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458B1 -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458B1
KR101183458B1 KR1020110015558A KR20110015558A KR101183458B1 KR 101183458 B1 KR101183458 B1 KR 101183458B1 KR 1020110015558 A KR1020110015558 A KR 1020110015558A KR 20110015558 A KR20110015558 A KR 20110015558A KR 101183458 B1 KR101183458 B1 KR 10118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el plate
parallel
base
energy
coll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258A (ko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5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4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6Influence generators
    • H02N1/08Influence generators with conductive charge carrier, i.e. capacit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B06B1/1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the masses being elastically cou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7/00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B7/02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containing distinct electrical or optical devices of particular relevance for their function, e.g.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평행판과, 상기 제1 평행판과 소정의 거리 이격된 평행 상태로 제공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평행판에 대해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베이스측을 향해 진동하는 제2 평행판을 포함하는 질량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Capacitive Energy Scaven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외부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판(베이스)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정전 방식의 멤즈 에너지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전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는 축전기를 구성하는 두 개의 평행판의 위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해서 기계적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Shad Roudy외 2인의 논문 “A Study of low level vibrations as a power source for wireless sensor nodes”[Computer Communications, vol. 26, pp 1131-1144 (2003)]에 의하면, 종래의 정전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는 In-plane overlap 방식과, In-plane gap closing 방식, 그리고 Out-of-plane gap closing 방식으로 분류된다. In-plane overlap 방식과 In-plane gap closing 방식에서는 진동하는 구조체가 베이스의 표면과 평행하게 진동하며, Out-of-plane gap closing 방식에서는 진동하는 구조체가 베이스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진동한다.
이중에서 Out-of-plane gap closing 방식은 높은 안정성과 높은 최대 정전용량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큰 기계적 댐핑(mechanical damping)과, 평행판의 표면이 접촉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문제점은 진공 패키징을 하면 해결되지만 둘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행판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를 크게 떼어 놓으면 Out-of-plane gap closing 에너지 수집 장치의 효용성을 떨어뜨릴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진공 패키징을 하게 되면 비용이 증대하고 수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수반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정전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는 In-plane overlap 방식과 In-plane gap closing 방식에 제한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베이스에 대해서 수직으로 진동하는 평행판을 이용한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평행판과, 상기 제1 평행판과 소정의 거리 이격된 평행 상태로 제공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평행판에 대해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베이스측을 향해 진동하는 제2 평행판을 포함하는 질량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1 평행판 및 제2 평행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전체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1 평행판 및 제2 평행판의 높이가 동일하며, 평형 상태에서 상기 제1 평행판 및 제2 평행판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1 평행판 및 제2 평행판의 높이는 동일하며, 평형 상태에서 상기 제1 평행판 및 제2 평행판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1/2 높이차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에 수평이 아닌 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질량체와 바닥면 사이의 공기 저항이 적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에너지 변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유전체막을 평행판에 증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평행판과 제2 평행판이 평형 상태에서 베이스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때 외부 진동에 의한 발생 에너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평행판과 제2 평행판이 평형 상태에서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1/2 높이차를 가지도록 배치될 때 외부 진동에 의한 발생 에너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수집 장치(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수집 장치(1)의 위에서 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수집 장치(1)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대(20)와,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을 포함하는 질량체(40)를 포함한다. 질량체(40)는 지지대(20)에 스프링(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은 복수 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0)는 베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체로 제공되어 베이스(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평행판(50)은 도전성 소재이며, 베이스(10)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기립하여 고정된다. 제2 평행판(60)도 도전성 소재이며, 제1 평행판(50)과 소정의 거리 이격된 평행 상태로 제공되며, 질량체(40)가 외력에 의해 진동하면 제1 평행판(50)에 대해서 평행하게 진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평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은 서로의 사이에 배치된다.
질량체(40)에 외력이 가해지면 질량체(40)가 진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30)이 탄성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평행판(50)이 베이스(10)에 대해서 수직으로 기립하여 고정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이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격되고, 제2 평행판(60)이 베이스(10)에 대해서 진동하되, 제1 평행판(50)에 대한 평행 상태를 유지하며 진동할 수만 있으면 어떠한 배향(Orientation)이어도 무방하다.
질량체(40)가 X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외력이 가해지면,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이 서로 마주보며 중첩되는 면적이 변화한다. 서로 마주보며 중첩되는 면적을 A, 두 개의 평행판(50, 60) 거리를 d, 공기의 유전율을 ε0라고 하면, 서로 마주보는 두 평행판(50, 60)으로 이루어진 축전기의 정전용량 C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된다.
Figure 112011012704460-pat00001
제1 및 제2 평행판(50, 60)이 서로 마주보며 겹쳐지는 면적의 변화량을 ΔA라고 하면 정전용량 ΔC는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11012704460-pat00002
구동 초기에 외부에서 전원을 연결하여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에 각각 +Q와 -Q의 전하를 충전한 후 전원을 제거하면, 각 평행판에 남아 있는 전하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질량체(40) 진동에 의한 축전기의 정전용량 변화 ΔC로 인한 전압 변화 ΔV는 다음 수학식에 의해서 표현된다.
Figure 112011012704460-pat00003
이러한 반복적인 전압 변화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본 발명과 같은 구조의 정전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에서는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의 높이를 크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에너지를 더 크게 할 수 있으며, 종래 방식의 Out-of-plane gap closing 방식과 비교했을 때 단위 면적당 발생하는 에너지를 더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유전체막을 증착한다. 도 3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양쪽 평행판 모두에 유전체막을 같은 두께로 증착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b)와 같이 유전체막(70)을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에 각각 동일한 두께(dd)로 증착하면, 유전체막(70)의 두께 dd 및 이격거리 da와 유전체막(70)이 증착되기 이전의 거리 d와의 관계는 다음 수학식과 같다.
Figure 112011012704460-pat00004
증착된 유전체(70)막의 유전 상수를 εd라고 하면,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 사이의 정전용량 Cd는 다음 수학식과 같다.
Figure 112011012704460-pat00005
유전체막(70)의 유전상수 ε0는 항상 1보다 큰 값이므로 유전체(70)가 증착된 구조에서의 정전용량 Cd는 유전체막(70)이 없는 경우의 정전용량 C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결국,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에 유전체막이 있는 구조에서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같은 진동 에너지를 가했을 때에 더 많은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의 높이를 같게 만들고, 평형 상태에서 베이스(10)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즉 이러한 평형 상태에서 가장 높은 정전용량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이 구조에서는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이 최대한 멀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제2 평행판(60)이 진동하는 동안에도 공기 저항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에너지 변환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a)에는 도 4(b)와 같이 외부 진동이 가해질 때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도 4(c)에는 이러한 상대적 위치 변화가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는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도 4(d)의 그래프로 표시되는 에너지가 발생한다. 따라서 에너지의 변화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 에너지 주파수의 두 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최대의 전기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최대로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이 서로 마주보며 겹쳐지는 면적이 최대 또는 최소가 되도록 구동되어야 한다. 도 4(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평형 상태에서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의 높이가 같은 경우, 제2 평행판(60)은 높이의 3배에 해당하는 운동 거리를 가져야 한다. 이처럼 큰 진폭으로 진동시키려면 외부에서 큰 가속도가 가해져야 하므로 가속도가 낮은 범위에서는 최대 효율을 얻기가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의 높이가 같을 때, 평형 상태에서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은 베이스(10)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1/2 높이차를 갖도록 배치된다.이 실시예에서는 평행판 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운동 거리만으로도 제1 평행판(50)과 제2 평행판(60)이 서로 마주보며 중첩되는 면적이 최대 또는 최소가 되도록 구동하여 최대의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도 5(b)와 같이 외부에서 진동 에너지가 가해질 때 제2 평행판(60)의 상대 위치는 도 5(c)와 같으며,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는 도 5(d)의 그래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출력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 에너지의 변화가 외부에서 인가된 진동과 위상만 다르고 같은 주파수를 가지므로 직류로의 정류 과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해 지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10)와 제2 평행판(60)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해도 에너지 변환 효율에 있어서 불리하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은 문제점이 없다. 즉 댐핑 계수는 베이스(10)와 제2 평행판(60) 사이의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하므로(Eung-Sam Kim외 2인의 논문 “Effect of Holes and Edges On the Squeeze Film Damping of Perforeated Micromechanical Structures” IEEE MEMS 1999),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비해 베이스(10)와 진동하는 제2 평행판(60) 사이의 거리를 2배로 늘리면 댐핑 계수는 1/8 이하로 낮아지므로 진동 특성이 훨씬 더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첨부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 베이스
20: 지지대
30: 스프링
40: 질량체
50: 제1 평행판
60: 제2 평행판
70: 유전체막

Claims (4)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평행판과,
    상기 제1 평행판과 소정의 거리 이격된 평행 상태로 제공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평행판에 대해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베이스측을 향해 진동하는 제2 평행판을 포함하는 질량체를 포함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행판 및 제2 평행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전체막이 제공되는,
    에너지 수집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행판 및 제2 평행판의 높이는 동일하며,
    평형 상태에서 상기 제1 평행판 및 제2 평행판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에너지 수집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행판 및 제2 평행판의 높이는 동일하며,
    평형 상태에서 상기 제1 평행판 및 제2 평행판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1/2 높이차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에너지 수집 장치.
KR1020110015558A 2011-02-22 2011-02-22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 KR101183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558A KR101183458B1 (ko) 2011-02-22 2011-02-22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558A KR101183458B1 (ko) 2011-02-22 2011-02-22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258A KR20120096258A (ko) 2012-08-30
KR101183458B1 true KR101183458B1 (ko) 2012-09-17

Family

ID=4688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558A KR101183458B1 (ko) 2011-02-22 2011-02-22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4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6598A (ja) 2008-12-08 2010-06-17 Omron Corp 静電誘導型のエネルギー変換素子
JP2010258890A (ja) 2009-04-27 2010-11-11 Nippon Hoso Kyokai <Nhk> 静電誘導型変換素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6598A (ja) 2008-12-08 2010-06-17 Omron Corp 静電誘導型のエネルギー変換素子
JP2010258890A (ja) 2009-04-27 2010-11-11 Nippon Hoso Kyokai <Nhk> 静電誘導型変換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258A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1017A1 (ja) 振動発電素子
US10033305B2 (en)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130026880A1 (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CN103493356A (zh) 压电发电装置
US20130241346A1 (en) Device for converting 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Halvorsen et al. An electrostatic energy harvester with electret bias
US20210119555A1 (en) Vibrational Energy Harvester Device
JP5226907B1 (ja) 振動発電器、振動発電装置、及び振動発電装置を搭載した電気機器と通信装置
JP2013188080A (ja) 振動発電器
US20140339954A1 (en) Vibration power generator
Fu et al. MEMS vibration electret energy harvester with combined electrodes
JP2012044747A (ja) 静電誘導発電デバイス
Takahashi et al. Application of paraelectric to a miniature capacitive energy harvester realizing several tens micro watt—Relationship between polarization hysteresis and output power
US10797617B2 (e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KR101183458B1 (ko) 정전 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
JP6985702B2 (ja) 振動発電装置および振動発電素子
Fu et al. In-plane gap-closing MEMS vibration electret energy harvester on thick box layer
Takahashi et al. A miniature harvester of vertical vibratory capacitive type achieving several tens microwatt for broad frequency of 20–40 Hz
JP6309698B1 (ja) 発電装置と発電素子
KR101263343B1 (ko) 정전방식 에너지 수집 장치
Honma et al. A double-deck structured MEMS electrostatic vibrational energy harvester for minimal footprint
Honma et al. Power Generation Demonstration of Electrostatic Vibrational Energy Harvester with Comb Electrodes and Suspensions Located in Upper and Lower Decks.
Zhang et al. Two mechanical tuning schemes to improve the bandwidth of electret-based electrostatic energy harvester
Tao et al. Enhanced performance of electrostatic energy harvester with integrated opposite-charged electrets
RU165831U1 (ru) Емкостной микро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