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850B1 - 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 Google Patents

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850B1
KR101180850B1 KR20100137674A KR20100137674A KR101180850B1 KR 101180850 B1 KR101180850 B1 KR 101180850B1 KR 20100137674 A KR20100137674 A KR 20100137674A KR 20100137674 A KR20100137674 A KR 20100137674A KR 101180850 B1 KR101180850 B1 KR 101180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lux
wire
welding
c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815A (ko
Inventor
김성국
정석진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13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8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850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망간강의 오픈-아크 타입 용접(Open Arc Type Welding)시 양호한 내결함성 및 슬래그 도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흄과 스패터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재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있어서, 와이어 전중량에 대한 중량%로, C: 0.2~2.0%, Si: 0.2~2.0%, Mn: 13.0~22.0%, P: 0.02%이하, S: 0.02%이하, Cr: 3.0~18.0%,
Al 및 Mg 중 1종 또는 2종: 0.3~2.0%,
NaF, Na3AlF6 및 K2SiF6 중 1종 이상: 0.3~2.0%,
TiO2, SiO2, Al2O3, ZrO2 및 MgO 중 1종 이상: 3.5~6.0%,
CaF2, CaCO3, Na2CO3 및 BaCO3 중 1종 이상: 1.0~1.8%, 나머지는 철분, 강재 외피중의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TiO2, SiO2, Al2O3, ZrO2 및 MgO 중 1종 이상의 함량)/(CaF2, CaCO3, Na2CO3 및 BaCO3 중 1종 이상의 함량)의 비가 3.0~5.5를 만족하는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FLUX CORED WIRE FOR OPEN-ARC TYPE SURFACE WELDING}
본 발명은 분쇄기 롤러 밑깔기 및 철도레일, 크러쉬 햄머/롤러 등의 밀깔기 및 표면층 육성 용접용 용접재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망간강의 오픈-아크 타입(Open-Arc Type)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오픈-아크 타입 용접은 가스실드(Gas Shielded) 용접과 달리 별도의 보호가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용접시 용접금속내로 대기중의 산소, 질소, 수소 등이 유입될 수 있어 내결함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오픈-아크 타입 용접재료에는 자체적으로 보호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형성제와 슬래그 형성제, 아크 안정제 및 강탈산제 성분들을 과다하게 사용하였는데, 이는 내결함성 측면에 있어서는 유리하나, 상대적으로 합금성분들의 첨가량이 줄어들게 되어, 의도하는 용접금속 화학성분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흄과 스패터가 과다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양호한 내결함성 및 슬래그 도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흄과 스패터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용접금속에 적정 합금성분 함량을 유지할 수 있는 고망간강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강재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있어서, 와이어 전중량에 대한 중량%로, C: 0.2~2.0%, Si: 0.2~2.0%, Mn: 13.0~22.0%, P: 0.02%이하, S: 0.02%이하, Cr: 3.0~18.0%,
Al 및 Mg 중 1종 또는 2종: 0.3~2.0%,
NaF, Na3AlF6 및 K2SiF6 중 1종 이상: 0.3~2.0%,
TiO2, SiO2, Al2O3, ZrO2 및 MgO 중 1종 이상: 3.5~6.0%,
CaF2, CaCO3, Na2CO3 및 BaCO3 중 1종 이상: 1.0~1.8%, 나머지는 철분, 강재 외피중의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TiO2, SiO2, Al2O3, ZrO2 및 MgO 중 1종 이상의 함량)/(CaF2, CaCO3, Na2CO3 및 BaCO3 중 1종 이상의 함량)의 비가 3.0~5.5를 만족하는 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럭스 조성성분 및 함량과 이들 성분간의 함량비를 제어하여, 양호한 내결함성 및 슬래그 도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흄과 스패터 발생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정 합금성분 함량을 유지하여 용접금속 화학성분 확보가 용이한 고망간강 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강재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전중량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하, 중량%)
C: 0.2~2.0%
C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형성하여 내결함성 및 인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으로 Cr과 결합하여 크롬 카바이드를 형성하여 강도 및 경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그 함량이 0.2%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를 초과하면 탄화물을 형성하여 용접부 인성저하와 내균열성 및 내입계부식성 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0.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0.2~2.0%
Si는 탈산 작용을 하고, 용접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그러나, 그 함량이 0.2%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를 초과하면 취성 및 내마모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0.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 13.0~22.0%
Mn은 탈산 작용을 하고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형성하여 내결함성 및 인성, 내충격마모성, 가공경화로 인한 경도 향상 등에 유효한 성분이다. 그러나, 그 함량이 13.0%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없고, 22.0%를 초과하면 내마모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13.0~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및 S: 각각 0.02% 이하
P 및 S는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성분으로, 각각의 함량이 0.02%를 초과하면 인성저하, 입계석출물 생성 및 균열의 원인이 될 수 있어, 그 상한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 3.0~18.0%
Cr은 C 및 Fe와 결합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한 경질의 탄화물을 형성하고, 내산화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그 함량이 3.0%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탄화물 형성이 어렵고, 18.0%를 초과하면 고망간강의 특징인 연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3.0~18.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 및 Mg 중 1종 또는 2종: 0.1~2.0%
Al 및 Mg는 강탈산제로서 아크성 및 내결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 함량이 0.1% 미만이면 첨가에 의한 효과를 얻기 어렵고,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입량이 과다해지는 문제가 있어, 0.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aF, Na3AlF6 및 K2SiF6 중 1종 이상: 0.3~2.0%
NaF, Na3AlF6 및 K2SiF6 는 용접금속 수소함량을 제어하고, 아크 안정제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그 함량이 0.3% 미만에서는 첨가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흄 발생량이 과다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0.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O2, SiO2, Al2O3, ZrO2 및 MgO 중 1종 이상: 3.5~6.0%
TiO2, SiO2, Al2O3, ZrO2 및 MgO는 슬래그 형성제 및 아크 안정제로서 대기로부터 용착금속을 보호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 함량이 3.5%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역할을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고,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결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함량을 3.5~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F2, CaCO3, Na2CO3 및 BaCO3 중 1종 이상: 1.0~1.8%
상기 CaF2, CaCO3, Na2CO3 및 BaCO3는 오픈-아크 타입 용접에서 필요한 탄산가스를 발생시켜 용착금속을 보호하고 내결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그 함량이 1.0% 미만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아크성이 저하되고 흄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그 함량은 1.0~1.8%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는 철분, 강재 외피 중의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접와이어는 (TiO2, SiO2, Al2O3, ZrO2 및 MgO 중 1종 이상의 함량)/(CaF2, CaCO3, Na2CO3 및 BaCO3 중 1종 이상의 함량)의 비가 3.0~5.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F2, CaCO3, Na2CO3 및 BaCO3 과 같은 가스 형성제의 함량이 작고, TiO2, SiO2, Al2O3, ZrO2 및 MgO과 같은 슬래그 형성제의 함량이 많아지면 내결함성이 급격히 취약해질 수 있고, 반대로 가스 형성제의 함량이 증가하고 슬래그 형성제가 감소하면 용접작업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제어하여야만 안정적인 용접작업성과 내결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TiO2, SiO2, Al2O3, ZrO2 및 MgO 중 1종 이상의 함량)/(CaF2, CaCO3, Na2CO3 및 BaCO3 중 1종 이상의 함량)의 비가 3.0 미만에서는 슬래그 도포성 및 아크성이 저하되고, 스패터 발생량이 많아지며, 5.5를 초과하게되면 내결함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3.0~5.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표 1의 조성을 갖는 강 외피에 플럭스를 충진하여, 표 2의 조성을 갖는 플럭스 충전와이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와이어를 아래의 용접조건으로 용접한 후, 용접부에 대한 평가를 작업자의 관능평가를 통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용접조건
- 모재규격: SCM 4 Cr-Mo 강재
- 보호가스: 없음
- 용접와이어: 2.8㎜
- 용접극성: DC(+)
- 전류/전압/속도: 380~400A/28~30V/30cpm
- 와이어 돌출길이: 25㎜
- 용접기법: Auto Carriage 전진법
평가항목
- 슬래그 도포성: 완전도포(○)/부분 및 전면 미도포(×)
- 스패터 발생량: 양호(○)/ 보통(△)/ 과다(×)
- 흄 발생량: 양호(○)/ 보통(△)/ 과다(×)
- 내결함성: 기공 미발생(○)/ 기공 발생(×)
C Si Mn P S Fe
0.015~0.018 0.012~0.015 0.15~0.18 0.008~0.010 0.009~0.011 나머지
구분 C Si Mn P S Cr Al+Mg ⓑ/ⓒ
발명예 1 0.30 0.42 16.4 0.015 0.010 13.7 0.4 0.35 5.82 1.15 5.06
발명예 2 0.62 0.53 15.7 0.013 0.014 16.4 0.9 1.92 5.24 1.11 4.72
발명예 3 0.50 0.37 13.9 0.011 0.008 16.7 1.4 0.57 3.62 1.07 3.38
발명예 4 1.21 0.81 16.7 0.011 0.015 4.2 1.2 1.61 5.91 1.32 4.48
발명예 5 1.37 1.13 15.0 0.015 0.012 4.7 0.3 0.52 4.01 1.05 3.82
발명예 6 0.68 0.42 16.7 0.009 0.008 12.8 0.7 1.23 5.73 1.77 3.24
발명예 7 0.72 0.53 16.4 0.011 0.007 14.2 1.9 0.97 3.82 1.25 3.06
발명예 8 0.41 1.35 17.4 0.012 0.005 16.9 1.2 1.14 5.87 1.08 5.44
발명예 9 0.57 0.72 14.2 0.017 0.014 17.2 1.1 0.62 4.75 1.23 3.86
발명예 10 1.13 0.66 16.7 0.006 0.009 3.7 0.4 1.71 5.33 1.25 4.26
비교예 1 0.54 0.78 15.4 0.007 0.015 13.4 1.4 0.18 3.94 1.11 3.55
비교예 2 0.25 0.92 15.5 0.009 0.011 14.2 0.6 2.53 4.21 1.04 4.05
비교예 3 0.72 0.46 16.2 0.012 0.007 3.8 0.2 0.41 3.21 1.02 3.15
비교예 4 1.35 1.43 16.9 0.012 0.009 4.5 1.4 0.92 6.87 1.26 5.45
비교예 5 1.03 0.57 13.6 0.010 0.016 16.4 1.3 1.57 4.68 0.87 5.38
비교예 6 0.61 0.68 14.4 0.007 0.005 17.0 0.8 1.10 5.90 1.94 3.04
비교예 7 0.49 0.74 15.9 0.017 0.011 17.4 1.0 0.37 3.62 1.46 2.48
비교예 8 0.72 1.09 16.2 0.013 0.015 4.2 1.0 1.23 5.89 1.03 5.72
비교예 9 0.92 0.57 17.2 0.015 0.009 12.9 1.2 0.41 5.00 2.21 2.26
비교예 10 0.74 0.85 15.9 0.014 0.008 15.7 1.4 0.68 4.98 0.81 6.15
ⓐ: NaF, Na3AlF6, K2SiF6 중 선택된 1종 이상, ⓑ: TiO2, SiO2, Al2O3, ZrO2, MgO 중 선택된 1종 이상, ⓒ: CaF2, CaCO3, Na2CO3, Ba2CO3 중 선택된 1종 이상
구분 슬래그 도포성 스패터 발생량 흄 발생량 내결함성
발명예 1
발명예 2
발명예 3
발명예 4
발명예 5
발명예 6
발명예 7
발명예 8
발명예 9
발명예 10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
비교예 7 ×
비교예 8 ×
비교예 9 × ×
비교예 10 ×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에서는 양호한 슬래그 도포성 및 내결함성을 가지며, 흄과 스패터의 발생량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및 2는 NaF, Na3AlF6, K2SiF6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서, 본 발명 범위에 미달되는 경우에 스패터성이 저하되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흄 발생량이 많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및 4는 TiO2, SiO2, Al2O3, ZrO2, MgO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본 발명 범위에 미달되는 경우는 슬래그 미도포가 발생되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결함성이 열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5 및 6은 CaF2, CaCO3, Na2CO3, Ba2C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본 발명 범위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흄 발생이 과다하고 스패터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7 및 8은 (TiO2, SiO2, Al2O3, ZrO2, MgO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CaF2, CaCO3, Na2CO3, Ba2C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의 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본 발명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슬래그 미도포 및 스패터성이 저하되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9 및 10은 (TiO2, SiO2, Al2O3, ZrO2, MgO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CaF2, CaCO3, Na2CO3, Ba2C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의 비 뿐만 아니라, CaF2, CaCO3, Na2CO3, Ba2C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흄 발생이 많아지거나 스패터성이 저하될 수 있고, 결함발생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

  1. 강재 외피에 플럭스가 충전된 플럭스 충전 와이어에 있어서, 와이어 전중량에 대한 중량%로, C: 0.2~2.0%, Si: 0.2~2.0%, Mn: 13.0~22.0%, P: 0.02%이하, S: 0.02%이하, Cr: 3.0~18.0%,
    Al 및 Mg 중 1종 또는 2종: 0.3~2.0%,
    NaF, Na3AlF6 및 K2SiF6 중 1종 이상: 0.3~2.0%,
    TiO2, SiO2, Al2O3, ZrO2 및 MgO 중 1종 이상: 3.5~6.0%,
    CaF2, CaCO3, Na2CO3 및 BaCO3 중 1종 이상: 1.0~1.8%, 나머지는 철분, 강재 외피중의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TiO2, SiO2, Al2O3, ZrO2 및 MgO 중 1종 이상의 함량)/(CaF2, CaCO3, Na2CO3 및 BaCO3 중 1종 이상의 함량)의 비가 3.0~5.5를 만족하는 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20100137674A 2010-12-29 2010-12-29 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18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7674A KR101180850B1 (ko) 2010-12-29 2010-12-29 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7674A KR101180850B1 (ko) 2010-12-29 2010-12-29 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815A KR20120075815A (ko) 2012-07-09
KR101180850B1 true KR101180850B1 (ko) 2012-09-10

Family

ID=4670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7674A KR101180850B1 (ko) 2010-12-29 2010-12-29 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2114B (zh) * 2013-12-12 2016-01-27 天津市永昌焊丝有限公司 一种全位置焊接用超低氢高韧性金属粉芯药芯焊丝
CN104148824B (zh) * 2014-09-01 2015-12-09 四川大西洋焊接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韧性气电立焊用药芯焊丝
KR102056636B1 (ko) 2018-01-12 2019-12-17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연속 주조용 롤러의 표면경화 육성용접용 플럭스 충전와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1893A (ja) 1982-02-19 1983-08-23 Nippon Steel Corp 硬化肉盛用co↓2シ−ルドフラツクス入りワイヤ
JP2008126281A (ja) 2006-11-21 2008-06-05 Nippon Steel Corp 非消耗電極式溶接用メタルコアードワ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1893A (ja) 1982-02-19 1983-08-23 Nippon Steel Corp 硬化肉盛用co↓2シ−ルドフラツクス入りワイヤ
JP2008126281A (ja) 2006-11-21 2008-06-05 Nippon Steel Corp 非消耗電極式溶接用メタルコアードワ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815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1024A1 (en) Flux-cored wire, manufacturing method of welded joint, and welded joint
JP5165322B2 (ja) エレクトロガス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2208029B1 (ko)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와이어,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및 용접 이음
WO2018051823A1 (ja) 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用ワイヤ、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用フラックス及び溶接継手
KR20170021891A (ko)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JP5744816B2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ボンドフラックス
CN112512742B (zh) 实心焊丝以及焊接接头的制造方法
KR101180850B1 (ko) 오픈-아크 타입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035723B1 (ko) 고장력강용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CN114340828A (zh) 气体保护电弧焊用钢丝、气体保护电弧焊方法及气体保护电弧焊接头的制造方法
CN113613829A (zh) Ni基合金药芯焊丝
KR101657836B1 (ko) 극저온 인성, 내열성 및 내균열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재료
KR100502571B1 (ko) 탄산가스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와이어
KR101065222B1 (ko)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메탈계 플럭스 충전와이어
JP2019104020A (ja) 立向エレクトロガス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及び溶接継手の製造方法
KR101095067B1 (ko)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853796B1 (ko)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 및 균열성을 나타내는 염기성계 고강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0909022B1 (ko)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624886B1 (ko)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0581027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264606B1 (ko) 내균열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1621479B1 (ko) 가스실드 육성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2670740B1 (ko) 고전압 조건에서 내결함성이 우수한 전자세용 셀프실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0347295B1 (ko) 용접용 메탈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20110076685A (ko)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