71Arrangements for severing filamentar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2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16Cans or receptacles, e.g. sliver 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강연선 롤링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강연선 롤링 유닛은, 강연선 파일을 구성하는 강연선의 일단부가 인입되어 인장된 후 다시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풀링모듈; 풀링모듈로부터 인출되는 강연선이 롤링되면서 적층될 수 있도록 풀링모듈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턴테이블; 및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인출된 강연선의 일측을 절단할 수 있도록 풀링모듈 및 턴테이블의 사이에 마련되는 커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회사로부터 운반된 강연선 파일로부터 원하는 길이만큼의 강연선을 간편하게 인출 및 롤링시킬 수 있는 강연선 롤링 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강연선 롤링 유닛{Strand rolling unit}
본 발명은 강연선 롤링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회사로부터 운반된 강연선 파일로부터 원하는 길이만큼의 강연선을 간편하게 인출 및 롤링시킬 수 있는 강연선 롤링 유닛에 관한 것이다.
강연선(鋼撚線, Strand)은 여러 가닥의 강철선을 꼬아서 만든 줄을 말한다. 강연선은 중량물의 인양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특히 근래 토목건축의 각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실시되고 있는 피씨(PC, Prestressed Concrete) 공법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부품으로 취급되는바 그 사용영역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강연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서로 꼬인 상태로 결합되는 다수의 강철선(S)이 피복(Sh)으로 덮인 상태로 제작되며, 전문 제조업체에서 강연선 파일(1)로 대량 생산되어 시공 현장 등으로 운반된 후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사용 목적에 맞는 길이의 강연선을 절단하기 위해 종래에는 야적장으로 강연선 파일(1)을 운반하고, 강연선 파일(1)로부터 강연선(2)을 인출하여 지면에 길게 늘어 놓은 뒤 줄자를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하고 이를 절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무게가 수 톤에 달하는 강연선 파일(1)을 야적장으로 운반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강연선(2)을 지면에 길게 늘어 놓기 위해 좁고 긴 별도의 공간을 요구하게 되므로 가뜩이나 번잡하고 협소한 야적장의 공간활용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강연선(2)을 절단하기 위해 적어도 두 명의 인부가 강연선(2)의 양단을 잡아야만 하고, 별도의 인부가 강연선(2)의 길이를 측정하고 절단해야만 하므로 불필요한 인력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절단된 강연선(2)을 그대로 지면에 늘어 놓게 되므로 강연선(2)의 사용 전까지 좁고 긴 적재 공간을 요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회사로부터 운반된 강연선 파일로부터 원하는 길이만큼의 강연선을 간편하게 인출 및 롤링시킬 수 있는 강연선 롤링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강연선 파일을 구성하는 강연선의 일단부가 인입되어 인장된 후 다시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풀링모듈; 상기 풀링모듈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강연선이 롤링되면서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풀링모듈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턴테이블; 및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인출된 상기 강연선의 일측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풀링모듈 및 상기 턴테이블의 사이에 마련되는 커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강연선 롤링 유닛은 상기 강연선의 인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풀링모듈 및 상기 커팅모듈의 사이에 마련되는 길이측정 카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은, 바닥판 및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벽을 구비하는 메인프레임; 지면으로부터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대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적층된 상기 강연선을 간편하게 묶거나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지지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마련되는 적어도 두 개의 인출 슬릿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인출 슬릿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인출 슬릿일 수 있다.
상기 풀링모듈은, 상기 강연선이 통과하며 인장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인장 풀리; 상기 인장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풀리 수용부; 및 상기 인장 풀리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풀리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 풀리는, 상기 강연선이 인입되는 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인장 풀리; 및 상기 제1 인장 풀리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강연선이 인출되는 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인장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리 수용부는, 상기 인장 풀리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연선 롤링 유닛은 상기 강연선이 관통하며 이동됨으로써 상기 강연선의 이동 경로가 가이드 되도록 상기 풀링모듈, 상기 턴테이블 및 상기 커팅모듈에 걸쳐 단속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중공 가이드 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 가이드 관은, 상기 강연선이 인입되는 측에 인접한 상기 풀링모듈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 관; 및 상기 턴테이블 측에 인접한 상기 커팅모듈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2 가이드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모듈은, 편평한 상면을 갖는 커팅프레임; 상기 커팅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강연선을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강연선의 절단시 상기 강연선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상기 커팅부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강연선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연선 그립부는, 상기 커팅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그립부; 및 상기 강연선을 상기 고정 그립부 측에 밀착 고정시키도록 상기 커팅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선형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풀링모듈, 턴테이블 및 커팅모듈에 의해 제조회사로부터 운반된 강연선 파일로부터 원하는 길이만큼의 강연선을 간편하게 인출 및 롤링시킬 수 있는 강연선 롤링 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강연선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롤링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 플레이트를 생략한 도 2의 강연선 롤링 유닛의 풀링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강연선 롤링 유닛의 턴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턴테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강연선 롤링 유닛의 커팅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강연선 롤링 유닛의 길이측정 카운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롤링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제2 플레이트를 생략한 도 2의 강연선 롤링 유닛의 풀링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강연선 롤링 유닛의 턴테이블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턴테이블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강연선 롤링 유닛의 커팅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강연선 롤링 유닛의 길이측정 카운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롤링(Rolling)이란 강연선 파일(P)로부터 인출된 강연선(S)을 감는 작업을 의미하며, 적층이란 롤링을 진행하면서 강연선(S)을 쌓아 올려 별개의 강연선 파일(P1)로 만드는 작업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롤링 유닛(100)은 강연선 파일(P)을 구성하는 강연선(S)이 인입되어 인장된 후 다시 인출되는 풀링모듈(110)과, 강연선(S)이 롤링되어 적층되는 턴테이블(130)과, 적정한 길이의 강연선(S)이 인출된 후 강연선 파일(P)로부터 강연선(S)을 절단하는 커팅모듈(150)과, 강연선(S)의 인출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측정 카운터(170)와, 강연선(S)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중공 가이드 관(180)을 포함한다.
풀링모듈(110)은 강연선 파일(P)을 구성하는 강연선(S)의 일단부가 인입되어 인장된 후 다시 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강연선(S)을 인입?인장?인출시키는 인장 풀리(111)와, 인장 풀리(111)가 수용되는 풀리 수용부(112)와, 인장 풀리(11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17)를 포함한다.
인장 풀리(111)는 강연선 파일(P)을 구성하는 강연선(S)의 일단부를 당김으로써 강연선(S)이 풀링모듈(110) 측으로 인입되고, 인장된 후 길이측정 카운터(170) 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장 풀리(111)는 강연선(S)이 인입되는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인장 풀리(111a, 111b)와, 강연선(S)이 인출되는 측에 인접하도록 또한 제1 인장 풀리(111a, 111b)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인장 풀리(111c, 111d)를 포함한다.
제1 인장 풀리(111a, 111b)는 강연선(S)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마련되어 강연선(S)을 인장시키는 구성이며, 제2 인장 풀리(111c, 111d)는 제1 인장 풀리(111a, 111b)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연선(S)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인장 풀리(111a, 111b)의 회전에 따라 강연선(S)은 강연선 파일(P)로부터 인출된 후 제1 인장 풀리(111a, 111b)를 통과하며 인장되는데, 불특정 요인에 의해 강연선(S)의 상측 및 하측이 제1 인장 풀리(111a, 111b)에 일부 접촉되지 못함에 따라 제1 인장 풀리(111a, 111b)가 공회전을 하게 되면 강연선(S)을 당기는 힘이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대비하기 위해 별도의 제2 인장 풀리(111c, 111d)가 마련되며, 제2 인장 풀리(111c, 111d)는 제1 인장 풀리(111a, 111b)와 별도로 강연선(S)을 인장시키는 힘을 제공하므로 본 실시예의 강연선 롤링 유닛(100)의 전체적인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물론, 인장 풀리(111)는 제1 인장 풀리(111a, 111b) 또는 제2 인장 풀리(111c, 111d) 중 어느 하나로만 마련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인장 풀리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풀리 수용부(112)는 인장 풀리(111)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구동부(117)가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113)와, 제1 플레이트(113)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114)와, 제1 플레이트(113) 및 제2 플레이트(114)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핀(115)을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13)는 구동부(117)가 일측면에 결합되고, 인장 풀리(111)가 구동부(117)에 연결됨으로써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판재 형상의 부재이다. 즉, 구동부(117)를 이루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은 제1 플레이트(113)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본 회전축은 인장 풀리(111)에 연결됨으로써 인장 풀리(111)가 제1 플레이트(113)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플레이트(114)는 제1 플레이트(113)와 함께 인장 풀리(111)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판재 형상의 부재이며, 연결핀(115)은 제1 플레이트(113) 및 제2 플레이트(114)의 네 모서리 부분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제1 플레이트(113) 및 제2 플레이트(114)를 일체로 고정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풀리 수용부(112)는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쌍의 플레이트(113, 114)를 연결핀(115)으로 연결하여 마련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풀리 수용부(112)는 중공부를 갖는 육면체 형상의 금속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동부(117)는 인장 풀리(111)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1 플레이트(113)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118)과, 하우징(118)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모터는 제1 인장 풀리(111a, 111b)를 구성하는 상측 제1 인장 풀리(111a)와, 제2 인장 풀리(111c, 111d)를 구성하는 상측 제2 인장 풀리(111c)에 회전축이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하우징(118)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구동모터는 일반적인 회전모터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나 강연선(S)의 크기를 고려하여 이를 인장시키는 힘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사전에 선택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한 쌍의 구동모터가 각각 회전하면 상측 제1 인장 풀리(111a) 및 상측 제2 인장 풀리(111c)가 각각 회전하게 되고 강연선(S)이 인장되면서 이에 접촉된 하측 제1 인장 풀리(111b) 및 하측 제2 인장 풀리(111d)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강연선(S)이 인입?인장?인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턴테이블(130)은 강연선(S)이 롤링되면서 적층되어 원하는 크기의 강연선 파일(P1)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31)과, 메인프레임(13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134)와, 메인프레임(131) 및 지지부(134)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37)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31)은 풀링모듈(110), 길이측정 카운터(170) 및 커팅모듈(150)을 거치며 공급되는 강연선(S)이 롤링되면서 적층되는 구성으로, 바닥판(132)과, 바닥판(132)의 둘레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벽(133)을 포함한다.
바닥판(132)은 원형 형상을 갖는 판재형 금속 부재이며, 지지벽(133)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바닥판(132)의 둘레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재형 금속 부재이다. 물론 바닥판(13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강연선(S)은 지지벽(133)의 상측으로부터 바닥판(132) 측으로 인입되기 시작하여 원형으로 롤링되며 지지벽(133)을 타고 적층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별개 강연선 파일(P1)을 이루게 된다. 즉, 강연선(S)은 풀링모듈(110)에 의하여 계속하여 턴테이블(130) 측으로 인입되므로 강연선(S)이 미는 힘에 의해 메인프레임(131)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강연선(S)이 롤링되면서 적층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메인프레임(131)에는 다수의 인출 슬릿(130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인출 슬릿(130a)은 작업자가 강연선 파일(P1)을 간편하게 묶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묶인 강연선 파일(P1)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즉, 강연선 파일(P)로부터 적정한 길이만큼 인출된 강연선(S)은 메인프레임(131)에 롤링 및 적층됨으로써 별개의 강연선 파일(P1)을 형성하게 되고 철선(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묶인 후 운반되는데, 이때 인출 슬릿(130a)은 작업자가 강연선 파일(P1)을 간편하게 묶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철선으로 묶인 강연선 파일(P1)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인출 슬릿(130a)이 없다면 작업자는 강연선 파일(P1)을 어느 정도 들어올린 후 철선을 묶는 작업을 해야하며, 철선으로 강연선 파일(P1)을 묶은 후에도 지지벽(133)의 상측으로부터 손을 뻗어 강연선 파일(P1)을 잡은 후 이를 들어올려야만 하므로 작업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할 수 있게 된다.
인출 슬릿(130a)은 바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작업자는 강연선 파일(P1)이 메인프레임(131)에 적층된 상태에서 그대로 철선을 묶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며, 철선으로 강연선 파일(P1)을 묶은 후에도 인출 슬릿(130a)이 형성된 지점에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강연선 파일(P1)을 들어올림으로써 이를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인출 슬릿(13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32) 및 지지벽(133)의 일부를 절개하여 마련되며, 메인프레임(131)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로 형성시킴으로써 강연선 파일(P1)의 여러 지점을 간편하게 묶음과 동시에 여러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이를 용이하게 운반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34)는 메인프레임(13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지지바디(135)와, 지지바디(135)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레그(136)를 포함한다. 즉, 지지부(134)는 일반적인 테이블 형태로 마련되어 메인프레임(13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지부(134)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 4에 도시된 지지부(134)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부(137)는 지지부(134)에 대하여 메인프레임(131)이 상대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부(134) 및 메인프레임(131)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연결부(13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31)에 일측이 고정되고 지지바디(135)에 타측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회전축(138)이 하우징(139)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물론, 연결부(137)는 메인프레임(131)이 지지부(134)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조회사로부터 운반된 강연선 파일(P)은 턴테이블(130)에 의하여 간편하게 롤링 및 적층됨으로써 적당한 크기의 강연선 파일(P1)을 새롭게 만들고 이를 간편하게 운반 및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팅모듈(150)은 풀링모듈(110)로부터 인출되어 턴테이블(130)에 롤링?적층된 강연선(S)의 길이가 미리 결정된 적정 길이만큼이 되면 강연선(S)의 일측을 절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모듈(150)은 커팅프레임(151)과, 커팅프레임(151)의 상면에 고정되어 강연선(S)을 절단하는 커팅부(153)와, 강연선(S)의 절단시 이를 고정시킴으로써 강연선(S)의 유동을 방지하는 강연선 그립부(155)를 포함한다.
커팅프레임(151)은 편평한 상면을 갖도록 마련되어 커팅부(153) 및 강연선 그립부(155)가 배치될 수 있는 판면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커팅프레임(151)의 하부는 테이블 형태의 지지부((158)에 의하여 지지되며, 커팅부(153) 측에 인접한 커팅프레임(151)의 상면에는 강연선(S)을 절단하는 커팅날(153a)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커팅날 삽입홈(151a)이 형성된다.
커팅부(153)는 커팅프레임(151)의 상면에 고정되어 강연선(S)을 절단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커팅부(153)는 일반적인 전동 커팅기에 유사하게 커팅날(153a)과, 커팅날(153a)을 회전시키는 모터(153b)와, 작업자가 손으로 쥘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손잡이(15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강연선(S)이 적당한 길이만큼 인출되면 작업자는 손잡이(153c)를 손으로 움켜잡은 후 이를 하측으로 내리며, 이에 따라 모터(153b)에 의하여 회전하는 커팅날(153a)이 커팅날 삽입홈(151a)에 삽입되면서 강연선(S)이 절단된다.
강연선 그립부(155)는 강연선(S)의 절단시 강연선(S) 양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커팅프레임(151)의 상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커팅부(153) 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고정 그립부(156)와, 커팅프레임(151)의 상면에 대하여 상대 선형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그립부(157)를 포함한다.
고정 그립부(156)는 커팅부(153) 측에 인접한 커팅프레임(151)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며, 강연선(S)의 절단시 강연선(S)의 일측은 고정 그립부(156)에 밀착됨으로써 그 유동이 방지된다.
이동 그립부(157)는 고정 그립부(156)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커팅프레임(151)의 상면에 상대 선형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강연선(S)이 적당한 길이만큼 인출되면 작업자는 이동 그립부(157)를 고정 그립부(156) 측으로 밀어 강연선(S)의 양측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커팅부(153)를 통해 강연선(S)을 절단하게 된다.
한편, 길이측정 카운터(170)는 풀링모듈(110)로부터 인출되는 강연선(S)의 정확한 인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풀링모듈(110) 및 커팅모듈(150) 사이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측정 카운터(170)는 강연선(S)의 상측에 접촉되는 휠(171)과, 휠(171)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카운터 핀(172)과, 카운터 핀(172)의 회전량에 따른 강연선(S)의 인출 길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강연선(S)이 인출되면, 강연선(S)의 상측에 접촉된 휠(171)이 회전하게 되고, 휠(171)의 회전에 따라 카운터 핀(172)이 함께 회전하며 카운터 핀(172)의 회전량에 따라 강연선(S)의 인출 길이가 디스플레이부(173)에 표시된다.
한편, 다수의 중공 가이드 관(180)은 풀링모듈(110), 길이측정 카운터(170), 커팅모듈(150) 및 턴테이블(130)에 걸쳐 단속적으로 각각 마련되어 강연선(S)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강연선(S)은 그 자체로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풀링모듈(110)로부터 턴테이블(130) 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자중에 의해 저절로 아래쪽으로 치우치게 되는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공 가이드 관(180)을 마련한다.
도 2,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가이드 관(180)은, 풀링모듈(110)의 강연선(S) 인입 측 및 인출 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관(181)과, 길이측정 카운터(170)에 마련되는 제2 가이드 관(182)과, 커팅모듈(150) 및 턴테이블(130)에 걸쳐 마련되는 제3 가이드 관(1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가이드 관(181)은 강연선(S)이 인입되는 풀링모듈(110)의 일측부와, 강연선(S)이 인출되는 풀링모듈(110)의 타측부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다. 특히, 한 쌍의 제1 가이드 관(181)은 각각 제1 인장 풀리(111a, 111b) 및 제2 인장 풀리(111c, 111d)에 근접하도록 제1 플레이트(113) 및 제2 플레이트(114)의 사이에 고정되어 강연선(S)이 인장 풀리(111)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2 가이드 관(182)은 풀링모듈(110)과 길이측정 카운터(17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 판(174, 175)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것이며, 제3 가이드 관(183)은 중공 가이드 관(180) 중 가장 긴 길이로 마련되어 커팅모듈(150) 및 턴테이블(130)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것이다.
제1 가이드 관(181), 제2 가이드 관(182) 및 제3 가이드 관(183)은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강연선(S)의 원활한 롤링 및 적층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그 기능은 모두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강연선 롤링 유닛(100)은 제조회사로부터 운반된 강연선 파일(P)로부터 원하는 길이만큼 강연선(S)을 간편하게 인출 및 롤링함으로써 적당한 크기의 강연선 파일(P1)을 새롭게 만들고 이를 간편하게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강연선 롤링 유닛 110 : 풀링모듈
130 : 턴테이블 150 : 커팅모듈
170 : 길이측정 카운터 180 : 중공 가이드 관

Claims (12)

  1. 강연선 파일을 구성하는 강연선의 일단부가 인입되어 인장된 후 다시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풀링모듈;
    상기 풀링모듈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강연선이 롤링되면서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풀링모듈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턴테이블;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인출된 상기 강연선의 일측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풀링모듈 및 상기 턴테이블의 사이에 마련되는 커팅모듈; 및
    상기 강연선이 관통하며 이동됨으로써 상기 강연선의 이동 경로가 가이드 되도록 상기 풀링모듈, 상기 턴테이블 및 상기 커팅모듈에 걸쳐 단속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중공 가이드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의 인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풀링모듈 및 상기 커팅모듈의 사이에 마련되는 길이측정 카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바닥판 및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벽을 구비하는 메인프레임;
    지면으로부터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대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적층된 상기 강연선을 간편하게 묶거나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지지벽의 일부를 절개하여 마련되는 적어도 두 개의 인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
  5. 제4항에 이어서,
    상기 인출 슬릿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인출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모듈은,
    상기 강연선이 통과하며 인장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인장 풀리;
    상기 인장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풀리 수용부; 및
    상기 인장 풀리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풀리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풀리는,
    상기 강연선이 인입되는 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인장 풀리; 및
    상기 제1 인장 풀리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강연선이 인출되는 측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인장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수용부는,
    상기 인장 풀리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가이드 관은,
    상기 강연선이 인입되는 측에 인접한 상기 풀링모듈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 관; 및
    상기 턴테이블 측에 인접한 상기 커팅모듈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제2 가이드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모듈은,
    편평한 상면을 갖는 커팅프레임;
    상기 커팅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강연선을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강연선의 절단시 상기 강연선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상기 커팅부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강연선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 그립부는,
    상기 커팅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그립부; 및
    상기 강연선을 상기 고정 그립부 측에 밀착 고정시키도록 상기 커팅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선형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롤링 유닛.
KR1020100137318A 2010-12-28 2010-12-28 강연선 롤링 유닛 KR10118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318A KR101183870B1 (ko) 2010-12-28 2010-12-28 강연선 롤링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318A KR101183870B1 (ko) 2010-12-28 2010-12-28 강연선 롤링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256A KR20120075256A (ko) 2012-07-06
KR101183870B1 true KR101183870B1 (ko) 2012-09-19

Family

ID=4670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318A KR101183870B1 (ko) 2010-12-28 2010-12-28 강연선 롤링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1724B (zh) * 2022-09-19 2024-05-28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配网导线发放器的线缆分段转存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940A (ja) * 2001-01-23 2002-07-31 Seibu Electric & Mach Co Ltd 線状体寸法計測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940A (ja) * 2001-01-23 2002-07-31 Seibu Electric & Mach Co Ltd 線状体寸法計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256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98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king a cable
KR101183870B1 (ko) 강연선 롤링 유닛
KR101031795B1 (ko) 차량탑재형 3상 배전케이블 자동화 철거장치
CN210417088U (zh) 一种塑料管生产用捆扎装置
CN114834953B (zh) 一种线缆收放装置
CN208412909U (zh) 一种卷网杠储存货架
CN207433884U (zh) 一种多功能捆扎机
CN206734706U (zh) 一种绕线扎线装置
CN113830620B (zh) 韧性线紧密成方绕线机、紧密绕线卷方扎带机及韧性线紧密绕线成方并扎带方法
CN210971671U (zh) 一种建筑钢筋捆扎设备
CN220829854U (zh) 一种电缆生产用束线装置
CN208947762U (zh) 一种打包线定尺切割设备
CN102897342B (zh) 一种移动式捆扎机
CN207046577U (zh) 一种卧式储线器
CN210048268U (zh) 一种自动扎线机
CN203152058U (zh) 圆捆机的绕线捆扎装置
JP2008297710A (ja) 鉄筋の自動結束方法及び装置
CN214356873U (zh) 一种建筑钢筋捆扎设备
CN207170800U (zh) 一种量取型电线电缆销售装置
CN106522562B (zh) 一种剪力墙钢筋网结构施工方法
KR200453169Y1 (ko) 선박용 케이블 타이 결속장치
CN216128475U (zh) 一种法律文件存储捆扎装置
CN211253136U (zh) 一种成捆钢筋用捆绑设备
CN219029866U (zh) 一种箱包加工用捆扎装置
CN214059472U (zh) 简易式bv导线放线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