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331B1 -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331B1
KR101183331B1 KR1020100058596A KR20100058596A KR101183331B1 KR 101183331 B1 KR101183331 B1 KR 101183331B1 KR 1020100058596 A KR1020100058596 A KR 1020100058596A KR 20100058596 A KR20100058596 A KR 20100058596A KR 101183331 B1 KR101183331 B1 KR 10118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nozzle
abrasive
injection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608A (ko
Inventor
이현호
Original Assignee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33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1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compacting surfaces, e.g. shot-pe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 B24C3/12Apparatus us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1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provided with means for moving workpieces into different working positions
    • B24C3/2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provided with means for moving workpieces into different working positions the work being supported by 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 제품(핸드폰 케이스, 가전제품의 케이스 등)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면이 부식 처리된 제품을 성형한 상태에서 표면에 이색현상(stress mark) 및 시각적으로 수축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부식 깊이의 변화는 물론이고 표면의 색상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외관을 미려하고 고급스럽게 마무리 가공하는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표면을 마무리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마재(15)가 분사되는 노즐(16)을 브라스트 공정이 진행되는 챔버(14)의 내부에 설치하여 피 가공물을 챔버(14)의 내부에 로딩한 다음 노즐(16)을 통해 연마재(15)를 분사하면서 피 가공물의 표면을 마무리 가공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 가공물인 사출물(1)을 인덱스 타입의 턴테이블(30)에 설치된 지그(32)에 얹어 챔버(14)의 내부로 로딩한 다음 크기가 0.1-0.5mm인 합성수지계열의 연마재(15)를 3-7kg/㎠의 에어분사압력으로 노즐(16)을 통해 분사하면서 표면이 부식 처리된 사출물(1)의 표면을 가공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Method of Uniformalizing Etching Pattern of Injection Product Using Shot Blast Machine}
본 발명은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 제품(핸드폰 케이스, 가전제품의 케이스 등)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표면이 부식 처리된 제품을 성형한 상태에서 표면에 이색현상(stress mark) 및 시각적으로 수축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부식 깊이의 변화는 물론이고 표면의 색상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외관을 미려하고 고급스럽게 마무리 가공하는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되는 합성수지제품은 금형의 가공방법에 따라 표면이 매끄러운 제품과, 표면이 부식 처리된 제품으로 대별된다.
표면이 매끄러운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된 제품은 표면이 매끄러워 빛을 반사하므로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지만, 핸드폰 또는 MP3 등과 같이 휴대하는 제품인 경우에는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 등과 같은 흠집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질리지 않으면서도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발생되지 않도록 표면이 부식 처리된 제품의 출시가 늘고 있고, 또한 소비자들이 이러한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이 부식 처리된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금형의 내부를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과 동일하게 가공한 다음 그 표면을 부식 처리한 상태에서 사출 성형함에 따라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을 성형하고 나면 표면에 이색현상(stress mark) 또는 시각적 수축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함은 2차 가공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완성품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식 처리된 표면에 결함이 발생되면 이를 자동으로 해결하기 위한 장비 또는 방법이 제안된 바 없어, 현재에는 작업자가 양모를 이용하여 결함부위를 반복적으로 문질러 제거하고 있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이고 양모에 의해 문질러진 부위 및 그러하지 않은 부위에서의 색상차이로 인한 불량이 발생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즉, 양모에 의해 문질러진 부위의 부식깊이는 연마되어 얕아지고 문질러지지 않은 부위의 부식깊이는 원래의 깊이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금속의 표면을 연마하는 브라스트머신에서 소프트(soft)한 연마재를 이용하여 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부식깊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사출 성형 시 발생된 이색현상(stress mark) 또는 시각적 수축현상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연마재가 분사되는 노즐을 브라스트 공정이 진행되는 챔버의 내부에 설치하여 피 가공물을 챔버의 내부에 로딩한 다음 노즐을 통해 연마재를 분사하면서 피 가공물의 표면을 마무리 가공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 가공물인 사출물을 인덱스 타입의 턴테이블에 설치된 지그에 얹어 챔버의 내부로 로딩한 다음 크기가 0.1-0.5mm인 합성수지계열의 연마재를 3-7kg/㎠의 에어분사압력으로 노즐을 통해 분사하면서 표면이 부식 처리된 사출물의 표면을 가공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하는 쇼트브라스트머신에서 노즐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피 가공물의 표면에 소프트한 재질의 합성수지 연마재를 분사하면서 후 가공하게 되므로 부식 처리된 형태로 성형된 사출물의 표면 조도를 거의 균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사출 성형 시 표면에 발생된 이색현상이나 시각적 수축현상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불량품의 양산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챔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턴테이블의 사시도
도 5는 챔버의 내부에 노즐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사출물의 표면 조도변화를 가공 전, 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각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챔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횡단면도로써, 본 발명에 적용되는 쇼트 브라스트머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복수 열(대개 1열에 10개 내외 정도)로 로딩(loading)되는 피 가공물인 사출물(1)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유니트(12)와, 상기 컨베이어 유니트의 중간 부위에 밀폐되게 설치되어 사출물(1)의 표면 가공이 이루어지는 챔버(14)와, 상기 챔버에 설치된 노즐 장착판에 고정 설치되어 연마재(15)를 사출물 측으로 고압 분사시키는 복수 개의 노즐(16)과, 상기 노즐을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모터(13)와, 상기 챔버의 일 측에 설치되어 가공된 사출물로부터 분진이 제거되도록 하는 크린 룸(17)과, 상기 크린 룸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출물 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연마재 및 분진을 제거하는 압축공기 분사부(18)와, 상기 컨베이어 유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챔버(14)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의 스크류가 고정되어 사출물을 가공하고 난 연마재 및 분진이 호퍼(19) 측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유니트(20)와, 상기 호퍼와 제1연결관(21)으로 연결되어 연마재 및 분진을 분리하는 사이클론(22)과,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진과 분리된 연마재가 담겨지도록 하여 연마재 공급관(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노즐로 재 분사되도록 하는 연마재 저장탱크(23)와, 상기 사이클론과 제2연결관(24)으로 연결되어 터보 팬(25)의 구동에 따라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더스트 콜렉터(26)와, 상기 더스트 콜렉터의 내부에 복수 개 설치되어 미세 분진을 제거하여 토출관(도시는 생략함)으로 청정공기만이 배출되도록 하는 백 필터 또는 카트리지(27)와, 상기 백 필터 또는 카트리지에 의해 분리된 분진이 담기는 더스트 회수박스(28)와, 상기 챔버의 일 측에 설치되어 일련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2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쇼트 브라스트머신에서 노즐(16)을 통해 분사되는 연마재(15)가 본 발명에서는 소프트한 합성수지계열로 크기는 0.1-0.5mm정도로 되어 있는데, 이 때 노즐(16)을 통한 에어분사압력은 3-7kg/㎠의 조건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노즐(16)을 통해 분사되는 연마재(15)의 크기가 0.1mm 이하이면 이색현상 또는 시각적 수축현상을 제거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0.5mm 이상이면 그 굵기가 너무 굵어 사출물(1)의 표면 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즐(16)을 통한 에어분사압력이 3kg/㎠ 이하이면 에어분사압력이 너무 낮아 사출물(1)의 표면 가공효과가 떨어져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이와는 반대로 7kg/㎠ 이상이면 부식 깊이가 낮아져 표면이 평탄화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나타내므로 에어분사압력을 5-7kg/㎠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소프트한 합성수지계열로는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폴리아미드계열의 합성수지가 사출물(1)의 표면에 형성된 부식 깊이의 조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사출 시 발생된 이색현상이나 시각적 수축현상을 거의 완벽하게 해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조건에서 사출 성형된 복수 개의 사출물(1)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 유니트(12)의 상면에 동시에 로딩(loading)한 다음 이를 챔버(14)의 내부로 이송시킨 후 노즐(16)을 통해 소프트한 연마재(15)를 연속적으로 분사하면서 표면 가공하여도 되지만,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덱스 타입의 턴테이블(30)을 이용하여 챔버(14)의 내부에 로딩하여 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14)의 외부로 노출된 턴테이블(30)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지그(32)에 가공할 사출물(1)을 로딩하면 상기 턴테이블(30)이 모터(31)의 구동에 따라 1스탭 회전하게 되므로 지그(32)에 로딩되었던 사출물(1)이 챔버(14)의 내부로 진입되는데, 이 때 가공이 완료되어 챔버(14)의 배출구(도시는 생략함)에 근접되게 위치된 지그에 로딩되어 있던 사출물은 챔버(14)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작업자에 의한 언로딩(unloading)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가공할 사출물(1)이 챔버(14)의 내부로 진입되고 나면 챔버(14)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던 노즐(16)을 통해 소프트하면서 0.1-0.5mmm정도의 크기를 갖는 연마재(15)가 3-7kg/㎠의 분사압력으로 분사되므로 사출물(1)의 표면이 가공된다.
이 때, 연마재(15)를 분사하는 노즐(16)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 하 또는 좌, 우로 회동하면서 사출물(1)의 표면으로 연마재를 보다 골고루 분사시키고, 사출물(1)이 로딩된 지그(3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33)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사출물(1)의 표면을 보다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공지의 쇼트 브라스트머신의 챔버(14)에 사출물(1)을 로딩한 상태에서 폴리아미드계열의 연마재(15)를 그 크기가 0.3mm로 하고, 노즐의 분사압력을 5kg/㎠로 하여 표면을 가공한 후 무작위로 10개를 선택하여 사출물의 초기 제품과 가공 완료 후 제품의 부식 깊이 변화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0502137519-pat00001
도 6a는 가공 전의 조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가공 후의 조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가공 후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는데, 조도 Ra 값의 편차가 -0.073이므로 표면 처리 후 부식 깊이의 변화가 거의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표 2]
Figure 112010502137519-pat00002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챔버(14)의 내부에 사출 성형된 사출물(1)을 컨베이어 유니트(12) 또는 턴테이블(30)을 이용하여 로딩한 다음 폴리아미드계열로써, 소프트하면서 그 크기가 0.1-0.5mm인 연마재(15)를 3-7kg/㎠의 분사압력으로 노즐(16)을 통해 사출물(1)의 표면에 분사하면서 가공함에 따라 사출 성형 시 발생되는 이색현상이나 시각적 수축현상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부식 처리된 표면의 조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빠른 시간 내에 가공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1 : 사출물 12 : 컨베이어 유니트
14 : 챔버 15 : 연마재
16 : 노즐 30 : 턴테이블
32 : 지그

Claims (6)

  1. 연마재(15)가 분사되는 노즐(16)을 브라스트 공정이 진행되는 챔버(14)의 내부에 설치하여 피 가공물을 챔버(14)의 내부에 로딩한 다음 노즐(16)을 통해 연마재(15)를 분사하면서 피 가공물의 표면을 마무리 가공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 가공물인 사출물(1)을 인덱스 타입의 턴테이블(30)에 설치된 지그(32)에 얹어 챔버(14)의 내부로 로딩한 다음 크기가 0.1-0.5mm인 합성수지계열의 연마재(15)를 3-7kg/㎠의 에어분사압력으로 노즐(16)을 통해 분사하면서 표면이 부식 처리된 사출물(1)의 표면을 가공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58596A 2010-06-21 2010-06-21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 KR10118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596A KR101183331B1 (ko) 2010-06-21 2010-06-21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596A KR101183331B1 (ko) 2010-06-21 2010-06-21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608A KR20110138608A (ko) 2011-12-28
KR101183331B1 true KR101183331B1 (ko) 2012-09-14

Family

ID=4550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596A KR101183331B1 (ko) 2010-06-21 2010-06-21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757B1 (ko) * 2014-06-02 2014-09-17 이석우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의 제조방법 및 그 연마장치
KR101654364B1 (ko) * 2015-08-12 2016-09-06 정용화 나노 샌딩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9467A (ja) * 2000-05-19 2002-03-19 Bridgestone Corp 投射材
KR200432097Y1 (ko) * 2006-09-08 2006-11-30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쇼트 브라스트머신의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9467A (ja) * 2000-05-19 2002-03-19 Bridgestone Corp 投射材
KR200432097Y1 (ko) * 2006-09-08 2006-11-30 한국브라스트 주식회사 쇼트 브라스트머신의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608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615B1 (ko) 실리콘 전극 연마를 용이하게 하는 플래튼 및 어댑터 어셈블리
CN105057150B (zh) 专用于家具零部件的一体化生产装置
KR101183331B1 (ko) 쇼트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하여 사출물의 부식패턴을 균일하게 하는 방법
KR101449242B1 (ko)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 사출물의 버어 및 단차 제거장치
KR100940706B1 (ko) 판재의 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의 후처리 방법
KR101654364B1 (ko) 나노 샌딩 시스템
KR101440734B1 (ko) 브라스트머신을 이용한 띠 형태의 박판가공방법
US722634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aminated mold and laminated mold
CN208179325U (zh) 一种去除粉末冶金压制生坯软毛刺的装置
CN110253414A (zh) 一种铜制品加工抛光打磨方法
KR101183314B1 (ko) 고 강성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 사출물의 버어 제거방법
CN211332605U (zh) 一种汽车覆盖件模具边角打磨设备
CN108393808B (zh) 一种去除粉末冶金压制生坯软毛刺的装置和方法
KR101613377B1 (ko) 모바일 메탈 프레임 브라스트 가공장치
JP5214851B2 (ja) 金属容器のヘアライン加工方法
KR20150039058A (ko) 휴대폰 케이스 버핑방법 및 이를 위한 버핑장비
JP5589307B2 (ja) 加硫用モールドの洗浄方法
KR101440757B1 (ko)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 스프링의 제조방법 및 그 연마장치
KR102426794B1 (ko) 초경인서트 제품 디버링 장치
CN213106349U (zh) 一种钛宝石表面磨砂装置
JP2502317Y2 (ja) 押出し成形金型用研掃材
JP2002301664A (ja) 補助タンブラー及び補助タンブラーによるセラミックス部品のバリ取り方法
CN203426101U (zh) 用于半导体元件及其生产设备的清洁机具
JP2006231665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30058971A (ko) 입자성 연마제 분사식 금속표면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