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376B1 -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376B1
KR101182376B1 KR1020110039206A KR20110039206A KR101182376B1 KR 101182376 B1 KR101182376 B1 KR 101182376B1 KR 1020110039206 A KR1020110039206 A KR 1020110039206A KR 20110039206 A KR20110039206 A KR 20110039206A KR 101182376 B1 KR101182376 B1 KR 101182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urrent collector
core
power feeding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즙
송보윤
신재규
손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39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376B1/ko
Priority to EP12777602.9A priority patent/EP2704292B1/en
Priority to AU2012248971A priority patent/AU2012248971B2/en
Priority to US14/113,724 priority patent/US9656562B2/en
Priority to PCT/KR2012/003181 priority patent/WO2012148164A1/ko
Priority to JP2014501020A priority patent/JP2014515247A/ja
Priority to CN201280013289.XA priority patent/CN10354823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39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with position-responsive activation of primary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7/00Power lines or rai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of special types, e.g. suspension tramway, ropeway, underground railway
    • B60M7/003Power lines or rai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of special types, e.g. suspension tramway, ropeway, underground railway for vehicles using stored power (e.g.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급전주요부와 상기 급전주요부를 상기 폭 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상기 폭 방향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급전돌출부를 갖는 형상을 하는 급전코어; 및 상기 급전돌출부에 인접하여 상기 급전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급전주요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권취된 한 쌍의 급전선을 포함하는 급전장치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집전주요부와 상기 집전주요부를 상기 폭 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상기 폭 방향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집전돌출부를 갖고 상기 집전돌출부에는 각각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집전코어; 및 상기 집전코어의 좌측 집전돌출부 및 우측 집전돌출부에 각각 권취되는 집전선을 포함하는 집전장치를 포함하는 전력전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Magnetic Inductive Apparatus for Power Transmission, Power Collection and Power Transmission Considering Horizontal Devi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전기차 등의 이동체가 도로를 주행하면서 충전하여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도로에 매설된 급전선로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거리 벗어나더라도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효과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전기자동차가 도로에 매설된 급전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전달받으며 도로 위를 주행중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에서 자동차 및 도로를 제외하고 전력전달에 필요한 급전코어, 급전선로 및 집전장치만 단순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전기자동차(100)는 도로를 주행하는 중에 급전코어(112) 위에 위치한 급전선로(114)에 고주파의 전력이 공급되면 급전코어(112)와 급전선로(114)를 포함하는 급전장치(110)와 집전장치(130)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기유도의 원리에 의해 주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는다.
도 1c는 도 1b에서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X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에서 자기장의 모습을 중점적으로 묘사하기 위하여 도면번호의 자세한 도시는 생략하고 도 1c의 설명시에 나타나는 도면번호로는 도 1b를 참조한다.
도 1c와 같이 급전선로(114)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이 반원의 화살표 방향으로 자속이 발생하여 집전선(134)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킨다.
도 2는 도 1c에서 급전코어(112), 급전선로(114) 및 집전장치(130)의 위치관계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의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전기차(100)의 집전장치(130)가 최대의 전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집전장치(130)가 도로에 매설된 급전코어(112) 및 급전선로(114)의 중심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전기차(100)가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즉, 집전장치(130)의 위치가 정위치인 경우)의 급전코어(112), 급전선로(114) 및 집전장치(130)의 배치 형상과 발생하는 자기장을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집전장치(130)가 급전코어(112) 및 급전선로(114)의 중심부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거리 편재되어 위치하는 경우(즉, 집전장치(130)가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되는 경우)의 급전코어(112), 급전선로(114) 및 집전장치(130)의 배치 형상과 발생하는 자기장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와 같이 전기차(100)가 주행하는 중에 집전장치(110)가 급전장치(110)의 중심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집전코어(132)에 권취된 집전선(134)에 유도기전력의 출력이 정상적인 크기로 발생될 수 있다. 도 2의 (A)에서 반원으로 도시한 화살표는 집전장치(130)의 유도기전력에 기여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2의 (B)는 집전장치(110)가 미스얼라인먼트되는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 발생되도록 전기차(100)가 주행하는 경우에는 유도기전력에 기여하지 않는 자속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유도기전력에 기여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자속의 양이 많아져서 급전장치(110)로부터 집전장치(130)로의 전력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차 등의 이동체가 도로를 주행하면서 충전하여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전기차에 장착된 집전장치가 도로에 매설된 급전선로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거리 벗어나더라도 효과적으로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급전코어에 절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전력전달 효율을 크게 낮추지 않으면서 코어의 사용량은 크게 줄이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전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급전주요부와, 상기 급전주요부를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폭 방향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급전돌출부를 가져 U자 형상을 하는 급전코어; 및 상기 급전주요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권취된 한 쌍의 급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급전선은, 상기 급전돌출부에 인접하여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급전선은, 상기 급전돌출부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폭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복수개의 절개부에서 각 절개부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급전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급전주요부와, 상기 급전주요부를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폭 방향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급전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급전돌출부와 동일한 방향의 중앙돌출부를 가져 E자 형상을 하는 급전코어; 및 상기 급전주요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권취된 한 쌍의 급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급전선은, 상기 급전돌출부에 인접하여 권취되거나 또는 상기 급전돌출부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폭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절개부를 가져 상기 급전코어를 복수개의 코어조각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절개부의 두께는 상기 코어조각의 두께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급전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급전주요부와, 상기 급전주요부를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폭 방향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급전돌출부를 가져 U자 형상을 하는 급전코어; 및 상기 급전주요부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급전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권취된 급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폭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절개부를 가져 상기 급전코어를 복수개의 코어조각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급전코어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절개부의 두께는 상기 코어조각의 두께와 대략 비슷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복수개의 절개부에서 절개부 사이의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집전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집전주요부와, 상기 집전주요부를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폭 방향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돌출된 집전돌출부를 가져 ∩ 형상을 하는 집전코어; 및 상기 집전코어에 권취되는 집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집전선은, 상기 좌측 단부 및 상기 우측 단부에 돌출된 집전돌출부에 각각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집전코어는, 상기 좌측 단부 및 상기 우측 단부에 돌출된 집전돌출부의 끝에 각각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집전장치는, 차량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급전장치; 및 제 14 내지 제 17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집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급전돌출부와 상기 집전돌출부는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전달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차 등의 이동체가 도로를 주행하면서 충전하여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도로에 매설된 급전선로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거리 벗어나더라도 효과적으로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전코어에 절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전력전달 효율을 크게 낮추지 않으면서 코어의 사용량은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전기자동차가 도로에 매설된 급전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전달받으며 도로 위를 주행중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자동차 및 도로를 제외하고 전력전달에 필요한 급전코어, 급전선로 및 집전장치만 단순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도 1b에서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X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c에서 급전코어(112), 급전선로(114) 및 집전장치(130)의 위치관계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의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전달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급전코어를 절개부 없이 U자 형상의 일체형으로 형성한 경우 및 절개부 없이 E자 형상의 일체형으로 형성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a의 도면에서 A-A'을 따라 절단하여 X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a 및 도 4의 전력전달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전달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도면에서 A-A'을 따라 절단하여 X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전력전달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전달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a의 도면에서 A-A'을 따라 절단하여 X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3b는 급전코어를 절개부 없이 U자 형상의 일체형으로 형성한 경우 및 절개부 없이 E자 형상의 일체형으로 형성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a, 도 3b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전달장치를 설명한다.
도 3a 및 도 4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전달장치는 급전장치(300) 및 집전장치(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300)는 급전코어(310), 급전선(320) 및 입력전원(3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전장치(400)는 집전코어(410), 집전선(420), 집전회로(430) 및 배터리(4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급전코어(3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급전주요부(312)와, 급전주요부(312)를 급전코어(3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급전코어(310)의 폭 방향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돌출된 급전돌출부(314, 315)를 갖는다. 급전돌출부(314, 315)는 급전코어(310)의 폭 방향 및 급전코어(310)의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여 가져 급전코어(310)의 형상이 U자 형상이 된다. 급전코어(310)에 급전돌출부(314, 315)를 구비함으로써 집전장치(400)로 자기장이 전달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급전코어(310)는 급전주요부(312)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급전돌출부(314, 315)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중앙돌출부(316)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급전코어(310)의 형상이 E자를 옆으로 뉘인 형상이 되도록 하여 U자형에 비해 집전장치(400)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전체 양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한 쌍의 급전선(320)은 급전주요부(312)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권취된다.
좌측 급전선(320a)은 좌측 급전돌출부(314)에 인접하여 급전코어(310)의 길이 방향으로 급전주요부(312)의 좌측 단부에 권취되고 우측 급전선(320b)은 우측 급전돌출부(315)에 인접하여 급전코어(310)의 길이 방향으로 급전주요부(312)의 우측 단부에 각각 권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한 쌍의 급전선(320a, 32b)은 좌우 급전돌출부(314, 315)에 각각 권취될 수도 있다.
급전코어(310)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3a과 같이 절개부(340)를 갖는 형상을 할 수도 있다.
급전코어(310)는 급전코어(310)의 폭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절개부(340)를 가져서 급전코어(310)를 E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을 하는 복수개의 코어조각으로 나누는 형상을 할 수도 있다.
이때, 도 3a과 같이 인접 절개부(340)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절개부(340)의 두께가 E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의 코어조각의 두께보다 크거나, 비슷하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도 3a과 같이 급전코어(310)에 절개부(340)를 형성함으로써, 도 3b와 같이 일체형으로 급전코어를 형성하는 경우의 용량에 비해 1/2의 용량만으로 급전코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3a의 경우에 비해 집전장치(400)에 유도되는 출력의 크기에 10% 내외의 감소현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급전코어(310)에 사용되는 페라이트 코어의 용량은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어서 페라이트 용량을 절약하는 것에 비해 집전장치(400)에 유도되는 출력의 감소량이 크지 않아서 경제성이 크다.
한편, 집전코어(4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집전주요부(412)와, 집전주요부(412)를 집전코어(410)의 폭 방향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집전돌출부(414, 415)를 구비하고, 집전돌출부(414, 415)의 돌출방향은 집전코어(410)의 폭 방향 및 집전코어(410)의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여 집전주요부(412)를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 형상을 하도록 한다. 이때, 집전돌출부(414, 415)는 급전돌출부(314, 315)와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집전돌출부(414, 415)의 단부에는 각각 집전코어(4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416, 417)를 구비할 수 있다. 집전돌출부(414, 415)는 집전돌출부(414, 415)의 단부에 연장부(416, 417)를 구비함으로써 자기경로 상의 유효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자기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연장부의 형상은 도면번호 416, 417과 같이 집전주요부(412)를 중심으로 집전돌출부(414, 415)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는 형상이 될 수도 있고, 집전돌출부(414, 415)로부터 집전코어(410)의 폭 방향으로 집전주요부(412)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즉, 집전돌출부(414, 415)를 기준으로 도면번호 416, 417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집전선(420)은 집전코어(410)의 좌측 집전돌출부(414) 및 우측 집전돌출부(415)에 각각 권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집전주요부(412)에 권취될 수도 있다.
도 3a의 급전선(320)에 입력전원(330)이 인가되면 급전선(320)에서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자기장에 유도되어 집전선(420)에 유도기전력이 발생된다. 집전코어(410) 좌우의 집전돌출부(414, 415)에 권취되어 있는 집전선(420a, 420b)은 각각 병렬로 집전회로(430)에 연결되어 원하는 레벨의 전압을 생성한 후 연결된 배터리(440)에 충전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집전선(420a, 420b)이 직렬로 집전회로(430)에 연결되어 배터리(440)를 충전할 수도 있다. 참고로 집전회로(430)는 정류기 및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a 및 도 4의 전력전달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자기장의 모습을 중점적으로 묘사하기 위하여 도면번호의 도시는 생략하고 도 5의 설명시의 도면번호로는 도 4를 참조한다.
도 5의 (A)는 집전장치(400)가 최대의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집전장치(400)의 위치가 정위치인 경우에 발생하는 자기장을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B)는 집전장치(400)가 미스얼라인먼트되는 경우 발생하는 자기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와 같이 집전장치(400)의 위치가 정위치인 경우에는 집전코어(410)에 권취된 집전선(420)에 유도기전력의 출력이 정상적인 크기로 발생될 수 있다. 도 5의 (A)에서 반원으로 도시한 화살표는 집전장치(400)의 유도기전력에 기여하는 자속의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B)와 같이 집전장치(400)가 미스얼라인먼트되는 경우에는 유도기전력에 기여하지 않는 자속의 양이 많아지나 유도기전력에 기여하는 자속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자속의 양은 많지 않다.
한편, 도 2와 같은 형상의 전력전달장치에서, 급전코어(110)의 폭이 72 cm, 집전장치(130)의 폭이 110 cm이고 도 2의 (A)와 같이 집전장치(130)위 위치가 정위치인 조건에서 집전선(134)에 집전되는 출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집전선에 발생한 전압의 합이 1651 V인 경우, 도 2의 (B)와 같이 집전장치(130)가 미스얼라인먼트되는 거리가 30 cm인 경우에 집전선(134)에 발생하는 전압의 합은 148 V가 되어 발생하는 전압이 많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집전장치(130)에 유도되는 전압이 감소하면 유도되는 전류도 같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집전장치(130)에 유도되는 출력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도 5와 같은 형상의 전력전달장치에서, 도 2의 경우와 동일한 조건으로 급전코어(310)의 폭이 72 cm, 집전장치(400)의 폭이 110 cm이고 도 5의 (A)와 같이 집전장치(400)의 위치가 정위치인 조건에서 집전되는 전압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집전선(420)에 발생한 전압의 합이 1726 V인 경우, 도 2의 (B)의 경우와 동일하게 집전장치(400)가 미스얼라인먼트되는 거리가 30 cm인 경우 집전선(420)에 발생하는 전압의 합은 1559 V가 되어 발생 전압이 감소한 양이 크지 않아 도 2의 (B)의 경우보다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전달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도면에서 A-A'을 따라 절단하여 X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전달장치는 급전장치(600) 및 집전장치(700)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서 급전코어(610)의 형상은 전술한 도 3a 및 도 4의 급전코어(300)의 형상과 유사하므로 급전코어(6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급전선(620)은 급전주요부(612)의 폭 방향 중심부에 급전코어(610)의 길이 방향으로 권취된다.
도 6의 급전선(620)에 입력전원(630)이 인가되면 급전선(620)에서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자기장에 유도되어 집전선(720)에 유도기전력이 발생된다. 집전코어(710) 좌우의 집전돌출부(714, 715)에 각각 권취되어 있는 집전선(720a, 720b)은 각각 병렬로 집전회로(730)에 연결되어 원하는 레벨의 전압을 생성한 후 연결된 배터리(740)에 충전할 수 있으며, 두개의 집전선(720a, 720b)이 직렬로 집전회로(730)에 연결되어 배터리(740)를 충전할 수도 있다. 급전장치(600)의 형상 및 기능은 전술한 도 3a 및 도 4의 집전장치(400)의 형상 및 기능과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전력전달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자기장의 모습을 중점적으로 묘사하기 위하여 도면번호의 도시는 생략하고 도 8의 설명시의 도면번호로는 도 7을 참조한다.
도 8의 (A)는 집전장치(700)가 최대의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집전장치(700)의 폭 방향 중앙부가 급전장치의(600)의 폭 방향 중앙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즉, 집전장치(700)의 위치가 정위치인 경우)에 발생하는 자기장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B)는 집전장치(700)가 미스얼라인먼트되는 경우 발생하는 자기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와 같이 집전장치(700)의 위치가 정위치인 경우에는 집전코어(710)에 권취된 집전선(720)에 유도기전력의 출력이 정상적인 크기로 발생될 수 있다. 도 8의 (A)에서 반원으로 도시한 화살표는 집전장치(700)의 유도기전력에 기여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8의 (B)와 같이 집전장치(700)가 일정거리 미스얼라인먼트되는 경우에는 집전장치(700)의 위치가 정위치인 경우에 비해 유도기전력에 기여하지 않는 자속의 양은 많아지나 유도기전력에 기여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자속의 양이 적어서 집전장치(130)의 전압 감소폭이 도 2에서 집전장치(130)가 일정거리 미스얼라인먼트되는 경우보다는 적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은 형상의 전력전달장치에서 도 5의 경우와 동일한 조건으로 급전코어(610)의 폭이 72 cm, 집전장치(700)의 폭이 110 cm이고 도 8의 (A)와 같이 집전장치(700)의 위치가 정위치인 조건에서 집전장치(700)에 2782 V의 전압이 발생한 경우, 도 8의 (B)와 같이 집전장치(700)가 미스얼라인먼트되는 거리가 30 cm인 경우에 집전장치(700)의 전압은 1870 V가 되어 발생 전압이 감소한 비율이 크지 않아 도 2의 (B)의 경우보다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도 2, 도 5, 도 8에서 집전장치(700)의 위치가 정위치인 경우와 미스얼라인먼트되는 거리가 30 cm인 경우의 유도기전력 출력전압을 비교하면 표 1과 같다.
정위치에서의 출력전압 30 cm 미스얼라인먼트시의 출력전압 정위치 대비 미스얼라인먼트시의 출력전압 유지비율
도 2 1651 V 148 V 9.0 %
도 5 2063 V 1559 V 75.9 %
도 8 2782 V 1870 V 67.2 %
표 1에서와 같이, 정위치 대비 30 cm 미스얼라인먼트되는 경우 출력전압 유지비율이 도 2의 경우에서는 9.0 %에 불과해 효과적으로 집전장치에 유도기전력을 발생하기 어려우나, 도 5 및 도 8의 경우에는 각각 75.9 %, 67.2 %를 나타내고 있어 집전장치가 일정거리 미스얼라인먼트되더라도 집전장치에 상당한 크기의 유도기전력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차 등의 이동체가 도로를 주행하면서 충전하여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도로에 매설된 급전선로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거리 벗어나더라도 효과적으로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8)

  1. 급전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급전주요부와, 상기 급전주요부를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폭 방향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급전돌출부를 가져 U자 형상을 하는 급전코어; 및
    상기 급전주요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권취된 한 쌍의 급전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은,
    상기 급전돌출부에 인접하여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은,
    상기 급전돌출부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폭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절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복수개의 절개부에서 각 절개부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6. 급전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급전주요부와, 상기 급전주요부를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폭 방향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급전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급전돌출부와 동일한 방향의 중앙돌출부를 가져 E자 형상을 하는 급전코어; 및
    상기 급전주요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권취된 한 쌍의 급전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은,
    상기 급전돌출부에 인접하여 권취되거나 또는 상기 급전돌출부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폭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절개부를 가져 상기 급전코어를 복수개의 코어조각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절개부의 두께는 상기 코어조각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0. 급전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급전주요부와, 상기 급전주요부를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폭 방향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급전돌출부를 가져 U자 형상을 하는 급전코어; 및
    상기 급전주요부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급전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권취된 급전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폭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절개부를 가져 상기 급전코어를 복수개의 코어조각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어는,
    상기 복수개의 절개부에서 절개부 사이의 거리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장치.
  14. 집전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집전주요부와, 상기 집전주요부를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폭 방향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돌출된 집전돌출부를 가져 ∩ 형상을 하는 집전코어; 및
    상기 집전코어에 권취되는 집전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선은,
    상기 좌측 단부 및 상기 우측 단부에 돌출된 집전돌출부에 각각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코어는,
    상기 좌측 단부 및 상기 우측 단부에 돌출된 집전돌출부의 끝에 각각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장치는, 차량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
  18. 전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급전장치; 및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집전주요부와, 상기 집전주요부를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고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폭 방향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돌출된 집전돌출부를 가져 ∩ 형상을 하는 집전코어; 및 상기 집전코어에 권취되는 집전선을 구비하는 집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급전돌출부와 상기 집전돌출부는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전달장치.
KR1020110039206A 2011-04-26 2011-04-26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 KR101182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206A KR101182376B1 (ko) 2011-04-26 2011-04-26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
EP12777602.9A EP2704292B1 (en) 2011-04-26 2012-04-25 Feed apparatus, current collector, and power transfer apparatus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considering lateral deviation
AU2012248971A AU2012248971B2 (en) 2011-04-26 2012-04-25 Feed apparatus, current collector, and power transfer apparatus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considering lateral deviation
US14/113,724 US9656562B2 (en) 2011-04-26 2012-04-25 Feed apparatus, current collector, and power transfer apparatus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considering lateral deviation
PCT/KR2012/003181 WO2012148164A1 (ko) 2011-04-26 2012-04-25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
JP2014501020A JP2014515247A (ja) 2011-04-26 2012-04-25 左右偏差を考慮した磁気誘導式給電装置、集電装置、及び電力伝達装置
CN201280013289.XA CN103548236B (zh) 2011-04-26 2012-04-25 考虑到横向偏差的磁感应式供电装置、集电装置及电力输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206A KR101182376B1 (ko) 2011-04-26 2011-04-26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376B1 true KR101182376B1 (ko) 2012-09-12

Family

ID=4707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206A KR101182376B1 (ko) 2011-04-26 2011-04-26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56562B2 (ko)
EP (1) EP2704292B1 (ko)
JP (1) JP2014515247A (ko)
KR (1) KR101182376B1 (ko)
CN (1) CN103548236B (ko)
AU (1) AU2012248971B2 (ko)
WO (1) WO201214816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691B1 (ko) * 2012-11-23 2014-04-21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차량용 슬림 픽업
KR101438394B1 (ko) * 2012-11-19 2014-09-17 한국과학기술원 차량 방향에 강인한 급전선로 및 집전장치
KR20150089350A (ko) * 2014-01-27 2015-08-05 한국과학기술원 차폐체가 구비된 무선 전력공급장치
KR20160022437A (ko) * 2014-08-19 2016-03-02 한국과학기술원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경량화를 위한 다수개의 코어 슬릿이 형성된 집전장치
KR20190069698A (ko) 2017-12-12 2019-06-20 한국과학기술원 주행 중인 차량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편차에 강인한 급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2604B2 (en) * 2014-08-04 2016-1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having a coupler assembly comprising moveable permeable panels
KR101589609B1 (ko) * 2014-08-21 2016-01-29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전력공급장치
WO2017116333A1 (en) * 2015-12-30 2017-07-06 Gebze Teknik Universitesi A charging system for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and an electric vehicle operating suitably with this system
EP3188198A1 (de) * 2015-12-31 2017-07-05 Schneeberger Holding AG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in ein bewegtes system einer verschiebeeinrichtung
CN110290970B (zh) * 2017-02-14 2022-12-27 沃尔沃卡车集团 用于确定车辆相对于电气道路系统的位移的感测设备
CN112977102A (zh) * 2021-04-19 2021-06-18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动汽车动态谐振式磁耦合无线充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2504A (en) * 1978-04-25 1980-07-14 Bolger John George Vehicle used on road in combination with electric power source for generating magnetic field
SU889498A1 (ru) * 1980-03-27 1981-12-15 Днепропетров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Горный Институт Им. Артема Энергоприемник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электровоза повышенной частоты
US4742283A (en) * 1986-11-28 1988-05-03 Inductran Corporation Guidance system for inductively coupled electric vehicles
US4836344A (en) * 1987-05-08 1989-06-06 Inductran Corporation Roadway power and control system for inductively coupled transportation system
JPH0837121A (ja) * 1994-07-26 1996-02-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給電装置
JPH0965502A (ja) * 1995-08-23 1997-03-07 Sumitomo Electric Ind Ltd 誘導式給電・集電装置
JPH09285042A (ja) * 1996-04-11 1997-10-31 Sony Corp 無接点電源装置
JPH1080076A (ja) * 1996-09-05 1998-03-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移動体への非接触式給電装置及びピックアップコイルユニット
JP2000116035A (ja) * 1998-09-29 2000-04-21 Yamaha Motor Co Ltd 輸送設備
US6397990B1 (en) * 1998-10-20 2002-06-04 Pri Automation, Inc. Materials transport system having inductive power transfer
JP2002170725A (ja) * 2000-11-30 2002-06-14 Toko Inc 電源装置
JP2003143711A (ja) 2001-08-21 2003-05-16 Kazumichi Fujioka 給電装置
KR20050106313A (ko) 2004-05-04 2005-1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접촉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JP2007149845A (ja) * 2005-11-25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磁性コア
US7825544B2 (en) * 2005-12-02 2010-11-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upling system
NZ546955A (en) * 2006-05-02 2008-09-26 Auckland Uniservices Ltd Pick-up apparatus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JP4356844B2 (ja) * 2006-10-05 2009-11-04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JP4209437B2 (ja) 2006-11-10 2009-01-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移動体の非接触給電装置及びその保護装置
JP2010022183A (ja) * 2008-02-08 2010-01-28 Suri-Ai:Kk 電気自動車及びそれに好適な車両用誘導送電装置
JP5467569B2 (ja) * 2009-01-21 2014-04-09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非接触給電装置
KR100944113B1 (ko) 2009-02-27 2010-02-24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용 전원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1257A (ko) * 2009-09-19 2011-03-25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용 급전장치 및 집전장치
KR101214638B1 (ko) * 2009-10-16 2012-12-21 한국과학기술원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 급전레일 모듈 및 이를 적용한 도로, 그리고 도로 시공방법
US20130092491A1 (en) * 2009-10-16 2013-04-18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wer supply apparatus for on-line electric vehicle, method for forming same and magnetic field cancelation apparatu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94B1 (ko) * 2012-11-19 2014-09-17 한국과학기술원 차량 방향에 강인한 급전선로 및 집전장치
KR101384691B1 (ko) * 2012-11-23 2014-04-21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차량용 슬림 픽업
KR20150089350A (ko) * 2014-01-27 2015-08-05 한국과학기술원 차폐체가 구비된 무선 전력공급장치
KR102238917B1 (ko) * 2014-01-27 2021-04-13 한국과학기술원 차폐체가 구비된 무선 전력공급장치
KR20160022437A (ko) * 2014-08-19 2016-03-02 한국과학기술원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경량화를 위한 다수개의 코어 슬릿이 형성된 집전장치
KR101657570B1 (ko) 2014-08-19 2016-09-20 한국과학기술원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경량화를 위한 다수개의 코어 슬릿이 형성된 집전장치
KR20190069698A (ko) 2017-12-12 2019-06-20 한국과학기술원 주행 중인 차량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편차에 강인한 급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48236B (zh) 2016-04-06
WO2012148164A1 (ko) 2012-11-01
US20140217830A1 (en) 2014-08-07
AU2012248971B2 (en) 2015-11-26
JP2014515247A (ja) 2014-06-26
EP2704292B1 (en) 2017-04-05
US9656562B2 (en) 2017-05-23
AU2012248971A1 (en) 2013-08-22
CN103548236A (zh) 2014-01-29
EP2704292A4 (en) 2015-06-24
EP2704292A1 (en)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376B1 (ko)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
EP2465179B1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US9525302B2 (en) Noncontact power feeding apparatus and noncontact power feeding method
EP2489107B1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JP2020004990A (ja) 誘導電力伝達装置
CN106887902B (zh) 电动车无线供电的电磁耦合机构
CN104885169B (zh) 电抗器、转换器及电力转换装置
US11348724B2 (en) Primary-sided and a secondary-sided arrangement of winding structures, a system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and a method for inductively supplying power to a vehicle
CN104953719B (zh) 线圈单元以及无线电力传输装置
US20120326523A1 (en) Wireless power feed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JP6164853B2 (ja) 走行中非接触給電システム
WO1996020526A1 (de) Anordnung zur berührungslosen induktiven übertragung elektrischer leistung
DE102015121960A1 (de) Induktive drahtlose Energieübertragungssysteme
CN108028549A (zh) 非接触供电装置
US10611263B2 (en)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CN107276240B (zh) 送电装置
GB2539885A (en) A primary-sided and a secondary-sided arrangement of winding structures, a system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and a method for inductively supplying power
US11798736B2 (en) Conductor arrangement, system and methods for an inductive power transfer
KR101307805B1 (ko) 대용량 전력 공급을 위한 급전장치
KR101307807B1 (ko)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
JP6424710B2 (ja) 非接触電力伝送用コイルおよ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KR20150140435A (ko) 60 kHz 공진주파수 사용 집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