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825B1 -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825B1
KR101182825B1 KR1020120030733A KR20120030733A KR101182825B1 KR 101182825 B1 KR101182825 B1 KR 101182825B1 KR 1020120030733 A KR1020120030733 A KR 1020120030733A KR 20120030733 A KR20120030733 A KR 20120030733A KR 101182825 B1 KR101182825 B1 KR 101182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tube
printer
cartridg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철
Original Assignee
임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철 filed Critical 임형철
Priority to KR102012003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 장치는, 잉크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 일단이 저장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튜브, 일단이 저장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 튜브, 및 일측이 공기 튜브 및 잉크 튜브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프린터에 장착되며, 프린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 튜브를 통해 저장부로 유입시키고, 저장부 내의 잉크 튜브를 통해 유출된 잉크를 프린터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CATRIDGE AND APPARATUS FOR SUPPLYING I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체할 필요가 없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프린트 헤드가 인쇄 매체 상부의 소정 위치를 통과할 때, 프린트 헤드를 통해 잉크 방울을 인쇄 매체 위로 분출하여 인쇄 매체 상의 원하는 위치에 화상 및 문자를 인쇄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프린터는 프린터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를 구비하여야 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13544
도 1은 선행기술의 잉크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잉크 공급 시스템(10)은 잉크 용기(12), 프린트 헤드(14), 콤프레서(16), 및 제어기(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잉크 용기(12)는 잉크(19)를 수용하는 유체 저장통(22), 외부 쉘(24), 및 섀시(26)를 포함한다. 섀시(26)에는 콤프레서(16)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입구(28) 및 프린트 헤드(14)와 연결되어 유체 저장통(22) 내의 잉크(19)를 프린트 헤드(14)로 유출하는 유체 출구(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잉크 공급 시스템(10)에 있어서, 콤프레서(16)에서 공기 입구(28)를 통해 잉크 용기(12)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면, 유입된 공기가 유체 저장통(22)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유체 저장통(22)이 수축하면서 유체 저장통(22) 내의 잉크(19)가 유체 출구(30)를 통해 프린트 헤드(14)로 공급되게 된다.
선행기술에 의하면, 잉크 용기(12) 내의 잉크(19)가 고갈되는 경우, 잉크 용기(12) 자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교체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그리고, 잉크 용기(12) 내의 유체 저장통(22)에 수용되는 잉크의 양이 작기 때문에 잉크 용기(12)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잉크 용기(12) 내의 잉크(19)의 양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잉크 용기(12) 내의 잉크(19)가 고갈되어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야 잉크(19)의 고갈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잉크(19)가 전부 고갈된 후에도 인쇄 시스템이 작동되면 프린트 헤드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잉크 용기(12)를 교체할 때까지 인쇄 작업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트리지를 교체할 필요가 없는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 장치는, 잉크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 일단이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튜브; 일단이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 튜브; 및 일측이 상기 공기 튜브 및 상기 잉크 튜브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프린터에 장착되며, 상기 프린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튜브를 통해 상기 저장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잉크 튜브를 통해 유출된 잉크를 상기 프린터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는, 일측이 공기 튜브와 연결되고, 타측이 프린터에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튜브 내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 및 일측이 잉크 튜브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린터에 연결되어 상기 잉크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잉크를 상기 프린터로 공급하는 잉크 배출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가 저장부에서 직접 프린터로 공급되고, 카트리지는 단지 공기 및 잉크의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카트리지 자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 경우, 카트리지 교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주 카트리지를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부는 프린터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장부 내의 잉크의 양을 수시로 확인하여 잉크의 양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로의 잉크 공급이 끊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잉크가 고갈된 상태에서 프린터가 동작하여 프린트 헤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잉크 고갈로 인한 인쇄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선행기술의 잉크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잉크 배출관에 밀폐 결합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서 잉크가 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잉크 공급 장치(100)는 저장부 하우징(102), 저장부(104), 카트리지(106), 공기 튜브(108), 잉크 튜브(110), 및 카트리지 고정부(112)를 포함한다.
저장부 하우징(102)은 각 저장부(104)를 수납한다. 저장부 하우징(102) 내에는 각 저장부(104)의 수납 공간(S)을 분리하기 위한 격벽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 하우징(102)의 상부에는 커버(10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102-1)는 저장부 하우징(102)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저장부 하우징(102)의 일측에는 공기 튜브(108) 및 잉크 튜브(110)가 저장부 하우징(102) 내부로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관통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04)는 내부에 잉크를 저장한다. 4개의 저장부(104) 각각은 예를 들어, 흑색(Black), 적색(Magneta), 청색(Cyan), 및 황색(Yellow)의 잉크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저장부(104)가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저장부(10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4개의 저장부(104)가 서로 다른 색의 잉크를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개의 저장부(104)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동일한 색의 잉크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04)는 공기 튜브(108) 및 잉크 튜브(110)와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공기 튜브(108)를 통해 저장부(104) 내로 공기가 유입되면, 유입된 공기의 양 만큼의 잉크가 저장부(104)에서 잉크 튜브(110)를 통해 유출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카트리지(106)는 프린터(미도시)에 각각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106)의 일측은 공기 튜브(108) 및 잉크 튜브(110)를 통해 저장부(104)와 연결되고, 카트리지(106)의 타측은 프린터(미도시)에 장착되게 된다. 각 카트리지(106)는 공기 유입관(111) 및 잉크 배출관(113)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 유입관(111)의 일측은 공기 튜브(108)와 연결되고, 공기 유입관(111)의 타측은 프린터(미도시)와 연결된다. 이때, 공기 유입관(111)의 타측은 프린터(미도시) 내의 콤프레셔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유입관(111)의 타측은 콤프레셔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잉크 배출관(113)의 일측은 잉크 튜브(110)와 연결되고, 잉크 배출관(111)의 타측은 프린터(미도시)와 연결된다. 이때, 잉크 배출관(113)의 타측은 프린터(미도시) 내의 프린트 헤드와 연결될 수 있다. 잉크 배출관(113)의 타측은 프린트 헤드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공기 튜브(108)의 일측은 저장부(104)와 연결되고, 공기 튜브(108)의 타측은 카트리지(106)의 공기 유입관(111)과 연결된다. 이 경우, 공기 튜브(108)는 프린터(미도시)의 콤프레셔에서 공기 유입관(111)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저장부(104)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잉크 튜브(110)의 일측은 저장부(104)와 연결되고, 잉크 튜브(110)의 타측은 카트리지(106)의 잉크 배출관(113)과 연결된다. 이 경우, 잉크 튜브(110)는 저장부(104) 내의 잉크를 잉크 배출관(113)을 통해 프린터(미도시)의 프린트 헤드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카트리지 고정부(112)는 각 카트리지(106)의 타측이 프린터(미도시)에 장착되었을 때, 각 카트리지(106)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각 카트리지(106)는 타측만이 프린터(미도시)에 장착된 상태에 있으므로, 카트리지 고정부(112)를 통해 각 카트리지(106)의 일측을 고정시켜 주어 각 카트리지(106)가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상태에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잉크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 프린터(미도시) 내의 콤프레셔를 작동시키면, 콤프레셔에서 공급된 공기는 각 카트리지(106)의 공기 유입관(111) 및 공기 튜브(108)를 통해 각 저장부(104)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면, 저장부(104)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양 만큼의 잉크가 잉크 튜브(110)로 유출되어 잉크 배출관(113)을 통해 프린터(미도시)의 프린트 헤드로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잉크가 저장부(104)에서 직접 프린터로 공급되고, 카트리지(106)는 단지 공기 및 잉크의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카트리지(106) 자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 경우, 카트리지 교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주 카트리지를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부(104)는 프린터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장부(104) 내의 잉크의 양을 수시로 확인하여 잉크의 양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로의 잉크 공급이 끊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잉크가 고갈된 상태에서 프린터가 동작하여 프린트 헤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잉크 고갈로 인한 인쇄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잉크 배출관에 밀폐 결합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106)는 공기 유입관(111), 잉크 배출관(113), 및 장착틀(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 유입관(111)의 일측에는 제1 연결부(116)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제1 연결부(116)에는 공기 튜브(108)가 연결된다. 공기 유입관(111)의 타측은 프린터(미도시)의 콤프레셔와 연결될 수 있다.
잉크 배출관(113)의 일측에는 제2 연결부(117)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제2 연결부(117)에는 잉크 튜브(110)가 연결된다. 잉크 배출관(113)의 타측은 프린터(미도시)의 프린터 헤드와 연결될 수 있다. 장착틀(115)은 카트리지(106)의 일측에 형성된다. 카트리지(106)의 일측은 장착틀(115)을 통해 카트리지 고정부(112)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배출관(113)의 타측에는 밀폐 결합부(118)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밀폐 결합부(118)에는 관통홀(118-1)이 형성된다. 잉크 배출관(113)의 일측에서 유입된 잉크는 잉크 배출관(113)의 타측에서 밀폐 결합부(118)의 관통홀(118-1)을 통해 프린터(미도시)로 배출된다. 이 경우, 잉크 배출관(113)의 타측에서 잉크가 프린터(미도시)로 공급될 때, 잉크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106)는 잉크를 자체적으로 머금고 있다가 공기가 유입되면 잉크를 프린터(미도시)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 및 잉크가 통과하는 일종의 통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잉크 카트리지와는 그 기능 및 구조가 다르다. 카트리지(106)는 공기 유입관(111) 및 잉크 배출관(113)만 구비하면 되므로, 그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저장부(104)는 저장 용기(121), 뚜껑(123), 및 역류 방지부(125)를 포함한다. 저장 용기(121)는 잉크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뚜껑(123)은 저장 용기(121)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역류 방지부(125)는 잉크 튜브(110)를 통해 유출되는 잉크가 다시 저장 용기(121)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 용기(121)에는 제3 연결부(126)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제3 연결부(126)에는 공기 튜브(108)가 연결된다. 뚜껑(123)에는 제4 연결부(127)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제4 연결부(127)에는 잉크 튜브(110)가 연결된다.
여기서, 잉크 튜브(110)는 저장 용기(121) 내에서 역류 방지부(125)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잉크 튜브(110)는 제1 잉크 튜브(110-1), 제2 잉크 튜브(110-2), 및 제3 잉크 튜브(110-3)를 포함한다. 제1 잉크 튜브(110-1)의 일단은 제4 연결부(127)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잉크 튜브(110-1)의 타단은 잉크 배출관(113)에 연결된다. 제2 잉크 튜브(110-2)의 일단은 제4 연결부(127)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잉크 튜브(110-2)의 타단은 역류 방지부(125)의 상단과 연결된다. 제3 잉크 튜브(110-3)의 일단은 역류 방지부(125)의 하단과 연결되고, 제3 잉크 튜브(110-3)의 타단은 저장 용기(12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는, 제1 잉크 튜브(110-1)가 제4 연결부(127) 및 제2 잉크 튜브(110-2)를 통해 역류 방지부(125)의 상단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4 연결부(127) 및 제2 잉크 튜브(110-2) 없이 제1 잉크 튜브(110-1)가 역류 방지부(125)의 상단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잉크 튜브(110-1)는 뚜껑(123)을 관통하여 역류 방지부(125)의 상단과 연결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서 잉크가 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유입관(111) 및 공기 튜브(108)를 통해 공기가 저장 용기(121) 내로 유입되면, 저장 용기(121) 내의 공기압이 상승하면서 저장 용기(121) 내의 잉크(150)를 압박하게 된다. 그러면, 저장 용기(121) 내의 잉크(150)가 제3 잉크 튜브(110-3)를 통해 빨려 올라가서 역류 방지부(125), 제2 잉크 튜브(110-2), 및 제1 잉크 튜브(110-1)을 통해 유출되고, 잉크 배출관(113)을 통해 프린터로 공급된다. 이때, 역류 방지부(125)는 제2 잉크 튜브(110-2) 및 제1 잉크 튜브(110-1)을 통해 유출되는 잉크가 다시 저장 용기(12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잉크 공급 장치 102 : 저장부 하우징
104 : 저장부 106 : 카트리지
108 : 공기 튜브 110 : 잉크 튜브
110-1 : 제1 잉크 튜브 110-2 : 제2 잉크 튜브
110-3 : 제3 잉크 튜브 111 : 공기 유입관
112 : 카트리지 고정부 113 : 잉크 배출관
115 : 장착틀 116 : 제1 연결부
117 : 제2 연결부 118 : 밀폐 결합부
118-1 : 관통홀 121 : 저장 용기
123 : 뚜껑 125 : 역류 방지부
126 : 제3 연결부 127 : 제4 연결부

Claims (10)

  1.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 용기, 상기 저장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 및 상기 저장 용기 내에서 잉크 튜브에 연결되고, 상기 잉크 튜브를 통해 유출되는 잉크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
    일단이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튜브;
    일단이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 튜브; 및
    일측이 상기 공기 튜브 및 상기 잉크 튜브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프린터에 장착되며, 상기 프린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튜브를 통해 상기 저장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잉크 튜브를 통해 유출된 잉크를 상기 프린터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잉크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일측이 상기 공기 튜브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린터에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공기 튜브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 및
    일측이 상기 잉크 튜브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린터에 연결되어 상기 잉크 튜브를 통해 유출된 잉크를 상기 프린터로 공급하는 잉크 배출관을 포함하는, 잉크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관의 타측은 상기 프린터 내의 콤프레셔와 연결되고,
    상기 잉크 배출관의 타측은 상기 프린터 내의 프린트 헤드와 연결되는, 잉크 공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잉크 배출관의 타측에서 상기 잉크 배출관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밀폐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잉크 공급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튜브는,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저장 용기 내에서 상기 역류 방지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제1 잉크 튜브; 및
    일단이 상기 저장 용기 내에서 상기 역류 방지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2 잉크 튜브를 포함하는, 잉크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공급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카트리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잉크 공급 장치.
  8.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 용기, 상기 저장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 및 상기 저장 용기 내에서 잉크 튜브에 연결되고, 상기 잉크 튜브를 통해 유출되는 잉크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부와 프린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프린터에서 발생된 공기를 상기 저장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저장부에서 유출된 잉크를 상기 프린터로 공급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일측이 공기 튜브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린터에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튜브를 통해 상기 저장부 내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 및
    일측이 잉크 튜브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프린터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잉크 튜브를 통해 유출되는 잉크를 상기 프린터로 공급하는 잉크 배출관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관의 타측은 상기 프린터 내의 콤프레셔와 연결되고,
    상기 잉크 배출관의 타측은 상기 프린터 내의 프린트 헤드와 연결되는, 카트리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잉크 배출관의 타측에서 상기 잉크 배출관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밀폐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KR1020120030733A 2012-03-26 2012-03-26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 KR10118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733A KR101182825B1 (ko) 2012-03-26 2012-03-26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733A KR101182825B1 (ko) 2012-03-26 2012-03-26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825B1 true KR101182825B1 (ko) 2012-09-13

Family

ID=4711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733A KR101182825B1 (ko) 2012-03-26 2012-03-26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789A (ko) * 2015-05-21 2016-12-01 최정원 프린터용 잉크공급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885A (ja) * 2005-08-05 2007-02-2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その制御方法、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用カートリッジ
JP2007307845A (ja) * 2006-05-22 2007-11-29 Brother Ind Ltd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吐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885A (ja) * 2005-08-05 2007-02-2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その制御方法、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用カートリッジ
JP2007307845A (ja) * 2006-05-22 2007-11-29 Brother Ind Ltd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吐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789A (ko) * 2015-05-21 2016-12-01 최정원 프린터용 잉크공급용기
KR101719414B1 (ko) 2015-05-21 2017-03-24 최정원 프린터용 잉크공급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686B2 (en) Attachment, liquid container, and liquid supply apparatus
JP6311261B2 (ja) 液体収容体の再生方法、および液体収容容器の再生方法
JP2006212846A (ja) 液体供給装置
JP2009255539A (ja) 液体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07040A1 (en) Large volume ink supply system
US20140362145A1 (en) Liquid supply
KR101343645B1 (ko)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JP6264109B2 (ja) 液体収容容器
JP6756114B2 (ja) フィルター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JP5776242B2 (ja) キャップ、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6221566B2 (ja) 液体収容容器の再生方法、および液体収容容器
KR101182825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공급 장치
KR100870695B1 (ko) 프린터의 무한 잉크공급장치
JP5304110B2 (ja) 液体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
JP2010513091A (ja) プリンタ用データ保存デバイス実装装置
JP6187357B2 (ja) 液体吐出装置、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吐出システム
JP2013144413A (ja) 液体供給装置、液体消費装置、及び液体供給システム
JP200628150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1337773B1 (ko) 잉크공급장치
US20160101628A1 (en) Attachment, liquid container, and liquid supply apparatus
US9840084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US11020981B2 (en) Liquid ejection device
CN220298129U (zh) 一种打印设备
JP6287325B2 (ja) 液体供給ユニット
JP2020128068A (ja) 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