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933B1 - 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933B1
KR101180933B1 KR1020060126569A KR20060126569A KR101180933B1 KR 101180933 B1 KR101180933 B1 KR 101180933B1 KR 1020060126569 A KR1020060126569 A KR 1020060126569A KR 20060126569 A KR20060126569 A KR 20060126569A KR 101180933 B1 KR101180933 B1 KR 10118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urbocharger
exhaust gas
solenoid valve
gas turbo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4240A (ko
Inventor
한종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9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F02B39/14Lubrication of pumps; Safety measur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F02B39/16Other safety measures for, or other control of,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개시된 터보챠저 오일 공급장치는 비상 오일탱크를 구비한 배기가스 터보챠저와; 상기 배기가스 터보챠저 바닥에 설치되고, 일측에 전기신호로 개폐도록 솔레노이드 밸브 설치된 오일저장고와; 상기 오일저장고에서 최상단까지 연통되도록 설치된 오일이동관과; 상기 배기가스 터보챠저와 진공호스로 연결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엔진 시동을 감지하고, 시동 후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신호로 개구시키는 전자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터보챠저 오일 공급장치는 배기가스 터보챠저 차량의 초기 시동시 오일이 터보챠저에 일정 시간동안 공급되도록 하여 터보챠저의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터보챠저, 오일, 솔레노이드 밸브, 엔진

Description

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OIL SUPPLY APPARATUS OF TURBO CHARG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기가스 터보챠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
22:비상 오일탱크
24:배기가스 터보챠저
26:솔레노이드 밸브
28:오일저장고
30:오일이동관
32:진공호스
34:진공펌프
36:전자제어장치
본 발명은 터보챠저 오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가스 터보챠저 차량의 초기 시동시 오일이 터보챠저에 일정 시간동안 공급되도록 하여 터보챠저의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한 터보챠저 오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기가스 터보챠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기가스 터보챠저(2)는 비상 오일탱크(4)를 구비하고 있다. 이는 고속 운행후 시동정지시 윤활 오일이 공급되지 않음으로서 배기가스 터보챠저(6)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배기가스 터보챠저에 소정 시간동안 윤활 오일을 계속 공급해야 한다.
이러한 배기가스 터보챠저는 초기 시동시 오일공급 고려되고 있지 않아 초기 시동시 터보챠저에 오일이 없으므로 약8~30초간 공시동후 출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급출발이나 고RPM의 경우 터보챠저에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가스 터보챠저 차량의 초기 시동시 오일이 터보챠저에 일정 시간동안 공급되도록 하여 터보챠저의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한 터보챠저 오일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상 오일탱크를 구비한 배기가스 터보챠저와;
상기 배기가스 터보챠저 바닥에 설치되고, 일측에 전기신호로 개폐도록 솔레노이드 밸브 설치된 오일저장고와;
상기 오일저장고에서 최상단까지 연통되도록 설치된 오일이동관과;
상기 배기가스 터보챠저와 진공호스로 연결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엔진 시동을 감지하고, 일정시간 후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신호로 개구시키는 전자제어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챠저 오일공급 확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20)는 비상 오일탱크(22)를 구비한 배기가스 터보챠저(24)와; 상기 배기가스 터보챠저(24) 바닥에 설치되고, 일측에 전기신호로 개폐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26)가 설치된 오일저장고(28)와; 상기 오일저장고(28)에서 최상단까지 연통되도록 설치된 오일이동관(30)과; 상기 배기가스 터보챠저(24)와 진공호스(32)로 연결 설치되는 진공펌프(34)와; 엔진 시동을 감지하고, 일정시간 후 솔레노이드 밸브(26)를 전기신호로 개구시키는 전자제어장치(36)로 구성된다.
오일저장고(28)는 비상 오일탱크(22)의 바닥에 흘러내리는 오일을 받을 수 있게 형성되고, 일측에 솔레노이드 밸브(26) 설치하고 있어 개구시 오일이 순환되도록 한다.
그리고 오일이동관(30)은 오일저장고(28)에 연결 설치되고 배출구는 탑부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비상 오일탱크(22)에는 진공호스(32)로 진공펌프(34)와 연결 설치되어 내부에 부압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초기 시동시 터보챠저(24)에 오일을 공급되게 하는데 있으며, 엔진 정지시 솔레노이드 밸브(26)가 일정시간 후 오일의 유출을 막는다. 이후 엔진 시동시 알터네이터의 진공펌프(34)로부터 비상 오일탱크(22) 내부압력을 낮추게 된다.
이로 인해 터보챠저의 비상 오일탱크(22)내 형성되는 압력차에 의해 오일저 장고(28)에 담겨있는 오일은 부압에 의해 오일이동관(30)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오일이동관(30)을 이동한 오일은 상측에서 아래로 떨어져 공급되며, 오일이동관(30)으로 이동하여 축상단에서 오일이 공급되게 된다.
초기에만 내부오일을 이용 윤활을 하며 엔진의 내부 오일의 순환이 이루어지면 솔레노이드 밸브(26)는 열리게 된다. 이후 기존 윤활경로를 따라 순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엔진 정지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6)가 닫히고, 오일 순환이 정지한다. 즉, 하부 오일은 오일저장고(28)에 정체된다.
그리고 엔진 시동시에는 진공펌프(34) 알터네이터를 통해 진공이 형성되고 오일 저장고(28)에 담겨 있던 하부의 오일은 비상 오일탱크(22) 내부에 형성된 진공에 의해 오일 이동관(30)을 통해 빠져나간다. 이에 따라 상측 하우징내에 오일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어링 내부에도 오일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는 엔진시동 후, 일정시간(약 30초) 경과한 후에 열려 오일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배기가스 터보챠저 차량의 초기 시동시 오일이 터보챠저에 일정 시간동안 공급되도록 하여 터보챠저의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비상 오일탱크를 구비한 배기가스 터보챠저와;
    상기 배기가스 터보챠저 바닥에 설치되고, 일측에 전기신호로 개폐도록 솔레노이드 밸브 설치된 오일저장고와;
    상기 오일저장고에서 최상단까지 연통되도록 설치된 오일이동관과;
    상기 배기가스 터보챠저와 진공호스로 연결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엔진 시동을 감지하고, 시동 후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기신호로 개구시키는 전자제어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챠저 오일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일정시간 후 개구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챠져 오일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동관은 비상 오일탱크내 부압 형성시 오일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챠져 오일공급장치.
KR1020060126569A 2006-12-12 2006-12-12 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 KR101180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569A KR101180933B1 (ko) 2006-12-12 2006-12-12 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569A KR101180933B1 (ko) 2006-12-12 2006-12-12 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240A KR20080054240A (ko) 2008-06-17
KR101180933B1 true KR101180933B1 (ko) 2012-09-07

Family

ID=3980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569A KR101180933B1 (ko) 2006-12-12 2006-12-12 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303B1 (ko) 2013-05-08 2014-07-17 주식회사 동방플랜텍 진공펌프의 무동력 오일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303B1 (ko) 2013-05-08 2014-07-17 주식회사 동방플랜텍 진공펌프의 무동력 오일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240A (ko) 200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076B2 (en) Device for cleaning of crankcase gases
US8226351B2 (en) System for providing continuous lubrication to engine turbocharger shaft and bearing arrangement
JP6518282B2 (ja) オイル供給装置
KR101180933B1 (ko) 터보챠져의 오일 공급장치
JP4687551B2 (ja) 潤滑構造
KR20010007142A (ko) 비상 오일탱크를 구비한 배기가스 터보차져
JP5173602B2 (ja) 過給機
KR102428830B1 (ko) 공기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1753A (ko) 엔진 윤활 시스템의 윤활펌프 드라이 런닝 방지장치 및 방법
JP5145265B2 (ja) 過給機
KR100559535B1 (ko) 자동차의 냉시동시 및 운전 중 급가속시 터보차저손상방지장치
JP2004285974A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KR100301895B1 (ko) 차량의터보차져윤활장치및제어방법
JPH0882220A (ja) ターボチャージャ
KR100375765B1 (ko) 터보차저의 윤활 및 냉각장치
KR100369141B1 (ko) 터보차저의 유출 오일 처리 시스템
KR100444847B1 (ko) 터보차저의 냉각구조
KR100726759B1 (ko) 개스 터빈 엔진의 윤활유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388200B1 (ko) 공압 회로를 이용하는 터빈 과급기 공전 제어 장치
JP2007321700A (ja) エンジン潤滑装置及びエンジン
JP2005264917A (ja) ターボ過給機付き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KR19990031978U (ko) 터보 차저의 오일 공급 보조 장치
JP2006342754A (ja)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ー圧縮機
KR19990060977A (ko) 오일공급 보조탱크를 갖는 터보차저
KR100252261B1 (ko) 과급기 보호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