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998B1 -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998B1
KR101181998B1 KR1020090112480A KR20090112480A KR101181998B1 KR 101181998 B1 KR101181998 B1 KR 101181998B1 KR 1020090112480 A KR1020090112480 A KR 1020090112480A KR 20090112480 A KR20090112480 A KR 20090112480A KR 101181998 B1 KR101181998 B1 KR 101181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eaf extract
present
composition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869A (ko
Inventor
박수영
함영민
윤원종
김길남
송관필
김성철
전승종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9011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9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참다래 잎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지고,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 및 TRP-1의 발현 저해 활성을 가지며, 또한 티로시나제, TRP-1 등의 발현의 발현을 촉진하는 전사인자인 MITF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phospho-ERK 1/2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진다.
참다래, 잎, 추출물, 피부 미백

Description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Skin Whitening Composition Using a Extract of Kiwi Leaf}
본 발명은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백이 멜라닌 색소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멜라닌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 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에 의한 피부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의 손상을 보호해 주는 유용한 역할을 하지만,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피부 노화를 가져오며 기미나 주근깨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한다.
멜라닌 합성은 멜라노좀 내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제 및 티로시나제 관련 단백질(tyrosinase related protein)의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티로시나제(tyrosinase)에 의하여 티로신(tyrosine)이 산화되어 도파(DOPA, 3,4-dihydroxyphenylalanine)로, 이어 도파옥시다제(dopaoxidase)의 작용으로 도파가 다시 산화되어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티로시나제 관련 단백질인 TRP-1(5,6-dihydroxy indole-2-carboxylic acid oxidase)과 TRP-2(dopachrome tautomerase)의 작용에 의하여 멜라닌을 생성한다.
티로시나제, TRP-1 및 TRP-2는 전사인자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에 의해 발현이 촉진되는데, MITF는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이하 "ERK")가 활성화되면 그 발현이 억제된다(DS Kim, et al., J Cell Sci. 2003;116:1699-706).
따라서 티로시나제, TRP-1, TRP-2 및/또는 MITF의 발현이 저해되거나, ERK의 발현이 촉진될 경우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국 특허 제0864174호(유효성분은 인삼, 당귀, 감초 등의 복합생약추출물임), 한국 특허 제0752757호(유효성분은 2-페닐아미노-1,3-티아졸린임) 등이 미백 효과로서 티로시나제, TRP-1, TRP-2 및/또는 MITF의 발현 저해 활성과 ERK의 발현 촉진 활성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도 티로시나제, TRP-1의 발현 저해 활성 등을 가지는 참다래 잎 추출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미백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는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참다래 잎, 과피, 과육 등을 80% 에탄올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멜라노마 세포인 B16F10에 처리한 결과, 특히 참다래 잎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과 함께, 티로시나제 및 TRP-1의 발현을 저해하고, phospho-ERK 1/2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hospho-p38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phospho-p38는 UV, NO 등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생성되는 단백질로서 전사인자 Usf-1를 통하여 티로시나아제 발현을 유발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Galibert, M. D. et al., 2001. EMBO. 20, 5022~5031).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조성물은 상기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조성물은 참다래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다래"란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다래나무과의 낙엽 덩굴식물(Actinidia chinensis)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한 라골드(제주 소재 농촌진흥청난지농업연구소가 개발한 신품종), 제시골드(제주 소재 농촌진흥청난지농업연구소가 개발한 신품종, [난지농업시험연구사업연보,2006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참조), 제시스위트(제주 소재 농촌진흥청난지농업연구소가 개발한 신품종, [학술지 난지농업연구 제2권 제1호 통권 제5호 (2004. 봄) pp.35-37] 참조) 또는 화북94(1994년도에 첫 결실된 것을 제주농업시험장에서 발견하여 98년도에 화북 94로 명명한 참다래 신품종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대상으로서 참다래 잎을 사용하고 추출 용매로서 물, 증류수,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을 얻을 때 열수, 가온, 냉침, 초음파 방사, 교반, 이들을 혼합한 방법 등의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로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추출 용매를 사용할 경우 어떠한 추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활성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한 바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피부 미백"은 멜라닌의 생성이 저해됨에 따른 결과로서 이해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멜라닌의 생성에 의한 증상, 예컨대 기미, 주근깨, 피부노화 등의 예방, 발현 지연 또는 치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참다래 잎 추출물 이외에, 피부 미백 효과를 상승 또는 보강시킬 수 있도록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고 이미 알려진 여타의 공지된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앞으로 밝혀질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타의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로서는 멀캅토숙신산, 멀캅토덱스트란, 테프레논, 디하이드록시-이소퀴놀린, 인도메타신, 3-하이드록시마뉼, 비타민 K, 티아졸리돈, 키누레닌, 레몬 추출물, 오이 추출물, 오디 추출물, 감초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아세로라 체리 추출물, 은행 추출물, 카롭(carob) 추출물, 제라늄(geranium) 추출물, 허브 추출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 예시된 바의 화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은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조성물에 참다래 잎 추출물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참다래 잎 추출물은 용도, 제형(화장품, 비누, 연고 등) 등에 따라 그것의 인체에의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비하여 0.05 중량 % 내지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또는 분말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화장품 조성물은 참다래 잎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화장품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품의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형태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의 성분들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미백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그 약리 효과는 멜라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질병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 효과로서 파악될 수 있으며, 상기 피부 미백은 상기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의 결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멜라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질병으로서는 기미, 주근깨, 피부 노화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물질인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외용제 제형으로 피부에 국소적으로 직접 투여될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참다래 잎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연화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 이온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비누 기재나 첨가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비누 기재는 일반적으로 비누 조성물의 전체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99.9 중량 % 내지 5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제 조성물은 화장품, 비누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참다래 추출물의 제조
추출 대상으로 사용한 참다래 품종은 참다래 한라골드[A. chinensis(Golden Yellow) × A. deliciosa(Songongu)], 제시골드[A. chinensis(Golden Yellow) × A. chinensis(Songongu)], 제시스위트[A. chinensis(apple) × A. deliciosa(Tomuri)] 그리고 화북94이다.
추출물은 상기 각 참다래의 과육, 과피, 과실 전체, 잎을 80% 에탄올(EtOH) 이용하여(80% 에탄올에 7~10일간 동안 침지시킴) 침출시킨 후, 와트만종이여과지(Whatman No. 2)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감압 농축하고 분말화하여 총 16개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분말 시료는 실험하기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실험예> 미백 활성 실험-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실험
<실험예 1> 세포 배양
B16/F10 세포는 쥐의 melanoma 세포주로 Korean Cell Line Bank(KCLB)로부터 분양 받아 100 units/㎖의 penicillin-streptomycin(GIBCO, Grand Island, NY, USA)과 10%의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Grand Island, NY, USA)이 함유된 RPMI 1640 또는 DMEM 배지(GIBCO, Grand Island, NY, USA)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계대 배양은 3~4일에 한 번씩 시행하였다.
<실험예 2> 세포 독성 평가
참다래 추출물의 B16/F10 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율 측정은 MTT assay법(Carmichael 등, 1987)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각 세포(2.0~5.0×104/㎖)를 96 well plate의 각 well에 넣고, 추출물 시료(100㎍/㎖)를 첨가하고 이를 3일간 배양한 다음, 3-(4,5-dimethylthiazo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Sigma, St. Louis, MO, USA) 100㎍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Plate를 1,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조심스럽게 배지를 제거한 다음, dimethylsulfoxide(DMSO; Sigma, St. Louis, MO, USA) 150㎕를 가하여 MTT의 환원에 의해 생성된 formazan 침전물을 용해시킨 후 microplate reader(Bio-TEK instrumenis. Inc., Winooski Vermont, WI, USA)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참다래 추출물은 모두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1: 과실 추출물, 2: 과육 추출물, 3: 과피 추출물).
<실험예 3>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평가
멜라닌 정량 Yasunobu 등(Yasunobu 등, 2003) 방법을 사용하였다. 6 well plate에 3×105 cell/well로 세포를 분주하여 배양한 후 추출물 시료(200㎍/㎖)를 멜라닌 형성 자극제인α-MSH(50nM)와 함께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37℃,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수집하여 세포수를 측정하고, 1,200rpm에서 5min간 원심 분리하여 침전한 후, 1㎖ homogenization buffer(50mM Sodium phosphate pH 6.5, 1% Triton X-100, 2mM PMSF)로 용해시켰다. 여기서 얻은 pellet에 1N NaOH(in 10% DMSO) 200㎕를 첨가하고 vortex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표준품으로 얻은 표준 검량선을 이용하여 각 well에서 생성된 멜라닌 양을 산출하였다. 멜라닌은 단위세포(1×104 cells)에서의 멜라닌 생성량을 비교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Melasolv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추출 대상으로 사용한 참다래의 종류를 불문하고 잎 추출물이 효과가 높았으며, 특히 한라골드 잎 추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높았다. 도 2의 결과를 상기 도 1의 결과와 종합할 때, 이러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는 세포 독성에 의한 효과는 아니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되, 잎 추출물을 농도를 높여가며(50, 100, 200㎍/㎖)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는데(A: 화북94 잎 추출물, B: 제시스위트 잎 추출물, C: 한라골드 잎 추출물, D: 제시골드 잎 추출물), 도 3은 잎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도 3에서 양성 대조군인 Melasolv는 200㎍/㎖ 농도로 처리되었을 때의 결과이다.
<실험예 4>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양상 분석
<실험예 3>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한라골드 잎 추출물을 대상으로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B16/F10 세포(5×104/㎖)에 한라골드 잎 추출물을 농도별(25, 50, 100, 200㎍/㎖)로 멜라닌 형성 자극제인α-MSH(50nM)와 함께 처리한 다음 72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를 수집하여 2~3회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 한 후 1㎖의 lysis buffer을 첨가하여 30분간 lysis 시킨 후 12,000rpm에서 20분간 원심하여 세포막 성분 등을 제거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SA (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화하여 Bio-Rad Protein Assay Kit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30~50 μg의 lysate를 8~12% mini gel SDS-PAGE (Poly 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변성 분리하여, 이를 PVDF membrane (BIO-RAD)에 200mA로 2시간 동안 transfer하였다. 그리고 Membrane의 blocking은 5% skim milk가 함유된 TTBS (TBS + 0.1% Tween 20) 용액에서 상온에서 2시간동안 실시하였다. Tyrosinase의 발현 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goat polyclonal anti-Tyrosinase(Santa-Cruz), Trp-1의 발현 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goat polyclonal anti-Trp-1(Santa-Cruz), Trp-2의 발현 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rabbit polyclonal anti-Trp-2(Santa-Cruz), p-p38의 발현 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rabbit polyclonal anti-p-p38(Cell Signaling), p-ERK의 발현 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mouse monoclonal anti-p-ERK(Santa-Cruz)을 TTBS 용액에서 희석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TTBS로 3회 세정하였다. 2차 항체로는 HRP(Horse 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anti-mouse IgG(Amersham Co.)를 1: 5000으로 희석하여 상온에서 30분 간 반응시킨 후, TTBS로 3회 세정하여 ECL 기질 (Amersham Co.)과 1~3분 간 반응 후 X-ray 필름에 감광하였다.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는데,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티로시나아제와 Trp-1 단백질의 발현이 저해됨을 알 수 있으며, 도 5를 참조할 때는 UV 등 스트레 스에 반응하여 티로시나아제의 발현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p-p38의 발현이 저해되고, 또한 티로시나아제, Trp-1 등의 전사인자인 MITF를 활성화시키는 ERK의 발현이 저해됨을 알 수 있다(1:without α-MSH, 2:α-MSH 50nm addition, 3~6: α-MSH 50nm addition and sample(25, 50, 100, 200㎍/㎖) addition).
도 1은 참다래 잎 추출물, 참다래 과피 추출물 등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2은 참다래 잎 추출물 등의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3은 참다래 잎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짐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 및 도 5는 참다래 잎 추출물 특히 한라골드 잎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단백질(티로시나아제, Trp-1, phospho-ERK 1/2 및 phospho-p38)의 발현 억제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Claims (5)

  1. 참다래(Actinidia chinensis) 한라골드 품종의 잎 추출물 또는 참다래(Actinidia chinensis) 제시스위트 품종의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서 물, 증류수,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4. 삭제
  5. 참다래(Actinidia chinensis) 한라골드 품종의 잎 추출물 또는 참다래(Actinidia chinensis) 제시스위트 품종의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비누 조성물.
KR1020090112480A 2009-11-20 2009-11-20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101181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480A KR101181998B1 (ko) 2009-11-20 2009-11-20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480A KR101181998B1 (ko) 2009-11-20 2009-11-20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869A KR20110055869A (ko) 2011-05-26
KR101181998B1 true KR101181998B1 (ko) 2012-09-12

Family

ID=4436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480A KR101181998B1 (ko) 2009-11-20 2009-11-20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170B1 (ko) 2019-10-30 2021-05-07 이스트힐(주) 참다래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751A (ja) 2005-09-12 2007-04-19 Oriza Yuka Kk 美肌用組成物
JP2008222625A (ja) * 2007-03-12 2008-09-25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751A (ja) 2005-09-12 2007-04-19 Oriza Yuka Kk 美肌用組成物
JP2008222625A (ja) * 2007-03-12 2008-09-25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170B1 (ko) 2019-10-30 2021-05-07 이스트힐(주) 참다래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869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8142B2 (en) Methods of treatment using a lipid extract of Passiflora seeds concentrated in its unsaponifiable fraction
US8231916B2 (en) Use of a rice protein hydrolysate as pigmenting active principle
KR20180040638A (ko) 암펠롭시스 그로세덴타타 추출물 및 알비지아 율리브리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사용 방법
JP2002193738A (ja) 皮膚老化の徴候を処置する組成物における、少なくとも1種のツツジ科植物の少なくとも1種の抽出物の使用
US9370541B2 (en) Extract of the above-ground portions of gynandropsis gynandra or cleome gynandra, and cosmetic, dermatological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cluding same
US11484559B2 (en) Kapok tree flower extract,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CN106794136B (zh) 丹参提取物和烟酸和/或烟酰胺的组合产品的去糖基化作用
KR20150011327A (ko) 말바 네글렉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011324A (ko) 말바 네글렉타에 의해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US20040115146A1 (en) Use of active extracts to lighten skin, lips, hair and/or nails
KR101229927B1 (ko) 잠사 추출물 또는 누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102360881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117550A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41929B1 (ko)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20140133458A (ko) 부르세라 시마루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181998B1 (ko) 참다래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10247297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86925B1 (ko) 오디 추출물과 율무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101270929B1 (ko) 섬오갈피 근피 성분인 아칸토산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101617242B1 (ko) 섬오갈피 근피 성분인 아칸토산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20210137335A (ko) 해조류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10285930B2 (en) Cosmetic and therapeutic methods utilizing an extract of lythrum salicaria
KR10224518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65822B1 (ko) 옥타플로레솔 에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R3010307A1 (fr)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39;avicular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