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900B1 - 표시블럭 - Google Patents

표시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900B1
KR101181900B1 KR1020100024548A KR20100024548A KR101181900B1 KR 101181900 B1 KR101181900 B1 KR 101181900B1 KR 1020100024548 A KR1020100024548 A KR 1020100024548A KR 20100024548 A KR20100024548 A KR 20100024548A KR 101181900 B1 KR101181900 B1 KR 101181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lock
color
layer
protective layer
col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413A (ko
Inventor
곽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디데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디데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디데칼
Priority to KR102010002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9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도로에 표시되는 정지선, 횡단보도 등 도로용 표시 또는 터널내벽의 광고용 판석의 페인트칠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행인이나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보수가 간편하도록 한 표시블럭에 관한 것이다.
표시블럭(10)은 판석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고, 상면에 볼록한 볼록부(11)와 오목한 오목부(12)가 교대로 형성되고, 볼록부(11)의 상면부 및 측면부에 노면표시를 위한 칼라의 제1색상층(21)(이미지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 표시블럭은 볼록부와 오목부를 연속하여 형성시킴으로써, 보행자나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블럭{A display block}
본 발명은 표시블럭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도로에 표시되는 정지선, 횡단보도, 속도표시 등 도로의 표시부분들의 페인트칠이 벗겨지는 것(표시내용의 손상)을 방지하고 행인이나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도로변의 터널내벽 또는 옹벽에 표시되는 광고문구나 그림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보수가 간편하도록 한 표시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횡단보도, 정지선, 제한속도, 황단보도 예고표시 또는 광고등을 표시하는 페인트가 도색되어 있다.
그러나 자동차들의 주행 및 보행자들의 잦은 통행으로 도로 표면에 도색된 페인트가 벗겨지게 되어 잦은 보수가 행하여져 왔다.
이러한 도로표지는 도로표면의 특성 및 작업의 특성상 단순한 도형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어렵다.
또한, 도색부분은 미끄러움으로 인하여 행인이나 자동차의 안전사고를 유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도로에 표시되는 정지선, 횡단보도 등의 표시층의 페인트칠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다양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며, 행인이나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보수가 간편하도록 한 표시블럭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의 터널내벽이나 옹벽에 표시되는 광고문구 등의 정보가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보다 신선하고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표시블럭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중앙선, 구분선, 횡단보도, 문자?기호 등의 노면표시 또는 도로변의 옹벽이나 터널내벽에 광고표시를 위한 표시블럭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면에 볼록한 볼록부와 오목한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의 상면부 및 측면부에 상기 노면 또는 광고표시를 위해 형성되는 칼라의 제1색상층과,
상기 제1색상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투명한 제1보호층,
상기 제1보호층의 표면에 상기 1색상층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제2색상층과,
상기 제2색상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투명한 제2보호층을 구비하며,
상기 각 볼록부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 표시블럭은 상기 제1색상층이 세라믹안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색상층이 축광안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색상층이 세라믹 전사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보호층은 비드글라스(유리분말)가 용융되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보호층과 제2보호층은 투명한 유리분말이 용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1색상층은 칼라안료와 유리분말의 혼합물을 용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 표시블럭은 볼록부와 오목부를 연속하여 형성시킴으로써, 보행자나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보행자나 차량이 잦은 통행한 후에 볼록부(11)의 상면에 표시된 제1색상층(21)이 벗겨져도 볼록부(11)의 측면부에는 제1색상층(21)이 남아있게 되므로 보행자나 차량의 운전자가 눈높이에서 노면표시를 관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수주기를 종래보다 연장시킬 수 있고, 또한 볼록부(11)와 오목부(12)의 연속적인 형성으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제1보호층(22)의 표면에 상기 제1색상층(21)과 동일한 색상의 제2색상층(23)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색상층(23)의 표면에 투명한 제2보호층(24)을 형성시킴으로써, 보호층의 파손시 용융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넷째, 색상(이미지)층과 보호층을 형성시킬때, 노면표시를 위한 칼라안료와 유리분말을 혼합시키고 가열하여 용융시킨 상태에서 표시블럭(10)에 도포하여 노면표시를 행함으로써, 색상(이미지)층과 보호층을 별도로 표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잦은 통행에도 불구하고 색상층이 보호층과 함께 혼합되어 있으므로 노면표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 표시블럭이 설치된 도로의 노면표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표시블럭의 단면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표시블럭의 분리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표시블럭이 설치된 도로의 상태도,
도 9는 차량의 주행중 도로에 설치된 표시블럭의 관측각도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광고용 문구가 표시된 표시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터널내벽에 광고용 표시블럭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표시블럭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표시블럭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 표시블럭은 도로의 노면에 표시되는 중앙선, 구분선, 횡단보도, 횡단보도 예고표시, 문자?기호, 다양한 정보 등의 노면표시 부분에 설치되어서, 도로에 표시되는 정지선, 횡단보도등의 표시층의 페인트칠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행인이나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보수가 간편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표시블럭은 터널내벽 또는 옹벽 등에 광고용 판석(타일)으로 활용될 경우 다양한 정보를 운전자나 행인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시블럭(10)이 설치된 도로를 나타낸 것으로써, 횡단보도(1), 정지선(2), 횡단보도 예고표시(4) 및 제한속도표시(3)가 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표시블럭(10)에는 광고디자인이 표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들의 표시블럭(1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표시블럭(10)의 분리도를 나타내며, 도 6 내지 도 8은 도로면에 다양한 정보 표시된 표시블럭이 설치된 도로를 나타내며, 도 9는 차량의 주행중 표시블럭을 주시하는 운전자의 주시방향을 나타내고, 도 10은 도로변의 터널내벽 또는 옹벽등에 적용되는 광고표시된 표시블럭을 나타내며, 도 11은 터널내벽에 본 발명 표시블럭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11에서 화살표는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방향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표시블럭(10)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면에 볼록한 볼록부(11)와 오목한 오목부(12)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11)의 상면부 및 측면부와 오목부(12)에 노면표시를 위한 칼라의 제1색상(이미지)층(21)이 형성된다. 이때 오목부(12)의 바닥면에는 제1색상(이미지)층(21)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보행자나 차량이 잦은 통행한 후에 볼록부(11)의 상면에 표시된 제1색상층(21)이 벗겨져도 볼록부(11)의 측면부에는 제1색상(이미지)층(21)이 남아있게 되므로 도 9에서와 같이 보행자나 차량의 운전자가 눈높이에서 노면표시를 관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수주기를 종래보다 연장시킬 수 있고, 또한 볼록부(11)와 오목부(12)의 연속적인 형성으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색상(이미지)층(21)에 사용하는 안료를 축광안료로 사용하면 어두운 밤에 조명이 없이도 자체 발광하는 안료로 인해 보행자나 차량이 쉽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색상(이미지)층(21)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색상(이미지)층(21)의 표면에 투명한 제1보호층(22)을 형성하였다.
이때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보호층(22)의 표면에 상기 제1색상층(21)과 동일한 색상의 제2색상층(23)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색상층(23)의 표면에 투명한 제2보호층(24)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보호층(22)과 제2보호층(24)은 투명한 유리분말을 용융하여 도포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표면의 광택이 좋아져 어두운 밤에도 적은 불빛만으로도 보행자나 차량이 쉽게 표지의 내용을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보호층(22)과 제2보호층(24)을 비드글라스(고 굴절률 유리분말)를 사용하여 재귀반사를 일으켜 어두운 밤에도 정확한 정보를 보행자난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행자나 차량의 잦은 통행에도 불구하고 제1색상층(21)과 제2색상층(23)을 보호하여 재 도색하여야 하는 보수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잦은 통행으로 제2보호층(24) 또는 제1보호층(22)이 파손되거나 갈라짐이 발생되는 경우, 가스 토오치(torch; 미도시)로 제1,2보호층(22)(24)의 표면을 용융시킴으로써 보호층을 다시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볼록부(11)의 상면부분을 울퉁불퉁 하게 형성시키고, 제1색상층(21)과 제1보호층(22)을 형성시키게 되면, 잦은 통행으로 제1보호층(22)이 벗겨지더라도, 울퉁불퉁한 부분중에서 오목부분에는 제1색상층(21)과 제1보호층(22)이 잔류하게 되므로 노면표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상기와 같이 토오치에 의한 가열로 노면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각 볼록부(11)가 일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 볼록부(11)의 상면에 표시된 색상층 및 보호층이 벗겨지더라도 높이차이에 따른 볼록부(11)의 측면부 부분(A)이 보행자나 운전자의 눈에 쉽게 관측되어서 노면표시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13을 참조하면, 이는 도 2의 표시블럭과는 달리 볼록부(11)가 양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으로써, 왕복통행이 가능한 도로에 설치되어서 양방향에서의 노면표시등을 관측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예들에 있어서, 상기 색상층과 보호층을 형성시킬때, 노면표시를 위한 칼라안료와 유리분말을 혼합시키고 가열하여 용융시킨 상태에서 표시블럭(10)에 도포하여 노면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색상층과 보호층을 별도로 표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잦은 통행에도 불구하고 색상층이 보호층에 혼합되어 있으므로 노면표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예들에 있어서,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표시블럭을 도로변 옹벽이나 방음벽 또는 터널내벽에 설치하는 경우 벽화나 아트타일을 대신하여 이미지나 정보가 보행자의 보행방향이나 차량의 진행방향을 향해 표현되어지므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색상층(21)은 세라믹안료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세라믹 전사(傳寫)를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전사의 경우 세라믹토너를 사용하는 프린터로부터 무늬가 인쇄된 인쇄지를 출력하고, 인쇄지로부터 종이를 분리시킨 후 무늬필름을 표시블럭(10)의 표면에 부착시키고 소성하여서 무늬등의 정보가 표사된 본 발명의 표시블럭(10)을 구성할 수 있다.
10...표시블럭 21...제1색상층
22...제1보호층 23...제2색상층
24...제2보호층

Claims (10)

  1. 중앙선, 구분선, 횡단보도, 문자?기호 등의 노면표시 또는 도로변의 옹벽이나 터널내벽에 광고표시를 위한 표시블럭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면에 볼록한 볼록부(11)와 오목한 오목부(12)가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11)의 상면부 및 측면부에 상기 노면 또는 광고표시를 위해 형성되는 칼라의 제1색상층(21)과,
    상기 제1색상층(21)의 표면에 형성되는 투명한 제1보호층(22),
    상기 제1보호층(22)의 표면에 상기 1색상층(21)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제2색상층(23)과,
    상기 제2색상층(23)의 표면에 형성되는 투명한 제2보호층(24)을 구비하며,
    상기 각 볼록부(11)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층(21)이 세라믹안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층(21)이 축광안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층(21)이 세라믹 전사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블럭.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층(22)은 비드글라스(유리분말)가 용융되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블럭.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층(22)과 제2보호층(24)은 투명한 유리분말이 용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블럭.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층(21)은 칼라안료와 유리분말의 혼합물을 용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블럭.
KR1020100024548A 2010-03-17 2010-03-17 표시블럭 KR101181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548A KR101181900B1 (ko) 2010-03-17 2010-03-17 표시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548A KR101181900B1 (ko) 2010-03-17 2010-03-17 표시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413A KR20100061413A (ko) 2010-06-07
KR101181900B1 true KR101181900B1 (ko) 2012-09-11

Family

ID=4236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548A KR101181900B1 (ko) 2010-03-17 2010-03-17 표시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9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36B1 (ko) * 1995-08-02 1999-06-15 서윤진 도로 표지선의 난-슬립 시공 방법
KR200426648Y1 (ko) * 2006-06-26 2006-09-18 이종헌 축광성 타일
JP2006249786A (ja) * 2005-03-10 2006-09-21 Oki Kogei:Kk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その形成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路面表示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36B1 (ko) * 1995-08-02 1999-06-15 서윤진 도로 표지선의 난-슬립 시공 방법
JP2006249786A (ja) * 2005-03-10 2006-09-21 Oki Kogei:Kk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その形成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路面表示体
KR200426648Y1 (ko) * 2006-06-26 2006-09-18 이종헌 축광성 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413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0652B1 (en) Variable traffic safety sign for displaying roadbed conditions in respons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KR102261217B1 (ko) 우천시 및 야간시 시인성이 향상된 테이프형 차선의 제조방법
KR20170091380A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미끄럼 방지 및 보호막 설치 구조물
AU2010257461A1 (en) System and Method of Pavement Advertising
KR101181900B1 (ko) 표시블럭
CN106157658A (zh) 道路限速识别装置
KR100806861B1 (ko) 교통안내 경계석
JP2003171914A (ja) 道路標示及び道路標示シート
KR20120117389A (ko) 보차도용 안전표시판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20130066996A (ko) 기능성 도로 차선 구조 및 기능성 도로 차선 형성 방법
JP4235016B2 (ja) 再帰反射体
US20060047019A1 (en) Method of making a road marking material with thermochromic colouring user interfaces
TW201632689A (zh) 道路速限識別裝置
WO2019204478A1 (en) Directional marking devices for roadways
CN106245553B (zh) 一种荧光交通导流标志设施
KR20200121169A (ko) 임시차선표시구
KR20150063711A (ko) 차로 진행 방향 예고 차선
JP6378941B2 (ja) 情報表示板
CN211772991U (zh) 无机自发光反光道钉
JP2021130961A (ja) 路面表示材および路面発光材
KR20170097591A (ko) 시인성과 시공 비용이 개선된 횡단보도
KR200432255Y1 (ko) 도로 경계석
JP2017227103A (ja) 道路用標識灯
KR200336516Y1 (ko) 도로 차선 이정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