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650B1 - 다단계 수축 거동이 가능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단 수축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 - Google Patents

다단계 수축 거동이 가능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단 수축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650B1
KR101183650B1 KR1020110013979A KR20110013979A KR101183650B1 KR 101183650 B1 KR101183650 B1 KR 101183650B1 KR 1020110013979 A KR1020110013979 A KR 1020110013979A KR 20110013979 A KR20110013979 A KR 20110013979A KR 101183650 B1 KR101183650 B1 KR 101183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shape memory
spring
manufacturing
allo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610A (ko
Inventor
조규진
안성민
박은수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6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5/00Making springs from wire
    • B21F35/02Bending or deforming ends of coil springs to special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NixTi100-x(49≤x≤50.5)조성의 합금 선재를 제조하는 합금 선재 제조 단계; 상기 합금 선재를 스프링 지수가 5이상인 밀착된 형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가공하는 코일 스프링 가공 단계; 상기 밀착된 형상으로 가공된 코일 스프링을 400℃보다 높고 800℃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을 상온에서 응력을 가하여 팽창시키고, 팽창된 코일 스프링에 전류를 가하여 코일 스프링을 수축시킨 뒤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트레이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의 반복횟수를 줄이면서도, 가열과 냉각 과정에서 다단계 수축거동을 통해 변위 조절이 가능한 독특한 이방향 형상기억 거동을 나타내는 코일 스프링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액추에이터에 적용하면 수축거동을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제조할 수 있어서 유량 조절 밸브나 앵글조절이 가능한 팬노즐 등 다양한 기계부품 및 구동소자에 응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단계 수축 거동이 가능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단 수축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FABRICATION METHOD OF UNIQUE TWO WAY SHAPE MEMORY COIL SPRING AND UNIQUE TWO WAY SHAPE MEMORY COIL SPRING FABRICAT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제조하는 방법 및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독특한 다단 수축 형상기억 거동을 나타내는 코일 스프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상기억 합금(SMA, shape memory alloy)은 안정한 온도가 서로 다른 오스테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두 가지 상을 가지고 있는 금속재료이며, 저온에서는 모상이 쌍정 마르텐사이트이고, 고온에서는 오스테나이트로 가역적으로 변한다. 이렇듯 가역적 상변태 과정을 통해 외형이 변하는 것을 형상기억 효과(shape memory effect)라고 한다.
형상기억 효과는 고온에서 형상을 기억시킨 후 저온에서 형상에 변형을 가한 다음에 가열하는 경우 기억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고 다시 냉각을 하여도 형상을 유지하는 일방향(one-way) 형상기억 효과와 저온과 고온의 형상을 모두 기억하여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두 가지 형상(저온수축-고온팽창 또는 저온팽창-고온수축)으로 변화하는 이방향(two-way) 형상기억 효과로 나뉜다.
이러한 형상기억 합금은 온도에 따른 변위를 늘리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이방향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제조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냉각-변형-가열의 공정을 반복하는 방법이 있다. 저온수축-고온팽창 형태의 이방향 형상기억 코일을 제조하는 경우 팽창된 형태로 코일 스프링을 성형한 후 팽창된 코일 스프링을 저온에서 수축시키고, 이를 가열하여 팽창시킨 뒤에, 코일 스프링을 냉각하여 저온에서 다시 수축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냉각-변형-가열의 반복 공정을 통해 저온과 고온에서의 형상을 모두 기억하도록 하여 응력이 주어지지 않아도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수축의 가역/반복 거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나, 수축 혹은 팽창으로의 다단 변형거동 제어가 불가능하고 냉각-수축-가열-팽창 과정을 수 백회 반복하여야 이방향 거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저온에서 기억된 수축 형태가 코일 스프링이 완전히 밀착된 형태로 제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조공정의 냉각-수축-가열-팽창 반복횟수를 줄이면서도, 수축 혹은 팽창으로의 다단 변형거동의 제어가 가능한 독특한 이방향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제조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다단 변형거동을 나타내는 독특한 이방향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은, NixTi100-x(49≤x≤50.5)조성의 합금 선재를 제조하는 합금 선재 제조 단계; 상기 합금 선재를 스프링 지수가 5이상인 밀착된 형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가공하는 코일 스프링 가공 단계; 상기 밀착된 형상으로 가공된 코일 스프링을 400℃보다 높고 800℃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을 상온에서 응력을 가하여 팽창시키고, 팽창된 코일 스프링에 전류를 가하여 코일 스프링을 수축시킨 뒤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트레이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단 수축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은 트레이닝 과정에서, 먼저 상온에서 코일 스프링을 인장하고, 하중이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류에 의한 가열을 통해 코일 스프링을 수축시키며, 수축된 코일 스프링을 냉각한 뒤에 다시 인장과 가열하여 수축하는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다단계 수축이 가능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건에서 제조된 코일 스프링은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하는 동안에 그 길이가 수축하며, 전류를 끊어 냉각시키는 동안에도 추가적으로 길이가 수축하는 다단계 수축 거동을 보인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εTWSME=(LA - LM)/(LD - LI)의 수식으로 표현되는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εTWSME)가 양(+)의 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은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 이하의 저온에서 완전히 밀착된 형상이기 때문에, 초기에 팽창된 변형이 가해진 상태에서 오스테나이트 변태온도 이상으로 열을 가하면 코일 스프링이 일부 수축되고, 일부 수축된 코일 스프링을 냉각하면 추가적으로 수축하여 완전히 밀착된 형태가 되는 다단계 수축거동을 보인다.
다단계의 수축거동을 보이는 본 발명의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로봇 부품 등 다양한 기계 부품에 응용이 가능한 액추에이터에 적용하는 경우 기존의 on-off 방식의 변위조절이 아닌 다단 조절이 가능한 신개념의 형상기억 스프링 액추에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조공정의 반복횟수를 줄이면서도, 고온 가열과 냉각을 통해 다단계 수축거동을 보인 뒤 완전히 밀착된 형태로 회복이 가능한 독특한 이방향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기계장치의 동력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에 적용하면 수축거동을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신개념의 액추에이터를 제조할 수 있어서 유량 조절 밸브나 앵글조절이 가능한 팬 노즐 등 다양한 기계부품 및 구동소자에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독특한 이방향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기존의 일방향, 이방향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과 비교한 그림이다.
도 2는 열처리 온도에 따른 코일 스프링의 형상기억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열처리 온도에 따른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εTWSME)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스프링 지수에 따른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εTWSME)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스프링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Ni-Ti 형상기억 합금선재를 로드에 감아서 밀착된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가공하였다.
Ni-Ti 형상기억 합금은 일반식 NixTi100-x(49≤x≤50.5)의 범위의 조성을 갖는 것이면 다른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시판중인 Dynalloy사의 NiTi 합금 선재를 이용하였다. 사용된 선재는 일반식이 Ni49.5Ti50.5이고 오스테나이트 변태 시작온도가 90℃이며, 직경이 254㎛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합한 스프링 지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4가지 두께(860㎛, 1000㎛, 1550㎛, 1950㎛)의 봉에 형상기억 합금 선재를 감아 스프링형상으로 가공하였다.
다음으로 밀착된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가공된 Ni-Ti 형상기억 합금에 대하여 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본 발명에 적합한 열처리 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열처리 온도(400℃, 500℃, 600℃, 700℃, 800℃)를 변화시키면서 1시간동안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열처리된 코일 스프링에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트레이닝은 먼저 상온에서 코일 스프링에 응력을 가하여 코일 스프링을 팽창시키고, 팽창된 코일 스프링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전류를 흘려서 코일 스프링을 가열하고,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때, 코일 스프링에 인가된 전류는 0.7A로 5~10초 동안 인가하였다. 이러한 전류의 전류밀도 및 인가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코일 스프링을 오스테나이트 변태 종료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코일 스프링이 외부의 응력 없이 수축되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트레이닝의 반복 횟수는 전류 인가에 의하여 수축된 코일 스프링의 최대 수축량이 일정해질 때까지 실시하여야 하며, 대략 30회 이상을 반복하면 전류인가에 의해 수축되는 길이가 거의 일정해지므로 40~50회 정도 반복하였다.
트레이닝 과정에서 코일 스프링의 최대 팽창길이는 스프링 지수 값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000% 이상 변화를 주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서 제조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은 먼저 코일 스프링을 밀착상태 길이의 1200%로 팽창시키고, DMSO(dimethyl sulfoxide)에 침지시킨 상태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코일 스프링의 길이 변화를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거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은 초기에 길이를 팽창시키는 변형이 있는 경우에 오스테나이트 변태온도(Af) 이상으로 가열하면 길이가 수축하며, 상온까지 냉각하면 추가적으로 수축한다. 이는 일반적인 형상기억 스프링 뿐 아니라 기존에 보고된 이방향 형상기억 스프링과도 차별화 되는 특징이다.
열처리 온도에 따른 코일 스프링의 형상기억 거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열처리 온도에 따른 코일 스프링의 형상기억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형상기억능(εSME, ability of shape memory effect)은 εSME=(LD - LA)/(LD - LI)의 수식으로 평가하였으며, LD는 외부 응력으로 팽창시킨 코일 스프링의 길이(1200%)이고, LA는 가열에 의해 수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이며, LI는 완전히 수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이다.
400℃로 열처리한 코일 스프링은 수축량이 가장 많지만, 가장 낮은 온도에서 수축이 완료되었다. 이는 최대로 수축하는데 적은 열에너지가 필요하며, 열에 의해 형상을 회복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열처리 온도에 따른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εTWSME)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εTWSME)는 εTWSME=(LA - LM)/(LD - LI)의 수식으로 계산하였으며, LM은 완전히 냉각시킨 코일 스프링의 길이이다.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가 양의 값을 갖는 경우는 가열된 코일 스프링이 수축된 이후에 냉각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수축된 본 발명의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거동을 보이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가 음의 값을 갖는 경우는 냉각과정에서 코일 스프링이 팽창되는 코일 스프링의 거동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400℃와 800℃에서 열처리한 코일 스프링은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가 음의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500, 600, 700℃에서 열처리한 코일 스프링은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가 양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400℃보다 높고 800℃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스프링 지수에 따른 코일 스프링의 형상기억 거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스프링 지수에 따른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εTWSME)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스프링 지수(C=D(코일 스프링 외측 지름)/d(선재의 지름))는 코일 스프링의 곡률과 관련되며, 동일한 지름의 선재를 사용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의 곡률이 클수록 스프링 지수가 작아진다. 860㎛, 1000㎛, 1550㎛, 1950㎛의 두께를 갖는 봉을 이용하여 성형된 네 가지 코일 스프링 시편의 스프링 지수는 각각 4.4(시편 1), 4.9(시편 2), 7.1(시편 3) 및 8.7(시편 4)이다.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프링 지수가 5보다 작은 시편 2까지의 코일 스프링에서는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가 음의 값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스프링 지수가 5이상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독특한 거동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이 제조되는 원인은 다양한 원인이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먼저,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지수는 코일 스프링 내부에 잔류하는 응력과 관련되며, 스프링 지수가 5보다 작은 경우에는 내부에 잔류응력이 크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이 팽창되려는 성향이 강하여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가 음의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열처리는 형상기억 합금의 회복, 재결정, 핵생성, 그레인 성장 및 Ni이 풍부한 석출물의 성장과 연관되며, 이중 Ni이 풍부한 석출물의 배향성이 이방향 형상기억 효과의 요소 중에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80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는 NiTi가 지배적으로 석출되며, Ni이 풍부한 석출물은 거의 석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가 음의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열처리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회복, 재결정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초기에 망상으로 형성된 전위들이 전위의 움직임과 마르텐사이트 상의 재배열을 방해하여 일방향 형상기억 효과가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40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된 코일 스프링은 음의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NixTi100-x(49≤x≤50.5)조성의 합금 선재를 제조하는 합금 선재 제조 단계;
    상기 합금 선재를 스프링 지수가 5이상인 밀착된 형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가공하는 코일 스프링 가공 단계;
    상기 밀착된 형상으로 가공된 코일 스프링을 400℃보다 높고 800℃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을 상온에서 응력을 가하여 팽창시키고, 팽창된 코일 스프링에 전류를 가하여 코일 스프링을 수축시킨 뒤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트레이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으로서,
    εTWSME=(LA - LM)/(LD - LI)의 수식으로 표현되는 이방향 형상기억 지수(εTWSME)가 양(+)의 값을 나타내며,
    상기 LD는 외부 응력으로 팽창시킨 코일 스프링의 길이이고, 상기 LA는 가열에 의해 수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이고, 상기 LI는 완전히 수축된 코일 스프링의 길이이며, 상기 LM은 완전히 냉각시킨 코일 스프링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오스테나이트 변태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수축하고, 이후에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 이하로 냉각하면 추가로 수축하는 다단계 수축거동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
KR1020110013979A 2011-02-17 2011-02-17 다단계 수축 거동이 가능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단 수축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 KR101183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979A KR101183650B1 (ko) 2011-02-17 2011-02-17 다단계 수축 거동이 가능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단 수축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979A KR101183650B1 (ko) 2011-02-17 2011-02-17 다단계 수축 거동이 가능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단 수축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610A KR20120094610A (ko) 2012-08-27
KR101183650B1 true KR101183650B1 (ko) 2012-09-17

Family

ID=4688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979A KR101183650B1 (ko) 2011-02-17 2011-02-17 다단계 수축 거동이 가능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단 수축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6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1639A (zh) * 2012-11-14 2014-05-21 江西昌河航空工业有限公司 一种提高弹簧疲劳寿命的分级处理方法
KR102141331B1 (ko) * 2020-03-19 2020-08-04 주식회사 샤크컴퍼니 강선을 이용하여 만든 파이프형 금속 탄성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낚시릴의 텐션조정노브
US10898404B2 (en) 2017-03-20 2021-0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rtificial mus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1842B (zh) * 2012-10-26 2014-10-08 福建永动力弹簧科技有限公司 一种用50CrVA钢材制作耐高温弹簧的加工工艺
CN104493023B (zh) * 2014-12-22 2019-04-19 重庆市安太弹簧有限责任公司 弹簧定长机
CN109351894B (zh) * 2018-11-17 2020-08-07 珠海中鑫空调配件有限公司 一种弹簧纠正装置
CN110612914B (zh) * 2019-10-18 2021-05-28 德州正红农牧机械有限公司 一种畜牧养殖用饲养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15A (ja) 1996-06-25 1998-01-13 Piolax Inc 感温コイルばね及びそれを用いた調節弁
KR100922814B1 (ko) 2006-08-24 2009-10-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영구 변형된 코일 스프링을 변형 전 형상으로 회복하는 방법 및 코일 엑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15A (ja) 1996-06-25 1998-01-13 Piolax Inc 感温コイルばね及びそれを用いた調節弁
KR100922814B1 (ko) 2006-08-24 2009-10-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영구 변형된 코일 스프링을 변형 전 형상으로 회복하는 방법 및 코일 엑츄에이터
KR100973986B1 (ko) 2006-08-24 2010-08-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코일 스프링에 초장력을 부여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1639A (zh) * 2012-11-14 2014-05-21 江西昌河航空工业有限公司 一种提高弹簧疲劳寿命的分级处理方法
US10898404B2 (en) 2017-03-20 2021-0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rtificial muscle
KR102141331B1 (ko) * 2020-03-19 2020-08-04 주식회사 샤크컴퍼니 강선을 이용하여 만든 파이프형 금속 탄성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낚시릴의 텐션조정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610A (ko) 201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650B1 (ko) 다단계 수축 거동이 가능한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단 수축 형상기억 코일 스프링
Kim et al. Micro artificial muscle fiber using NiTi spring for soft robotics
KR100922814B1 (ko) 영구 변형된 코일 스프링을 변형 전 형상으로 회복하는 방법 및 코일 엑츄에이터
JP2002020848A (ja) 形状記憶合金の処理方法および形状記憶合金
AU3424189A (en) A method for producing a shape memory alloy member having specific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EP2122192B1 (en) Coil spring having two-way shape memory effect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adiabatic product using the same
Otsuka et al. Factors affecting the ms temperature and its control in shape-memory alloys
KR100807393B1 (ko) Ti-Ni계 경사기능 합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Ti-Ni계 경사기능 합금
US2011008332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Nickel Titanium Coil Actuator
EP3191710B1 (en) Heat sensitive actuator device
JP2019089306A (ja) 形状記憶複合体
CN110918840A (zh) 一种无定型模具制备NiTi记忆合金弹簧的方法
RU2309192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ужины из сплава с эффектом памяти формы и пружина, изготовленная данным способом
JP2795463B2 (ja) 二方向形状記憶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Jee et al. Generation and control of two way shape memory effect for SMA coil spring
JP2004292886A (ja) 希土類添加強磁性形状記憶合金
JPS59162262A (ja) 二方向形状記憶効果を有するバネの製造方法
JP3755032B2 (ja) 二方向性が要求される部位に用いるための形状記憶合金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09320A (ja) 形状回復装置
Uchil et al. Simple thermal actuator using R-phase transformation of Nitinol
CN110372029B (zh) 一种针对半导体材料的基于有序-无序相变的形状记忆方法
JP2801310B2 (ja) 二方向形状記憶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JPS61106740A (ja) 可逆形状記憶効果を有するTi−Ni系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17892B2 (ja) 高い振動減衰性能を有する合金の製造法
JPH07150314A (ja) 二方向形状記憶効果を有するコイルバネ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