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921B1 -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921B1
KR101182921B1 KR1020090121104A KR20090121104A KR101182921B1 KR 101182921 B1 KR101182921 B1 KR 101182921B1 KR 1020090121104 A KR1020090121104 A KR 1020090121104A KR 20090121104 A KR20090121104 A KR 20090121104A KR 101182921 B1 KR101182921 B1 KR 10118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emergency mode
elevator
emergency
oper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475A (ko
Inventor
이세헌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9012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9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는 텐키(ten key) 입력 방식의 조작 버튼, 엘리베이터의 운행 모드에서 정상 모드와 긴급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긴급 모드에서의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법이 긴급 모드 조작법으로서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긴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긴급 모드 조작법을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긴급 모드 조작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법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조작, 텐키, 긴급 모드, 디스플레이

Description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ELEVATOR OPERATING APPARATUS FOR EMERGENCY MODE}
본 발명은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정 버튼 입력의 조합에 따라 운행을 수행하는 텐키 입력 방식에서 긴급 모드 선택시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법을 이용자에게 특별하게 안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으로 이루어진 아파트 또는 빌딩과 같은 건물에 설치되어 편리하게 각 층을 왕래할 수 있는 승강기로,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반을 이용하여 가고자 하는 목적층을 선택하게 된다.
승강기 내부의 조작반은 일반적으로 각 층을 나타내는 숫자키가 적용된 목적층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데 고층 건물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 층수만큼 목적층 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조합하여 목적층을 입력할 수 있 는 텐키 입력 방식의 조작반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텐키를 입력하는 방식은 통일된 규격이 없어 제조사마다 다른 사용법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조사별로 텐키입력 방식을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사정은 긴급 상황 발생시 엘리베이터를 긴급 모드로 운행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이에 따라 긴급 모드를 선택하는 소방관은 평소의 텐키입력 방식과 다른 긴급 모드시의 텐키입력 방식을 이해하지 못하여 빠른 시간 내에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긴급 모드시 텐키 입력 방식의 엘리베이터 조작반에 대한 사용법을 소방관에게 보다 쉽게 알려줌으로써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텐키 조작법을 카 내에 디스플레이하고, 텐키 입력 방식에 부합하는 긴급 모드 운전이 가능한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는 텐키(ten key) 입력 방식의 조작 버튼, 엘리베이터의 운행 모드에서 정상 모드와 긴급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긴급 모드에서의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법이 긴급 모드 조작법으로서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긴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긴급 모드 조작법을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긴급 모드 조작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된 긴급 모드 조작법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소방 열쇠 단자 또는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상기 조작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버튼은 푸쉬 버튼식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는 텐키 입력 방식의 엘리베이터에서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모드시의 조작법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긴급 모드시 텐키 입력 방식의 엘리베이터 조작법을 사용자 에게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긴급 모드시 엘리베이터를 조작하는 소방관은 용이하게 엘리베이터 조작법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는 텐키(ten key) 입력 방식의 조작 버튼(110), 엘리베이터의 운행 모드에서 정상 모드와 긴급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130), 상기 긴급 모드에서의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법이 긴급 모드 조작법으로서 저장되는 메모리(memory)(150), 상기 긴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긴급 모드 조작법을 추출하는 제어부(170) 및 상기 추출된 긴급 모드 조작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하고 있다.
조작 버튼(110)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장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텐키 입력 방식에서는 0~9까지의 층번호 버튼이 기본적으로 구비되며 이들 층번호 버튼의 조합에 의해 목적층을 입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텐키 입력 방식에서는 조합된 층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90)가 함께 구비된다.
상기 모드 선택부(130)는 엘리베이터에서 제공되는 운행 모드를 선택하게 된 다. 상기 운행 모드는 평상시의 운행 모드인 정상 모드와 긴급시의 운행 모드인 긴급 모드가 존재한다. 긴급 모드는 엘리베이터 점검 모드 및 화재 발생시의 소방 모드 등이 해당한다.
긴급 모드에서의 엘리베이터 운행은 정상 모드의 엘리베이터 운행과 차이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 문을 엘리베이터 대기실이 아닌 곳에서 개방하기도 해야 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일반 사용자들이 엘리베이터의 운행 모드를 긴급 모드로 변환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조작 버튼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패스워드 입력에 의해 긴급 모드로 변환하거나, 소방관이 소지하는 소방 열쇠에 의해 구동되는 소방 열쇠 단자에 의해 변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방 열쇠 단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버튼의 상부에 1차 긴급 모드 단자(좌측)와 2차 긴급 모드 단자(우측)에 해당하는 두개의 열쇠 단자로 이루어진다. 소방 열쇠 단자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의 구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0~9까지의 층번호 버튼(111), 등록 버튼(113) 등으로 이루어진 조작 버튼(110), 모드 선택부(130),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하고 있다. 등록 버튼(113)이 요구되지 않는 텐키 조작 방식에서는 등록 버튼(113)을 삭제할 수도 있다. 패스워드 입력에 의해 모드 선택부가 구동될 경우 패스워드는 상기 층번호 버튼외에도 지하 버튼(B 버튼), 기준층 버튼(L 버튼), 취소 버튼(C 버튼)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방키에 의해서 구동될 경우 상기 모드 선택부는 소방 스위치 또는 소방키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도 2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부나 하부에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점검 모드의 경우 점검 모드 사용자는 점검 대상인 엘리베이터에 대해 숙달이 되어 있는 상태일 것이나, 소방 모드에서의 사용자인 소방관은 대상 엘리베이터에 대해 숙달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텐키 입력 방식에 대한 긴급 모드 입력 규정이 존재하지 않은 현 시점에서 소방관으로서는 긴급 모드시의 조작법을 인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 사고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소방 모드 등에서의 조작법 안내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나, 정상 모드에서의 사용자에 대한 배려로 인하여 긴급 모드시의 조작 안내문의 비치가 어려운 실정임을 밝힌 바 있다.
그렇다고, 긴급 모드가 선택된 상태(긴급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숙달자를 찾아 긴급 모드의 조작법을 설명듣는 것 또한 적절한 방안이 되지 못함은 분명하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내에서 긴급 모드의 조작법을 제공하면서도 정상 모드에서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는 방안이 요구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모드 선택부에서 긴급 모드가 선택된 경우 긴급 모드에서의 조작 버튼의 조작법을 메모리에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한다. 긴급 모드에서의 조작 버튼의 조작법을 긴급 모드 조작법이라 칭할 때 긴급 모드 조작법이 기 저장되는 메모리(150)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제어부(170) 및 메모리(150)는 승강기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컨트롤 패널(CP, Control panel)에 형 성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0)는 긴급 모드 조작법의 출력만을 위한 것일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조작 버튼의 조작 내용을 표시하는 운행 관련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행 관련 디스플레이부는 조작 버튼의 주변에 배치되어 조작된 버튼의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서 도 2에서의 조작 버튼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아울러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와 일체형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하여 안내되는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법은 도 3과 같을 수 있다. 도 3은 긴급 모드시의 여러 운전 상황 중 목적층으로 운행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층번호의 마지막 숫자나 닫힘 버튼을 3초 이상 누르면 카가 운행됩니다'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소방관이 원하는 목적층을 입력하고 목적층의 마지막 숫자 또는 닫힘 버튼을 3초 이상 누르면 카가 운행됨을 안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서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법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황을 소방관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점멸을 반복거나 안내 내용의 색을 반복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화재 등의 긴급 상황 발생시 충격, 합선, 열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긴급 모드시의 운행자(예, 소방관)가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에서 추출된 긴급 모드 조작법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 및 음성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는 상기 음성 출력부에서 출력 가 능한 형태의 데이터 또한 저장되어야 할 것이다. 음성 출력부의 안내 내용으로는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하라는 멘트 후에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안내 내용과 매칭되는 내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중인 내용과 다른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할 경우 둘 모두를 인지하는 상태의 운행자에게 혼동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소방 모드와 같이 해당 엘리베이터에 대한 조작법이 숙달되지 않은 사용자가 긴급 모드로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조작법을 습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음성 출력부를 마련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서도 조작법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소방관은 긴급 모드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안내되는 조작법에 따라 조작 버튼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작 버튼은 푸쉬(push) 버튼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소방관은 화재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의 두꺼운 장갑을 착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갑을 착용한 채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조작 버튼을 조작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소방관이 착용한 장갑을 벗지 않고도 조작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 버튼은 푸쉬 버튼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긴급 모드는 상황에 따라 복수의 모드로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 모드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문을 닫은 채 운행하는 1차 모드와 엘리베이터 문을 열어둔 채 운행하는 2차 모드로 세분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 모드는 제1 소방 모드라 칭해지기도 하며, 화재 등 비상시 소방관이 전적으로 자체제어로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이다. 따라서 1차 모드에서 엘리베이터에 대해 이루어지는 모든 지시는 승강기 내 소방관의 조작 버튼 입력에 따르게 된다. 1차 모드는 전형적인 화재, defcon1, 2상황에 준한 비상상황에 대한 설정이다.
2차 모드는 기본적으로 1차 모드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여기에 추가로 승강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도 운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2차 모드는 1차 모드의 설정 상황보다 심한 최악의 비상 상황시의 설정이다.
이와 같은 1차 모드 또는 2차 모드의 선택은 실질적으로 소방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소방관은 본인의 판단에 의하여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소방관을 운용하는 소방서 또는 그 위의 상급 기관을 통해서 모드를 결정하여 소방관에게 전달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긴급 모드 선택 후 상기 1차 모드와 2차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긴급 모드 선택은 상기 1차 모드 또는 2차 모드 둘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방 모드의 소방 스위치가 '정상', '1차', '2차'와 같은 순서의 3단 스위치로 구성된 경우, '정상'에서 '1차'로 스위치를 조작하면 긴급 모드 하의 1차 모드로 바로 진행된다. 이와 다르게, '정상', '긴급'과 같이 구성되고 '긴급'을 선택하면 다시 '1차', '2차'가 표시되어 선택을 유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는 2단 스위치로 구성된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1차 긴급 모드 선택부와 2 차 긴급 모드 선택부를 분리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가 1차 모드 또는 2차 모드로 진행하는 시점은 모드 선택부의 선택이 이루어진 시점이 된다. 예를 들어 소방관이 소방키를 모드 선택부인 소방키 단자에 꼽고 1차 모드로 돌리게 되면, 엘리베이터는 곧바로 1차 모드 운행 상태가 되며, 2차 모드로 돌리게 되면 2차 모드 운행 상태가 된다.
소방관이 카 내에 설치되어 있는 모드선택부(130)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를 비상운전하기 위하여 1차 또는 2차 모드로 변환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엘리베이터 1차 또는 2차모드의 변경에 따라 긴급 모드 운전(비상운전) 상태임을 판단한다. 그 후, 승강장 홀측의 버튼은 입력받지 않고 카 내에 긴급 모드 운전임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긴급 모드 조작법을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소방관이 비상(긴급 모드) 운전시 텐키 방식의 조작 버튼을 쉽게 등록할 수 있도록 안내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소방관이 긴급 모드 조작법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을 대비하여 음성 출력부(180)을 통해 긴급 모드 조작법에 대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상(긴급 모드) 운전시 소방관에게 디스플레이부나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긴급 모드 조작법(긴급 모드시의 텐키 사용법)을 알려주게 되면, 소방관은 긴급 모드시의 텐키 방식의 조작 버튼 사용법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원하는 층을 쉽게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텐키 입력 방식의 조작반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의 구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엘리베이터 조작법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조작 버튼 130...모드 선택부
150...메모리 170...제어부
180...음성 출력부 190...디스플레이부

Claims (4)

  1. 텐키입력 방식의 조작 버튼;
    엘리베이터의 운행 모드에서 소방 열쇠 단자 또는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상기 조작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정상 모드와 긴급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긴급 모드에서 상기 텐키입력 방식의 조작 버튼의 조작법이 긴급 모드 조작법으로서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긴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긴급 모드 조작법을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긴급 모드 조작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텐키 입력 방식의 엘리베이터에서 긴급 상황 발생시 상기 긴급 모드 조작법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긴급 모드시 텐키 입력 방식의 엘리베이터 조작법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긴급 모드 조작법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90121104A 2009-12-08 2009-12-08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 KR10118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104A KR101182921B1 (ko) 2009-12-08 2009-12-08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104A KR101182921B1 (ko) 2009-12-08 2009-12-08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475A KR20110064475A (ko) 2011-06-15
KR101182921B1 true KR101182921B1 (ko) 2012-09-13

Family

ID=4439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104A KR101182921B1 (ko) 2009-12-08 2009-12-08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9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475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2505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980923B2 (ja) 多機能を有する行先入力用乗客インタフェース
JP5516742B2 (ja) エレベーターのモニター制御装置
EP2610203B1 (en) Monitor control device
JP201014368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呼び登録装置
JP611735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159471A (ja) シークレット運転エレベーター
JP2006335524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2009888A (zh) 电梯救援运转系统
KR101182921B1 (ko) 긴급 모드시의 엘리베이터 조작 장치
CN101646620A (zh) 电梯装置
JP2013103774A (ja) エレベータ
JP2010275102A (ja) エレベータの戸開制御装置
JP6010156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729619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WO2010067406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14148418A (ja) エレベーターとその乗場操作装置
EP3401257A1 (en) Car operating panel for an elevator car having at least two car doors
CN111819145B (zh) 电梯
JP6513775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981586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10255312B (zh) 电梯轿厢操纵面板
JP562287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115301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8162759A (ja) 非常用エレベータの伝送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