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092B1 - 스로틀 바디 구조 - Google Patents

스로틀 바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092B1
KR101181092B1 KR1020060127888A KR20060127888A KR101181092B1 KR 101181092 B1 KR101181092 B1 KR 101181092B1 KR 1020060127888 A KR1020060127888 A KR 1020060127888A KR 20060127888 A KR20060127888 A KR 20060127888A KR 101181092 B1 KR101181092 B1 KR 101181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throttle body
actuator
vacuum
bod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046A (ko
Inventor
최원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092B1/ko
Publication of KR20080055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로틀 바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 액튜에이터와 흡기 매니폴드와의 사이에 부압라인과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시동 오프후 재시동 직후에도 엔진의 RPM 이 상승하여 출력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스로틀 바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로틀 바디 구조는 액튜에이터와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부압라인과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재시동 신호가 들어오면 스타트 모터의 회전으로 피스톤 행정에 의한 부압이 액튜에이터를 원복시킴으로써, 재시동 직후에도 엔진의 RPM 이 상승하여 출력 발생이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매연이 증가되지 않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스로틀 바디 구조{THROTTLE BODY STRUCTURE}
도 1 은 종래의 스로틀 바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종래의 스로틀 바디 구조에서의 차량 재시동 직후 엔진 RPM 의 상승이 없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로틀 바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스로틀 바디 구조에서의 차량 재시동 직후 엔진 RPM 의 상승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 : 스로틀 밸브 3 : 진공 액튜에이터
5 : ECU 7 : 솔레노이드 밸브
9 : 진공펌프 11,13 : 진공라인
15 : 리턴스프링
본 발명은 스로틀 바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 액튜에이터와 흡기 매니폴드와의 사이에 부압라인과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시동 오프후 재시동 직후에 도 엔진의 RPM 이 상승하여 출력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스로틀 바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스로틀 바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젤엔진 차량에 대부분 적용중인 종래의 스로틀 바디 구조는 스로틀 밸브(1), 진공 액튜에이터(3), 진공펌프(9), 상기 진공펌프(9)와 상기 진공 액튜에이터(3)의 사이를 연결하는 진공라인(11,13)상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7), 상기 진공 액튜에이터(3)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로틀 밸브(1)를 개폐하는 리턴 스프링(15) 및 시동 오프시 상태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7)를 작동시키는 ECU(Electric Control Unit)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스로틀 바디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될 경우, 흡입되는 잔여공기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엔진의 잔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 저감용 장치로 사용된다.
상기한 스로틀 바디의 온/오프 작동 제어방법은, 시동 오프시에 ECU(5)가 시동 오프상태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7)를 구동시키며, 진공펌프(9)의 진공압력은 진공라인(13) - 솔레노이드 밸브(7) - 진공라인(11) - 진공 액튜에이터(3)로 전달되어 스로틀 밸브(1)를 오프시켜 신기의 연소실 유입을 차단시킨다. 이후 리턴스프링(15)에 의해 스로틀 밸브(1)는 열리게 된다.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직 후, 바로 시동을 거는 2단 시동의 경우, 스타트 모터(미도시)의 회전으로 피스톤 행정에 의한 부압이 작용하여 스로틀 밸브(5)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리턴스프링(15)의 포스(force)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나, 이 경우 반대로 리턴스프링(15)의 증가된 포스에 의해 진공 액튜에이터(3) 의 작동 응답성이 떨어져 자체 진동이 더욱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스로틀 밸브(1)가 복원되지 않을 경우, 흡기 유로가 막혀 매연이 과다하게 발생되고 출력이 발생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도 2 는 상기한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 차량 재시동 직후 엔진 RPM 의 상승이 없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상의 A 부위가 엔진의 재시동 직후 엔진의 RPM 상승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A 부위에서는 매연이 증가하고 출력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튜에이터와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부압라인과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재시동 신호가 들어오면 스타트 모터의 회전으로 피스톤 행정에 의한 부압이 액튜에이터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시동 오프후 재시동 직후에도 엔진의 RPM 이 상승하여 출력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스로틀 바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로틀 밸브, 진공 액튜에이터,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 액튜에이터의 사이를 연결하는 진공라인상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진공 액 튜에이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로틀 밸브를 개폐하는 리턴 스프링 및 시동 오프시 상태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는 ECU를 포함하여, 차량 시동 오프시 흡입되는 잔여공기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엔진의 잔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저감용으로 사용되는 스로틀 바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공 액튜에이터에 일단이 연결되는 별도의 부압라인을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부압라인의 단부측에 흡기 매니폴드를 설치하고,
상기 부압라인상에서의 상기 진공 액튜에이터와 흡기 매니폴드와의 사이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시동 오프후 바로 재시동을 한 직후에도 엔진의 RPM 이 상승하여 출력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재시동으로 재시동 신호의 유입시, 스타트 모터의 회전으로 피스톤 행정에 의한 부압이 액튜에이터를 원복시킴으로써 엔진의 RPM 이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로틀 바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로틀 바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참고로, 종래의 스로틀 바디 구조에서 동일한 구성부품에 대해선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로틀 바디 구조에서는, 종래의 스로 틀 바디구조에서, 진공 액튜에이터(3)에 일단이 연결되는 별도의 부압라인(23,25)을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부압라인(23,25)의 단부측에 흡기 매니폴드(21)를 설치하고 상기 부압라인(23,25)상의 중간부에 체크밸브(19)를 설치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의 스로틀 바디 구조는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 즉 스로틀 밸브(1), 진공 액튜에이터(3), 진공펌프(9), 상기 진공펌프(9)와 상기 진공 액튜에이터(3)의 사이를 연결하는 진공라인(11,13)상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7), 상기 진공 액튜에이터(3)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로틀 밸브(1)를 개폐하는 리턴 스프링(15) 및 시동 오프시 상태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7)를 작동시키는 ECU(Electric Control Unit)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앞에서 설명한 부압라인(23,25)과 흡기 매니폴드(21), 체크밸브(19)등의 구성부재가 추가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스로틀 바디 구조에서, 진공 액튜에이터(3)와 흡기 매니폴드(21)와의 사이에 부압라인(23,25)과 체크밸브(19)가 설치됨으로써, 재시동 신호가 들어오면 스타트 모터의 회전으로 피스톤 행정에 의한 부압이 액튜에이터(3)를 원복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스로틀 바디 구조에서의 작동 원리를 도 3 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시동 오프시에는, 체크밸브(19)에 의해 과급압 전달이 차단되며(화살표 27 참조), 이에 의해 스로틀 밸브(1)는 닫힌다.
차량의 시동 오프 직후 재동시(2단 시동)에는 솔레노이드 밸브(7)에 의해 대 기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과 함께(화살표 26 참조) 피스톤 흡입 행정에 의한 부압이 발생하여(화살표 29 참조) 스로틀 밸브(1)가 개방되도록 작용한다.
한편, 도 4 는 본 발명의 스로틀 바디 시스템을 VQ 차종 개발에 적용하여 얻은 시험데이터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상의 B 부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후 재시동 직후 상태에서 엔진의 RPM 이 상승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로틀 바디 구조는 액튜에이터와 흡기 매니폴드 사이에 부압라인과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시동 오프후 바로 재시동 신호가 들어오면 스타트 모터의 회전으로 피스톤 행정에 의한 부압이 액튜에이터를 원복시킴으로써, 재시동 직후에도 엔진의 RPM 이 상승하여 출력 발생이 이루어지며, 매연이 증가되지 않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

  1. 스로틀 밸브, 진공 액튜에이터,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 액튜에이터의 사이를 연결하는 진공라인상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진공 액튜에이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로틀 밸브를 개폐하는 리턴 스프링 및 시동 오프시 상태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는 ECU를 포함하여, 차량 시동 오프시 흡입되는 잔여공기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엔진의 잔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저감용으로 사용되는 스로틀 바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공 액튜에이터에 일단이 연결되는 별도의 부압라인을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부압라인의 단부측에 흡기 매니폴드를 설치하고,
    상기 부압라인상에서의 상기 진공 액튜에이터와 흡기 매니폴드와의 사이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시동 오프후 바로 재시동을 한 직후에도 엔진의 RPM 이 상승하여 출력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바디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동으로 재시동 신호의 유입시, 스타트 모터의 회전으로 피스톤 행정에 의한 부압이 액튜에이터를 원복시킴으로써 엔진의 RPM 이 상승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로틀 바디 구조.
KR1020060127888A 2006-12-14 2006-12-14 스로틀 바디 구조 KR101181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888A KR101181092B1 (ko) 2006-12-14 2006-12-14 스로틀 바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888A KR101181092B1 (ko) 2006-12-14 2006-12-14 스로틀 바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046A KR20080055046A (ko) 2008-06-19
KR101181092B1 true KR101181092B1 (ko) 2012-09-07

Family

ID=3980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888A KR101181092B1 (ko) 2006-12-14 2006-12-14 스로틀 바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0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615B1 (ko) 1994-12-29 1999-07-15 류정열 시동시 드로틀의 개도 제어장치
KR100435958B1 (ko) 2001-09-20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 디젤엔진의 시동 오프후 이상 진동 발생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615B1 (ko) 1994-12-29 1999-07-15 류정열 시동시 드로틀의 개도 제어장치
KR100435958B1 (ko) 2001-09-20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 디젤엔진의 시동 오프후 이상 진동 발생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046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61102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ystem
RU2647167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эксплуатации двигате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истема двигателя с наддувом
JP6536696B2 (ja) ウェストゲートバルブ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WO2013031920A1 (ja) 内燃機関の過給制御装置
CN1594847A (zh) 用于内燃机的燃料供应装置及燃料压力调节方法
JPS58210332A (ja) デイ−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KR20120058328A (ko) 스로틀 밸브 제어 로직을 포함하는 스로틀 밸브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181092B1 (ko) 스로틀 바디 구조
KR0184317B1 (ko) 배기브레이크장치
JP2004293442A (ja) 電動過給機構の制御装置
JP3942556B2 (ja) 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ウエストゲートバルブ制御装置
CN109184922B (zh) 发动机停机控制系统、控制方法及汽车
CN202789094U (zh) 控制阀、废气门控制阀及应用废气旁通阀的增压器
JPH029080Y2 (ko)
CN205025566U (zh) 船用废气涡轮增压器的旁通阀的控制组件
KR100391627B1 (ko) 터보챠저의 부스트압력 제어장치
US5572972A (en) Mechanical air-fuel control for feedback control of external devices
JP3156545B2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S6316850Y2 (ko)
JP3104602B2 (ja) 可変吸気装置
JP5736648B2 (ja) エンジン始動・停止制御装置
CN107100718B (zh) 在具有内燃机的机动车辆的真空室内产生真空的方法和装置
KR100516186B1 (ko) 터보차저 부스트압 제어방법
JPH08504011A (ja) 内燃機関
KR20040045760A (ko) 키 오프시 디젤 엔진의 부조 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